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동민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SK 와이번스|{{{#ffffff SK 와이번스}}}]] 등번호 96번}}}''' || || 김영롱[br](2013) || {{{+1 →}}} || '''서동민[br](2014)''' || {{{+1 →}}} || [[허웅(1996)|허웅]][br](2015) || ||<-5> '''{{{#fff [[SK 와이번스|{{{#ffffff SK 와이번스}}}]] 등번호 65번}}}''' || || [[조이현(야구선수)|조영우]][br](2016) || {{{+1 →}}} || '''서동민[br](2017~2020)''' || {{{+1 →}}} || [[조형우]][br](2021) || ||<-5> '''{{{#fff [[SSG 랜더스|{{{#ffffff SSG 랜더스}}}]] 등번호 37번}}}''' || || [[정의윤]][br](2015.7.24.~2020) || {{{+1 →}}} || '''서동민[br](2021)''' || {{{+1 →}}} || [[오태곤]][br](2022~) || ||<-5> '''{{{#fff [[SSG 랜더스|{{{#ffffff SSG 랜더스}}}]] 등번호 18번}}}''' || || [[정영일(야구선수)|정영일]][br](2018~2021) || {{{+1 →}}} || '''서동민[br](2022~2023)''' || {{{+1 →}}} || 결번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동민2023.png|width=100%]]}}} || ||<-2> '''{{{+2 서동민}}}[br]徐東悶 | Seo Dongmin''' || ||<|2> '''출생''' ||[[1994년]] [[3월 7일]] ([age(1994-03-07)]세) || ||[[대구광역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대구율하초등학교|율하초]](동구리틀) - [[경복중학교|경복중]] - [[대구고등학교 야구부|대구고]] || || '''신체''' ||186cm, 90kg || || '''포지션''' ||[[중간계투]]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2014년/신인드래프트#s-3.2|2014년 2차 6라운드]] (전체 58번, [[SK 와이번스|SK]]) || || '''소속팀''' ||[[SK 와이번스]]-[[SSG 랜더스]] (2014~2023) || || '''병역''' ||[[사회복무요원]] (2015~2017) || || '''등장곡''' ||[[퍼렐 윌리엄스]] - 《Happy》|| || '''SNS''' ||[[https://instagram.com/d_m_seo?igshid=YmMyMTA2M2Y=/|[[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가족''' ||배우자 [[김연견]]^^(2022년 7월 16일 결혼 ~ 현재)^^[br]처제 김나경, 동서 [[임진우(축구선수)|임진우]][br]조카^^(2024년 5월 출생 예정)^^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SSG 랜더스]] 소속 우완 투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대구고등학교 야구부|대구고등학교]] 3학년 시절이었던 2013년 4월 7일 포항구장에서 열린 [[대구상원고등학교 야구부|상원고]]와의 경기에서 10회까지 126개를 던지며 9탈삼진 2실점으로 호투했지만 10이닝 동안 26개의 탈삼진을 잡으며 한국 고교야구 한 경기 최다 탈삼진 신기록을 세운 [[이수민(야구선수)|이수민]]에게 밀려 주목받지 못했다. 그래도 이수민, [[박세웅]]과 함께 '''경북 지역 3대 완투머신'''으로 뽑혔고 [[한국프로야구/2014년/신인드래프트|2014년 신인드래프트]] 2차 6라운드에서 [[SK 와이번스]]의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 체격에 비해 느린 구속 때문에 다소 늦은 순번에서 지명받은 듯. === [[SK 와이번스]]-[[SSG 랜더스]] === 입단 1년만인 2015년에 군입대하여 사회복무요원으로 복무하면서 군 문제를 해결했다. 2017년 1월 소집 해제되면서 팀에 복귀했다.[[https://sports.v.daum.net/v/20220623110725377|#]] 2018 시즌을 앞두고 [[육성선수]]로 전환되었다. 2018년 2군 성적은 17경기 등판해 평균자책점 3.32 1패 2세이브 3홀드 피안타율 0.222. 2019년 가고시마에서 열리는 퓨처스팀 스프링캠프에 참가했다. 2군 기록은 25경기에 등판해 31⅔이닝을 소화하며 평균자책점 2.84 1승 3패 3홀드 31피안타 18볼넷 27탈삼진 14실점을 기록했다. ==== 2020 시즌 ==== 7월 31일 데뷔 후 처음으로 1군에 콜업되어 데뷔전을 치렀다.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수원]]에서 [[kt wiz]]를 상대로 7회 말 2아웃 상황에서 [[이태양]]의 다음 투수로 등판했으며, 8회 말 무사 상황에서 [[송민섭]]에게 첫 안타를 허용한 후 [[황재균]]에게 투런 홈런을 허용[* 이미 0:9로 크게 지는 상황이었기에 승패에는 영향이 없었다.]하는 등 1⅔이닝 동안 33개를 던지면서 3피안타(1피홈런) 2실점을 했다. 8월 4일 [[롯데 자이언츠]]와의 홈경기에 등판해 1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그리고 다음날 말소됐다. 8월 15일 다시 콜업된 이후 8월 19일 [[한화 이글스]]와의 홈경기에서 6:26으로 크게 이기고 있던 9회 초에 등판하여 데뷔 첫 탈삼진을 뽑으며 1이닝 무실점으로 경기를 마무리했다. 이어 20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홈경기에서 3:8로 이미 승기가 넘어간 와중에 역시 9회 초에 등판하여 1볼넷을 허용하긴 했으나 이후 타자들은 모두 삼진으로 돌려세우며 1이닝 1볼넷 3탈삼진을 기록했다. 22일 [[두산 베어스]]와의 홈경기에서 7:1로 지고 있는 와중에 역시 9회 초에 등판하여 1이닝 2피안타(1피홈런) 1볼넷 1탈삼진 1실점을 기록했다. 9월 경기에는 9일 [[키움 히어로즈]]전과 30일 [[NC 다이노스]]전에 등판했으나 각각 1이닝 2실점, ⅔이닝 2실점을 하며 아쉬운 모습이었고, 이 후 10월 1일 [[NC 다이노스]]전 1이닝 무실점과 6일 [[두산 베어스]]전 ⅓이닝 1실점을 끝으로 2020 시즌을 마무리했다. 최종 시즌 기록은 9경기 등판하여 8⅓이닝 동안 10피안타(2피홈런) 4볼넷 7탈삼진 5실점 ERA 5.40을 기록했다. ==== 2021 시즌 ==== 5월 8일 [[키움 히어로즈]]와의 홈경기 더블헤더를 위해 특별엔트리로 1군에 올라왔다. DH 1차전 역시 미세먼지로 인해 날씨가 좋지 않아 2차전만 열렸으며 이 때 2:9로 팀이 지고 있을 때 9회 초에 올 시즌 첫 등판하여 세 타자 모두 삼진을 잡아냈다. 변화구가 많이 좋아진 모습이다. 이 후 정식 엔트리에 들어 5월 12일 [[사직 야구장|사직]]에서 열린 [[롯데 자이언츠]]와의 경기에서 9:1로 팀이 크게 이기고 있는 와중에 9회 말에 등판하여 1이닝 1볼넷 2피안타 1실점을 했다. 1실점만 하고 경기를 마무리지으면서 팀은 9:2로 이겼다. 5월 14일에 [[최항(야구선수)|최항]]이 콜업되면서 말소됐다. 이후 30일에 [[아티 르위키]]가 말소된 자리에 들어오게 되었다. 6월 2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홈경기에서 6:8로 아슬아슬하게 지고 있는 접전 상황에 7번째 투수로 8회 초를 책임졌다. [[이원석(1986)|이원석]]에게 긴 승부 끝에 볼넷을 내주기는 했으나 최종 1이닝 1볼넷 1K 무실점을 기록했다. 향후 가비지 이닝 소화가 아닌 이러한 상황에서도 등판이 여러 번 있을 것으로 보인다. 6월 5일 두산전에 대체선발로 나왔던 [[양선률]]의 뒤를 이어 등판하였다. 아직은 미숙하지만, 대체선발이나 롱릴리프 정도로 써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는 평이 많다. 6월 22일 LG전에 등판했다. 경기는 이미 터질대로 터진 상태에서 6회에 올라왔다가, 8회 때 [[이형종]]에게 헤드샷을 맞추고 자동 퇴장이 되었다.[* 이번 시즌에 나온 SSG 투수의 3번째 헤드샷 퇴장이다. 1번째는 [[김태훈(1990)|김태훈]]이 kt전에서, 2번째는 [[오원석]]이 5일 전에 KIA전에서 퇴장당했던 이력이 있다.] 이후 하재훈으로 교체되었다. 6월 23일 [[조요한]]을 등록하면서 말소되었다가, 7월 11일 말소된 [[서진용]]의 대체 선수로 엔트리에 등록되었다. 그러나 전반기가 흐지부지 마무리 되면서 등판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서머리그 동안 퓨처스리그 엔트리에 있었는데, 후반기 라인업에 최항-[[이현석(야구선수)|이현석]]과 함께 퓨처스 엔트리에 남아있게 되었다. 그러나 1군 불펜투수에 문제가 생기면 바로 불러들일 투수이기 때문에 조금 더 지켜봐야 한다. 예비엔트리에 이름만 올렸었다가 말소되었으나, 9월 확대 엔트리로 콜업. 그러더니 9월 12일, kt전 패색이 짙은 상황에서 올라와 지명타자 소멸로 타석에 선 '''투수''' [[고영표]]에게 치열한(?) 풀카운트 승부 끝 보더라인 제구 실패로 볼넷을 헌납했다. 심지어 칠 의사가 전혀 없었던 듯이 '''배터박스에서 멀찍이 떨어져 있던 투수'''를 상대로 볼넷을 주면서 팬들을 절망에 빠뜨렸다. 그나마 [[장성우]]는 외야 뜬공으로 잡아 더 이상의 실점은 하지 않았다. 9월 14일 [[한화 이글스]]와의 경기 중 [[하주석]]에게 쓰리런 홈런을 맞고 아쉬워하는 모습이 방송에 잡혔다. 9월 18일 [[삼성 라이온즈]]전에서는 2⅓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아냈다. 원래 오원석이 올라올 때 내려갈 뻔했던 투수였으나, 자신이 1군에 있어도 된다는 모습을 보여줬다. ==== 2022 시즌 ==== 6월 1일 콜업되었고, 2일 kt전에 가비지 이닝을 먹기위해 나왔으나 [[김병희]]에게 초구 헤드샷을 맞추며 퇴장당했다. 그리고 뒤이어 나온 [[박민호]]가 홈런을 맞아서 1구 투구만으로도 평균자책점 무한대를 찍는 위엄을 선보였다. 6월 3일 LG전에 팀이 크게 지고 있는 7회에 등판해 1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6월 4일 LG전 6회말 6:1로 지고 있는 2사 3루 상황에 등판해 7회까지 사사구 2개와 삼진 2개를 잡아내며 무실점으로 막고 내려갔다. 6월 8일 NC전 11회말 2:2 상황에 등판, 14연속 슬라이더를 선보이며 삼자범퇴로 이닝을 막았다. 팀은 12회까지 점수를 내지 못하며 무승부. 6월 10일 한화전. 팀이 8:2로 크게 이기고 있는 8회초에 등판해 유격수 [[최경모]]의 실책으로 주자를 내보낸 뒤, 터크먼에게 2루타를 허용하며 1실점(비자책)을 했지만, 삼진 2개를 잡아내며 추가 실점 없이 이닝을 끝냈다. 6월 12일 한화전. 팀이 9:12로 이기는 7회초 무사 2루 상황에 등판하여 첫 타자를 삼진으로 잡았으나 [[박정현(2001)|박정현]]에게 불운의 안타를 맞아 승계주자를 실점하였다. 이후 후속 타자를 모두 범타로 막아 '''데뷔 첫 홀드'''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6월 14일 kt전, 팀이 4:2로 이기고 있는 7회초에 등판해 선두 타자 볼넷을 허용하고, 후속 타자인 [[황재균]]의 땅볼 타구를 잡자마자 2루에 던졌으나 [[장성우]]의 헬멧을 맞히는 악송구를 범해 무사 1,3루 위기를 만들었다. 그리고 [[앤서니 알포드]]에게 내야안타를 쳐맞고 실점을 한 뒤 [[최민준]]으로 교체되었다. 그러나 [[김민식(야구선수)|김민식]]의 어이 없는 포구 실책으로 역전을 허용하고 말았고, 팀은 결국 패배하면서 패전투수가 되었다. 다만, 3실점 모두 비자책으로 기록되었다. 6월 15일 kt전. 팀이 6:3으로 지고 있는 7회말 무사 1루 상황에 등판해 뜬공과 삼진, 견제사를 시키며 무실점으로 막았다. 이후 8회에도 등판해 실점 없이 막으며 어제와는 전혀 다른 피칭을 보여줬다. 6월 18일 롯데전. 팀이 6:2로 이기고 있는 7회초 1사 만루 상황에 등판해 폭투로 승계주자를 실점하였으나 무실점으로 막았다. 8회도 등판해 선두 타자 [[한동희]]에게 안타를 맞았으나 후속 타자들을 플라이아웃-루킹삼진-헛스윙 삼진으로 처리해 무실점으로 막아 시즌 2번째 홀드를 챙겼다. 6월 21일 두산전. 팀이 크게 지고 있는 7회초 부상당한 [[고효준]]을 대신해 등판했다. 이후 고효준의 승계주자 1명을 실점하고 1⅔이닝 2피안타 1사사구 1K 무실점을 기록하고 내려갔다. 6월 22일 두산전. 팀이 5:5로 비기고 있던 10회초에 등판해 삼자범퇴로 막았다. 10회말 팀이 [[김성현(1987)|김성현]]의 끝내기 우익수 희생플라이로 이기면서 '''데뷔 첫 승'''을 기록했다. 6월 28일 한화전. 팀이 5:3으로 역전을 허용한 7회말 1사 2루 상황에 등판해 도루 저지와 삼진을 기록하며 더 이상의 실점을 허용하지 않았다. 7월 2일 KIA전. 팀이 2:1로 근소하게 이기고 있던 7회초 1사 2,3루 상황에 등판해 두 타자 연속 삼진을 잡아 팀을 위기에서 구해냈다. 이후 8회에도 등판해 삼자범퇴로 이닝을 막아 홀드를 기록했다. 동시에 12경기 연속 비자책 경기를 기록했다. 7월 3일 KIA전. 팀이 3:1로 이기고 있는 8회초에 등판해 선두 타자 [[김도영]]에게 홈런을 맞으면서 12경기 연속 비자책 기록이 깨졌지만 후속 타자들을 좌익수 [[하재훈]]의 수비 도움을 받는 등 모두 범타 처리하면서 홀드를 기록했다. 7월 5일 롯데전. 팀이 3:3으로 비기고 있던 8회초에 등판해 공 9개로 삼자범퇴 이닝을 기록하며 좋은 활약을 이어갔다. 7월 8일 삼성전. 팀이 9:4로 이기고 있는 8회말에 등판하여 ⅔이닝 1피안타 2볼넷 1실점을 기록하고 2사 1,2루 상황에서 마운드를 내려갔다. 후속 투수인 서진용이 오선진을 우익수 플라이로 처리해 더 이상의 실점은 없었다. 7월 9일 삼성전. 10:10 동점 상황인 9회말에 등판해 2사 후 볼넷을 내주고 [[김택형]]과 교체됐다. 이후 김택형이 [[오재일]]을 삼진으로 잡아내며 실점하지 않았고 팀은 13:10 대역전승을 거뒀다. 7월 12일 키움전에 팀이 5:2로 이기고 있는 7회초에 등판해 안타 1개를 허용했지만 3루수 [[최정]]의 병살타를 잡아내는 엄청난 호수비 도움을 받아 1이닝 무실점을 기록하며 홀드를 챙기면서 전반기를 마쳤다. 그러나 후반기 들어서 여유 있는 상황에 등판을 함에도 매 경기마다 홈런을 맞아 2경기 2⅔이닝 ERA 13.50 WHIP 2.63이라는 부진한 성적을 보이다가 7월 31일 1군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 1군 엔트리 말소 후 2군에서 계속 털리는 모습을 보이면서 시즌이 끝날 때까지 1군 재복귀에 실패하였다. 비록 활약이 오래가지 못했지만 잠시나마 팀의 불펜이 없을때 필승조 역할을 해내며 입단 9년 만에 1군에서 가능성을 보여줬다. ==== 2023 시즌 ==== 9월 1일 확장 엔트리에 따라 이번 시즌 처음으로 1군에 등록됐다. 9월 2일 KIA전에 9회초 12:4로 지고 있는 무사 상황에 김주한의 뒤를 이어 400일 만에 1군 등판을 하였다. 기록은 1이닝 1사사구 1K 무실점. 9월 7일 한화전에 8회말 3:4로 지고 있는 상황에 등판해 두타자 연속 볼넷을 허용하고 교체되었다. 후속투수 [[신헌민]]이 무실점으로 막으면서 실점은 없었다. 9월 8일 1군 엔트리에서 말소됐다. 그리고 11월 24일 은퇴 의사를 밝히며 야구 인생을 끝냈다. == 피칭 스타일 == 좋은 체격조건에서 나오는 투구의 궤적 자체가 큰 매력을 가지고 있다. 강속구 투수까지는 아니지만 공이 들어오는 라인 자체가 좋다는 평가를 받으며 제구력도 발전할 여지가 남아있다고 한다. 슬라이더의 각도가 좋아서 구속을 끌어올린다면 더 좋은 투수가 될 수 있는 선수다.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318&aid=0000001404|#]] 팀 내의 다른 선수들처럼 엄청난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며 주목받는 선수는 아니지만, 묵묵히 자신의 투구를 보여주는 대기만성형 투수이다. 다만 대부분의 이닝 소화를 가비지 이닝에 쓰고 있다는 것은 아쉬운 점이다. 그나마, 2022시즌 6~7월에 팀의 불펜이 붕괴되었을 때 준필승조 역할을 하면서 잠깐이나마 주목을 받았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동민 슬라이더.gif|width=100%]]}}} || || 129km/h 슬라이더 || 2022년 들어서는 슬라이더 원툴로 1군에서 살아남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1군 데뷔 초부터 슬라이더 구종은 플러스 피치였다.] 슬라이더 외의 구종은 1군에서 쓰기 힘들정도지만 슬라이더는 확실히 플러스 피치라 슬라이더의 비중을 매우 높게 가져가는 피칭[* 특히, 2021시즌에는 슬라이더 구사율이 60.8%, 2022시즌에는 '''77.9%'''에 달했다.]을 하고 있다. MBC sports+ [[김선우(1977)|김선우]] 해설위원에 따르면, 서동민의 슬라이더는 '''''다른 투수들과는 달리 종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상대 타자들이 타이밍을 맞추기가 어려워 더 위력적이다'''''라고 평가하였다. 이 때문에 팬들 사이에서는, 슬깎노(슬라이더 깎는 노인)라는 별명도 생겼다. 직구의 위력을 높이거나 슬라이더 외의 확실한 구종을 추가로 장착한다면 1군에서 안정적으로 활약하는 것이 가능해보인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동민 견제.gif|width=100%]]}}} || 우투수임에도 의외로 1루 주자 견제에 강하다. 빠른 송구로 정확하게 견제하며, 그 기록하기 어렵다는 견제사(도루저지 제외)를 2021년 10월에만 2번 잡아냈다.[* 극단적 언더핸드 스로와 느린 투구폼으로 알려진 [[박종훈]]도 2021 시즌에 견제사를 기록했으나 잡아내기까지 무려 4년이란 시간이 걸렸고, 서동민보다 1군 데뷔가 매우 빨랐던 [[김택형]]도 첫 견제사를 잡아내기까지 7년이란 시간이 걸렸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7>
{{{#ffffff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ERA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 2014 ||<|10> [[SK 와이번스|SK]]-[[SSG 랜더스|SSG]] ||<-15> 1군 기록 없음 || || 2015 ||<-15><|2> 군복무 || || 2016 || || 2017 ||<-15><|3> 1군 기록 없음 || || 2018 || || 2019 || || 2020 || 9 || 8⅓ || 0 || 0 || 0 || 0 || 5.40 || 10 || 2 || 4 || 7 || 5 || 5 || 1.68 || || 2021 || 20 || 26⅓ || 0 || 0 || 0 || 0 || 5.13 || 27 || 5 || 18 || 24 || 15 || 15 || 1.67 || || 2022 || 20 || 21 || 1 || 1 || 0 || 5 || 2.57 || 13 || 3 || 12 || 19 || 11 || 6 || 1.14 || || 2023 || 2 || 1 || 0 || 0 || 0 || 0 || 0.00 || 0 || 0 || 3 || 1 || 0 || 0 || 3.00 || ||<-2> '''[[KBO 리그|KBO]] 통산[br](4시즌)''' || 51 || 56⅔ || 1 || 1 || 0 || 5 || 4.13 || 50 || 10 || 37 || 51 || 31 || 21 || 1.50 || == 여담 == * 입단 동기들에 비해 나이가 1살 많다. 유급 경력이 있는 듯. * 현재 시점으로는 임팩트 있는 별명은 없지만 슬라이더를 자주 구사한다는 점에서 착안된 슬깎노[* [[방망이 깎던 노인|슬라이더 깎는 노인]]. 방망이 깎는 노인은 2020년 수능특강에 나오며 10·20대에게 유명해졌으며, 느리고 비효율적이게 보이지만 완벽한 방망이를 만드려는 본 받을 만한 노인의 장인 정신을 보여주는 수필 작품이다. 인터넷 상에서는 보통 좁고 깊은 실력으로 좋은 성적을 낸 인물들에게 보통 사용한다.]라는 별명이 거의 정착되고 있다. 이름을 딴 별명으로는 '웨즙'이라고 불리는 듯. 팀 선배인 서진용과 같은 성씨이기도 하고 서쪽을 뜻하는 '웨스트' + [[한유섬]]의 이전 이름 동민과 같고 당시 한동민의 별명 '즙가'를 따온 것이다. 바리에이션으로 서유섬이라는 별명도 있다. * 2022년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소속 배구선수 [[김연견]][* 여담으로 등번호 끝자리가 8로 똑같다. 서동민은 18번, 김연견은 8번.]과 결혼을 발표했는데 배구와 야구가 비시즌 기간이 다르다 보니 올스타 브레이크 기간에 식을 올렸다. * 또다른 여담으로는 [[황연주]]&[[박경상]] 부부의 뒤를 이은 구기종목 선수 부부이며, 둘 다 신부가 연상의 배구선수인 [[연상연하]]라는 점도 같다. 다만 황연주&박경상 부부의 경우는 배구와 농구의 비시즌 기간이 같아서 2019-20 시즌이 끝난 이후에 결혼했다. 야구선수&배구선수 부부는 역대 3번째[* 첫 번째는 [[조창수]]&[[조혜정(배구)|조혜정]], 두 번째는 [[이재우(야구선수)|이재우]]&[[이영주(1980)|이영주]].]이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SK 와이번스/선수단]] * [[SSG 랜더스/선수단]]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94년 출생]][[분류:2020년 데뷔]][[분류:2023년 은퇴]][[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구고등학교 출신]][[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좌타]][[분류:SK 와이번스-SSG 랜더스/은퇴, 이적]][[분류:달성 서씨]][[분류:사회복무요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