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15대 국회의원/대구광역시)] ----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폐지된 [[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90]]]]}}}||{{{#!wiki style="margin: -5px 0" '''{{{+2 {{{#fff 서구 갑}}}}}}'''[br]{{{-1 {{{#fff 서구 일부[br]西區 甲[br]Seo A}}}}}}}}} ||}}} || ||<-2> '''선거인 수''' ||<-2> 123,443명 (1996) || ||<-2> '''상위 행정구역''' ||<-2> [[대구광역시]]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서구(대구광역시)|{{{#000 서구}}}]] 일부''' 내당1동, 내당2·3동, 내당4동, 평리2동, 평리4동, 평리5동, 비산4동, 상중이동 }}} || ||<-2> '''신설년도''' ||<-2> [[제13대 국회의원 선거|1988년]] || ||<-2> '''이전 선거구''' ||<-2> 중구·서구 (대구 제 1 선거구) || ||<-2> '''이후 선거구''' ||<-2> [[서구(대구 선거구)|서구]] || ||<-2> '''국회의원'''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백승홍]] || [목차] == 개요 == [[소선거구제]] 실시와 함께 [[제13대 국회의원 선거|13대 총선]]부터 신설되었던 선거구로, [[제16대 국회의원 선거|16대 총선]]부터는 [[서구(대구광역시)|서구]]의 인구 감소로 [[서구 을(대구)|서구 을]] 선거구와 합구되어 [[서구(대구 선거구)|서구 단일 선거구]]가 되었다. 광장코아 상권, 서대구공단 등 서구의 서남부 지역을 관할했다. 옛 [[서구 을(대구)|서구 을]] 선거구보다는 아파트단지도 많았고, [[백승홍]]의 존재로 야권 세도 나름 있었던 선거구다. [[하나회]] 멤버로 [[행정안전부장관|내무부장관]],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국방부장관]]을 역임한 [[정호용]]과 [[기획재정부|경제기획원]] 차관, [[청와대]] [[경제수석비서관]]을 역임하고 민선 1,2기 [[대구광역시장]]을 지낸 [[문희갑]]의 지역구였던 곳으로 거물급 인사들이 거쳐가 [[1990년대]] 초중반까지만 해도 [[수성구 갑]]보다 정치적 위상이 더 높았다.[* [[수성구 갑]] 선거구가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1994년 재보궐선거]]부터다.] || [[파일:국회휘장.svg|width=70]] || {{{#fff 서구 갑 관할 구역}}} || ||<-2> 내당1동, 내당2·3동, 내당4동, 비산4동, 평리2동, 평리4동, 평리5동, 상중이동 || == 역대 국회의원 목록 == || 대수 || 당선자 || 당적 || 임기 || ||<|2> 13대 || [[정호용]] || [include(틀: 민주정의당)] || 1988년 5월 30일 ~ 1990년 1월 8일[* 의원직 사퇴] || || [[문희갑]] || [include(틀: 민주자유당)] || 1990년 4월 3일 ~ 1992년 5월 29일 || || 14대 || [[정호용]] ||<|2> [include(틀: 무소속)]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 15대 || [[백승홍]]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 역대 선거 결과 ==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서구 갑'''}}}}}}[br]{{{#ffffff 내당1동, 내당2동, 내당3동, 내당4동, 비산4동, [br]평리2동, 평리4동, 평리5동, 상이동, 중리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정호용]](鄭鎬溶)''' || '''52,847''' || '''1위''' || || [include(틀:민주정의당)] || '''54.34%''' || '''{{{#000000 당선}}}''' || ||<|2> {{{#ffffff {{{+5 '''2'''}}}}}} || [[서훈(1942)|서훈]](徐勳) || 19,242 || 3위 || || [include(틀:통일민주당)] || 19.79% || 낙선 || ||<|2> {{{#000000 {{{+5 '''3'''}}}}}} || 양의강(梁義網) || 884 || 5위 || || [include(틀:평화민주당)] || 0.91% || 낙선 || ||<|2> {{{#ffffff {{{+5 '''4'''}}}}}} || [[백승홍]](白承弘) || 22,234 || 2위 || || [include(틀:신민주공화당)] || 22.86% || 낙선 || ||<|2> {{{#ffffff {{{+5 '''5'''}}}}}} || [[김현근(1959)|김현근]](金顯根) || 2,044 || 4위 || || [include(틀:민중의당)] || 2.10%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23,691 ||<|3> '''투표율'''[br]79.16% || || '''투표 수''' || 97,919 || || '''무효표 수''' || 668 || ---- [[전두환]] 전 대통령과 현직 [[노태우]] 대통령의 육사 11기 동기이자, [[대한민국 제5공화국|5공]] 시절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 [[행정안전부장관|내무부장관]],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국방부장관]] 등을 지낸 [[정호용]] 예비역 대장이 민정당 공천을 받았다. 민정당 텃밭인 대구에 공천을 받았고, 본인도 거물인지라 손쉽게 승리했다. 문제는 당선 이후에 터진다. 정호용 의원은 [[5.18 민주화운동]]당시 [[특전사]] 사령관으로써 진압 작전에 적극 참여했기에, 광주 특위를 거치면서 5공의 핵심 인물로 지목되어 많은 지탄을 받는다. 정호용은 결국 정권 이미지 악화와 [[3당 합당]] 과정에서 발생할 차질을 우려한 [[노태우 정부]]의 압박을 받고[* 이 과정에서 경북고 1년 후배인 [[서동권]] [[국가정보원장|안기부장]]에게 멱살을 잡히기까지 했다.] 반강제적으로 의원직을 사퇴한다. 보궐선거에서는 정호용이 재출마했다가 사퇴했고, [[민자당]] [[문희갑]] 후보가 당선됐다. 한편 이 선거에서 2위로 낙선한 [[백승홍]] 후보는 이후 [[민주당(1990년)|꼬마민주당]], [[민주당(1991년)|민주당]]을 거치며 [[1990년 재보궐선거]]와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낙선하다가 [[무소속]]으로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드디어 당선되어 국회에 입성해 재선 의원을 지냈으며[* [[제16대 국회의원 선거|16대 총선]]에서는 선거구 통폐합으로 서 갑 선거구가 폐지되며 [[중구(대구 선거구)|중구]]에서 출마, 당선됐다.], 3위로 낙선한 [[서훈(1942)|서훈]] 후보는 고향이 있는 [[동구 을]]로 지역구를 옮겨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일국민당 소속으로 출마해 석패했다가 [[1993년 재보궐선거]], [[제15대 국회의원 선거|15대 총선]]에서 당선되며 재선 의원을 지냈다. === [[1990년 재보궐선거|1990년 4·3 재보궐선거]] === ||<-4> {{{#ffffff {{{+1 '''서구 갑'''}}}}}}[br]{{{#ffffff 내당1동, 내당2동, 내당3동, 내당4동, 비산4동, [br]평리2동, 평리4동, 평리5동, 상이동, 중리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문희갑]](文熹甲)''' || '''41,970''' || '''1위''' || || '''[include(틀: 민주자유당)]''' || '''51.55%''' || '''당선''' || ||<|2> {{{#ffffff {{{+5 '''2'''}}}}}} || [[김현근(1959)|김현근]](金顯根) || 5,199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5.50% || 낙선 || ||<|2> {{{#ffffff {{{+5 '''3'''}}}}}} || [[백승홍]](白承弘) || 34,242 || 2위 || || [include(틀: 무소속)] || 42.50% || 낙선 || ||<|2> {{{#ffffff {{{+5 '''~~4~~'''}}}}}} || ~~[[정호용]](鄭鎬溶)~~ ||<|2><-2> 사퇴 || || ~~[include(틀: 무소속)]~~ || ||<|3> '''계''' || '''선거인 수''' || 132,364 ||<|3> '''투표율'''[br]63.95% || || '''투표 수''' || 84,644 || || '''무효표 수''' || 3,253 || ---- 이 선거는 [[2021년 재보궐선거|2021년 4·7 재보궐선거]] 만큼이나 전국적으로 이목을 끈 재보궐선거였다. 현역 국회의원이던 [[정호용]]은 [[3당 합당]] 과정에서 [[김영삼]]과 [[김종필]]의 요구에 따라서 [[노태우]] 당시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의 부탁에 의하여 사퇴하고, 이 과정에서 [[노태우]]에게 보궐선거 공천을 약속받는다.[* 이게 무슨 소리냐 하겠지만, 당시에는 속칭 [[맹형규]]법으로 불리는 법안이 시행되기 이전이라 본인이 재보궐선거의 원인을 제공해도 본인이 재출마하는 것이 가능했다.] 그렇지만 [[민주자유당]]은 정호용이 아닌 [[문희갑]] [[청와대]] 경제[[수석비서관]]을 공천하고, 정호용은 명예회복을 위하여 탈당 후 무소속으로 출마한다.[[https://shindonga.donga.com/3/all/13/104892/2|#]] 무소속 출마엔 부인의 권유가 있었다고. 선거전은 팽팽한 접전으로 흘러갔으며, 당시 [[민주자유당]]은 [[3당 합당]] 이후 치러지는 첫 선거라 현역 대구지역 국회의원들에게 동책을 맡도록 하고 안기부 등을 통하여 정호용을 미행까지 하며 압박했으며[[https://mnews.joins.com/article/2450794#home|#]][[https://shindonga.donga.com/Library/3/01/13/104892/2|#]], 결국 이를 견디다 못한 정호용의 부인이 자살 기도까지 하자[[https://mnews.joins.com/article/2445376#home|#]] 결국 정호용은 후보등록까지 마감했음에도 사퇴하고 만다. 그렇지만 정호용의 사퇴 이후 정호용의 지지층이 모두 문희갑 후보에게 간 것은 아니었다. [[무소속]] [[백승홍]] 후보는 당초 정호용과 문희갑 후보의 경쟁으로 인한 어부지리 효과를 노리다 정호용의 사퇴에 압력이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하며 정호용 지지층을 흡수하려고 시도했고[[https://mnews.joins.com/article/2447948|#]], 결국 선거 결과 문희갑 후보는 텃밭인 대구에서 출마하였음에도[* 다만 지금과는 달리 당시의 서구는 젊은 층들의 비중이 높고 야권 지지층도 적지 않았던 곳이다. 13대 총선에서는 정호용이 과반으로 승리하였지만 12대 총선에서는 중구·서구 선거구에서 [[신한민주당]]의 [[유성환]] 후보가 1위로 당선되는데 크게 기여한 지역이다.] 51.5%의 득표율로 겨우 과반을 넘겼으며 당시 [[백승홍]] 후보는 42.5%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비록 낙선했지만 [[2005년 재보궐선거]]에서 [[이강철(정치인)|이강철]]이 [[열린우리당]] 소속으로 44.1%의 득표율을 기록하기 이전까지 대구에서 민주당계 정당 소속으로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여담으로 정호용의 사퇴로 인하여 남은 선거자금이 후일 문희갑의 [[대구광역시장]] 임기 말에 발생한 비자금 파동의 원인이라는 분석도 있다.[[https://m.pressian.com/m/pages/articles/22788#0DKW|#]]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서구 갑'''}}}}}}[br]{{{#ffffff 내당1동, 내당2동, 내당3동, 내당4동, 비산4동, [br]평리2동, 평리4동, 평리5동, 상이동, 중리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문희갑]](文熹甲) || 26,763 || 2위 || || [include(틀: 민주자유당)] || 27.30% || 낙선 || ||<|2> {{{#ffffff {{{+5 '''2'''}}}}}} || [[백승홍]](白承弘) || 16,795 || 3위 || || [include(틀: 민주당(1991년))] || 17.13% || 낙선 || ||<|2> {{{#ffffff {{{+5 '''3'''}}}}}} || [[김현근(1959)|김현근]](金顯根) || 3,938 || 4위 || || [include(틀: 민중당(1990년))] || 4.02% || 낙선 || ||<|2> {{{#ffffff {{{+5 '''4'''}}}}}} || '''[[정호용]](鄭鎬溶)''' || '''50,533''' || '''1위''' || || [include(틀: 무소속)] || '''51.55%'''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133,591 ||<|3> '''투표율'''[br]74.06% || || '''투표 수''' || 98,936 || || '''무효표 수''' || 907 || ---- 당선된 [[정호용]]은 [[민주자유당]]에 복당해 지구당위원장 직을 되찾았고, [[문희갑]]은 이에 반발하여 탈당,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대구광역시장]]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된다. 문희갑의 대구시장 당선에는 서구와 그의 고향 달성군 [[화원읍]]이 지지기반으로 받쳐줘서 가능했다는 분석이 많다.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서구 갑'''}}}}}}[br]{{{#ffffff 내당1동, 내당2동, 내당3동, 내당4동, 비산4동, [br]평리2동, 평리4동, 평리5동, 상이동, 중리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강용진(姜湧珍) || 7,840 || 4위 || || [include(틀: 신한국당)] || 10.74% || 낙선 || ||<|2> {{{#ffffff {{{+5 '''2'''}}}}}} || 우동철(禹東喆) || 1,502 || 7위 || || [include(틀: 통합민주당(1995년))] || 2.06% || 당선 || ||<|2> {{{#ffffff {{{+5 '''3'''}}}}}} || 김풍삼(金豊三) || 8,748 || 3위 || || [include(틀: 자유민주연합)] || 11.98% || 낙선 || ||<|2> {{{#ffffff {{{+5 '''4'''}}}}}} || 김천희(金天熙) || 2,262 || 6위 || || [include(틀:무소속)] || 3.10% || 낙선 || ||<|2> {{{#ffffff {{{+5 '''5'''}}}}}} || [[김현근(1959)|김현근]](金顯根) || 2,657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3.64% || 낙선 || ||<|2> {{{#ffffff {{{+5 '''6'''}}}}}} || [[나학진]](羅學鎭) || 841 || 8위 || || [include(틀:무소속)] || 1.15% || 낙선 || ||<|2> {{{#ffffff {{{+5 '''7'''}}}}}} || '''[[백승홍]](白承弘)''' || '''29,568''' || '''1위''' || || [include(틀: 무소속)] || '''40.50%''' || '''당선''' || ||<|2> {{{#ffffff {{{+5 '''8'''}}}}}} || [[정호용]](鄭鎬溶) || 19,583 || 2위 || || [include(틀: 무소속)] || 26.8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23,443 ||<|3> '''투표율'''[br]60.12% || || '''투표 수''' || 73,001 || || '''무효표 수''' || 1,217 ||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서구(대구광역시)|서구]]의 인구 감소로 인하여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다음 선거]]부터는 [[서구 을(대구)|서구 을]] [[선거구]]와 합쳐져 [[서구(대구 선거구)|서구 단일 선거구]]로 통합되었다. [[분류:폐지된 선거구/대한민국]][[분류:대구광역시의 정치]][[분류:서구(대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