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15대 국회의원/대구광역시)]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폐지된 [[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90]]]]}}}||{{{#!wiki style="margin: -5px 0" '''{{{+2 {{{#fff 서구 을}}}}}}'''[br]{{{-1 {{{#fff 서구 일부[br]西區 乙[br]Seo B}}}}}}}}} ||}}} || ||<-2> '''선거인 수''' ||<-2> 108,195명 (1996) || ||<-2> '''상위 행정구역''' ||<-2> [[대구광역시]]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서구(대구광역시)|{{{#000 서구}}}]] 일부''' 비산1동, 비산2·3동, 비산5동, 비산6동, 비산7동, 평리1동, 평리3동, 평리6동, 원대동 }}} || ||<-2> '''신설년도''' ||<-2> [[제13대 국회의원 선거|1988년]] || ||<-2> '''이전 선거구''' ||<-2> 중구·서구 (대구 제 1 선거구) || ||<-2> '''이후 선거구''' ||<-2> [[서구(대구 선거구)|서구]] || ||<-2> '''국회의원'''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강재섭]] || [목차] == 개요 == [[소선거구제]] 실시와 함께 [[제13대 국회의원 선거|13대 총선]]부터 신설되었던 선거구로, [[제16대 국회의원 선거|16대 총선]]부터는 [[서구(대구광역시)|서구]]의 인구 감소로 [[서구 갑(대구)|서구 갑]] 선거구와 합구되어 [[서구(대구 선거구)|서구 단일 선거구]]가 되었다. 서구의 동북부 지역을 관할했으며, [[대구염색산업단지|염색공단]], [[대구북부정류장|북부정류장]] 등 시설이 위치해 있어 북구와 더불어 주로 경북 북부 출신의 외지인들이 많이 유입됐고, 단독주택과 다세대주택 위주 주거단지, 서부시장[* 여긴 시장보단 시장 건너편에 있던 오스카극장의 인지도가 더 높았다.], 원고개시장 등 전통시장이 있어 아파트단지가 있고 1996년까지 민주당계 정당에서 활동하던 [[백승홍]]이 활약한 [[서구 갑(대구)|서구 갑]]에 비해 좀 더 보수 성향이 강한 선거구였다. || [[파일:국회휘장.svg|width=70]] || {{{#fff 서구 을 관할 구역}}} || ||<-2> 비산1동, 비산2·3동, 비산5동, 비산6동, 비산7동, 평리1동, 평리3동, 평리6동, 원대동 || == 역대 국회의원 목록 == || 대수 || 당선자 || 당적 || 임기 || || 13대 || [[최운지]] || [include(틀: 민주정의당)]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 || 14대 ||<|2> [[강재섭]] || [include(틀: 민주자유당)]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 15대 || [include(틀:신한국당)]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 역대 선거 결과 ==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서구 을'''}}}}}}[br]{{{#ffffff 비산1동, 비산2·3동, 비산5동, 비산6동, 비산7동 [br]평리1동, 평리3동, 원대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최운지]](崔雲芝)''' || '''43,324''' || '''1위''' || || [include(틀:민주정의당)] || '''49.15%''' || '''{{{#000000 당선}}}''' || ||<|2> {{{#ffffff {{{+5 '''2'''}}}}}} || [[유성환]](兪成煥) || 30,575 || 2위 || || [include(틀:통일민주당)] || 34.69% || 낙선 || ||<|2> {{{#ffffff {{{+5 '''3'''}}}}}} || 신달선(辛達善) || 5,391 || 3위 || || [include(틀:신민주공화당)] || 6.12% || 낙선 || ||<|2> {{{#ffffff {{{+5 '''4'''}}}}}} || [[서중현]](徐重鉉) || 2,333 || 5위 || || [include(틀:한겨레민주당)] || 2.65% || 낙선 || ||<|2> {{{#F8C050 {{{+5 '''5'''}}}}}} || 이종섭(李宗燮) || 4,785 || 4위 || || [include(틀:한국국민당(1981년))] || 5.43% || 낙선 || ||<|2> {{{#ffffff {{{+5 '''6'''}}}}}} || 최영(崔渶) || 1,730 || 6위 || || [include(틀:민중의당)] || 1.96%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12,586 ||<|3> '''투표율'''[br]79.01% || || '''투표 수''' || 88,949 || || '''무효표 수''' || 811 || 인지도만 놓고 보면 현역 전국구 의원인 [[민주정의당|민정당]] [[최운지]] 후보보다 현역 지역구 의원인 [[통일민주당|민주당]] [[유성환]] 후보가 앞섰다. 게다가 유성환 의원은 1986년 대정부질문에서 [[노신영]] [[대한민국 국무총리|국무총리]]에게 '''대한민국의 국시는 [[반공]]이 아니라 [[남북통일|통일]]이어야 한다'''고 발언하였다가, 정권이 면책특권을 무시하고 구속해가는 바람에 [[유성환 국시론 파동]]의 주인공이 되어서 더 유명세를 탔다. 또한 최운지 후보는 야당인 [[신한민주당|신민당]]에서 여당인 민정당으로 갈아탄 철새 정치인이라는 약점도 있었다. 투표 결과, 민정당 최운지 후보가 인지도에서 밀렸지만 보수적인 민정당이 우세한 지역 정서를 등에 업고 여유있는 표차로 승리했다. 한편, 30여년간 잦은 선거 출마로 인해 대구 서구에서 나름 유명 인사(?)가 된 [[서중현]]이 공직 선거에 처음 출마한 선거이기도 하다.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서구 을'''}}}}}}[br]{{{#ffffff 비산1동, 비산2·3동, 비산5동, 비산6동, 비산7동 [br]평리1동, 평리3동, 원대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강재섭]](姜在涉)''' || '''44,117''' || '''1위''' || || [include(틀: 민주자유당)] || '''55.79%''' || '''당선''' || ||<|2> {{{#ffffff {{{+5 '''2'''}}}}}} || [[서중현]](徐重鉉) || 13,394 || 3위 || || [include(틀: 민주당(1991년))] || 16.94% || 낙선 || ||<|2> {{{#ffffff {{{+5 '''3'''}}}}}} || 이종섭(李宗燮) || 14,745 || 2위 || || [include(틀: 통일국민당)] || 18.64% || 낙선 || ||<|2> {{{#ffffff {{{+5 '''4'''}}}}}} || 김기석(金其錫) || 6,827 || 4위 || || [include(틀: 무소속)] || 8.6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18,927 ||<|3> '''투표율'''[br]67.37% || || '''투표 수''' || 80,126 || || '''무효표 수''' || 1,043 ||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서구 을'''}}}}}}[br]{{{#ffffff 비산1동, 비산2·3동, 비산5동, 비산6동, 비산7동 [br]평리1동, 평리3동, 평리6동, 원대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강재섭]](姜在涉)''' || '''20,950''' || '''1위''' || || [include(틀: 신한국당)] || '''32.57%''' || '''당선''' || ||<|2> {{{#ffffff {{{+5 '''2'''}}}}}} || 최화용(崔華龍) || 1,070 || 6위 || || [include(틀: 새정치국민회의)] || 1.66% || 낙선 || ||<|2> {{{#ffffff {{{+5 '''3'''}}}}}} || [[최운지]](崔雲芝) || 19,083 || 2위 || || [include(틀: 자유민주연합)] || 29.66% || 낙선 || ||<|2> {{{#ffffff {{{+5 '''4'''}}}}}} || 김기수(金基洙) || 1,806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2.81% || 낙선 || ||<|2> {{{#ffffff {{{+5 '''5'''}}}}}} || [[김부기]](金富基) || 802 || 7위 || || [include(틀:무소속)] || 1.25% || 낙선 || ||<|2> {{{#ffffff {{{+5 '''6'''}}}}}} || [[서중현]](徐重鉉) || 19,042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29.60% || 낙선 || ||<|2> {{{#ffffff {{{+5 '''7'''}}}}}} || 이종섭(李宗燮) || 1,578 || 5위 || || [include(틀: 무소속)] || 2.4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08,195 ||<|3> '''투표율'''[br]60.77% || || '''투표 수''' || 65,748 || || '''무효표 수''' || 1,417 || [[서구(대구광역시)|서구]]의 인구 감소로 인하여 [[16대 총선|다음 선거]]부터는 [[서구 갑(대구)|서구 갑]] [[선거구]]와 합쳐져 [[서구(대구 선거구)|서구 단일 선거구]]로 통합되었다. [[분류:폐지된 선거구/대한민국]][[분류:대구광역시의 정치]][[분류:서구(대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