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white '''경제력에 따른 계층 분류'''}}} || || [[부자]] || [[중산층]] || 서민 || [[빈곤층]] || [목차] == 정의 == {{{+1 [[庶]][[民]] / Commoner, the masses}}}[* 중산층과 별개 개념으로서 서민이라는 단어가 쓰이는 경우는 lower class로 번역되기도 한다. 장서] '__아무 벼슬이나 신분적 특권을 갖지 못한 일반 사람 또는 경제적으로 중류 이하의 넉넉지 못한 생활을 하는 사람__'을 말한다. 간혹 중류층[* 2019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순자산 중앙값'''은 2018년 기준 2억 50만원이며, 순자산이 3억 6,914만원 이상이면 상위 30%, 5억 2,877만원 이상이면 상위 10%에 해당한다.]의 생활을 아득히 넘어선, 풍족한 생활을 하는 사람조차 자신에게 정감있고, 유리한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자신을 서민이라고 자칭하기도 하지만 어디까지나 겸손이고 실제로는 평균보다 하위 소득을 버는 사람들이 서민에 해당된다. 다시 말해 서민은 하류층에 가깝다. 여름 휴가나 명절 시즌, [[인천공항]]에 나가보면 해외로 출국하는 사람들로 우글우글한 모습을 볼 수 있는데 한국에서 휴가로 해외 특히 [[유럽]]이나 [[북미]] 쪽을 다녀올 수 있다는 것은 어느 정도 중상위권 경제력을 가진 사람들이란 뜻이다. 몇몇 언론들은 이러한 현상들을 민족 대탈출이라는 용어까지 써가며 리포트를 하는데, 서민층에게는 상당한 이질감과 위화감으로 다가올 수 있다. 휴가도 제대로 가지 못하고 생계와 가족 부양을 위해서 뼈빠지게 일하고 고되게 사는 서민들이 우리 주위에는 상당히 많다. 과거 국민 다수의 경제계층을 차지했던 것은 [[중산층]]이었지만, 외환위기 이후 [[중산층]] 다수 체제가 해체되어 일부는 [[상류층]]으로 일부는 빈민층으로 이동하면서 서민이란 단어가 그 자리를 이어받았다.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view.html?cateid=1067&newsid=20100812180007920&p=kukminilbo&RIGHT_COMM=R12|#]] 서민이라는 개념은 [[계층]]이기 때문에 민생 정책은 불평등 구조를 타파하지 않는 이상 사실상 영원히 해결할 수 없는 문제다. 이게 나아지면 기존 서민 계층은 [[중산층]]이 되고, 그 서민의 지위는 기존의 [[저소득층]]이 차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즉 국민의 삶이 얼마나 나아지든, 하위에 있는 소득층이 서민에 해당하기 때문에 결국은 모든 사람이 걱정없이 잘 먹고 잘 살때까지 정치권에서는 민생정책을 표방할 수밖에 없다. 의의라면, [[양극화]]와는 별개로 민생 정책이 '''잘 이루어질 경우''' 일반적인 국민의 평균 수준은 점점 나아진다는 것이다.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가급적이면 상류층이나 최소 못해도 중산층의 삶을 살기를 원하지만 이는 언제까지나 윗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사람들이 물질적으로 풍족하게 사는것이 부러워서 그렇다. 사실 사회에서는 상류층, 중산층보다 서민층의 역할이 더 중요하다. 인구의 가장 다수를 차지하기 때문에 전체의 수로 따진다면 가장 영향력이 막대하며, 또 이들이 하는 대부분의 일들이 다소 고된 노동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매우 실용적이고 생산성은 높다. 공장에서 직접 생산품을 만들거나, 집을 짓는 일, 식량을 생산하는 일, 환경을 깨끗하게 정리하는 일들도 대부분 이들이 맡아서 하고있다. 사회 발전을 위해 엘리트들을 많이 양성하고 등용하는 선진국을 포함한 국가에서도 이들의 중요성은 여전하다. 어찌보면 서민들의 행복도가 어느정도냐가 국가의 행복을 좌우한다고 봐도 과언이 아닌데, 실제로도 이른바 살기 좋다는 복지 선진국으로 갈수록 중산층과 서민층의 삶의 수준이 거의 차이가 없는 편이다. 한마디로 복지 선진국으로 갈수록 서민층도 중산층만큼 잘 사는 경우가 보통. === 너도나도 서민 === 한국 국민 대부분은 자신을 서민이라 지칭하며, 서민이 아닌 듯한 사람도 자신을 서민이라 지칭하는 경우 또한 드물지 않다. 실제 소득이나 소비, 생활수준 등을 보면 [[고소득층]]이나 [[중산층]]임에도 본인을 서민이라 생각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다. 특히 상류층이나 중산층 집안에서 자라온 10~20대들은 자신의 여유로운 생활을 대부분 누릴 것이라 당연시하여 그런 탓도 있다.[* 또 소득 수준은 중산층에 들어가더라도 [[하우스푸어|집 대출금을 갚는데 많은 돈을 쓰고있어서]] 실질 가처분소득이 낮아 본인이 서민이라 생각하는 경우가 꽤 있다.] 누가 봐도 [[부자]]인 [[정치인]]이나 [[재벌]], 억대 연봉자조차 [[기만|자신을 스스로 서민이라 칭하기도 할 정도.]] 아마 이런 부유층들의 경우에는 [[피터팬 콤플렉스|자신의 이미지 관리]]를 위해서일 것이다. [[궤변|특히 정치인의 경우는 서민을 자칭하는 것이]] [[언더독 효과|당선에 유리하기 때문.]] OECD에서는 2016년 중위소득 75~200%로 중산층 기준을 제시했으며 이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중위소득 4인 가구 월 475만 원이므로, '''월소득 356~950만 원에 해당하는 4인 가구가 중산층에 속한다.''' 하지만 한국인들은 중산층들도 죄다 서민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중산층이라는 용어가 '중간정도의 재력을 가진 사람'을 의미하는 말이었으나, 한국에서는 '중상위권'이라는 말로 변질되었고, 그 자리를 서민이라는 단어가 대체했다. 결국 각자의 속셈이야 어쨌건 재미있게도 우리나라를 한 학년에 1,000명 정원의 고등학교라 본다면, 전교 50등짜리와 950등짜리 학생 둘 다 [[기만|"나는 성적이]] [[여러분 이거 다 거짓말인 거 아시죠|중위권이야"]]라고 자처하고 있는 셈이 된다! 물론 등수가 500등인 진짜 중위권 학생하고는 둘 다 같을 수가 없는 것이 당연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이유 때문에 부유한 사람과 가진 게 하나도 없는 사람이 각각 '서민? 그냥 좋고... 뭐 여유로운데요.' 혹은 '서민은 도저히 살 수가 없어요' 라는 식으로 애초에 서민이 아닌 사람들이 서민을 자처하면서 '서민 경제'를 논하는 웃지 못할 일이 발생하였다. 당연히 이렇게 자주, 중요하게, 많이 쓰이는 용어가 마구잡이로 쓰이는 황당무계한 일은 옳지 않을 뿐더러 좋지도 않은데, 용어의 뜻이 불분명해지는 것은 둘째치고 [[정부]]와 [[국민]]과의 소통에서도 오도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는 등의 문제가 때문이다. 들으면 그런 듯 아닌 듯 애매한 말로 뒤통수 맞은 사례가 얼마나 많은지를 다시 생각해보자. 하여튼 이러한 추세 때문에 왠지 '''서민 = 국민'''이라는 공식이 차차 박혀가는 듯한데 당연히 둘은 전혀 다른 의미이다. 경제 분야에서 다루는 이름과 정치 분야에서 다루는 이름이 혼동되는 것은 자주 볼 수 있는 일이지만...(예 : [[민주주의]] - [[자본주의]] / [[사회주의]] - [[공산주의]]) [[국사]] 교과서에서는 '''늘 생활이 어려워지는''' 사람들이기도 하다. 뭐 중간 중간에 개혁 정책이나 왕조 교체 등이 있긴 하지만 얼마 가지 않아 원상 복귀하고 결국 견디다 못하면 민란으로 이어지곤 한다. 그리고 대개 얼마 가지 않아서 다시 왕조 교체. [[이자성의 난]]으로 망한 [[명나라]]가 대표적이다. * 관련 기사 : [[http://news.joins.com/article/19421648|고소득층 49% “나도 빈곤층”… 빈부에 상관없이 ‘에구~ 머니’]] === 역사적 서민들 === [[대한민국]]의 국민들은 이나라의 반만년의 옛 역사에서 지도층들은 나라를 내팽개쳐두고 서민들이 조국을 지켜냈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물론 100%는 아니지만 적어도 [[대몽항쟁|몽고의 침략]] 당시 지배층들이 [[강화도]]로 도망쳐서 자기들끼리 지내는 동안 목숨 걸고 맞서 싸운 건 향, 소, 부곡 등의 천민과 노비까지 포함된 [[의병]]들이 있기도 했으며 우리 역사에서 고대 국가의 지배층들이 계급 장벽을 강화하는 한편 막상 서민들을 지키는 일에는 매우 실망스러운 모습을 많이 보여준 역사적 사실이 있기 때문에도 그런 감정들이 강할 수도 있다.[* 까놓고 청야전술 같은 서민들 죽어나가는 전술을 주저없이 사용하고 국토가 유린되는 동안에도 상대적으로 지배 계층들이 가진 재산들은 매우 잘 지켰지만 서민들은 신나게 털리는 걸 중앙은 보고만 있는 경우가 많았다. [[신라]]만 봐도 백성들이 [[해적]]들에게 잡혀가 노예로 팔리는 동안 중앙은 딱히 뭔가를 해서 지방 백성들을 구하지는 않았고 [[장보고]] 같은 유력자가 보다 못하여 스스로 방안을 구해 해결했다. 고려 역시 [[대몽항쟁]], [[카다안의 침입]]과 [[왜구]]의 활동에서 사정은 딱히 다르지 않았다. ] 실제로 나라가 망하는 와중에도 신분에 관한 생각들이 강한 사람들이 꽤 많이 있었고 각종 병크를 저지르기도 했다. 근현대사도 사정은 마찬가지여서, [[일제강점기]]에도 [[조선]] 왕실은 [[고종(대한제국)|고종]]이 일제와의 타협을 뒤늦게 거부하는 등 일부를 제외하면 아무것도 하지 못했고 목숨 걸고 싸운 건 소수의 민족주의적 기질이 충만한 [[양반]]들과[* [[위정척사]] 운동을 하던 면암 [[최익현]]의 제자들은 [[경술국치]] 이후에도 [[독립의군부]]와 같은 비밀결사를 조직해 미약하게나마 저항했고 [[이상설]], [[이동휘]] 같은 분들도 [[만주]]와 [[연해주]]에서 독립운동을 했다. [[김구]], [[김좌진]], [[안창호]] 등 유명 [[독립운동가]]들은 더 말할 것도 없다.] 일반 백성들이 들고 일어난 의병들과 이후의 독립군들이었다. [[광복]] 이후 [[대한민국]] 역시 별 차이는 없어서 가진 자들은 하나같이 군대를 빠지고 해외로 도망치려고 안달이었고[* [[한국전쟁]] 당시에는 [[서울특별시|서울]]을 지키겠다고 거짓말을 하고는 [[부산광역시|부산]]으로 도망쳤다가, 그 때문에 인공 치하에서 험한 꼴을 당한 사람들을 부역자로 모는 어이없는 대접까지 보이기도 했다. 정부가 국민을 속인 책임이 있는 데다가 적극 부역자들은 하나같이 북한으로 도망쳐 어쩔 수 없이 협력한, 즉 소극적인 부역자만 남아 있었던 상황에서 이는 정말 뻔뻔스럽기 그지 없는 행태였고 [[반공]] 이데올로기가 지배하던 당시에조차 이에 대한 비판이 많아 결국 얼마 가지 않아 초기의 서슬퍼런 엄벌주의 경향에서 한 발 물러서게 되지만 이미 다수가 처형된 뒤였다.], [[북한]]과 주변국의 침략으로부터 국가를 지키기 위해 군에 입대하는 등 의무를 다하는 사람들은 일부 사회지도층을 제외하면 하나같이 서민들 일색이다. 내부에서 군기 잡는 모습과 다르게 외적을 상대할 때는 제일 먼저 뒤로 빠지고 도망갈 때는 일등이지만 진군할 때는 제일 먼저 앞장 서서 설치고 다니니 이런 인식이 생긴다.[* [[6.25 전쟁]] 때 공산군이 기세 좋게 진격할 당시에는 누구보다 빠르게 도망간 사람들이 나중에 미군+국군과 함께 다시 와서는 "너! 빨갱이지!"라며 설치는 경우도 많았다. ] 한편 대통령 후보들과 국회의원들이 서민임을 강조하며 눈에 띄는 행동을 하기도 한다. 가령 2014년 말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 여야 대표가 모여 연말 정국에 대해 의논한 뒤 집무실에서 [[햄버거]] 및 [[치킨]]/[[짜장면]] 및 [[짬뽕]]과 가운데에 놓인 [[피자]]/[[탕수육]]을 다같이 먹고 이 사진을 뉴스기사로 게재했던 것이나, 선거가 있기 전 후보들이 [[재래시장]]에서 평소 먹지도 않던 [[떡볶이]]와 [[오뎅]]을 사먹는 등의 행동을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서민의 지지가 올라가는지는 확실치 않으나 정치인들은 어느정도 효과가 있다고 여기는지 선거철을 앞두면 대개 이런 보여주기를 한다. [[정몽준|시내버스 요금도 모르는 국회의원]]들이 이런 행동을 하는걸 언론으로 접하는 서민들의 반응은 말 안해도 다 알 것이라 생각한다.[* '''주의: 옹호발언 아니다.''' 예외가 한 명 있는데 바로 [[이준석]]이다. 이쪽은 자신이 [[철도 동호인|철덕]]이라 지하철 요금을 꿰고 있다(...) 애초에 하버드대 졸업 논문을 서울시 대중교통 연구로 냈다...] === 중산층과 서민의 문화적 차이 === 중산층과 상류층 사이에는 여러가지 문화적, 환경적인 차이가 존재한다. 그러나 중산층과 서민층 사이에도 문화적인 차이([[아비투스]]의 차이)가 존재한다. 잠깐 참는 것보다 나은 미래를 생각하면서 참는 것이 중산층에게는 당연하게 여겨질 수 있다. 그러나 모두가 가난하던 시대가 아닌 사회에서 그렇게 잠깐 참는 것, 보다 나은 미래를 생각하면서 참는 것이 빈곤한 서민층 입장에서는 자기가 불리하니까, 자기가 못나서 참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인권]]의식이나 [[시민]]의식 부족 역시 마찬가지. 기초질서 위반이나 쓰레기 무단투기 등은 질서의식 부재이지만 그들에게는 그 순간 단기간에 자신의 이익을 챙기는 것이 현실적인 이익일 수 있다. 자신보다 낮은 위치라 파악되는 사람에게 갑질을 하는 이유도 이와 같다고 볼 수 있다. 중산층 중에서도 부모가 중산층이 된 계층보다, 자신의 대에 중산층에 진입한 사람들일수록 자신보다 낮은 하류층에 반감과 증오감, 불신을 품는다. 실제로 저소득층 가정에서 자라서 중산층이 된 이들일수록 저소득층 청소년들 및 저소득층 성인들에 대한 경계감과 반감이 태어날 때부터 중산층인 사람보다 다소 심한 편이다. === 서민 속성 보유자 === 대부분의 창작물에선 그저 거지나 빈곤층만 아니지 돈도 없고 빽도 없고 힘도 없는 서러운 약자로 많이 나오지만, 그 서민이 주인공 이라면 [[주인공 보정]]을 받으며 세계관 최장자나 그에 준하는 영웅이 되기도 한다. * '''[[언더도그마]]가 뚜렷한 한국의 영화 및 드라마 주인공 및 그 주변인 상당수''' - 이런 유형의 주인공들은 언제나 약자들을 대변하면서 악역들의 추악한 진실을 밝히려고 전력을 다해 싸우며, 그 악역들은 당연히 썩은 정치인들과 재벌, 고위 공무원들로 최근 한국 영화나 드라마들이 무조건 사이다만을 바라는 구조로 변하면서 액션이나 스릴러를 다룰 때 국룰수준의 래파토리 중 하나로 굳었다. * [[막장 드라마]]에 나오는 대부분의 주인공이나 주인공의 집안 - 이것은 캐릭터마다 촬영장소나 세트장을 보면 알 수 있는데, 주인공이 서민 캐릭터라면 단칸방이라든가 좌식 문화에 기본적인 채소 반찬이 적게 나오지만, 주인공이 부자 캐릭터라면 궁궐같이 매우 넓고 매우 크고 인테리어도 화려한데다가 입식 문화에 심화적인 고기 반찬이 많이 나온다. * 그 외 [[피해자]] 포지션의 조연급 인물들 - 역시 악역들의 희생양으로 묘사되며, 주인공의 울분터지는 각성을 위한 도구로 늘 당하는 역할로 나온다. * [[크레용 신짱]] - [[신형만]]([[노하라 히로시]]) 다만 이쪽은 [[크레용 신짱]]의 초창기에 비해 2010년대 [[일본]]의 체감경기가 [[잃어버린 10년/일본|시궁창이 되어버린]] 관계로 점점 [[중산층]]의 생활을 대표하고 있다. 물론 설정이란 게 있어서 '쥐꼬리 같은 월급'이라는 묘사가 나오기는 하는데.. [[노하라 미사에|아내]]의 낭비벽 수준 쇼핑 습관에도 멀쩡하게 사는 걸 보면 평범한 서민의 생활상하고는 멀다. 그리고 주거 면적이 좁고 주차장이 부족한 일본에서 수도권에 해당하는 [[도쿄도|도쿄]] 근교 [[사이타마현|사이타마]]에 2층 단독주택[* 다만, 35년 장기융자라는 설정이 있다.]과 개인주차장이 있는 것을 보면 중산층 이상에 해당될 수도 있다.[* 일본은 수도권 지역 집에는 개인주차장이 있는 게 보통이다. 주차장 부족은 도쿄 도심 지역.] * [[도라에몽]] - [[노석구]]([[노비 노비스케]]) 현대사회의 특성이 지속적으로 추가되는 크레용 신짱과 달리 [[도라에몽]]은 시대적 배경이 철저히 1960~1970년대로 고정되어있기 때문에 신형만과는 달리 서민 속성이 여전하다. * [[스파이더맨]] - [[피터 파커]] * [[심슨 가족]] - [[호머 심슨]] 연 수입은 미국 평균인 4만 5천달러보다 조금 높은 6만달러 수준. 미국의 전형적인 지방 소도시의 블루칼라. * [[아따맘마]] - [[오아리]]의 가족들 다만 [[오영복]]이 보유했던 차량 중에 [[폭스바겐 골프|이 차]]가 있어서 좀 애매한 것도 있다. * [[빌리 엘리어트]] - 빌리의 가족들, 광산촌 주민들 * [[아이돌 마스터]] - [[아마미 하루카]] * [[오란고교 호스트부]] - [[후지오카 하루히]] * [[원펀맨]] - [[사이타마(원펀맨)|사이타마]] * [[조작된 도시]] - 권유 === 그 외 === 영어권에서는 '서민의~' 타이틀이 붙은 것은 긍정적인 의미로 쓰이는데,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괜찮은 성능을 내어 가성비가 좋은 물품에 주로 붙인다. === 관련 항목 === * [[저소득층]] == 사람 이름 == === 넥슨 전 대표이사 === [[파일:attachment/M4bAjpa45in8hrJ00Z6V.jpg]]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91학번]를 [[https://www.mk.co.kr/news/it/view/2018/01/55304/|졸업하고]] 1997년 [[넥슨]]에 입사하였다. 이후 일본법인 이사, 개발 스튜디오 총괄이사를 거쳐 [[네오플]]의 대표이사가 되었다가 넥슨의 공동 대표이사가 되었다. 보다시피 경제계층이 서민이란 것이 아니라 이름이 서민이라서 [[넥슨/비판/과금|넥슨의 악명높은 캐시 아이템]]을 익히 알고 있는 유저들에겐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묘하게 다가올 듯]]. 본관은 [[이천 서씨]]. 현 대표이사는 [[박지원]]으로 바뀌었다. === 법학 교수 === [[충남대학교]] 법과대학 학장, 충남대학교 대학원장 역임, 충남대학교 명예교수, 민법 학계에서의 학업 기여 및 그 공적으로 1999년 '''[[대한민국 훈장#s-5|국민훈장 모란장]]'''을 받은 법학계의 대부이자 원로. 본관은 [[이천 서씨]]. === 기생충학 교수 === [[서민(교수)]] 문서로. 본관은 [[이천 서씨]]. 방송에도 자주 나오기 때문에 보통 '서민' 하면 이 사람을 떠올리는 사람들이 제법 많다. 대중적 인지도를 얻기 시작한 초창기에는 국내 유일의 기생충학자로 이름을 알렸으나, 점차 본업보다 시사평론으로 방송에 더 많이 출연하며 대표적인 진보·페미니즘 성향 패널로 자리 잡았다. 다만 문재인 정부 중후반기부터 정부·여당을 맹비난하며 보수·안티페미니즘으로 전향했음을 스스로 밝힌 뒤, 현재는 온라인상에서 보수 성향의 평론가로 활동 중. [[분류:동음이의어]][[분류:동명이인]][[분류:한자어]][[분류:사회 계급]][[분류:넥슨]][[분류:대한민국의 게임 개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