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46_1899.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46_3610.jpg|width=100%]]}}} || || 흥안운수 차량. || 삼화상운 차량.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46번}}} || ||<-6> {{{#!wiki style="max-width:700px;margin:auto"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146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출발]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상계10동우체국)[br][도착]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상계주공7단지.광림교회) ||<-2> 종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서초푸르지오써밋.롯데캐슬클래식) || ||<|2> 종점[br]행 || 첫차 || 04:05[*A 평일 첫차시각에는 3대가 한 번에 출발한다. 또한 그 후에도 1분 간격으로 7대가 출발하는데, 이 차들까지 실질적 첫차시간대 집중배차 댓수에 포함시켜 센다면 무려 10대가 된다. 물론 그전에 8146번 3대까지 하면 무려 13대이다.] ||<|2> 기점[br]행 || 첫차 || 05:38[*A] || || 막차 || 23:00 || 막차 || 00:39 || ||<-2> 평일배차 || 1~12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4~12분 / 공휴일 6~12분 || ||<-2> 운수사명 || [[흥안운수]] / [[삼화상운]] ||<-2> 인가대수 || 42대(예비 4대)[* 흥안운수 30대(예비 3대) / 삼화상운 12대(예비 1대).][* 토요일 35대(흥안운수 26대, 삼화상운 9대) / 공휴일 32대(흥안운수 22대, 삼화상운 10대) 운행] || ||<-2> 노선 ||<-4> {{{#aaa 7단지영업소}}} - 노원고등학교 - 도봉구청 - 서울북부지방법원.검찰청.성우아파트 - [[수락산역]] - [[마들역]] - 도봉면허시험장 - 상계주공1단지.백병원 - [[중계역]] - [[하계역]] - [[공릉역]] - 공릉시장 - [[태릉입구역]] - [[먹골역]] - 한국전력동대문중랑지사 - [[중화역]] - 면목2동 - 면곡시장 - 군자교 - 화양사거리 - 영동대교북단 - {{{#aaa 영동대교}}} - [[청담역]].경기고교 - [[봉은사역]] - [[삼성역(도시철도)|삼성역]] - [[선릉역]] - [[역삼역]] - [[강남역]] → 진흥아파트 → 서초푸르지오써밋.롯데캐슬클래식 → [[신논현역]] → 강남역 → 이후 역순 || === 새벽 맞춤노선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과거 운행했던 구 8146번, rd1=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맞춤버스)]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_MG_1963.jpg|width=100%]]}}}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맞춤버스 8146번}}} || ||<-2> 기점 || [출발]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상계10동우체국)[br][도착]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상계주공7단지.광림교회) ||<-2> 종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서초푸르지오써밋.롯데캐슬클래식) || ||<|2> 종점[br]행 || 첫차 || 03:50 ||<|2> 기점[br]행 || 첫차 || 05:27 || || 막차 || 04:00 || 막차 || 05:37 || ||<-2> 평일배차 || 5분 (1일 3회) ||<-2> 주말배차 || '''미운행''' || ||<-2> 운수사명 || [[한성여객]] ||<-2> 인가대수 || 3대[* 모두 예비차로 인가되어 있다.] || ||<-2> 노선 ||<-4> '''146번과 동일''' || == 개요 == [[삼화상운]], [[흥안운수]]에서 공동배차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7.2km다. [[https://map.naver.com/v5/bus/bus-route/146/bus-route/875?c=14135490.7208794,4522768.4636141,11,0,0,0,dh|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900번대#s-32|구 960번]] 좌석버스(노원교입구 - 논현역)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강남역으로 단축되었고, 146번 간선버스로 전환되었다. * 2005년 6월 20일에 [[서울 버스 1145|1145번]]이 146번과 통폐합 되며 기존 노원교차고지에서 현재 차고지인 7단지영업소로 변경되면서 '상계주공7단지-도봉구청-노원교'구간이 연장되었다. 그와 동시에 [[한성여객]]이 1145번의 폐선분을 일부분 이용하여 공동배차를 시작했다. * 2005년 8월 9일에 舊 103번이 서초역까지 연장되어 149번으로 변경되고, 舊 1016번은 용산역에서 서울역으로 단축과 동시에 형간전환되어 103번으로 바뀌자, 2달여만에 [[한성여객]]이 [[서울 버스 100|149번(현 100번)]] 차량 증차를 위해 철수하고 대신 [[삼화상운]]이 공동배차를 시작했다. * 2018년 10월 8일을 기해 기점 막차시각이 23:20에서 23:00로 앞당겨졌다. 또한 평일에 한해 단축운행차량과 동일하게 일 2회 운행해오던 삼화상운 측 예비투입차량 1대가 감차되어 [[서울 버스 N61|N61번]]으로 이동했고, 평일/토요일/공휴일의 각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203분/196분/180분에서 231분/219분/201분으로 늘고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1일 총 운행횟수가 기존 대비 16회/14회/13회씩 감회되어 154회/140회/128회로 조정되었다. 이에 따라 평일/토요일/공휴일 각 최소/최대 배차간격이 1~10분/4~11분/6~12분에서 1~15분/4~15분/6~15분으로 늘어났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16189435|관련 공문]] * 2019년 6월 10일부터 첫차와 2회차는 2대의 버스가 동시 출발하고, 3~5회차까지는 1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즉 04:05/04:05/04:06/04:06/04:07/04:08/04:09에 출발한다. 사실상 첫차 시간대 집중배차 댓수를 5대에서 7대로 늘린 셈이다. 또한 같은 날을 기해 상세 배차 조정이 이뤄짐에 따라,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2018년 10월 8일에 15분으로 늘어났던 최대 배차간격이 12분으로 줄어들게 되었다. [[http://opengov.seoul.go.kr/sanction/17957459|관련 공문]] * 2020년 3월 13일을 기해 강남역 방향 운행 시 '서원아파트(ID 10-735)' 정류소에 추가 정차하게 되었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19823820|관련 공문]] * 2022년 12월 1일부로 흥안운수 측의 평일 단축운행차량 4대 중 1대는 감차되어 [[서울 버스 N13|N13번]]으로 이동하고, 1대는 정상운행차량으로 전환되었다. 다만 이번 조치에 의한 운행횟수 및 배차간격 변동 발생은 없다. [[https://www.sbus.or.kr/2018/bus_info/list.htm?Page=1&seq_no=5463&off_docu_yn=C|관련 공지]] * 2023년 1월 16일부터 이 노선과 동일한 경로로 운행하는 새벽 맞춤버스 노선인 8146번이 개통했다. [[한성여객]]의 예비차량을 활용하여 평일 3회 운행한다. 또한 같은 날(추정)부터 첫차와 2회차가 두 대씩 연달아 나가고 5회차까지 1분 간격으로 나오는 것에서 첫차는 3대가 연속으로나가고 8회차까지 1분 간격으로 나오는 것, 즉 04:05/04:05/04:05/04:06/04:07/04:08/04:09/04:10/04:11/04:12에 출발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삼성역 일대 영동대로 복합개발공사로 인한 운행소요시간 증가에 따라, 2023년 10월 4일부터 해당 공사 완료시까지 한시적으로 평일/토요일/공휴일의 각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231분/219분/201분에서 244분/230분/210분으로 늘어나고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된다. 이에 따라 해당 기간동안, 평일/토요일/공휴일의 각 1일 총 운행횟수도 7회/7회/6회씩 감회된 147회/133회/122회로 운영되며 최소/최대 배차간격은 평일과 공휴일에는 변동이 없으나 토요일 최소 배차간격이 4분에서 5분으로 조정된다.[[https://opengov.seoul.go.kr/sanction/29327171|관련 공문]] == 특징 ==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8146번 제외.[* 2023년 12월 4일부터 [[https://opengov.seoul.go.kr/sanction/29699788|관련 방침이 변경]]되나, 146번과 8146번은 동일 노선으로 간주되지 않으므로 한성여객이 운행하는 8146번의 현금승차는 유지된다.]) * 노원-강남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포천 버스 3100|3100번]], [[포천 버스 3600|3600번]], [[서울 지하철 7호선]] 중 7호선과 함께 가장 대표적인 주력 노선[* 과거엔 노원-강남을 오가려면 유일하게 이 노선의 전신인 구 960번 좌석버스 밖에 없던지라 가축수송은 일상이었고, 이후 [[포천 버스 3100|포천 3100번]]과 [[포천 버스 3600|3600번]], 그리고 [[서울 지하철 7호선]]이 개통되면서 그나마 분산된 것이다.]이다. [[동일로]]를 타고 노원구, 중랑구, 광진구를 관통하는데, 해당 지역 연선에서는 사실상 강남 가는 유일한 노선이다 보니[* 상봉동부터는 242번이 있어 예외긴 하지만, 이때부터는 7호선이 동일로에서 빠지기에 지하철을 타려고 면목로까지 가기 귀찮은 수요까지 포함해서 오히려 더 많은 승객이 탄다. 또한 주 수요인 영동대로 방향은 거의 독점으로 봐도 무방하다. 3217번이 있긴 하지만 화양동에서 회차하고 그마저도 편도 구간이기 때문이다.] 인지도가 상당히 높다. 또한 중랑천과 인접한 [[동대문구]] 동부[* [[이문동]], [[휘경동]], [[장안동(서울)|장안동]]] 주민들도 강남으로 가기 위해 중랑천을 넘어와서 자주 이용한다. * 이런 노선의 특성상 구간수요는 물론이고 노원-중랑-광진-강남의 장거리 수요도 상당하기에 퇴근 시간에는 그야말로 엄청난 [[가축수송(교통)|가축수송]]에 시달리고 있다. 그래서 강남에서 탑승한 탑승객 상당수가 중랑구 또는 노원구까지 쭉 가기 때문에 타자마자 앉지 못하면 거의 계속 못 앉는다고 볼 수 있다. 대낮에도 [[삼성역(도시철도)|삼성역]]만 지나면 높은 확률로 좌석이 사라질 정도. * 첫차 시간대에는 차고지에서 여러 대가 연달아 출발한다. 그리고 강남 방향으로 가면서 먼저 혼잡해진 앞 차는 정류소를 그냥 지나가고 비교적 한산한 뒷 차가 태우는 방식을 반복하며 점차 간격을 조금씩 늘린다. 그러다가 회차 후 복편 운행 과정에서 집중배차 차량들 중 몇대가 다시 붙어 올라오는 일도 흔한데, 이는 출발할 때 워낙 짧은 간격으로 출발했던데다 새벽 도로가 매우 한산하고 노원 방향으로는 승객 수가 매우 적기 때문이다. * 삼성역 사거리에서 영동대교 방향으로의 좌회전이 2015년 즈음부터 허용되었는데도 이 노선은 계속 우회전 후 유턴을 고수하고 있었는데, 바꾸지 않는 것을 보면 아마 수요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현재는 [[GTX-A]] 공사로 인해 다시 좌회전이 금지된 상황이다. * 수요가 꽤 좋기 때문에, 맞춤버스가 한창 생기던 2008년에 예비차를 활용하여 [[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맞춤버스#s-10|8146번]]이라는 맞춤버스를 만들어서 운행하기도 했다. * 삼성역에서 수락산역까지 직선으로만 다닌다. 노선 전 경로상에서 꺾는 구간은 상계동 - 수락산역(도봉동), 삼성역 - 강남역사거리, 회차구간, 그리고 상계동 방면 운행시 삼성역사거리에서 우회한 후 U턴하는 곳 뿐. 그러면서도 [[중앙버스전용차로]]를 경유하는 구간이 전혀 없다. 특히 140번대 간선버스들 중 유일하게 중앙차로와 [[성북구]]를 지나지 않는다. * 신논현역 정류장은 강남대로 가로변에 정차한다. 출퇴근시간만 되면 신논현역 가변정류장에서 줄지어 기다리는 승객도 상당히 많다. * 심야버스를 제외하고 서울 시내버스 중 유일하게 동일로지하차도를 통과한다. 즉 중화~상봉~면목동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효과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공동배차로 운행하는 서울특별시 간선버스들 중 운행거리가 가장 길다.[* 계열사끼리 공동배차로 운행하는 서울특별시 간선버스를 제외하면 이 타이틀은 [[서울 버스 262|262번]]이 가져가게 된다.] * [[테헤란로]] 정체로 인해 배차간격이 상당히 불규칙해 심한 경우엔 30분 가까이 벌어지기도 한다. * [[수락산역]]부터 [[중화역]]까지 [[서울 지하철 7호선]], [[삼성역(도시철도)|삼성역]]부터 [[강남역]]까지 [[서울 지하철 2호선]]과 노선이 완전히 겹친다. * [[동일로]]와 [[테헤란로]]를 끝까지 완주하는 노선이다. * 7단지영업소 정류소는 서울 TOPIS에는 정식정류장,,(정류소 ID 11-502/504),,으로 인가 되어 있고, 정류소 노선도에도 정식 정류장으로 등재되어 있으나, 운수업체측이 임의로 승하차를 막고 있다. === 과거의 늦은 막차 시절 === 개편 초반~중반에는 [[노원구]]와 [[중랑구]], [[광진구]]의 심야 시간에 유용했다. 2004년 대개편 당시에는 00:40에 출발하여 강남역에 01:30에 찍고 돌아왔으나 2005년 5월에 1145번과 통합하여 도봉동으로 연장된 후 도봉 - 강남 심야버스 역할까지 맡으면서 막차가 더 늦어졌다. 2005년 5월부터 2007년 6월까지는 막차시각이 상계7단지 기점 기준 00:45, 교보타워 기준으로는 02:05였다. 도봉동과 상계동 북부 루프를 다 돌고 내려오면 20분 가량 소요된다. 이 덕분에 노원역에서는 01:00 넘어서도 종점인 강남 방향으로 탈 수 있었고 심지어 중계역에서 상계동 방향은 03:00에도 탈 수 있었다. 이는 [[서울 지하철 7호선]] 막차보다도 훨씬 늦은 것이었다. 그러나 노원 - 강남을 잇는 [[포천 버스 3100|3100번]]이 등장하고부터 막차가 당겨지기 시작하여, 2007년 6월에는 00:30, 2009년 7월말에 00:10으로, 2011년 4월초에 23:50으로, 2012년 3월 16일부터는 23:20이 되며 평일 하행 기준으로는 [[서울 지하철 7호선]]보다도 더 이르게 되고, 나름대로 역사와 전통이 있는 심야운행이 사실상 종료되었다. 강남에서 올라오는 방향은 여전히 7호선보다 늦지만 안그래도 테헤란로 - 영동대로(코엑스-영동대교 남단 구간) - 동일로 구간의 주민들에게는 심야 이동이 불편해졌다. 하지만 2013년 9월 12일 개통된 [[서울 버스 N61|N61번]] 심야버스가 상계7단지~강남역 구간을 이 노선과 유사하게 운행하게 되며 노원역 이북과 마들로 구간, 군자교~성수사거리 구간 등 일부 구간을 제외한 상당수 구간의 심야 대체수단 문제는 해결되었다. === 8146번 === [[한성여객]]에서 운행하는 새벽맞춤버스 노선으로 경로 자체는 146번과 동일하며 7단지영업소 출발시각 기준 03:50부터 04:00까지 5분 간격으로 평일 3회 운행한다. 예전부터 새벽시간대의 146번은 도봉구 방학동/도봉동 일부 지역과 노원구/중랑구 [[동일로]] 주변에 거주하면서 새벽 일찍 강남으로 출퇴근하는 사람들로 가득했다. 하지만 기점과 강남 지역과의 거리가 워낙 멀어 146번의 첫차시각 04:05가 너무 늦다는 민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설됐다. 사실 146번이 2005년 현 경로로 운행하기 시작했을 당시에는 첫차시각이 더 늦었지만, 첫차를 당겨달라는 민원이 반영되어 2~3차례 앞당겨진 시각이 근래의 04:05였고 이게 10년 이상 잘 유지되긴 했다. 그러나 문제는 2010년대 후반 들어 [[에코시스템|연비절감 장치]]의 확대, 근로여건 개선을 위한 조치(행정 인가상 운행소요시간이 늘어나면서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었다. [[https://opengov.seoul.go.kr/sanction/16189435|관련 공문]]) [[안전속도 5030|도로의 최고제한속도 하향]] 등 다양한 원인들에 의해 실제 소요시간이 점차 늘어나면서 첫차의 출발시각은 같아도 종점인 강남지역 도착시각이 점점 늦어지게 되자 첫차시각 관련 민원이 다시금 빈번하게 제기된 것이다. 또 146번 첫차시각 이전에도 경로 대부분이 겹치는 [[서울 버스 N61|N61번]]이 있긴 하나, 일부 지역에서는 경로에 차이가 있기도 하고 기본요금이 비싸서 첫차시간대 수요객층들 상당수는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는데 이 노선의 신설로 해결됐다. 서울교통정보센터에 의하면 해당 노선은 간선버스가 맞다. 그러나 한때는 [[네이버 지도]], [[카카오맵]] 등에는 지선버스라고 잘못표기되어 있었다. 지선버스가 4자리수 번호체계를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생긴 착오로 추정된다. 이후 간선버스로 수정되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서울 버스 8146, version=18)] ==== 8146번 시간표 ==== ||<-3> {{{#ffffff 서울특별시 맞춤버스 8146번 운행시간표}}} || || 03:50 || 03:55 || 04:00 || === 일평균 승차인원 === ||<-3>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46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31,423명 || - || || 2014년 || 31,500명 || {{{#red △ 77}}} || || 2015년 || 30,294명 || {{{#blue ▽ 1,206}}} || || 2016년 || 29,290명 || {{{#blue ▽ 1,004}}} || || 2017년 || 29,776명 || {{{#red △ 486}}} || || 2018년 || 29,760명 || {{{#blue ▽ 16}}} || || 2019년 || 28,705명 || {{{#blue ▽ 1,055}}} || || 2020년 || 23,021명 || {{{#blue ▽ 5,684}}} || || 2021년 || 22,392명 || {{{#blue ▽ 629}}} || || 2022년 || 24,027명 || {{{#red △ 1,635}}}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전체적으로 승객이 감소세에 접어들고 있었다. 이는 한때 60만명을 넘기기도 했던 노원구의 인구수가 2010년대 들어 감소세에 접어든데다, 동일로를 혼자 다니던 이 노선을 분산하기 위해 서울시에서 여러 노선들을 동일로에 집어넣었고(대표적으로 2015~2016년을 거쳐 [[서울 버스 242|242번]]이 기존의 [[동일로]] 수요를 분담하면서 승객이 2,210명 줄었고, 2021년부터는 2311번, 2416번 버스도 동일로의 수요를 일부 분산하기 시작하여 승객이 629명이 줄었다.), 2020~21년에는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사람들의 이동량이 줄고 여러 가지 사회통제조치들이 적용된 점도 영향을 미쳤다. 허나 2022년에는 승객수가 늘었는데 이는 팬데믹 시기가 끝나고 일상회복 단계에 접어들면서 사람들의 이동량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방학역]][* 방학1동 대상타운현대삼성아파트 하차.], [[도봉역]][* 서울북부지방법원.검찰청 혹은 노원교, 도봉동 서광아파트에서 하차.]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삼성역(도시철도)|삼성역]], [[선릉역]], [[역삼역]], [[강남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노원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6호선]]: [[태릉입구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수락산역]], [[마들역]], 노원역, [[중계역]], [[하계역]], [[공릉역]], 태릉입구역, [[먹골역]], [[중화역]], [[청담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봉은사역]], [[신논현역]] * [[파일:SB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선릉역 * [[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17]] [[신분당선]]: 강남역, 신논현역 [[분류: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1권역]][[분류:1997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2023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현금 승차 제한 시내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