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서구(광주광역시)]][[분류:서구(광주)의 행정구역]]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서구(광주광역시))] [include(틀:서구(광주)의 법정동)] [[파일:서구.jpg]] [목차] [clearfix] ||<-20> '''서구 행정구역 변천사''' || || 전라남도 광주시[br](全羅南道 光州市, 1949) ||<|2> → ||<|2> 광주시[br](光州市, 1955) ||<|3> → ||<|3> 광주시[br](光州市, 1957) ||<|3> → ||<|2> 광주시[br](光州市, 1963) ||<|2> → ||<|2> 광주시 서구[br](光州市 西區, 1973) ||<|2> → ||<|2> 광주직할시 서구[br](光州直割市 西區, 1986) ||<|3> → ||<|3> '''광주광역시 서구'''[br](光州廣域市 西區, 1995) || || 광산군 극락면[br](光山郡 極樂面, 1935) || ||<-3> 광산군 서창면[br](光山郡 西倉面, 1935) ||<-3> 광산군 서창면[br](光山郡 西倉面, 1963) || → || 광주직할시 광산구[br](光州直割市 光山區, 1988) || [[서구(광주광역시)|서구(광주)]] 행정에 대해 정리한 문서. == 양동, 양3동 == 관할 법정동은 양동이다. 원래 양1~3동으로 나눠져 있었으나 [[도심 공동화]]로 1999년에 분동된 지 51년만에 양1동과 양2동이 양동으로 통합되었다. * '''양동''': 인구는 '''3,341명'''.[*P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통계] [[광주천]]을 경계로 [[북구(광주)|북구]], [[동구(광주)|동구]]와 접하며(천교를 기준으로 북서쪽이 북구, 남동쪽이 동구), 구성로를 경계로 [[남구(광주)|남구]]와 접한다. 대표적으로 [[양동시장]]과 닭전머리[* 현재 점집거리처럼 변했다.], [[KDB생명빌딩]][* 구 금호생명빌딩. 광주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었'''다. 현재는 광천동에 [[호반써밋광주|호반써밋]]이 제일 높다. 바로 옆에는 금호아파트가 있는데, 원래 이 자리에는 지난 1926년 [[일본 제국]]에 의해 설립된 ‘전남도시제사 주식회사’의 공장이 있었던 곳으로 해방 이후 전남대 설립재단에 불하되었다가 운영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금호그룹]] [[박인천]] 회장이 인수해서 전남제사로 이름을 바꾸고 정상화시켰으며 이후 이 땅에 삼양타이어(현 [[금호타이어]])와 [[금호중앙여자고등학교|광주중앙여중·고]]를 설립하기도 했다. 1974년 제사 사업을 완전히 접고 삼양타이어와 중앙여고도 각자 다른 곳으로 이전시킨 뒤 금호아파트(당시 금호맨션)와 금호생명빌딩을 짓게 된 것이다.]이 있고 학교는 양동초가 있다. 여담으로 양동시장의 통닭집 중 가장 오래된 통닭집이 [[양동통닭]]이고, 바로 옆에는 조금 더 늦게 장사를 시작했지만 양동통닭의 라이벌인 [[수일통닭]]이 있다. 과거 [[해태 타이거즈]]의 외국인 투수인 [[루이스 안두하]]는 자기가 좋아하는 [[파파이스]] 치킨을 해태 구단에 요구했지만, 해태 구단에서 대충 먹으라고 양동통닭을 건네 주자 쌓인게 폭발해서 짐 싸고 바로 집으로 갔다는 일화가 유명하다. * '''양3동''': 인구는 '''4,339명'''.[*P] 발산교 너머 달동네마냥 작은 주택들이 다닥다닥 붙어있는 동네로 임동 방직공장 직원들의 숙소를 시작으로 발전한 동네다. 최근 주택개량사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 [[농성동|농성1동, 농성2동]] == 관할 법정동은 농성동이다. 강열로를 기준으로 동북쪽이 1동, 서남쪽이 2동이다. * '''농성1동''': 인구는 '''11,542명'''.[*P] 서구청/서구의회를 비롯해서 관공서나 공기업의 지역 본부가 많이 있다. [[유스퀘어]]와 마주보고 있는 지역은 나름 터미널상권을 구성하고 있다. 학교는 광천초가 있다. * '''농성2동''': 인구는 '''4,571명'''.[*P] 거의 단독주택과 빌라 위주의 주거지역이다. == [[광천동]] ==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7,427명'''.[*P] [[유스퀘어]]로 유명한 동네이며 바로 옆에 [[광주신세계]]가 있다. 다만 광주천과 접한 북쪽은 노후한 주거지역이어서 재개발이 진행될 예정이다. 학교는 효광초가 있다. == 유덕동 == 관할 법정동은 내방동(일부)·덕흥동·쌍촌동(일부)·유촌동·치평동(일부)이다. 인구는 '''10,567명'''.[*P] 동명은 '''유'''촌과 '''덕'''흥에서 따왔다. 행정복지센터는 유촌동에 있는데, 대부분의 인구는 광주천 동쪽인 버들마을에 살지만 정작 행정복지센터가 광주천 서쪽 자연부락에 있어 이용이 불편하다. 유촌동은 동쪽엔 [[크고 아름다운]] [[기아자동차]](구 아시아자동차) 광주공장이 있으며, 서부 지역은 [[광주천]] 제방 인근의 고만고만한 마을들이었으나 2000년대 들어 [[상무지구]]가 확장하면서 유촌동에 버들마을아파트 단지들이 들어섰다. 동천동 건너편 광주천변에 위치한 칠성마을은 지대가 낮아 큰 홍수가 나면 물에 잠긴다...고는 하지만, 마지막 홍수가 언제인지 기억도 나지 않을 정도로 오래전 이야기고 광주시에서 지속적으로 도로 및 하수도 정비를 거치면서 옛말이 되었다. 덕흥동은 [[영산강]] 쪽에 붙은 동네로 아직도 한적한 시골의 모습을 갖추고 있다. 항공기 소음과 1991년 12월 13일, 2013년 8월 28일 두 차례의 전투기 추락사고로 인해 덕흥동 주민들은 공군([[제1전투비행단]])을 정말 싫어한다. 행정복지센터가 조금 외진 곳에 있다. 사실 유덕동 관할 구역 정중앙인 편이다. 문제는 그곳으로 이동할 수 있는 대중교통 수단이 그리 많지 않다는 것... 지하철은 고사하고 버스 밖에 없다. 심지어 [[2017년 광주 시내버스 개편]]이 있기 전까지는 [[광주광역시 시내버스]]로는 오직 [[광주 버스 유덕65|유덕65번]]만 주민센터를 경유했고, 그 외에는 [[화순교통]]이 주민센터를 경유했다. 해당 노선을 보면 알겠지만 [[유림로(광주)|유림로]] 서쪽 지역(유촌동 지역)은 그 둘을 모두 이용할 수 있었고, 행정복지센터와의 거리도 훨씬 가깝다. 문제는 [[유림로(광주)|유림로]] 동쪽 지역.[* 정확히는 과거 광천동 종점(광천동버스차고지)을 기준으로 그 주위나 그 동쪽 동네다. 게다가 이쪽은 탁상행정으로 인한 [[월경지]]의 끝판왕을 볼 수 있다. 무려 [[법정동]]이 [[유촌동]], [[광천동]]도 아니고 [[쌍촌동]], [[내방동]]이다.(...) [[카카오맵]]의 법정, 행정경계 메뉴를 통해 한 번 보면 왜 이런 말이 나오는지 이해가 될 것 이다.] 이쪽 동네는 시내버스 개편이 있기 전까지는 오직 [[광주 버스 유덕65|유덕65번]]만 이용할 수 있었고, 해당 버스는 배차 간격이 30~35분(...)이다. 게다가 이 동네의 생활권은 오히려 [[광천동]]이고, 광천동 주민센터가 배로 가깝고 걸어서 가기도 더 편하다. 버스 노선 역시 [[유스퀘어]] 방향이 대부분인 동네다. 결국 [[행정동]]과 [[법정동]] 모두 [[광천동]]이어야 어울리는 동네가 속해있는 데다가, 편의를 위해 설치한 [[행정동]]이 오히려 편의를 방해하고 있는 아이러니한 상황.[* 사실 이 부분은 유덕동 주민센터가 인구가 많은 광주천 동쪽으로 이전하면 바로 해결될 일인데, 이전될 낌새가 보이질 않는다.] 시내버스 개편 이후 [[광주 버스 1187|1187번]]의 종점이 덕흥동으로 바뀌면서 행정복지센터를 경유하게 되었으나, 그마저도 한 개 노선이고 [[답이 없다|배차 간격이 25분(...)]]이다. 학교는 극락초, 유덕초, 유덕중과 특수학교인 광주세광학교가 있다. [[전라남도]] [[화순군]] 농어촌버스 회사인 [[화순교통]]의 차고지가 [[화순군]]이 아닌 덕흥동에 있다.(...) == [[치평동]] == 관할 법정동은 치평동(일부), 인구는 '''29,334명'''.[*P] [[상무지구]]다. [[광주광역시청]],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 [[KBS광주방송총국]], [[광주가정법원]], [[광주서부경찰서]], [[광주광역시서부교육지원청]], [[김대중컨벤션센터]]와 같은 공공기관도 많고, [[롯데마트 맥스 상무점]], [[메가박스 광주상무]]과 같은 상업시설 및 아파트단지도 많은 동네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광주에서 유흥문화가 가장 발달한 곳이기도 하다. 학교는 계수초, 운천초, 치평초, 전남중, [[전남고]]가 있다. == 상무1동, 상무2동 == 관할 법정동은 상무동·치평동(일부)이다. [[상무대로]]를 기준으로 북쪽이 1동, 남쪽이 2동이다. [[상무대]]의 인지도 때문에 [[행정동]]의 이름을 '상무'로 지었다. 1960~70년대부터 꾸준히 주택단지로 개발되었으며, 새로 생긴 [[상무지구]]와는 좀 다르다.[* 상무2지구가 1동에 약간 걸쳐 있다.] * '''상무1동''': 인구는 '''24,151명'''.[*P] 주요 시설로 서광주세무서, 광주한국병원, 광주학생교육문화회관, 5.18기념공원이 있다. [[호남대학교]] 쌍촌캠퍼스도 1동에 있었으나 지금은 [[광산구]]의 광산캠퍼스로 완전히 통폐합되었고 현재는 아파트 개발을 추진하면서 [[상무센트럴자이]]가 건설 중이다. 학교는 서광초, 유촌초, 동명중, 상일중, [[상일여자고등학교(광주)|상일여고]]가 있다. * '''상무2동''': 인구는 '''22,837명'''.[*P] 운천저수지와 백일지구, 서구에서 가장 임대아파트가 많은 쌍촌지구에 해당된다. 다만 모아타운, 대주피오레, 호반아파트는 상무2동이 아닌 화정4동이다. 운천호수공원이 있다. 학교는 금호초, 상무중, 치평중, 효광중이 있다. == [[화정동(광주)|화정1동, 화정2동, 화정3동, 화정4동]] == 관할 법정동은 화정동이며, 화정1동은 추가로 법정동 내방동(일부)도 관할한다. * '''화정1동''': 인구는 '''15,715명'''.[*P] 유스퀘어와 붙어 있는 [[이마트 광주점]]과 [[금호월드]]가 화정1동에 해당되지만 전반적인 분위기는 소규모 아파트와 주택이 혼재되어 있는 주거지역의 느낌이다. [[광주 화정 아이파크 붕괴 사고]] 현장이 이마트 바로 옆에 있다. 학교는 광주서초가 있다. * '''화정2동''': 인구는 '''19,903명'''.[*P] 화운로를 따라 재개발된 아파트단지가 대규모로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학교들이 줄줄이 있다. [[광주광역시교육청]]이 있다. 학교는 주월초, 광덕중, 광주서석중, 화정중, [[광덕고]], [[광주서석고]]가 있다. * '''화정3동''': 인구는 '''9,398명'''.[*P] 염주지구 개발 때 포함된 동네로 광주광역시 종합건설본부가 있다. 과거 [[국군광주병원]]이 있었지만 함평으로 이전하였고 그 부지는 아직 비어 있다. 학교는 염주초, 화정초, [[광주여고]]가 있다. * '''화정4동''': 인구는 '''19,477명'''.[*P] 3동과 마찬가지로 염주지구에 해당된다. 염주주공아파트가 재개발되면서 [[더샵 염주센트럴파크]]가 약 2,000세대 규모로 들어섰다. 상무2동으로 길이 나 있는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관]]도 화정4동이다. 학교는 성진초, 화정남초가 있다. == 서창동 == 서구에서 거의 마지막 남은 농촌 지역. 관할 법정동은 [[마륵동]]·[[매월동]]·[[벽진동]]·[[서창동(광주)|서창동]]·[[세하동]]·[[용두동]]이다. 인구는 '''5,690명'''.[*P] 1957년 광산군에서 광주시에 편입되었다가 1963년 도로 광산군으로 환원된 후, 1995년 [[광산구]]에서 편입되었다. 이후 금호동과 풍암동이 분리되었다. 극락강 주변에는 논만 있다(...) [[광주공항]]과 탄약고 이전 떡밥은 이 지역 공약의 단골 메뉴. 결국 탄약고는 [[광산구]]로 이전하기로 결정되었고 이전 예산도 잡혀있는지라 오랜 숙원이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 [[매월동]]에는 서부농수산물도매시장과 현대 글로비스 물류센터, 농협 물류센터 등이 있다. [[세하동]] 동하마을 근처에 만귀정이 있다. [[매월동]]에는 지산동에서 이전한 [[살레시오초등학교]] 및 [[살레시오 수녀회]], [[남구(광주)|남구]] [[주월동]]에서 이전한 [[광주대동고등학교]]가 있다. 또한 매월동은 이 지역의 지명을 딴 한 오리식당을 위시한 전원형 식당이 위치해 있기도 하다. [[서광주역]]도 있다. 학교는 살레시오초, 송학초, [[광주대동고]]가 있다. 서창한옥체험관 주변에 장애아동이 거주하는 장애인복지시설(유형별장애인거주시설)이 2017년 4월 설립되었다. 광주장애인차별철폐연대의 반발이 있었으며 광주광역시 장애인복지담당의 권유로 장애인단기거주시설로 종류를 변경하게 되었다. == [[금호동(광주)|금호1동, 금호2동]] == 관할 법정동은 금호동이며, 금호1동은 추가로 풍암동(일부)을 관할한다. 그래봤자 산자락이지만(...) 금화로를 기준으로 북쪽이 1동, 남쪽이 2동이다. 운천로를 통해 상무지구와 연결된다. 인구는 1동 '''19,695명''', 2동 '''27,303명'''이다.[*P] 1동이나 2동 모두 특별한 것 없이 아파트단지가 잔뜩 있는 동네이다. 학교는 1동에 금부초, 만호초, 상무초, 금호중, 2동에 마재초, 화개초, 광주중이 있다. == [[풍암동]] == 행정동과 법정동이 거의 일치한다.[* 일부 산자락만 금호1동이 관할한다.] 인구는 '''35,199명'''[*P]으로 서구 행정동 중 인구가 가장 많다. 봉황산과 풍암지를 기준으로 시가지가 동서로 분리되어 있다. [[광주월드컵경기장]], 염주종합체육관, [[롯데아울렛]] 광주월드컵점, [[롯데마트 월드컵점]]이 있다. 학교는 금당초, 신암초, 운리초, 풍암초, 운리중, 풍암중, [[풍암고]]가 있다. == [[동천동(광주)|동천동]] ==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15,611명'''이다.[*P] 광주천 이북에 있고 본래 북구 동림동 소속을 서구가 넘겨받은 곳이라 서구 다른 동과는 생활권이 다소 다르다. [[빛고을대로]]를 중심으로 동쪽은 아파트단지, 서쪽은 창고나 중소기업 공장지역으로 완전히 구분되어 있다. [[호남지방통계청]], 나라키움 광주통합청사가 있다. 학교는 광림초, 빛고을초, 대자중이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서구(광주광역시), version=7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