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서귀포시의 중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분류:1946년 개교]]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서귀포시의 중학교)] ||||
'''{{{+1 서귀포중학교}}}[br]西歸浦中學校[br]Seogwipo Middle School''' || |||| {{{#!wiki style="margin:-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귀포중학교, 너비=100%, 높이=100%)]}}} || || '''개교''' || [[1946년]] [[11월 9일]] || || '''유형''' || 일반계 중학교 || || '''성별''' || 남학교 || || '''형태''' || 공립 || || '''교장''' || 고성무 || || '''교감''' || 백운주 || || '''교훈''' || 바르게 보고, 바르게 생각하며, 바르게 행한다 || || '''교화''' || 철쭉 || || '''교목''' || 주목 || || '''학생 수''' || 583명[*기준 2023년 10월 27일] || || '''교직원 수''' || 50명[*기준] || || '''관할 교육청''' ||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 ||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태평로 474 (서귀동 231) || || '''홈페이지''' || [[https://seogwipo.jje.ms.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서귀동]]에 위치한 일반계 공립 남자중학교이다. 약어는 '서중'이다. == 학교 연혁 == ||
날짜 || 연혁 || || 1946년 10월 03일 || 서귀초급중학교 5학급 인가 || || 1946년 11월 09일 || 서귀초급중학교 개교 || || 1950년 04월 29일 || 서귀농업중학교로 개편 || || 1951년 08월 31일 || 서귀중학교로 개편(서귀농림고등학교가 분리) || || 1966년 03월 10일 || 교악대 창설 || || 1976년 10월 09일 || 전국관악경연대회 최고상 3년 연속 수상 || || 1978년 03월 02일 || 축구부 창단 || || 1986년 03월 01일 || 특수학급 인가 || || 2001년 03월 01일 || 서귀포중학교로 교명 변경 || || 2003년 03월 01일 || 영재학급 인가 || || 2010년 01월 28일 || 모다들엉학력향상 최우수학교 수상 || || 2011년 08월 01일 || 제12회 탐라기 전국중학교축구대회 우승 || || 2012년 03월 22일 || 핸드볼부 창단 || || 2013년 02월 08일 || 제67회 졸업(243명) 총졸업생수 : 17,308명 || || 2013년 03월 01일 || 제26대 교장 윤상식 선생 부임 || || 2013년 11월 24일 || 제43회 백호기 축구대회 중등부 종합 우승 || || 2014년 02월 10일 || 제68회 졸업(232명) 총 졸업생수 : 17,540명 || || 2014년 03월 14일 || 제27대 교장 양충효 선생 부임 || || 2015년 02월 06일 || 제69회 졸업(233명) 총 졸업생수 : 17,773명 || || 2016년 02월 05일 || 제70회 졸업(253명) 총 졸업생수: 18,026명 || || 2017년 02월 03일 || 제71회 졸업(240명) 총 졸업생수: 18,266명 || || 2017년 03월 01일 || 제28대 교장 양덕부 선생 취임 || || 2017년 03월 02일 || 스포츠 런치 리그 출범 || || 2017년 06월 25일 || 6·25 참전학도병 기념 공원 조성 || || 2017년 07월 04일 || 제17회 전도유도대회 우승 || || 2017년 07월 12일 || 2017 아시아 퍼시픽 챔피언 FLL, 1위(핵심가치 부문) || || 2018년 01월 31일 || 제72회 졸업(227명) 총 졸업생수:18,493명 || || 2018년 12월 12일 || 제주컵 국제유도대회 단체전 우승 || || 2019년 01월 08일 || 제73회 졸업(207명) 총 졸업생수:18,700명 || || 2019년 02월 21일 || 탐라기 전국중학축구 준우승 || || 2019년 10월 31일 || 도서관 생각숲길 준공 || || 2020년 01월 08일 || 제74회 졸업 (201명) 총 졸업생 수 18,901명 || || 2020년 03월 01일 || 제29대 교장 한경희 선생 취임 || || 2022년 03월 01일 || 제30대 교장 송계화 선생 취임 || || 2022년 05월 30일 || 복합체육관(급식소, 수영장) 준공(99억 8200만원) || || 2022년 10월 26일 || 아우름관 개관식 || || 2022년 12월 30일 || 자유학기제 유공표창(교육부장관) || || 2022년 12월 30일 || 제77회 졸업(181명) 졸업생 누계: 19,483명 || || 2023년 03월 02일 || 입학식: 신입생 206명 입학 || || 2023년 08월 01일 || 오룡기 전국중등축구대회 16강 || || 2023년 08월 15일 || 교악대, 광복절 기념 KBO 경기 <애국가> 연주 || || 2023년 08월 16일 || 대한민국 학생 오케스트라 페스티벌 금상 || || 2023년 09월 01일 || 제31대 교장 고성무 선생 취임 || == 교훈 및 상징 == * 출처: 서귀포중학교 홈페이지 [[파일:서귀포중학교상징.jpg]] === 교가 === [[파일:서귀포중학교교가.gif]] == 학교 특징 == === 복장 === 2023년학년도 기준으로 1학년의 명찰은 노란색, 2학년의 명찰은 초록색, 3학년의 명찰은 파란색이다. == 학교 시설 == 학교 내부에는 [[수영장]]이 있으며, 외부인에게도 개방하고 있다. == 학교 생활 == * 2023학년도 기준으로 1학년은 8학급, 2학년은 6학급, 3학년은 7학급이 있다. * 1학년은 정보 및 한문, 2학년은 생활 중국어 과목을 수강한다. === 주요 행사 === || 추가하시려면 "'''행사명''': 개최 시기"로 추가해 주시고 부가적인 설명을 적어주세요.|| === 학교 일과 === || 나머지 일과, 방과후 프로그램 등은 이곳에 작성합니다.|| == 운동부 == == 출신 인물 == ||[[가나다순]]으로 정렬합니다.|| ||[[나무위키]]에 등재되어 있거나 등재기준을 만족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 [[김남진]] * [[위성곤]]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 서귀포중학교 || [[제주 버스 520, 521|520]], [[제주 버스 611, 612|612]], [[제주 버스 627|627]], [[제주 버스 630|630]], [[제주 버스 641, 642|641]], [[제주 버스 651, 652|651]], [[제주 버스 651, 652|652]], [[제주 버스 691, 692|691]], [[제주 버스 691, 692|692]], [[제주 버스 880|880]] || 서귀포시 구도심 외곽에 자리잡은 학교로, 교통은 편리하다고 할 수 있다. 인근에는 서귀포시 제2의 번화가인 동문로터리가 위치해 있다. == 사건 사고 == ||제도권 언론 및 계열 브랜드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에만 서술합니다.|| 경찰청 공식 페이스북에 따르면 이 학교에 다니는 한웅, 강태웅 학생이 2019년 1월 30일 수 십만 원이 든 지갑을 거리에서 주웠다는데 신분증에 적혀있는 주소로 직접 찾아가 주인에게 지갑을 돌려줬다. 지갑 주인은 학생들에게 사례금을 주려 했지만, 학생들이 사양했는데, 5개월이 지난 5월 20일 600명 전교생이 먹을 수 있는 피자가 배달된 적 있다. 이 사연이 SNS를 통해 널리 알려지면서 화제가 되었고 많은 사람들에게 훈훈함을 주었다. == 기타 == * 구도심에 자리잡은 학교들이 대개 그렇듯이 주변 치안이 썩 좋다고 할 순 없다. 인근에 위치한 중정로와 동문로에는 유해업소가 즐비하다. * 시내 중학교 가운데서는 대신중학교 다음으로 학생 수가 많으며, 단성학교 가운데서는 학생 수가 제일 많다. * 중문중학교 다음으로 서귀포시의 중학교 가운데 긴 역사를 자랑한다. 2026년에 개교 80주년을 맞는다. * 학교가 오래됐다보니 시설은 많이 노후된 편이다. * 학교 내부에 수영장이 있다보니 매 학년마다 체육 시간에 수영 수업을 받는다. 물론 수영복 등 용품은 본인이 구비하여야 한다. * 복도에는 TV가 있다. 2016학년도 기준으로는 시간표가 번갈아가며 송출되고 자막으로 뉴스가 나오는 식이었으나 2017학년도 기점으로 더이상 뉴스는 나오지 않고 교훈이 나오는 것으로 바뀌었다. == 둘러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