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고릴라속]] [include(틀:멸종 위기 동물)] ||<-2> '''{{{#FFF {{{+1 서부로랜드고릴라}}}[br]Western lowland gorilla}}}'''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7978859c223189bfe9b8a5f606872e01.jpg|width=100%]]}}} || || '''학명''' || ''' ''Gorilla gorilla gorilla'' '''[br]Savage, 1847 || ||<-2>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포유류|포유강]](Mammali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상목'''}}}]] ||[[영장상목]](Euarchontoglires)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영장류|영장목]](Primates)||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사람과(Hominidae)|| || [[생물 분류 단계#과|{{{#000 '''아과'''}}}]] ||사람아과(Hominin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고릴라속(''Gorilla'')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서부고릴라(''G. gorilla'')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아종'''}}}]] ||서부로랜드고릴라(''G. g. gorilla'') || ||<-2> '''{{{#000 멸종위기등급}}}''' || ||<-2> [[파일:멸종위기등급_위급.svg|width=240px]]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언어별 명칭】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어]]''' || 서부로랜드고릴라, 로랜드고릴라, 서부저지대고릴라 || || [[영어]] || Western lowland gorilla || || [[중국어]] || 西部低地大猩猩 || || [[일본어]] || ニシローランドゴリラ || }}}}}}}}}|| [[파일:3865408922_b156a33739_b.jpg|width=400]]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릴라]]의 한 종류. == 생태 == 아프리카 중서부의 저지대의 열대 산림지대에 서식한다.[* 주로 해발 1,500m 이하의 저지대 열대우림에 서식한다.] 고릴라가 모두 그렇듯 성격은 온순한 편이며, 나이 든 수컷을 중심으로 20여마리가 매우 질서있는 고도의 사회생활을 한다. 자기들끼리는 매우 다양한 몸짓과 음성으로 의사소통을 한다. 키 150~180cm, 몸무게 135~275kg이다. 고릴라 중 동부로랜드고릴라 다음으로 크며, 마운틴고릴라에 비해 정수리가 덜 솟아 있으며 얼굴이 넓적하다. 팔은 근육질로서 길고 다리는 짧다. 털은 검은빛을 띤 갈색인데, 수컷은 다 자라면 등과 허리 부분의 털이 잿빛으로 변한다. 잡식성이어서 나뭇잎, 과일, 열매, 줄기 등을 먹는다. 고릴라 중에서는 개체수가 가장 많다. 1980년대의 적도 부근의 아프리카에서의 고릴라의 개체 조사에 의하면 고릴라의 수는 약 10만 마리로 생각되었으나, 몇 년 후에 밀렵과 산림 파괴 때문에 고릴라의 개체 수가 약 5만 마리로 감소한 것으로 그 개체 수량을 조정했었다. 2006년과 2007년에 야생보존협회에 의해 수행된 조사에서는 이전에 보고되었던 10만 마리보다 많은 고릴라가 텔레 호수 공동체 보존의 습지 숲과 콩고공화국 내의 건조 지대 인근에서 살고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현재 정부에서 보호받고 있는데 서부저지대고릴라의 개체수는 약 15만에서 20만 마리가 된다. 그러나 고릴라는 에볼라 바이러스와 산림파괴, 그리고 밀렵에 의해 멸종 위기에 취약한 상태에 놓여 있다. 그래서 보호가 시급한 상황이다. 고릴라 중 개체수가 가장 많기 때문에 전세계 동물원에서 보유 중인 [[고릴라]]는 사실상 모두 이 종[* 마운틴고릴라와 크로스강고릴라는 사육 개체가 한 마리도 없으며 동부로랜드고릴라는 [[벨기에]]의 [[안트베르펜]] 동물원에 암컷 1마리가 존재한다.]이며 국내에서는 서울대공원에서 보유 하고 있는 암컷고릴라가 마지막개체다 그리고 유일하게 딱 한마리밖에없다 해외에서는 중국 상하이동물원, 일본 [[우에노동물원]], [[히가시야마동식물원]], 교토시동물원, [[후쿠오카시동식물원]]에서 보유중 이다. 인간을 제외하고는 천적은 [[아프리카표범|표범]] 뿐이라고 하며 상술했듯 매우 온순한 성격이지만 자극시키면 사납기 때문에 함부로 접근하지 않는게 좋다. 특히 힘이 세서 영장류 중에서도 가장 강한 괴력을 가진 종으로 훈련을 시킬 경우 [[데드리프트]]를 무려 815kg[* 대략 [[GM대우 마티즈]] 무게 정도 된다.] 정도를 들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여담으로 사람의 [[데드리프트]] 최고 기록은 501kg이다. [[http://www.sportsseoul.com/news/read/911862?ref=naver|출처]]] == 여담 == 학명의 세 어절이 전부 고릴라이기에 학명을 풀어 쓰면 '''고릴라 고릴라 고릴라'''이다. 1996년 시카고 외곽에 있는 일리노이주의 브룩필드 동물원에서 3살짜리 소년이 고릴라 우리에 떨어지는 사건이 벌어졌다. 7m가 넘는 높이에서 떨어진 소년은 팔이 부러졌고 얼굴에는 열상까지 입은 상태로 7마리나 되는 고릴라 사이에 떨어진 것이다. 그 중 '빈티 주아(Binti Jua)'라는 이름의[* 태양의 딸(daughter of sunshine)이라는 의미를 지녔다고 한다.] 8살짜리 암컷 서부로랜드고릴라가 부상당한 소년을 팔에 안고는 우리 가장자리로 데려다준 뒤 동물원 직원들이 도착할 때까지 가만히 기다렸고, 소년이 구조된 모습을 보고는 무리로 돌아갔다.[* 심지어는 이 때 빈티는 '쿨라(Koola)'라는 이름의 새끼를 등에 업고 있는 상태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