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 5권역 지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울 5633번 대우차량.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울5633_5177.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5633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5633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노온사동차고지) ||<-2> 종점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여의도순복음교회) || ||<|2> 종점[br]행 || 첫차 || 04:20 ||<|2> 기점[br]행 || 첫차 || 05:50 || || 막차 || 22:50 || 막차 || 00:20 || ||<-2> 평일배차 || 11~15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14~18분 / 공휴일 15~20분 || ||<-2> 운수사명 || [[범일운수]] ||<-2> 인가대수 || 21대(예비 1대)[* 토요일 16대 / 공휴일 15대 운행] || ||<-2> 노선 ||<-4> 노온사동차고지 - 온신초등학교 - 원가학 - {{{#aaa 서독터널}}} - [[광명역]] - (→ 광명역데시앙 → 호봉골 →/← 코스트코광명점 ← 이케아.롯데아울렛광명점 ←) - 기형도문학관.황용사 - 소하2동행정복지센터.광명동굴길입구 - 광명역세권1단지후문 - 신촌마을아파트 - {{{#aaa 시흥대교}}} - 문일고입구 - 백산초등학교 - 동산교회앞 - 독산동남문시장 - [[구로디지털단지역]] - 보라매경남아너스빌.신대방현대아파트 - [[보라매역]].동작세무서 - 서울지방병무청 - [[샛강역]].앙카라공원 - 63빌딩.여의도성모병원 - [[여의나루역]] → 여의도순복음교회 → [[여의도공원]] → 여의나루역 → 이후 역순 || == 개요 == [[범일운수]]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6km다. [[http://map.naver.com/?busId=1424&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00번대#s-56|구 124번]] 도시형버스(노온사동 - 신세계)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공군회관 - 신세계' 구간을 '공군회관 - 본동가칠목'으로 변경했고, 5533번으로 번호를 변경했다. * 2005년 3월 3일에 '공군회관 - 본동가칠목' 구간을 '공군회관 - 63빌딩 - 순복음교회'로 노선 변경을 했고, 권역에 맞춰 5633번으로 번호를 변경했다. [[http://www.geumcheon.go.kr/program/board/detail.jsp?boardTypeID=4&menuID=001004004001¤tPage=5&boardLines=10&boardID=49340|관련 공지사항]] * 2015년 4월 3일부터 8월 24일까지 [[광명 버스 17|광명 17번]]의 차고지 문제로 인해 '원가학 - 뒷골' 구간을 서독로 대신 가학로로 임시 우회 운행하였다. [[https://opengov.seoul.go.kr/sanction/4416405|관련 공문 1]] [[https://opengov.seoul.go.kr/sanction/5663642|관련 공문 2]] * 2017년 2월 1일부터 시흥동 구간 굴곡 노선 정리와 [[서울 버스 505|505번]]의 소하동/시흥동 구간 대체를 위해 '광명시여성비전센터 - 가리대사거리 - 신촌마을' 구간이 '광명시여성비전센터 - 기아사거리 - 신촌마을'로, '시흥대교 - 문일고입구 - 박미삼거리 - 은행나무입구사거리' 구간이 '시흥대교 - 금빛공원 - 은행나무사거리'로 직선화될 예정이었으나, 시흥동 구간 단축과 5627번 폐선으로 인한 금천구민들 민원 문제로 인해 보류되었다. * 안건이 일부 수정되어 2017년 4월 1일에 소하동 구간만 기존 안대로 변경됐다. 금빛공원 구간은 5627번이 대체한다. 이에 따라 노온사동 첫차가 4시 반에서 4시 20분으로 앞당겨지고 5627번에서 차출된 3대를 5633번에 3대 증차되었다. 그리고 기존에 예정되어 있었던 문일고등학교 구간은 현행 유지로 변경됐다.[[http://www.sbus.or.kr/cyber/upload/5627번노선도002.jpg|금천구 공지사항]]. * 2018년 2월 21일에 광명역 환승체계 개편에 따라, 서울 방향은 서편에 정차하며 호반베르디움을 추가로 경유한다. 노온사동 방향은 현행 유지. [[http://www.sbus.or.kr/2018/bus_info/list.htm?Page=1&seq_no=4088|관련 공지사항]] * 2019년 8월 21일에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늘어나고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의 경우 각각 6회씩, 공휴일의 경우 5회씩 감회되었다. 또한,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10분/13분/14분인 최소 배차간격이 11분/12분/15분으로 조정되었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18469156|관련 공문]] * 2020년 2월 21일 토요일 최소 배차간격은 12분에서 14분으로, 공휴일 최대 배차간격은 17분에서 18분으로 늘어났다. 단, 운행횟수는 변동 없음.[[http://opengov.seoul.go.kr/sanction/19795000|관련 공문]] * 2023년 6월 1일부로 운행 중 가스 충전에 따른 불편 민원으로 인해 기존에 소하동에서 충전했던 것이 운행 종료 후 [[광명공영차고지]]로 공차회송하여 충전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이에 따른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는 평일 4회, 토요일/공휴일은 각각 3회 감회되었으며, 상세 배차 조정으로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배차간격이 11~14분/14~17분/15~18분에서 11~15분/14~18분/15~20분으로 늘었다. [[https://opengov.seoul.go.kr/sanction/28508719|관련 공문]] == 특징 == * [[서울 버스 507|507번]]과 함께 독산로를 완주한다. 또한 서울지방병무청(강남중학교) - 여의도 구간은 순복음교회 근처 회차구간에서의 약간의 차이를 제외하면 [[서울 버스 5634|5634번]]과 100% 겹치며 [[구로디지털단지역]] ~ 대림사거리 구간에서도 잠깐 겹친다. * [[광명시]] 구간에서 [[구로디지털단지역]]은 시흥대로 버스전용차로로 직선으로 운행하는 [[서울 버스 505|505번]]보다 시간이 좀 더 걸린다. 시흥사거리에서 시흥대로로 [[굴곡 노선/버스/서울특별시|곧바로 좌회전하지 않고 독산로에 들어가더라도 시흥사거리에서 곧바로 직진하지 않고]] 박미삼거리 방향으로 우회전한 후 박미삼거리에서 [[독산로]]로 좌회전하고 시흥IC를 거친 후 가는 굴곡 노선이어서 출퇴근 시간대에는 시흥IC 부근이 잘 막혀서 더더욱 오래 걸린다. * 그래서 소하동 단지 일대의 수요보다 시흥동 일대의 수요가 더 많은 편이다. 하교 시간대에는 여의도중학교 정류장~서울지방병무청 구간은 그야말로 헬게이트다. 특히 출퇴근 시간대에 시흥동 - 구로디지털단지역 구간은 [[가축수송(교통)/사례/버스|가축수송]]이다. 물론 여의도성모병원 수요도 많으며, 여의나루역 수요도 많다. * 노온사동 방면은 [[광명역]]에 도착하기 전에 소하동 CNG충전소에서 운행 중에 자주 충전했었다. 그러나 운행 도중 충전소 경유로 인한 민원으로 현재는 노온사동에서 운행 종료 후 [[광명공영차고지]]까지 공차회송하여 충전을 하고 있다. * [[서울 버스 505|505번]]이 [[독산로]]에 진입하지 않게 되면서, 일대에서 유일하게 [[보라매공원]] 및 여의도까지 가는 버스가 되어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 * [[파일:20170702_214629.gif]] 주말에는 여의나루역 2번 출구 앞이 배달을 시킨 사람들과 배달부들이 뒤엉켜 버스들이 정차하기 어려워 부득이하게 도로 한가운데에 정차하는데, 이렇게 되면서 주변 교통이 더 혼잡해지는 경우가 잦았다. 때문에 2017년 7월 1일부터 주말에는 한전 건너편에서 승객을 받는 걸로 바뀌었다. [[http://news.joins.com/article/21611140|관련 기사]] ([[:파일:20170705_104056.jpg|관련 사진]])봄이 시작되는 3월부터 가을이 끝나는 11월까지는 여의나루역에서 평일과 주말 정류장이 서로 다르니 주의. 평일엔 여의나루역 2번 출구 앞에 정차하며, 주말에는 한전 건너편에 정차한다. [[:파일:20170708_135749.jpg|해당 정류장 사진]] * 버스 내부 노선도에서는 광명역세권1단지후문 정류소에 지하철 1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고 잘못 표시되어 있는데, [[광명역세권개발사업]]에 의해 건설된 아파트 주거단지일 뿐 절대로 해당 정류소에서 1호선 광명역을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민원을 제기하여 수정할 사항이며, 참고로 해당 정류소에서 1호선을 이용할려면 [[광명 마을버스 1]]이나 [[광명 버스 1-3]]을 이용하여 [[석수역]]으로 가서 1호선으로 환승하면 된다. * 막차가 늦기 때문에 구로디지털단지역과 시흥사거리에서 소하동으로 심야에 편의를 제공한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5633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9,904명 || - || || 2014년 || 9,353명 || {{{#blue ▽ 551}}} || || 2015년 || 9,069명 || {{{#blue ▽ 284}}} || || 2016년 || 8,803명 || {{{#blue ▽ 266}}} || || 2017년 || 9,658명 || {{{#red △ 855}}} || || 2018년 || 9,767명 || {{{#red △ 109}}} || || 2019년 || 9,820명 || {{{#red △ 53}}} || || 2020년 || 7,461명 || {{{#blue ▽ 2,359}}} || || 2021년 || 7,664명 || {{{#red △ 203}}} || || 2022년 || 8,798명 || {{{#red △ 1,134}}}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1호선]]: [[광명역]], [[대방역]][*A 공군호텔 하차]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20]] [[서울 지하철 2호선]]: [[구로디지털단지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5호선]]: [[여의나루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20]] [[서울 지하철 7호선]]: [[보라매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20]] [[서울 지하철 9호선]]: [[샛강역]] * [[파일:SillimLine_icon.svg|width=20]] [[서울 경전철 신림선]]: 샛강역, 대방역[*A], [[서울지방병무청]], 보라매역, [[보라매공원역]][* 보라매공원(중) 하차후 도보] * [[파일:KTX BI.svg|width=35]] 일반 철도역: 광명역(KTX) == 둘러보기 == [include(틀:광명역 경유 버스)] [include(틀:경기도 진입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분류: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분류:1987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광명시 경유 관외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