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G_0867(Seoul_101_1225).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01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101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우이동도선사입구.북한산우이역) ||<-2> 종점 || 서울특별시 중구 서소문동(서소문) || ||<|2> 종점[br]행 || 첫차 || 04:00 ||<|2> 기점[br]행 || 첫차 || 05:10 || || 막차 || 23:00 || 막차 || 00:10 || ||<-2> 평일배차 || 10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14분 / 일,공휴일 14분 || ||<-2> 운수사명 || [[동아운수]] / [[한성운수(서울)|한성운수]] ||<-2> 인가대수 || 32대[* 동아운수 23대(예비 1대) / 한성운수 9대(예비 1대). 동아운수의 경우 고정예비차와 별개로 [[서울 버스 N15|N15번]] 차량을 예비차로 공동사용한다.][* 토요일 / 공휴일 22대(동아운수 15대, 한성운수 7대) 운행] || ||<-2> 노선 ||<-4> 우이동[[도선사(사찰)|도선사]]입구.[[북한산우이역]] - 쌍문동청한빌라 - 방학동우성아파트 - 쌍문동한양.현대아파트 - 도봉구보건소 - [[쌍문역]][* 우이동 방면은 가로변 정류소 정차] - [[수유역]]·강북구청 - [[미아역]] - [[미아사거리역]] - 종암경찰서 - 고려대앞 - 안암오거리 - [[신설동역]] - [[동대문역]] - 종로3가.탑골공원 - 종로1가 → 광화문 → [[서울역사박물관]].경교장 → [[강북삼성병원]] → 서대문경찰서 → [[서소문]] → 서울신문사 → 종로1가 → 이후 역순 || == 개요 == [[동아운수]], [[한성운수(서울)|한성운수]]에서 공동배차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37.81km다. [[http://map.naver.com/?busId=755&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2004년 7월 1일에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신설되었으며, 당시에는 동대문운동장까지만 갔다. 노선은 영신여객에서 운행했던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0번대#s-11|구 6번 도시형버스(우이동 - 서울역)]]에서 가지고 왔다. * 2006년 4월 6일에 '도선사입구 - 국립4.19묘지입구사거리' 구간이 '화계사 - 국립4.19묘지입구사거리'로 변경되었다. [[http://www.sbus.or.kr/change/view.htm?inseq=903|관련 공지사항]]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간선버스#s-5|100번]](도봉산역 - 무교동)과 1125B번(번동 → 고려대 → 답십리역 → 번동)의 폐선으로, 2010년 1월 8일에 '우이동 - 고려대 - 경찰청' 노선으로 변경되었고 한성운수가 공동배차에 참여하게 되었다.[* 동시에 1165번과 우이동 - 수유역/화계사 - 수유역 구간을 맞교환하며 4년 만에 다시 우이동 출발로 환원되었다.][[http://topis.seoul.go.kr/renewal/notice/NoticeView.jsp?seq=1008|관련 공지사항]] * 2018년 8월 27일에 한성운수 차량 2대가 증차되어, 1일 총 운행횟수가 평일 기준 12회 증회되었다. 다만 배차간격에 생기는 변화는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http://gall.dcinside.com/transit/77000|관련 게시물]] * 2019년 1월 5일부터 동아운수 운행 댓수가 토요일의 경우 1대 줄고 공휴일의 경우 1대 늘었다. 이에 따라 1일 총 운행횟수가 토요일의 경우 6회 감회되고 공휴일의 경우 6회 증회되었으며, 이에 따라 토요일의 최소 배차간격도 기존보다 1분 늘어난 8분으로 조정되었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16814689|관련 공문]] * 2019년 3월 18일을 기해 평일의 대당 일 운행 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의 일 총 운행횟수가 11회 감회되었다. 또한 이로 인해 평일 배차간격이 1~2분가량 늘어나게 되었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17341445|관련 공문]] * 일자미상으로 복편 도선사입구 정류장이 삭제되었다. 따라서 우이동 종점 방향은 성원아파트에서 내려야만 한다. * 2020년 3월 27일을 기해 양 방향으로 '청구아파트(ID 10-564, 10-747)' 정류소에 추가 정차하게 되었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19927608|관련 공문]] * 2020년 7월 13일부로 한성운수 차량 1대가 감차되어, 신설되는 [[서울 버스 1125|1125번]]에 투입될 예정이었으나 보류되었다.[[http://www.sbus.or.kr/2018/bus_info/list.htm?off_docu_yn=C|관련 공문]][* 주민들의 민원으로 [[서울 버스 1115|1115번]]과 [[서울 버스 1124|1124번]]을 폐선하고 1125번을 신설하는 조정안 자체가 무기한 보류되었다.] * 2021년 2월 1일을 기해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65분에서 170분으로 5분 늘었고,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회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의 경우 3회,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11회씩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본래 8~12분이던 토요일/공휴일 배차간격이 9~14분으로 늘었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22129447|관련 공문]] == 특징 == * '우이1교 - 도봉구민회관' 구간에서는 방향별로 정류소가 상이하다. 서대문 행은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사용하는 반면, 우이동행은 수유3동우체국을 지난 후부터 [[서울 버스 1126|1126번]], [[서울 버스 도봉05|도봉05번]], [[서울 버스 도봉06|도봉06번]], [[서울 버스 도봉07|도봉07번]]과 함께 가로변 정류장을 쓴다.[* 노선 맞교환 전 1165번의 운행 방식을 계승한 것이다.] 그래서 도봉구민회관을 이용할 사람이나, 창동에 용무가 있는 사람들은 이 노선을 타면 조금 더 편하다. 비슷한 사례로 141번의 방학사거리-도봉소방서 간 가로변 정차가 있다. * 강북삼성병원을 경유하는 시내버스 중 유일하게 병원 바로 앞 정류장에 정차한다. * 2010년 노선 변경으로 [[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간선버스#s-5|구 100번]]의 '도봉구민회관 - 수유역 - 미아사거리역 - 종암동 - 신설동역 - 종로1~6가' 구간을 계승하고 있으며, 종암동에서 종로를 잇는 유일한 노선이다. 그나마 [[동대문역]]까지는 [[서울 버스 144|144번]]과 [[서울 버스 111|111번]]이 보완해주지만 111번은 종암동 구간만 담당하며 배차간격이 20분 정도로 꽤 길고, 144번도 방향별로 우이동과 삼양동, 강남과 한남동에서 채워온 승객들로 가득한 건 마찬가지라(...). * 위에 서술되었듯 종암동~종로 수요를 독점하기 때문에 상당한 혼잡도를 자랑한다. 우이동 방면 기준으로 평시에도 종로5가만 넘어가면 입석이 발생하며, 퇴근 시간대에는 회차지점인 서대문경찰서부터 자리를 채우고 서소문에서 입석이 되며, 종로1가에는 차내 혼잡도 '보통'인 상태로 진입할 때가 흔하다.[* 평일 야간에도 '''종로3가부터는 착석을 보장할 수 없다.''' 편도회차구간 종료 이후 네 번째 정류장밖에 안 되는데도 이 정도다. 22:00~23:00 이후엔 '그나마' 여유가 생기는 편.] 더군다나 '서대문경찰서 - 서소문 - 서울신문사' 구간은 악명 높은 정체 구간이라 배차가 굉장히 자주 깨진다. 러시아워에 20분까지 벌어져 뒷차에 헬게이트가 벌어지는 일도 흔하다. 거기에 퇴근 시간 종로 중앙버스전용차로의 기차놀이 + 안암로/종암로의 정체가 더해져 상황이 나빠지면 나빠졌지 좋아지진 않는다. * 위에 서술되었듯 종암동~종로 수요를 독점하기 때문에 상당한 혼잡도를 자랑한다. 우이동 방면 기준으로 평시에도 종로5가만 넘어가면 입석이 발생하며, 퇴근 시간대에는 회차지점인 서대문경찰서부터 자리를 채우고 서소문에서 입석이 되며, 종로1가에는 차내 혼잡도 '보통'인 상태로 진입할 때가 흔하다.[* 평일 야간에도 '''종로3가부터는 착석을 보장할 수 없다.''' 편도회차구간 종료 이후 네 번째 정류장밖에 안 되는데도 이 정도다. 22:00~23:00 이후엔 '그나마' 여유가 생기는 편.] 더군다나 '서대문경찰서 - 서소문 - 서울신문사' 구간은 악명 높은 정체 구간이라 배차가 굉장히 자주 깨진다. 러시아워에 20분까지 벌어져 뒷차에 헬게이트가 벌어지는 일도 흔하다. 거기에 퇴근 시간 종로 중앙버스전용차로의 기차놀이 + 안암로/종암로의 정체가 더해져 상황이 나빠지면 나빠졌지 좋아지진 않는다. * 한편 서소문 방향의 경우에도 첫/막차[* 사실 첫차도 미아사거리역 지나면 혼잡도 보통을 찍는 경우가 다반사다.]를 빼면 시간대를 막론하고 미아사거리역에서 어느 정도 물갈이가 한번 이뤄지~~는 것처럼 보이~~지만 종암동 구간(종암경찰서~숭례초교)에 들어서는 순간 내린 사람보다 더 많은 사람이 몰려든다. 고대앞에서는 종로4가 이서 방향 승객을 분산시킬 [[서울 버스 273|273번]]이 합류하지만, 273번은 안암역으로 향하니 결국 신설동역까지 가는 중에 사람들이 또 몰린다. 이 구간을 같이 운행하는 [[서울 버스 144|144번]]은 동대문까지만 겹치고, [[서울 버스 173|173번]]은 배차간격도 나쁜데다 신설동로터리에 정차하지 않고 바로 난계로와 청계천로로 향해서 시쳇말로는 없는 노선 취급. [[서울 경전철 동북선]]이 개통되어도 제기동역에서 환승하게 되기 때문에 이 노선이 수요를 크게 잠식당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173번의 종로 입성이 시급합니다~~ 신설동역에 도착하면 물갈이가 나쁘지 않게 되는 편이긴 하지만 대부분의 승객들이 종로5가 이후까지는 가기 때문에 혼잡도는 말이 아니다. * 이 때문에 한성운수와 공동배차를 시작하며 노선이 현재 상태로 조정된 이후 느릿느릿 증차되고 있지만, 여전히 역부족이다. 조금 혼잡도를 덜어보겠다고 2018년 8월에 한성운수 차량이 2대 증차되었으나, 운행회수가 다시 감회되고 [[의정부 버스 111|111번]]도 단축되며 도로아미타불(...). 이후 2021년에 [[서울 버스 111|111번]]이 신설되어 보완을 해준다지만 배차간격이 20분 정도로 꽤 길고, 동대문까지밖에 가지 않기 때문에 종로와 광화문 수요를 대체 하기엔 역부족이다. 차 빼서 다른 노선 만들거나 감차하기 바쁜 서울시에서도 지속적으로 증차를 할 정도로 혼잡도가 심각한 노선이다. 날이 갈수록 혼잡도는 배가 되어 가는 중. * 서대문경찰서 정류장을 지나가면서 7권역인 서대문구에 들어가나, 실질적 종점은 서소문이라 회차지 권역번호는 여전히 0이다. * [[서울 경전철 동북선|동북선]]이 개통되면 영향을 받을 노선이라는 시각이 있으나 종암로 구간만 겹칠 뿐이고 기/종점과 노선 목적이 달라 큰 의미를 두긴 어렵다. * 한성운수 차량은 번동 본사 소속이며 첫/막차시간 전후에만 우이동으로 공차회송한다. 또한 이 차량들은 번동에서 가스를 충전한다. 그리고 [[서울 버스 145|145번]]을 제외한 번동 한성운수 노선들은 다 만나며, 시청역 주변에서 [[서울 버스 504|504번]]과도 만난다. * 광화문 등 도심에서 집회가 있을 경우 대부분 종로4가.종묘 정류장,,,(ID 01-018),,,까지만 정차한 뒤 '종로3가교차로 → (돈화문로) → 창덕궁교차로 → (율곡로) → 원남동사거리 → (창경궁로) → 종로4가교차로' 코스로 우회하여 종로5가.광장시장 정류장,,,(ID 01-019),,,부터 본 노선으로 복귀하며, 이마저도 여의치 않을 경우 대광초교 정류장,,,(ID 08-159),,,까지만 정차 후 '브라운호텔 → 보문역 → 고대병원 → 안암역' 코스로 우회하여 고려대학교앞 정류장,,,(ID 06-175),,,부터 정상운행하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우회하는 경우에는 대부분 운행사원이 매 정류장에서 승객을 태울 때마다 '종로4가/대광초교까지만 갑니다'라고 공지하므로 미정차 구간은 중간에 대체 노선으로 환승하거나[* 도심 집회의 경우 종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쭉 타는 버스 노선들은 별도로 우회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종로3가~서울역사박물관 구간은 어느 정도 대체할 수 있다.] 지하철을 이용하자. * 한성운수 노선들 중에서 유일하게 도봉구 진입 노선이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01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19,667명 || - || || 2014년 || 19,079명 || {{{#blue ▽ 588}}} || || 2015년 || 18,542명 || {{{#blue ▽ 537}}} || || 2016년 || 18,239명 || {{{#blue ▽ 303}}} || || 2017년 || 17,585명 || {{{#blue ▽ 654}}} || || 2018년 || 17,612명 || {{{#red △ 27}}} || || 2019년 || 18,316명 || {{{#red △ 704}}} || || 2020년 || 14,577명 || {{{#blue ▽ 3,739}}} || || 2021년 || 13,907명 || {{{#blue ▽ 670}}} || ||<-3> {{{-3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2019년 의정부 111번 버스가 하계역으로 단축되면서 대체노선인 이 노선의 승객이 700명 늘었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 [[신설동역]][* 서소문 방향 신설동로타리 하차, 우이동 방향 신설동 1번 출구 하차], [[동묘앞역]][* 동묘앞 정류장 하차], [[동대문역]], [[종로5가역]], [[종로3가역]][*A 종로3가.탑골공원 정차], [[종각역]], [[시청역(서울)|시청역]][*B 서소문 정차]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 신설동역, 시청역[*B]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 종로3가역[*A]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 [[쌍문역]], [[수유역]], [[미아역]], [[미아사거리역]], 동대문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 : 종로3가역[*A], [[광화문역]][* 광화문 중앙차선 정차]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6호선]] : [[고려대역]][* 고려대학교 정차], 동묘앞역 * [[파일:UiLine_icon.svg|width=17]]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 [[북한산우이역]], [[솔밭공원역]][* 쌍문동청한빌라 하차 후 도보], 신설동역 [[분류: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1권역]][[분류:2004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