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 1권역 지선버스)] || [[파일:한성1144번_블루시티저상.png|width=100%]] || [[파일:1144_8704.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44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1144노선도 Bng.png|width=100%]]}}} || ||<-2> 기점 || 서울특별시 노원구 하계동(한성여객종점) ||<-2> 종점 ||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진성빌라사거리) || ||<|2> 종점[br]행 || 첫차 || 05:00 ||<|2> 기점[br]행 || 첫차 || 05:40 || || 막차 || 23:40 || 막차 || 00:20 || ||<-2> 평일배차 || 13~20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15~22분 / 공휴일 18~22분 || ||<-2> 운수사명 || [[한성여객]] ||<-2> 인가대수 || 9대(예비 1대)[* 토요일 7대 / 공휴일 6대 운행] || ||<-2> 노선 ||<-4> 한성여객종점 - [[하계역]] - 중평초등학교 - [[서울아이티고등학교]][*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 - 창동주공17단지 - 창동농협물류센터 - 도봉면허시험장 - [[노원고등학교]] - 방학사거리 - 방학동신동아아파트 → 우이동도선사입구.[[북한산우이역]] → 진성빌라사거리 → 쌍문동청한빌라 → 방학동우성아파트 → 방학3동주민센터 → 방학동신동아아파트 → 이후 역순 || == 개요 == [[한성여객]]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19.89km다.[[https://map.naver.com/v5/bus/bus-route/-/bus-route/827?c=14140190.9633886,4530370.1160054,13,0,0,0,dh|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300번대#s-18|구 333번]](하계동 - 대지극장) 도시형버스가 전신이다. 개편 이전 삼화교통 시절(1970년대)에는 우이동에서 신림8동까지 운행하는 장거리 노선이었다. 1986년에 한성버스에 노선을 매각한 후 우이동에서 남대문시장까지만 단축 운행했으며 1987년에 노원역 연장 및 우이동-노원역 환승노선 폐지. 1988년에 한성여객에 노선을 매각하고 남대문시장-무교동 구간을 단축했고 1990년대에 무교동에서 미아사거리까지 단축했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때 1144번으로 번호가 변경되었다. * 2005년 10월 20일에 삼양동입구사거리까지 연장되었다. * 2018년 10월 12일부터 평일 운행횟수가 2회 감회되었다. 다만 이로 인한 배차간격 변화는 매우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16255039|관련 공문]] * 2019년 5월 13일을 기해 동년 9월 30일까지, 하절기 감압충전 및 차내 냉방 실시에 의한 가스충전 횟수 증가에 따라 대당 1일 운행횟수를 일시적으로 감축 운영했다. 이에 따라 해당 기간동안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각각 4회씩 감회되었으며, 본래 전일에 걸쳐 15분인 최대 배차간격도 2분 늘어난 17분으로 조정 운영되었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17772684|하절기 운행계통 한시적 변경 공문]][[http://opengov.seoul.go.kr/sanction/17957314|배차간격 재조정 및 소급 적용 공문]] * 2019년 12월 30일을 기해 본래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146분/146분/138분이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52분/150분/145분으로 늘고 이에 따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각각 4회씩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토요일 최소 배차간격이 8분에서 10분으로 늘었으며 10~15분이던 공휴일 배차간격도 12~16분으로 늘었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19452096|관련 공문1]][[http://opengov.seoul.go.kr/sanction/19543630|관련 공문2]] * 2020년 3월 13일에 우이동성원아파트~도봉세무서 구간과 상계주공2단지 구간이 단축[* 해당 구간은 [[서울 버스 1120|1120번]]이 연장된다.]되었고, 청한빌라와 초당초등학교를 경유하여 편도회차하게 되었고 04:30/23:00였던 기점 첫막차시각이 05:00/23:40으로 늦춰졌다. 또한 차량 10대가 감차되어 8대는 [[서울 버스 1120|1120번]]에, 나머지 2대는 각각 1대씩 [[서울 버스 1131|1131번]], [[서울 버스 1141|1141번]]에 증차되었다.[* 감차되는 차량은 정규 8대 + 잉여예비 2대의 구성. 정확히는 기존 1144번 소속 차량 중 2대만 남고 모두 1120번으로 넘어가며, 기존 1120번 차량 중 1131번과 1141번에 각각 1대씩 증차되고 나머지 6대가 1144번으로 이동.] 이에 따라 평일/토요일/공휴일의 운행 댓수가 각각 8대/6대/7대씩 감축되고, 노선 단축에 따른 인가 운행소요시간 감소로 정상운행차량과 단축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모두 증편되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10회/4회/15회씩 감회되었다. 이번 노선조정 및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배차간격이 평일 8~15분/토요일 10~15분/공휴일 12~16분에서 '''평일 12~20분/토요일 14~22분/공휴일 16~25분'''으로 크게 늘었다. 문서 하단의 통계 자료로 유추할 수 있듯 노선 전 구간의 평균치로 따지면 승객수가 많지는 않은 편이나, 출퇴근시간에는 방학로~노원역 구간에서 이용객이 상당히 많고 혼잡도가 높은 노선인 만큼 배차간격 대폭 증가에 따른 시민 불편 발생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http://www.sbus.or.kr/2018/bus_info/list.htm?Page=1&seq_no=4726&off_docu_yn=C&search=&searchkey=|관련 공문(서울시 버스운송사업조합)]][[http://opengov.seoul.go.kr/sanction/19874782|관련 공문(서울시 버스정책과)]] * 2020년 5월 6일을 기해 예비차 1대가 증차되면서 고정 예비차량이 생겼고[* 증차분은 [[서울 버스 1120|1120번]] 예비차 감차분이며, 이 노선에서도 계속 비투입 예비차량으로 남을 예정이다.], 이와 동시에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84분/83분/79분에서 100분/98분/92분으로 늘어나고 정상운행차량과 단축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모두 감축되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8회/7회/6회씩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경과 함께 현재 평일 12~20분/토요일 14~22분/공휴일 18~25분이던 배차간격도 평일 14~18분/토요일 15~20분/공휴일 15~22분으로 조정되었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20250678|관련 공문]] * 2020년 7월 6일을 기해 동년 10월 5일까지, 하절기 감압충전 및 차내 냉방 실시에 의한 가스충전 횟수 증가에 따라 대당 1일 운행횟수를 일시적으로 감축 운영했다. 이에 따라 해당 기간동안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의 경우 각각 4회씩, 공휴일의 경우 3회 감회 운영되었으며, 이에 따라 평일/토요일의 배차간격도 13~20분/15~22분으로 조정 운영되었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20706130|관련 공문1]][[http://opengov.seoul.go.kr/sanction/20715803|관련 공문2]] * 2020년 11월 7일을 기해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00분/98분/92분에서 105분/100분/94분으로 '''또''' 늘어나고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 역시 '''또'''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의 경우 각각 4회씩, 공휴일의 경우 3회 감회됐다.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본래 각각 14~18분/15~20분/15~22분이던 평일/토요일/공휴일의 배차간격이 13~20분/15~22분/18~22분으로 조정되었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21488838|관련 공문1]][[http://opengov.seoul.go.kr/sanction/21654668|관련 공문2]] == 특징 == [[파일:1144다음정류장이어디냐.png|width=500]] * [[굴곡 노선|말로도_지도로도_설명_못하는_기기묘묘한_노선.png]] -- 기사도 가끔 헷갈린다고.. -- 골목길과 위 사진과 같은 길[*하행 창동농협물류센터~상계주공2단지상가][*상행 상계주공2단지223동~창동역동측]을 지나다녔고, 선형도 매우 굴곡졌기에 배차간격이 좋지 않았다.[*참고 이 구간을 저상버스를 타고 지날 때 노면 상태가 매우 불량하므로, 조심해야 한다.] 그나마 지금은 배차간격이 매우 나아진 것이다. 예전 구 333번 버스 시절에는... 정말 버스가 다니는 것이 맞나 하는 의구심을 들게 할 정도였다. 출퇴근 시간에 10~15분 기다리는 건 예사고, 그나마 힘들게 기다려서 온 버스가 사람이 너무 많아 정류장에서 정차만 하고 문은 안 열어 주는 사태도 비일비재했다. 그나마 2020년 3월 13일부로 이 굴곡 자체는 없어졌지만, 차량이 많이 감차되면서 배차간격은 더욱 개악되었다. * 방학, 쌍문 지역에서 [[서울문화고등학교]]와 노원고등학교로 통학할 수 있는 유일한 노선이였고, 노원역과 최단 거리로 연결해주는 노선(실제로 낮 시간 한적한 시간에 타면 방학동에서 노원역까지 10분안에 도착하는 위엄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아침시간엔.. 더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이라 엄청나게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기 때문에, 항상 아침 시간 대에는 전쟁이 따로 없다. 거기다가 비라도 오는 날엔... * 한때 해당 노선의 버스가 합성된 사진이 인기를 끌기도 했다. 버스 내부에 비친 창문이 합성의 증거인데, 페이스북 등에서는 실제로 믿는 사람도 많은 듯.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중 '''유일하게 [[동부간선도로]]를 지나가는 노선이었다. 물론 아주 잠깐.'''[* 예전에는 8146번도 다녔지만 현재 폐선되었다.] 2020년 3월 13일부터는 동사 1120번이 이 타이틀을 이어받았다. 1120번도 마찬가지로 아주 잠깐 지나간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44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8,216명 || - || || 2014년 || 7,894명 || {{{#blue ▽ 322}}} || || 2015년 || 7,638명 || {{{#blue ▽ 256}}} || || 2016년 || 7,243명 || {{{#blue ▽ 395}}} || || 2017년 || 6,867명 || {{{#blue ▽ 376}}} || || 2018년 || 6,697명 || {{{#blue ▽ 170}}} || || 2019년 || 6,549명 || {{{#blue ▽ 148}}} || || 2020년 || 2,781명 || {{{#blue ▽ 3,768}}} || || 2021년 || 2,114명 || {{{#blue ▽ 667}}} || ||<-3> {{{-3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2020년에는 노선변경과 코로나19 사태로 승객이 상당히 줄어들었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창동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창동역, [[노원역]][* 도봉면허시험장 하차]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하계역]], 노원역[* 우이동 방면은 상계6동우체국 하차, 하계동 방면은 노원구청앞 하차] * [[파일:UiLine_icon.svg|width=17]]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 [[북한산우이역]] [[분류: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0,1권역]][[분류:1974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