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팜트리 아일랜드 소속 아티스트)] ||<-2> '''{{{#fff {{{+1 서경수[br]}}}徐坰秀 | Seo Kyung-Soo}}}'''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kyungsoo_profile.jpg|width=100%]]}}}|| ||<|2> '''{{{#fff 출생}}}''' ||[[1989년]] [[1월 1일]] ([age(1989-01-01)]세) ||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 || || {{{#ffffff '''신체'''}}} ||187cm, 85kg, [[A형]] || || {{{#ffffff '''가족'''}}} ||부모님, 형|| || {{{#ffffff '''반려견'''}}} ||뭉치|| || {{{#fff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ffffff '''본관'''}}} ||[[달성 서씨]] (達城 徐氏) || || {{{#ffffff '''소속사'''}}} ||[[팜트리 아일랜드]][* 약 3년 간 FA로 활동하던 중 2022년 6월 29일 새로운 소속사와의 계약 체결 소식을 알렸다]|| || {{{#ffffff '''수상'''}}} ||제5회 [[한국뮤지컬어워즈]] 남자조연상 || || {{{#ffffff '''MBTI'''}}} ||ENTP / INTP[* I와 E가 거의 반반으로 나온다고 한다.]|| || {{{#ffffff '''학력'''}}} ||[[능내초등학교]] {{{-2 (졸업)}}}[br][[수리중학교]] {{{-2 (졸업)}}}[br][[용호고등학교]] {{{-2 (전학)}}}[br][[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 {{{-2 (졸업)}}}[br][[경희대학교/학부/예술·디자인대학|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2 (연극영화학 / 중퇴)[* 대학을 졸업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https://youtu.be/PVThfaU-gJc| 출처]]]}}} || || {{{#ffffff '''데뷔'''}}} ||[[2006년]] [[12월 20일]] (데뷔한 지 '''D[dday(2006-12-19)]일''')[br]뮤지컬 '[[지저스 크라이스트 수퍼스타]]' || || {{{#ffffff '''SNS'''}}} ||[[http://cafe.daum.net/seokyungsu|[[파일:다음 카페 아이콘.png|width=24]]]][* 소속사에서 운영하는 공식 팬카페. 2023년 5월 24일 데뷔 6000일을 맞아 오후 6:00시에 공개했다.] [[http://instagram.com/kyungsu.seo|[[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계정이 있지만 업로드는 거의 없다시피 한 편이다. 퇴근길과 인스타 라이브 중 본인이 밝히기로는 자신도 모르게 인스타그램을 계속 보게 돼서 평상시에는 앱을 삭제해둔다고 한다. 팬들과 소통 목적으로 라이브를 할 때만 다시 앱을 활성화시킨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경수특집.gif|width=100%]] >'''"저를 처음 보시든 이미 알고 계시든, 누구나 저를 떠올렸을 때 미소가 지어졌으면 좋겠어요. 동료들한테도 마찬가지예요. 항상 함께하고 싶은 사람이 되고 싶어요."''' > ---- >창작가무극 <신과함께_저승편>의 만찢남, 배우 서경수 [[http://ch.yes24.com/Article/View/35635|기사 전문]]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2006년 19세의 나이로 뮤지컬 [[지저스 크라이스트 수퍼스타]] 앙상블로 데뷔하였다. 데뷔 후 꾸준히 다양한 작품에서 앙상블과 조연으로 참여하며 실력을 쌓아오던 그는 2013년 뮤지컬 [[넥스트 투 노멀]]에서 주연 게이브 굿맨 역을 맡으며 대중들에게 본격적으로 그의 존재감을 알리기 시작한다. 그리고 그 후 [[베어 더 뮤지컬]]의 제이슨, 뮤지컬 [[뉴시즈(뮤지컬)|뉴시즈]]의 잭 캘리, 뮤지컬 [[젠틀맨스 가이드: 사랑과 살인편|젠틀맨스 가이드]]의 몬티 나바로, 뮤지컬 [[그리스(뮤지컬)|그리스]]의 대니 주코, 뮤지컬 [[위키드(뮤지컬)|위키드]]의 피에로, 뮤지컬 [[데스노트(뮤지컬)|데스노트]]의 류크, 뮤지컬 [[킹키부츠]]의 롤라 등 매번 작품마다 새롭고 다양한 캐릭터성, 그리고 무엇보다 탄탄한 실력으로 관객들에게 사랑을 받으며 믿보배(믿고 보는 배우)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 활동 내용 == === 데뷔 === || '''{{{#white [혜화로운공연생활] 제10화 배우 서경수 & 우찬 (4:33 부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YQYl8Gtcb4)]}}} || 다양한 인터뷰에서 언급된 서경수의 데뷔 스토리는 오래된 뮤지컬 팬들 사이에서는 이미 유명한 일화이다. 고등학교 3학년 때 [[경희대학교]] [[연극영화학과]] 1학기 수시로 합격을 하고 비교적 여유로운 고3 시절을 보낸 그는 성악과 선생님의 추천으로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 추가 앙상블 오디션을 보게 된다. 서경수는 데뷔 스토리를 이야기할 때마다 4명을 뽑는 오디션의 4명의 지원자가 와서 100퍼센트의 확률로 합격한 것이라며 겸손함을 보인다. ~~하지만 아무리 4명이 필요해도 실력이 안되면 안뽑았겠지~~ 그렇게 그는 열아홉이라는 어린 나이에 프로 무대에 데뷔를 하게 된다. === 대표작 === 입덕 시기에 따라 서경수의 대표작에 대한 의견은 분분하고 이제는 그의 인생캐를 뽑는 것이 더는 무의미할 정도로 그는 언제나 자신만의 깊고 풍부한 캐릭터 해석과 표현 능력으로 매일 새로운 레전드를 만들고 있다. 아직까지도 가장 많이 회자되고 있는 역할들로는 [[넥스트 투 노멀]]의 게이브 굿맨, [[베어 더 뮤지컬]]의 제이슨 맥코넬, [[뉴시즈(뮤지컬)|뉴시즈]]의 잭 캘리, [[썸씽로튼]]의 윌리엄 셰익스피어, [[위키드]]의 피에로, [[킹키부츠]]의 롤라 등이 있다. ==== 경게 ==== || '''{{{#white [넥스트 투 노멀] 슈퍼보이와 투명인간소녀 (1:59 부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9sav1DCDjQ)]}}} || [[넥스트 투 노멀]] 스토리의 실질적인 키를 쥐고 있는 굿맨 집안의 완벽해보이는 아들 게이브는 아직까지도 그를 ''경게''라고 불리게 하는 역할이다. 게이브는 다이애나의 착한 아들이면서 어딘가 미스터리한 구석이 있는 캐릭터로 극 중 가장 중요한 반전의 역할을 한다. 따뜻한 아들임과 동시에 섬뜩하고 어딘가 정체를 알 수 없는 존재로 다양한 캐릭터성을 지닌 게이브를 통해 그는 서경수란 배우가 가진 수 많은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경젯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경수_베어_오디션.gif|width=100%]]}}} || ||<-2> {{{-1 [[베어 더 뮤지컬]] 'Audition' 중}}}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경수_베어_cross.gif|width=100%]]}}} || ||<-2> {{{-1 [[베어 더 뮤지컬]] 'Cross' 중}}} || [[베어 더 뮤지컬]]의 제이슨은 서경수를 '''킹카전문배우''' 반열에 올려준 작품이다. 제이슨으로 미국 하이틴 킹카의 정석을 보여준 역할로 이후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다양한 킹카''' 역을 맡으며 (''<오!캐롤> 델모나코, <시라노> 크리스티앙 뇌빌레뜨, <그리스> 대니 주코, <차미> 오진혁, <브로드웨이 42번가> 빌리 롤러, <썸씽로튼> 윌리엄 셰익스피어, <위키드> 피에로 등'') '''킹카전문배우'''라고 불리게 된다. 하지만 그의 제이슨이 아직까지 많은 뮤지컬 팬들에게 회자되는 이유는 단순히 미국 킹카 캐릭터에 걸맞는 그의 완벽한 비주얼 때문이 아니다. 그는 피터 중심의 서사로 진행되는 극에서 자칫 이해하기 힘든 캐릭터가 될 수 있는 제이슨의 내면을 너무도 섬세하게 표현해냈다. 피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불친절한 제이슨의 서사를 그는 눈빛, 표정, 목소리로 채워내며 그의 캐릭터를 완성시켜나갔다. 가족, 친구들, 선생님까지 모두의 사랑과 믿음을 한 몸에 받는 자신감 넘치는 모습에서 감당할 수 없는 현실 속에 철저히 혼자 남겨져 결국 처절히 무너져 내리는 순간까지 서경수는 제이슨이란 캐릭터가 가진 서사를 온전히 표현해냈다. ==== 경잭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경수_뉴시즈_carryingthebanner.gif|width=100%]]}}} || ||<-2> {{{-1 [[뉴시즈(뮤지컬)|뉴시즈]] 'Carrying the Banner' 중}}} || [[뉴시즈(뮤지컬)|뉴시즈]]의 잭 캘리는 서경수의 첫 대극장 주연 작품이라는 게 믿기지 않을 정도로 '''압도적인 가창력과 성량, 깊은 감정선, 또 독보적인 춤선'''으로 뉴시즈의 아시아 초연에서 최고의 잭 캘리를 탄생시켰다. 또 무대 위 동료들과의 호흡을 중요시하는 그의 특성이 가장 빛난 역할로 뉴스보이들과의 끈끈한 호흡으로 더욱 탄탄한 캐릭터를 완성했다. ==== 경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yungsoo_shake.gif|width=100%]]}}} || ||<-2> {{{-1 [[썸씽로튼]] 'Will power' 중}}} || 새로운 역할을 맡을 때마다 인생캐를 갱신하는 서경수는 뮤지컬 썸씽로튼에서 르네상스 시대의 위대한 작가 셰익스피어[* 윌리엄 셰익스피어는 서경수에게 한국뮤지컬어워즈 남우조연상의 영예를 안겨준 배역이다.]를 파격적인 당대 섹시 슈퍼스타로 재해석한 윌리엄 셰익스피어 역할을 완벽히 소화하며 또 한번 인생 역할을 갱신하게 된다. 감미롭기만 한줄 알았던 소네트 18번을 락스타처럼 강렬하게 읆는 Will Power, "정말 조낸 졸라 힘들어"라며 다소 시문학의 아버지답지 않는 날 것의 Hard to be the Bard는 아직까지도 많은 이들에게 회자되며 연뮤계 대표 노동요이자 중독성 강한 넘버로 꼽히고 있다. 하나의 비하인드 스토리는 썸씽로튼의 배역을 위해 탭댄스를 시작하게 된 서경수는 이후 탭댄스의 정수라고 불리는 브로드웨이 42번가에 캐스팅된다. 공연 스케줄이 더 앞이었던 빌리 역할로 먼저 무대에 오르게 된 서경수는 브로드웨이 42번가의 최고난이도 탭 넘버들을 모두 완벽하게 마스터하면서 썸씽로튼에서의 간단한 탭은 그에겐 다소 쉬워보였다는 것이 관객들의 의견이다. ==== 경피에로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경수__천지창조씬.gif|width=100%]]}}} || ||<-2> {{{-1 [[위키드]] '[[Dancing Through Life]]' 중}}} || 서경수는 [[위키드]]의 피예로 티글러 (Fiyero Tigelaar) 역할을 소화하며, 다시 한번 관객들에게 배우로서 그의 존재감을 각인시켰다. 두 여주인공들의 스토리가 중심인 극에서 다소 서사가 약했던 피에로를 서경수는 그만의 섬세한 캐릭터 해석 능력과 연기력으로 표현하며 입체적인 피에로를 완성하였다. 거기에 더블 캐스팅이었던 배우조차도 인정한 완벽한 의상 핏과 쉬즈대학교 학생 모두를 홀리는 Dancing Through Life의 천지창조씬으로 역시나 ''킹카전문배우'''라는 사실을 또 다시 일깨워 주었다. 서경수는 Dancing Through Life가 디테일이 굉장히 많고, 전체를 아우르는 에너지가 필요한 넘버여서 연습을 하면서 뮤지컬에 대한 고민을 할 정도로 그에게 자괴감을 안겨준 넘버였다고 한다. 하지만 극을 보는 관객들은 매번 그의 여유로움과 완벽한 춤선, 그 와중에 편안하고도 완벽한 넘버 소화력에 감탄하며 이런 사실은 전혀 몰랐다는 후문. ==== 경롤라 ==== ||[youtube(U4qxHto6cKk)] || >'''"자신감 넘치지만 어떻게 보면 또 너무나도 유약한 면을 갖고 있는 인물이고 또 그걸 숨기기 위해서 더 웃고, 더 유머러스하게 살려고 하는 사람인 것 같아요."''' > ---- >월요라이브 Ep.83 뮤지컬 '킹키부츠' 편 - 서경수, 나하나 [[https://youtu.be/7SVMlt0V4c0| 인터뷰 전문]] 캐스팅 소식이 들린 순간부터 뜨거운 관심을 받았던 [[킹키부츠]]의 경롤라는 역시나 개막하자마자 서경수의 인생캐 갱신이라는 반응과 함께 새로운 역사의 시작을 알리고 있다. 킹카전문배우라는 수식어처럼 전형적인 멋진 남주의 이미지가 강했던 그는 젠더의 경계를 허무는 드랙퀸 역할을 비주얼적으로도, 캐릭터적으로도 완벽히 소화하며 지금까지 본 적 없는 강인함과 부드러움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매혹적인 롤라를 탄생시켰다. 무대에서 소중하게 역할을 표현하기 위해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하게 캐릭터에 대한 고민을 한 서경수는 12kg 체중 감량까지 소화하며 완벽한 롤라로 매일 매일 관객들의 넋을 빼놓는 무대를 선보이고 있다. 그 누구보다 아름답고 화려하고 자신감 넘치는 드랙퀸, 세상의 편견들로 수없이 많은 상처를 받은 여린 사이먼, 그리고 그 모든 걸 포용하고 용서할 수 있는 성숙한 롤라까지. 마치 우주를 담은 인물인 것 같다는 서경수의 말처럼 그의 롤라는 정말 우주 그 자체 같은 인물로 서경수의 인생캐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였다. == 출연 작품 == === 뮤지컬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ce8f6, #fea4a4)" {{{#white '''서경수 무대 히스토리'''}}}}}} || || '''공연연도''' || '''제목''' || '''배역''' || '''공연 기간''' || '''공연장''' || '''비고'''|| || 2006 || [[지저스 크라이스트 수퍼스타]] || 앙상블 || 12.20~02.04 || 코엑스 오디토리움 || [* 데뷔작] || || 2007 || [[베르테르(뮤지컬)|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 앙상블 || 08.24~09.16 || 극장 용 |||| || || 2008 || 파이란 || 앙상블 || 09.11~11.02 || TOM 1관 |||| || ||<|2> 2009 || [[렌트]] || 스윙/베니 커버 || 01.09~03.29 || 한전아트센터 || || || 한 여름 밤의 꿈 || 드미트리우스 || 08.26~08.31 || 경희대학교 평화의전당 || || || 2010 || 선덕여왕 ||<|2> 앙상블 || 01.05~01.31 || [[우리금융아트홀]] || || ||<|3> 2012 || [[모차르트!]] || 07.10~08.04 ||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 || || 런투유 || 이수창 || 10.06~11.04 || 오사카 쇼치쿠좌 || [* 일본공연] || || [[금발이 너무해#뮤지컬]] || 니코스 || 11.17~03.17 || 코엑스 아티움 || || ||<|3> 2013 || [[넥스트 투 노멀]] || 게이브 || 04.06~05.05 || [[두산아트센터]] 연강홀 || || || 헤이, 자나! || 마이크 || 07.09~08.18 || 코엑스 아티움 || || || 카르멘 || 파비오 || 12.05~02.23 || [[LG아트센터]] || || ||<|4> 2014 || 정글라이프 || 피동희 || 02.07~03.30 || KT&G 상상마당 대치아트홀 || || || [[트레이스 유]] || 구본하 || 03.04~06.29 || 유니플렉스 2관 || || || [[블랙메리포핀스]] || 헤르만 디히터 || 06.10~08.31 || 아트원씨어터 1관 || || || [[라카지]] || 장 미셸 || 12.09~03.08 || [[LG아트센터]] || || ||<|4> 2015 || [[마마, 돈 크라이]] || 프로페서 V || 03.10~05.31 || 쁘티첼 씨어터 || || || [[베어 더 뮤지컬]] || 제이슨 || 06.17~08.23 || [[두산아트센터]] 연강홀 || || || [[인 더 하이츠]] || 베니 || 09.04~11.22 || [[블루스퀘어]] 삼성카드홀 || || || [[넥스트 투 노멀]] || 게이브 || 12.16~03.13 || [[두산아트센터]] 연강홀 || || ||<|3> 2016 || [[뉴시즈]] || 잭켈리 || 04.12~07.03 || [[충무아트센터]] 대극장 || || || [[베어 더 뮤지컬]] || 제이슨 || 06.29~09.04 || [[두산아트센터]] 연강홀 || || ||<|2> 오! 캐롤 ||<|2> 델 || 11.09~02.09 || [[광림아트센터]] BBCH홀 || || ||<|4> 2017 || 02.28~05.08 || [[디큐브아트센터]] || [* 앙코르 공연] || || [[시라노(뮤지컬)|시라노]] || 크리스티앙 || 07.07~10.08 || [[LG아트센터]] || || || [[타이타닉(뮤지컬)|타이타닉]] || 토마스 앤드류스 || 11.08~02.21 || [[샤롯데씨어터]] || || || [[베어 더 뮤지컬]] || 제이슨 || 11.18~02.25 || [[백암아트홀]] || [* 특별공연] || ||<|4> 2018 || [[신과 함께(뮤지컬)|신과 함께_저승편]] || 강림 || 03.27~04.15 ||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 || || || [[이블데드(뮤지컬)|이블데드]] || 애쉬 || 06.12~08.26 || 유니플렉스 1관 || || || 오! 캐롤 || 델 || 08.16~10.21 || [[디큐브아트센터]] || || || [[젠틀맨스 가이드: 사랑과 살인편]] || 몬티 나바로 || 11.09~01.27 ||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대극장 || || ||<|2> 2019 || [[그리스(뮤지컬)|그리스]] || 대니 || 04.30~08.11 || [[디큐브아트센터]] || || || [[여신님이 보고 계셔]] || 한영범 || 11.16~03.01 || 유니플렉스 1관 || || ||<|3> 2020 || [[차미]] || 오진혁 || 04.14~07.06 || [[충무아트센터]] 중극장 블랙 || || || [[브로드웨이 42번가]] || 빌리 로러 || 06.20~08.23 || [[샤롯데씨어터]] || || || [[썸씽 로튼]] || 윌리엄 셰익스피어 || 08.07~10.18 || [[충무아트센터]] 대극장 || || ||<|3> 2021 || [[위키드(뮤지컬)|위키드]] || 피예로 || 02.12~05.02 || [[블루스퀘어]] 신한카드홀 || || || [[레드북]] || 브라운 || 06.04~08.26 ||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대극장 || || || [[썸씽 로튼]] || 윌리엄 셰익스피어 || 12.23~04.10 || [[유니버설아트센터]] || || ||<|3> 2022 ||<|2> [[데스노트(뮤지컬)|데스노트]] ||<|2> [[류크]] || 04.01~06.19 || [[충무아트센터]] 대극장 ||<|2> || || 07.01~08.14 ||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 || [[킹키부츠]] || 롤라 || 07.20~10.23 || [[충무아트센터]] 대극장 || || ||<|2> 2023 || [[데스노트(뮤지컬)|데스노트]] || [[류크]] || 04.01~06.18 || [[샤롯데씨어터]] || || || [[벤허(뮤지컬)|벤허]] || 메셀라 || 09.02~11.19 || [[LG아트센터 서울]] LG SIGNATURE홀 || || === 연극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ce8f6, #fea4a4)" {{{#white '''서경수 무대 히스토리'''}}}}}} || || '''공연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 2019 || [[생쥐와 인간]] || 레니 스몰 || || || 2014 || 유럽블로그 || 석호 || 음악극 || === 팬미팅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ce8f6, #fea4a4)" {{{#white '''팬미팅'''}}}}}} || || '''연도''' || '''일자''' || '''제목''' || '''비고''' || ||<|1> 2023 || 03.12 || 서경수 첫 번째 팬미팅 [뮤:아이] || [* 일지아트홀에서 14시, 18시 2회 진행 ] || === 콘서트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ce8f6, #fea4a4)" {{{#white '''콘서트'''}}}}}} || || '''공연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5> 2023 || PALMTREE ISLAND 2nd GALA CONCERT || 출연 || || || 성남 파크콘서트 뮤지컬 갈라 || 출연 || || || WONDERLAND와 후라보노 || 출연 || || || 신영숙, 이지훈, 서경수 온 스테이지 - 여주 || 출연 || || || WONDERLAND THEATRE 2023 || 출연 || 1회차[* with [[강홍석]], [[정원영]], [[조형균]]. 일명 후라보노.] || ||<|1> 2022 || PALMTREE ISLAND 1st GALA CONCERT || 출연 || || ||<|1> 2020 || [[여신님이 보고 계셔]] 토크 콘서트 || 출연 || || ||<|3> 2018 || Unsung 콘서트 || 게스트 || 처음이자 마지막 경핕 || || 겨울 밤의 세레나데 Viva Musical || 게스트 || || || 코 콘서트 || 게스트 || || ||<|3> 2017 || 서울 스타라이트 뮤지컬 페스티벌 || 출연 || 정서62의 탄생 || || I'mstargram 콘서트 || 출연 || 처음이자 마지막 경멧 || || 정원영 미니콘서트 - 햇살1g || 게스트 || || ||<|3> 2016 || Thank You Musical 콘서트 || 게스트 || || || 자라섬 뮤지컬 페스티벌 || 출연 || || || 최은석의 취향저격 토크쇼 || 출연 || || ||<|3> 2015 || 한지상 프리미엄 콘서트 in 도쿄 || 게스트 || || || 삼성카드 스테이지 4 || 게스트 || || || 호이 스타일 매거진 쇼 || 게스트 || || ||<|3> 2014 || 온스테이지 시즌2 || 출연 || || || 웨스틴 조선호텔 HOT 섬머 콘서트 || 출연 || || || 뮤지컬 이야기쇼 이석준과 함께 10주년 || 출연 || || === 방송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ce8f6, #fea4a4)" {{{#white '''방송'''}}}}}} || || '''방영연도''' || '''방송사''' || '''프로그램''' || '''역할''' || '''비고''' || || 2023 || [[SBS 파워FM|[[파일:SBS 파워FM 로고.svg|width=50]]]] || [[두시탈출 컬투쇼]][* DJ는 [[김태균(방송인)|김태균]]과 [[김준수(JYJ)|김준수]]. 뮤지컬 [[데스노트(뮤지컬)|데스노트]] 홍보를 위해 상대역인 [[장은아]], [[장민제]]와 함께 출연했다.] || 게스트 || 3월 21일 || || 2022 || [[네이버 나우|[[파일:네이버 나우 로고.svg|width=40]]]] || 커튼콜 뮤지컬쇼 || 게스트 || 4월11일 || || 2017 || [[KBS|[[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노래싸움 - 승부]] || 출연 || || === 음반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ce8f6, #fea4a4)" {{{#white '''음반'''}}}}}} || || '''발매연도''' || '''앨범''' || '''곡명''' || '''비고''' || || 2020 || PARK JEONG A's 1st ORIGINAL SOUNDTRACK || {{{-3 낙서,[br]미친 밤1,[br]태양에 눈이 멀어서}}} 외 || 보컬 및 내래이션, 연기[br](구본하 역) || || 2019 || [[여신님이 보고 계셔]] OST || {{{-3 누구를 위해,[br]난 울지 않는다,[br]꽃나무 위에}}} 외 || 보컬 및 연기[br](한영범 역) || || 2015 || 꿈키움M주니어[*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기획된 CJ나눔재단의 음악산업 진로 교육 프로그램. 해당 음반의 프로듀서들은 고등학생이다. 서경수 외 프로 아티스트들이 재능기부로 참여했다.] (Vol.4) || SLUMP || 피처링 || == 수상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ce8f6, #fea4a4)" {{{#white '''서경수 수상 내역'''}}}}}} || || '''수상연도''' || '''이미지''' || '''시상식''' || '''배역''' || '''부문''' || || 2021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1_kma_kyungsoo.jpg|width=170]]}}} || 제 5회 [[한국 뮤지컬 어워즈]] || 윌리엄 셰익스피어 || 남우조연상 || || 2017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7_saca_kyungsoo.jpg|width=170]]}}} || 2017 SACA[br](Stagetalk Audience Choice Awards) || <시라노> 크리스티앙[br]<타이타닉> 앤드류스[br]<오!캐롤> 델모나코 || 남우조연상 || == 포지션 == === 노래 === [youtube(AN0g-pHKrXs)] 서경수는 자신만의 뛰어난 음색과 성량으로 매 순간 완벽한 무대를 선사한다. 폭넓은 음역대로 저음, 고음, 진성, 가성, 모든 음역대와 창법을 소화하며 완벽한 딕션과 감정 전달력으로 매 공연을 레전드로 만든다. 그는 공연 기간 내내 완벽한 무대를 선보여 공연을 보러 오는 관객들은 그에게 '''믿고 보는 배우 서경수''', 라는 수식어를 붙여 주기도 하였다. 힘들이지 않고 뻗어 나가는 그의 고음은 호불호가 없어 '''만인의 애배'''로 불리기도 한다. 편안하게 노래를 부르는 그의 모습이 담긴 [[https://youtu.be/F9pDb76pfcM| 썸씽로튼 초연 시츠프로브]] 영상은 많은 이들의 입덕 영상으로도 유명하다. 또 그는 어느 누구와도 하모니를 만들 수 있는 부드러운 음색의 소유자로 뮤지컬의 꽃인 합창, 듀엣 모두 '[[https://youtu.be/SowJjn38UJw| 완벽한 케미]]'를 이루어 낸다. 서경수 특유의 부드러운 음색은 모든 페어와 찰떡 호흡을 보여 주며 각 배우에 따른 다양한 무대를 볼 수 있으니 서경수와 함께하는 모든 페어를 볼 수밖에 없다는 후문도 있다. 또한 서경수의 노래 실력은 뮤지컬 넘버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르에 능하기로 유명하다. 뮤지컬 페스티벌에서 부른 이적의 '하늘을 달리다'는 시간이 흐른 뒤에도 많은 관중들에게 최고의 무대로 뽑히고 있다. 이 무대에서는 '[[https://youtu.be/oDzvZn4atmU|인간 여름 서경수]]'라는 별명 그 자체를 그대로 느낄 수 있으며 청량한 무대에 걸맞는 자연스러운 무대 매너로 그가 가창력뿐 아니라 좌중을 사로잡는 무대 매너까지 지녔음을 알 수 있다. === 춤 === [youtube(Y73ytbj_16s)] [youtube(6PuyfqndxJE)] 고등학생 시절 잠시 현대무용을 배웠다는 서경수의 춤은 많은 관객들에게 단연 최고로 손꼽힌다. 관객 뿐만 아니라 많은 안무감독들이 뮤지컬 배우들 중 서경수는 현존하는 뮤지컬 배우 중 가장 춤을 잘 춘다고 밝힌 것 또한 이미 유명한 사실이다. 186cm의 큰 키에도 불구하고 깃털처럼 가볍게 춤을 추면서도 섬세한 디테일을 가진 그의 춤은 매 작품마다 관객 모두를 놀라게 한다. 우아하면서도 강직한 춤선은 걸어가는 동작마저 안무 같아 보이게 하는 착시를 일으키기도 한다. 또한 브로드웨이 42번가와 썸씽로튼에서 보여준 '[[https://youtu.be/wCK3c41TsjA|탭 댄스]]'는 그의 피지컬에서는 상상할 수 없었던 맑고 청량한 소리와 더불어 화려한 탭 실력이 돋보인다. 그의 시원시원한 탭댄스 장면은 많은 관객들의 최애 장면이 되었다. 위키드의 피예로 준비 과정에서도 Dancing Through Life를 연습하며 고난도의 안무와 노래에 자괴감이 들었다고 하였으나 무대 위에서 흔들리지 않는 가창과 한 동작도 놓치지 않는 완벽한 디테일의 춤을 선보이며 많은 관객들의 사랑을 받았다. === 연기 === [youtube(KLjzcVOC6pM)] 서경수의 폭넓은 연기력은 장르를 가리지 않는다. 뮤지컬 배우 16년차의 약 44개의 필모에서 알 수 있듯이 쇼 뮤지컬, 로맨스, 코미디, 정극, 연극을 넘나들며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는 베어의 [[https://youtu.be/aihiBahp09A|제이슨]], 그리스의 [[https://youtu.be/soqmco7W1b4|대니 주코]], 썸씽로튼의 [[https://youtu.be/R3bpIQB-QEM|윌리엄 셰익스피어]] 등 모두에게 주목받는 것이 익숙한 당당한 킹카 역할부터 넥스트 투 노멀의 [[https://youtu.be/krRdLr40ZoQ|게이브]], 생쥐와 인간의 레니 등 내면의 깊은 사연을 가진 캐릭터까지 인간의 느낄 수 있는 모든 감정을 입체적으로 표현하는 배우이다. 뉴시즈의 잭 캘리, 레드북의 브라운 등 서경수의 진솔한 감정 연기는 관객들로부터 과몰입을 유발한다. ''''킹카 전문 배우''''라는 수식어와 동시에 ''''슬픔은 서경수''''라는 말이 있을 만큼 기쁨과 슬픔을 군더더기 없이 깔끔하게 표현할 수 있는 연기 스타일은 그의 큰 강점이다. 그는 인터뷰에서 무대 위의 애드립 구간은 동료들과 미리 준비한 채 무대에 오르며, 즉흥적인 애드립을 경계하는 편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처럼 꾸준한 연구와 연습의 결과로 서경수만의 진심이 담긴 수많은 레전드 캐릭터들이 탄생하게 되었고, 관객들에게 ''''모든 캐릭터가 인생캐''''라고 불리며 시간이 흘러도 그의 캐릭터들은 계속해서 회자되며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여담으로 한 인터뷰[* 시어터플러스 6월호]에서 캐릭터를 연구할 때 본인을 많이 녹이려고 한다고 밝혔다. 자신의 평소 성격과 가장 닮은 캐릭터는 [[베어 더 뮤지컬]]의''' 제이슨 맥코넬''', [[뉴시즈(뮤지컬)|뉴시즈]]의''' 잭 캘리'''로 꼽았고, 본인과 제일 다른 캐릭터는 [[시라노(뮤지컬)|시라노]]의 '''크리스티앙''', [[레드북]]의 '''브라운'''을 꼽았다. 이유는 눈치가 없고 소심한 편이 아니기 때문이며, 본인피셜 눈치가 상당히 빠른 편이라고 한다. === 비주얼 === [[파일:2020_3+썸씽로튼.jpg]] 서경수는 무대 위에서 뛰어난 피지컬이 돋보이는 배우이다. 187cm의 큰 키로부터 오는 무대 장악력이 인상적이다. 작은 얼굴과 타고난 다리 길이를 가지고 있어 ''''키 2미터 다리가 3미터''''라는 관객들의 증언이 쏟아지기도 한다. 그의 의상을 제작했던 한 디자이너의 말에 따르면 서경수는 동양인 체형에서는 정말 보기 힘든 완벽한 비율의 소유자라고 한다. 그는 큰 키에 특출난 비율을 가지고 있어 가만히 서 있기만 해도 화보 포즈로 보여지는데 이는 관객들로부터 서경수는 매 순간이 예술이라는 감탄을 자아낸다. 그는 예술 조각같이 굵은 선의 얼굴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순수한 눈빛을 가지고 있다. 그의 눈빛은 강직하면서도 섬세하여 어떤 캐릭터든지 표현해낼 수 있으며, 특유의 굵은 선을 통해 강렬한 인상까지 남긴다. 최근 그의 조각 같은 얼굴은 무대 분장에도 가려지지 않는다는 사실이 뮤지컬 데스노트에서 밝혀진 바 있다. 관객들은 그의 훤칠하고 출중한 피지컬을 두고 어떤 캐릭터도 킹카 같아 보이게 하는 힘이 있다고 한다. 또한 등장만으로도 킹카의 서사가 느껴져 순식간에 공연에 몰입할 수 있게 도와 준다고 한다. ''''무대 위의 조각상''''이란 말 그대로, 무대를 런웨이로 착각하게 하는 피지컬이 돋보이는 배우이다. [[http://www.newsculture.press/news/articleView.html?idxno=502414|기사]] == 여담 == * 상당한 주당인 것으로 보인다. 본인피셜 주량이 소주 ~~세 병~~다섯 병이라고.. * 16살 때부터 [[김범수]]의 팬이었다. 혜화역이 어디인지도 모르던 때였는데 직접 팬카페에 가입 후 팬미팅을 가서 [[김범수]]에게 질문을 해봤다고 밝혔다. * 2022년 11월 21일, 2022 KLPGA 축하공연에서 [[노트르담 드 파리]]의 [[대성당들의 시대]]와, [[김소현]]과 함께 A Whole New World를 불렀다.[[https://youtu.be/7iTTiLONMqs|#]] * 푹 익힌 등갈비 김치찜을 좋아한다. 첫 번째 미팅에서 팬들에게 김치찜은 김치가 말랑말랑할 때까지 끓여 먹으라고 얘기했다. 가족끼리 식사할 때 김치찜과 조기를 자주 먹었다고 한다. * 민트초코와 고수, 미더덕을 싫어한다. 어릴 적 미더덕을 먹고 토한 적이 있다고 한다. 민트초코와 고수는 선호하는 사람들을 위해 먹으려고 노력하는 중이라고 한다. * 집돌이이며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게임을 한다고 한다. [* 주로 하는 게임은 '''리그 오브 레전드'''.] * 어린 시절 가장 무서웠던 건 '척키'라고 한다. * 얼죽아로 따뜻한 커피는 한 잔을 다 마셔본 적도 없다고 한다. * 아침에 일어나 가장 먼저 하는 일은 입을 헹구고 물을 마시는 것이라고 한다. * 젤리를 먹지 않고 초코렛도 즐기지 않는다고 한다. * 퍼스널컬러는 잘 모르지만 스스로 생각하기엔 웜톤이라고 한다.[* 팬들의 의견으로는 누가봐도 쿨톤이다.] * 깻잎논쟁 - 뉘앙스만 조심하면 괜찮다고 한다. * 문자보다는 전화를 선호한다고 한다. * 팥붕(슈붕은 싫어한다), 쌀떡, 꿀송편, 어니언 팝콘, 오예스(초코파이보다)를 좋아한다. * 공연 전 손톱을 깎으면 실수를 한다는 징크스가 있다. * 춘식이를 좋아한다. [* 본인과 아주 닮았다.] === 별명 === 가장 대표적인 별명으로는 본격적으로 서경수란 이름을 알린 배역이자 지금까지도 인생 캐릭터로 뽑히는 뮤지컬 [[넥스트 투 노멀]]의 게이브 역할과 본명을 합친 '''경게 (경수+게이브)'''가 있다. 하지만 그 뒤로도 ''경젯, 경잭, 경몬티, 경대니, 경영범, 경진혁, 경윌, 경피에로'' 등 새로운 작품을 할 때마다 매번 인생 캐릭터를 갱신하며 경+배역으로 불리고 있다. [[파일:서경수_춤신춤왕2.png]] 서경수는 고등학생 시절 잠시 현대무용을 공부한 적이 있는데[* 무용 콩쿠르까지 준비할 정도로 열정적이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서경수 하면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춤 실력으로 '''춤신춤왕'''이라는 별명도 갖고 있다. (~~뛰어난 춤실력으로 인해 의도치 않은 춤부격차 짤을 생성하기도 했다~~) 춤신춤왕 서경수 호칭은 브로드웨이 42번가 홍보 영상에서도 사용되면서 CJ ENM의 공식 인증(?)을 받기도 했다. [[파일:서경수_조각상.gif|width=800]] 최근에는 그의 뚜렷한 눈썹뼈, 깊은 아이홀, 높은 콧대, 강한 턱선으로 팬들에게 '''인간 조각상'''이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정작 본인은 이런 별명이 민망한지 조각상이나 루브르라는 말만 들어도 ~~콧구멍에 힘을 주거나 입술을 깨물며~~ 부정한다. == 둘러보기 틀 == [include(틀:데스노트 역대 배우)] [include(틀:마마 돈 크라이 역대 배우)] [각주] [[분류:한국 남배우]][[분류:1989년 출생]][[분류:2006년 데뷔]][[분류: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 출신]][[분류:경희대학교 출신]][[분류:뮤지컬 남배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