[include(틀:상위 문서, top1=서경대학교)]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대학별 역사)] [include(틀:서경대학교)] [목차] === 한국대학(1947~1955)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국대학(1947))] 서경대학교의 전신은 1947년 10월 민족교육에 뜻을 둔 백범 [[김구]] 선생의 제자 한관섭(韓觀燮)이 미래의 지도자 육성을 위해 재단법인 한국학원을 설립하고 [[서울특별자유시]](현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장충동]]에 세운 [[한국대학]](韓國大學)이다. 설립 초기에는 2개 학부, 5개 학과를 설치하였다. 한국대학은 낮 시간 동안 일을 해야 하는 근로자들을 위해 설립된 '''한국 최초의 4년제 정규 [[야간대학]]'''이었다. 그러나 한국대학은 [[6.25 전쟁]]으로 인해 [[제주도]] 임시교사로 옮겨야 했고, 부산 [[전시연합대학]]으로 합쳐져 운영되는 등 우여곡절을 겪었다. 급기야 1954년 9월 30일에는 [[대한민국 교육부|문교부]]의 지시를 따르지 않는다는 이유로 기존 이사진을 해임시키고, [[김정실]]에게 학장을 위임한다. 한국대학 폐교로 인한 뒷정리를 맡긴 것이다. 그리고 1955년 2월 14일, 한국대학은 최종적으로 폐교의 운명을 맞았다. 이로써 한국대학은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폐교된 대학'''의 사례로 남게 되었다. 한국대학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한국대학(1947)|한국대학]] 문서 참조. === [anchor(국제대학)]국제대학(1955~1992)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평택시의 전문대학, rd1=국제대학교)]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일본의 대학, rd1=고쿠사이대학)] || '''국제대학 시절 로고''' || || [[파일:1972_kookjae_university.jpg|width=250]] || 1955년 3월, 김정실이 설립한 [[재단법인]] 국제학원에서 한국대학을 인수하여 [[성동구]] [[신당동(서울)|신당동]]에서 국제대학(國際大學)으로 새출발하였다. 그러나 얼마 가지 않아 국제학원이 '''재산을 과장하여 허위로 신고했고, 학생 [[등록금]]을 빼돌려 사용하였으며, 교직원 봉급조차 지급할 처지가 못돼 [[사채]]를 [[돌려막기]]하고 있는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55101800209202018&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5-10-18&officeId=00020&pageNo=2&printNo=10060&publishType=00020|막장 유령재단이라는 사실]]이 발각된다.''' 신당동에 교사를 구한 것도 쓰지 않는 폐공장인데다 개발제한까지 걸려 있어 헐값에 빌릴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1955년 11월, 문교부는 부랴부랴 국제학원의 재단인가 처분을 취소하고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55111400209201003&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5-11-14&officeId=00020&pageNo=1&printNo=10087&publishType=00020|위원회를 구성하여]] 국제대학을 직접 관리한다. 이듬해 1956년, 문교부는 같은해 4월 [[감리회]]에서 설립한 [[재단법인]] 감리학원(監理學園)에 국제대학을 넘긴다. 감리학원은 변두리에 위치한 국제대학을 [[중구(서울)|중구]] 태평로 1가 64번지[* 지금의 [[경복궁 광화문|광화문]]빌딩. 당시 계획은 1층부터 3층까지 [[감리회]]관으로 사용하고 4층부터 5층까지는 국제대학이 사용하는 것이었다.]에 이전하기 위해 교사를 신축하기로 하는 등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신생 법인이라는 한계로 인해 재단 운영이 원활하지 않았다. 감리학원은 교수 76명을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5608270020920300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6-08-27&officeId=00020&pageNo=3&printNo=10373&publishType=00020|파면]]했다 다시 복직시키는 사건을 일으키고 우왕좌왕하는 모습을 보였다. 엎친데 겹친 격으로 재정까지 쪼들리게 되자, 1958년 4월, 금전지원을 약속받고 같은 [[감리회]] 소속의 학교법인 [[이화여자대학교|이화학당]]에 국제대학의 경영권을 양도한다. 동시에 중구 신축 교사로의 이전 계획이 무산된다. 이화학당은 국제대학의 경영권을 인수하자마자 '''교직원을 대량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58042100209101006&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8-04-21&officeId=00020&pageNo=1&printNo=10973&publishType=00010|해고]]한다.''' 소규모 대학에 별도의 교직원을 채용하는 것은 수지타산에 맞지 않아 [[이화여자대학교]] 교직원을 국제대학에 겸직시키겠다는 것이었다. 1960년에는 [[서대문구]] 충정로2가에 교사를 신축하여 국제대학을 그곳에 이전하였다. 이화학당은 신축 교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자 국제대학의 주간 과정을 설치하려고 하나, 이미 서울에 대학이 많이 설립되었다는 이유로 문교부에서 반대하여 불허되었다. 그래서 대신 탄생한 것이 바로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이화·금란고등학교|금란여자중·고등학교]]. 충정로2가 교사에선 낯에는 중·고등학교 수업, 밤에는 대학 수업이 이뤄졌다. 1963년에는 [[한국외국어대학교]]에 이어 대한민국에서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511190032920501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5-11-19&officeId=00032&pageNo=5&printNo=9276&publishType=00020|두 번째]]로 [[일어일문학과]]가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3022300329205006&editNo=6&printCount=1&publishDate=1963-02-23&officeId=00032&pageNo=5&printNo=5331&publishType=00020|신설]]되었다. 이화학당이 재단으로 있던 시기에는 때때로 [[채플]]이 진행되며 [[미션스쿨]]의 모습을 띠기도 했다. ||
[[파일:1978_kookjae_building.jpg|width=100%]] || [[파일:1987_building.jpg|width=100%]] || || '''1978년 당시 충정로2가 교사'''[* 현재 이 자리에는 [[KEB하나은행]] 서대문역지점이 있다. 사거리에 위치해 있어 당시 신문기사에서 가장 소음공해에 시달리는 학교로 선정되기도 했다.] || '''1987년 당시 남가좌동 교사'''[* 이 건물은 리모델링을 거쳐 현재 [[명지대학교/인문캠퍼스]]의 학생회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 1979년 4월, 이화학당은 [[서대문구]] 북아현동에 11층 규모의 신축 교사를 짓고 국제대학을 그곳으로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9041700099203010&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9-04-17&officeId=00009&pageNo=3&printNo=4032&publishType=00020|이전]]하기로 하는데, 이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충정로2가 교사를 국제대학 고유재산에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811230028910901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8-11-23&officeId=00028&pageNo=9&printNo=166&publishType=00010|포함시키지 않은 것]]이다. 국제대 학생들은 자신들이 사용하고 있는 건물이 국제대학 소유인줄 알고 있었으나 실제로는 이화학당 재산으로 취급되고 있던 것. 안 그래도 이화학당이 국제대학을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8092000099201009&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68-09-20&officeId=00009&pageNo=1&printNo=776&publishType=00020|방관]]하고 있다는 인식이 퍼지고 있었는데, 이것을 계기로 재학생들의 불만은 극에 달하게 되었다. 1980년 4월 7일, 학생들은 수업을 거부하고 철야농성을 벌이며 이화학당과의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0040800329207016&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0-04-08&officeId=00032&pageNo=7&printNo=10622&publishType=00020|재단분리를 요구]]했다. 1980년 4월 11일, 학교법인 이화학당은 학생들의 농성이 잦아들 기미를 보이지 않자, 사태의 심각성을 깨닫고 장장 '''23년간''' 운영한 국제대학을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0041200209207013&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0-04-12&officeId=00020&pageNo=7&printNo=18005&publishType=00020|포기]]하기로 결정한다. 1980년 11월, 동화[[면세점]] 계열의 [[롯데관광개발|학교법인 삼문학원]](三文學園)[* 현재 [[미림여자정보과학고등학교]]를 운영 중인 학교법인 미림학원이다.]에서 국제대학을 인수한다. 삼문학원은 국제대학 인수 당시 20억원 규모의 야심찬 마스터플랜을 내세웠다. 1982년에 [[마포구]] 공덕동으로 이전하고, 1984년까지 [[강남구]] [[세곡동]]에 신축 교사를 세워 학교를 이전시키겠다는 것이었다. 실제로 [[마포구]] 공덕동 구 수도중학교, 마포여자중학교 부지[* 그 과정에서 수도중학교와 마포여자중학교가 국제대학 시설로 유용하기 위해서 폐교당했다. 그리고 그 국제대학 마저도 이후에 명지학원으로 넘어가고 국제대학이 남가좌동 명지대 캠퍼스로 이전하면서 용도를 잃어버린 구 수도중학교, 마포여자중학교 부지는 매각되어 공덕, 마포 현대아파트 부지가 되어버린다.]에 국제대학 제2캠퍼스가 세워져 1, 2학년을 대상으로 수업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후 제대로 된 투자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재단이 약속한 세곡동 신축 교사도 지어지지 않았다. 여기에 공덕동 제2캠퍼스는 노후된 기존 중·고등학교 건물을 재활용하여 사용한 것이었다. 이러한 열악한 교육 환경을 문제삼은 재학생과 재단 사이의 갈등이 계속되었다. 다시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1102400209207003&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1-10-24&officeId=00020&pageNo=7&printNo=18479&publishType=00020|재단을 분리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올 정도로 분규가 심해지고 정상적인 수업을 진행할 수 없는 지경까지 이르자, 1984년 1월에는 [[대한민국 교육부|문교부]]까지 나서서 학장을 문책 해임한다. 그리고 1984년 2월, 학교법인 삼문학원은 국제대학을 [[명지학원]](明知學園)에 넘기기로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402200032921101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4-02-20&officeId=00032&pageNo=11&printNo=11814&publishType=00020|합의]]한다. 넘기는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402200020921101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4-02-20&officeId=00020&pageNo=11&printNo=19194&publishType=00020|조건]]은 1. 학교명칭을 국제대학 그대로 사용할 것 2. 교원의 신분을 보장할 것 3. 부족한 교육 부지 확보 4. 국제대학의 독립 캠퍼스 유지 등이었다. 한편, 명지학원은 종합대학으로 승격된 [[명지대학교]]를 [[경기도]] [[용인시]]로 완전히 이전하고, 명지대가 쓰던 [[남가좌동]] 캠퍼스를 국제대학이 사용하게 할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402200020921101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4-02-20&officeId=00020&pageNo=11&printNo=19194&publishType=00020|계획]]이라고 밝힌다. 이에 따라 국제대학은 [[서대문구]] 남가좌동 교사로 이전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명지학원이 공덕동 제2캠퍼스의 임대계약을 해지하고 '''폐교시켜버린다.''' 게다가 명지학원이 '''국제대학을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811230028910901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8-11-23&officeId=00028&pageNo=9&printNo=166&publishType=00010|명지대에 흡수합병]]시키려고 한 것'''이 드러나게 되면서 학생들이 크게 반발하였다. 명지학원의 계획은 일단 명지대학교 주간과정을 전부 용인시로 보내버리고 남가좌동에 국제대학을 이전시킨 뒤 명지대학교 야간과정을 세우려는 것이었다. 당시 서울에 추가로 대학 정원 증설이 불가하였기에 국제대학을 인수하여 남가좌동 캠퍼스를 쓰게 한 뒤 나중에 명지대학교 야간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여 운영하려고 했던 것이었다. 합병 문제를 둘러싸고 명지대와 국제대 학생간의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5060400209211019&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5-06-04&officeId=00020&pageNo=11&printNo=19590&publishType=00020|신경전]]이 일어나기도 했다. 학생들의 반향에 버티지 못한 명지학원은 결국 약 1년만에 국제대학을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5060400209211019&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5-06-04&officeId=00020&pageNo=11&printNo=19590&publishType=00020|포기]]하게 된다.[* 이런 일이 발생하는 이유가 1970년대 중반부터 수도권정비계획법 때문에 서울에서 신규대학 인가 및 정원증원이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학을 신설하거나 대학정원을 늘리고자 하는 재단으로써는 기존 대학을 인수하는 것이 유일한 방법이였는데 돈 많이 드는 대학 하드웨어 인수는 꺼리고 대학 인가와 대학정원만을 빼와서 기존 재단의 시설을 이용, 정원증원의 편법으로 쓰기 위해서다. 특히 국제대학은 야간대학이며 정원이 적당히 적어서 일반 종합대학이라면 밤에는 남는 기존 강의실을 이용하기에 수월했다.] 명지학원은 학생들이 원하는 재단에 학교를 넘기겠다며 학생들을 대상으로 국제대학을 인수하겠다는 의사를 내비친 학교법인 세방학원과 성한학원에 대한 투표를 실시한다. 69.5%의 찬성으로 세방학원[* [[서일대학교]]를 운영하고 있는 재단이다.]에 이양되는 듯 했지만, 투표과정에 문제가 있었다는 [[어른의 사정]]으로 국제대학은 성한학원(聖韓學園)에서 인수하는 것으로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6102800329207016&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6-10-28&officeId=00032&pageNo=7&printNo=12643&publishType=00020|결정]]되었다. 이에 학생들은 또다시 반발하였으나 기본재산 확보 및 3억원 이상 자본 투입, 법인의 학교행정 불참여, [[대일외국어고등학교]] 이전[* 실제로는 대일외국어고등학교 대신 대일고등학교를 이전시킨다.] 등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811230028910901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8-11-23&officeId=00028&pageNo=9&printNo=166&publishType=00010|53개 조항]]을 조건으로 걸고 성한학원의 국제대학 인수를 받아들인다. 1988년 4월, 성한학원에서 국제대학을 인수하여 동년 8월 [[성북구]] 정릉동 신축교사[* 원래는 대일고등학교가 있던 부지였고, 건물도 대일고등학교가 쓰던 30년 가까이 된 낡은 것을 개조해서 쓰게 되었다. 이후 새로 지은 건물도 있지만 아직도 많은 부분이 구 대일고, 대일외국어고, 구 정릉여상이 쓰던 건물을 개조한 것이다. 그 이유에는 학교 대지가 산꼭대기에 있고 주변이 주택가여서 확장 신축할 여지가 아예 없기 때문이다.]로 이전하였다. 하지만 성한학원이 4개 조항에 대한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8112200209214005&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8-11-22&officeId=00020&pageNo=14&printNo=20661&publishType=00020|약속]]을 지키지 않는다며 학생들은 다시 한번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812020028911001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8-12-02&officeId=00028&pageNo=10&printNo=174&publishType=00010|반발]]한다. 1989년, 마침내 학교법인 성한학원[* 이후 [[학교법인 대일학원]]으로 법인명 변경. [[대일고등학교]], [[대일외국어고등학교]], 대일관광고등학교를 운영한다.]에서 국제대학 인수 당시에 내걸었던 약속을 이행하여 학교법인 국제대학원을 분리 · 신설하여 국제대학을 전담해 운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약속 이행과 함께 분규도 점차 사그라들게 되었다. 그래서 당시의 국제대학 학번은 [[이화학당]]과 [[명지학원]]에게 휘둘린 역사 때문에 개신교 미션스쿨에게 반감을 가졌었고[* 물론 모든 개신교 미션스쿨을 묶어서 판단하는 것은 좋지 못한 행동이지만 당시에는 미션스쿨에 대한 정보도 거의 없었고 선입견을 가지기 쉬웠던 시대였다. 개신교에서도 진영논리 때문에 해당 사건에 대해 명지대와 이화여대에게 온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는 시선이 존재했기에 이 선입견이 굳어지기도 했다.] 시간이 지났지만 지금도 이화여대와 명지대에게 적대적인 성향이 있다. 개신교도라도 이화여대와 명지대에게 반감을 가질 정도였다. === 서경대학교(1992~현재) === 1992년 3월, 국제대학이 4년제 [[종합대학교]]로 승격되면서 법인명칭을 서경대학원으로 바꾸고, 동년 9월에는 교명을 서경대학교로 변경하였다. 2007년 3월, [[한국교통대학교/의왕캠퍼스|한국철도대학]]을 인수하기 위해 제안서를 제출하고 인수전에 뛰어들었지만 결국 인수에 실패한다. [각주] [[분류:서경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