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역을 배경으로 한 한국 애니메이션, rd1=서울역(애니메이션))] || '''[[경의선|{{{#fff {{{-1 경의선}}}}}}]]''' || '''서울''' - --[[서소문역|[ruby(서소문, ruby=1930~1944)]]]-- - --[[아현리역|[ruby(아현리, ruby=1930~1944)]]]-- - [[신촌역(경의선)|{{{#000000,#ffffff 신촌}}}]] || || '''[[경부선|{{{#fff {{{-1 경부선}}}}}}]]''' || --[[서대문역(폐역)|[ruby(서대문, ruby=1900~1919)]]]-- - '''서울''' || || {{{+2 {{{#fff '''서울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고속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행신역|{{{-1 {{{#585858,#cccccc 행신 방면}}}}}}]][br][[행신역|행 신]][* 또는 시종착][br]← 14.9 ㎞ || [[KTX|{{{-1 {{{#ffffff 경부고속선[br]KTX}}}}}}]] || [[부산역|{{{-1 {{{#585858,#cccccc 부산 방면}}}}}}]][br][[광명역|광 명]][br] 22.0 ㎞ → || || {{{-1 {{{#585858,#cccccc 시종착}}}}}} || [[KTX|{{{-1 {{{#ffffff 경부선[br]KTX}}}}}}]][[수원 경유 KTX|{{{#!html
(수원 경유)}}}]] || [[부산역|{{{-1 {{{#585858,#cccccc 부산 방면}}}}}}]][br][[영등포역|영등포]][br]9.1 ㎞ → || ||<|9> [[행신역|{{{-1 {{{#585858,#cccccc 행신 방면}}}}}}]][br][[행신역|행 신]][* 또는 시종착, 동해발 KTX는 행신역에 정차하지 않는다.][br]← 14.9 ㎞ ||<|2> [[KTX|{{{-1 {{{#ffffff 경전선[br]KTX}}}}}}]] || [[진주역|{{{-1 {{{#585858,#cccccc 진주 방면}}}}}}]] || ||<|2> [[광명역|광 명]][br] 22.0 ㎞ → || ||<|2> [[KTX|{{{-1 {{{#ffffff 동해선[br]KTX}}}}}}]] || || [[포항역|{{{-1 {{{#585858,#cccccc 포항 방면}}}}}}]] || ||<|2> [[KTX|{{{-1 {{{#ffffff 호남선[br]KTX}}}}}}]] || [[목포역|{{{-1 {{{#585858,#cccccc 목포 방면}}}}}}]] || ||<|2> [[용산역|용 산]][br]3.2 ㎞ → || ||<|2> [[KTX|{{{-1 {{{#ffffff 전라선[br]KTX}}}}}}]] || || [[여수엑스포역|{{{-1 {{{#585858,#cccccc 여수엑스포 방면}}}}}}]] || || [[KTX|{{{-1 {{{#ffffff 강릉선[br]KTX}}}}}}]] || [[강릉역|{{{-1 {{{#585858,#cccccc 강릉}}}}}}]]·[[동해역|{{{-1 {{{#585858,#cccccc 동해 방면}}}}}}]][br][[청량리역|청량리]][br]15.9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9> {{{-1 {{{#585858,#cccccc 시종착}}}}}} ||<|2> [[ITX-새마을|{{{-1 {{{#ffffff 경부선[br]ITX-새마을}}}}}}]] || [[부산역|{{{-2 {{{#585858,#cccccc 부산}}}}}}]]·[[신해운대역|{{{-2 {{{#585858,#cccccc 신해운대 방면}}}}}}]] || ||<|2> [[영등포역|영등포]][br]9.1 ㎞ → || ||<|2> [[ITX-새마을|{{{-1 {{{#ffffff 경전선[br]ITX-새마을}}}}}}]] || || [[진주역|{{{-1 {{{#585858,#cccccc 진주 방면}}}}}}]] || ||<|2> [[무궁화호|{{{-1 {{{#ffffff 경부선[br]무궁화호}}}}}}]] || [[부산역|{{{-1 {{{#585858,#cccccc 부산 방면}}}}}}]] || ||<|2> [[영등포역|영등포]][br]9.1 ㎞ → || ||<|2> [[무궁화호|{{{-1 {{{#ffffff 충북선[br]무궁화호}}}}}}]] || || [[제천역|{{{-1 {{{#585858,#cccccc 제천 방면}}}}}}]] || || [[남도해양관광열차|{{{-1 {{{#ffffff S-train}}}}}}]] || [[여수엑스포역|{{{-1 {{{#585858,#cccccc 여수엑스포 방면}}}}}}]][br][[영등포역|영등포]][br]9.1 ㎞ →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운행 중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용산역|{{{-1 {{{#585858,#cccccc 용산 방면}}}}}}]][br][[용산역|용 산]][br]← 3.2 ㎞-- || [[평화생명관광열차|{{{-1 {{{#fff 경의선[br]DMZ-Train}}}}}}]] || --[[도라산역|{{{-1 {{{#585858,#cccccc 도라산 방면}}}}}}]][br][[문산역|문 산]][br]46.3 ㎞ →-- || || --{{{-1 {{{#585858,#cccccc 시종착}}}}}}-- || [[평화생명관광열차|{{{-1 {{{#fff 경원선[br]DMZ-Train}}}}}}]] || --[[백마고지역|{{{-1 {{{#585858,#cccccc 백마고지 방면}}}}}}]][br][[청량리역|청량리]][br]15.9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수도권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3> {{{+2 '''서울역(역)'''}}} || ||<-3>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30]]]] [[수도권 전철 4호선|[[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30]]]] || || [[소요산역|{{{-1 {{{#585858,#cccccc 소요산 방면}}}}}}]] ||<|2> [[수도권 전철 1호선|{{{#fff {{{-1 1호선[br](133)}}}}}}]]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0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ffffff,#1f2023; letter-spacing: -1.2px"; {{{#!wiki style="margin: -6px -10px" {{{-2 [[인천역|{{{#585858,#cccccc 인천}}}]]{{{-3 ·}}}[[서동탄역|{{{#585858,#cccccc 서동탄}}}]]{{{-3 ·}}}[[신창역|{{{#585858,#cccccc 신창}}}]] {{{#585858,#cccccc 방면}}}}}}}}}}}} || ||<|2> [[시청역(서울)|시 청]][br]← 1.1 ㎞ ||<|2> [[남영역|남 영]][br]1.7 ㎞ → || ||<|2> [[천안급행|{{{-1 {{{#fff 1호선[br][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00,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경부선 급행 A)]}}}}}}]] || || [[청량리역|{{{-1 {{{#585858,#cccccc 청량리 방면}}}}}}]] || [[신창역|{{{-1 {{{#585858,#cccccc 신창 방면}}}}}}]] || || [[진접역|{{{-1 {{{#585858,#cccccc 진접 방면}}}}}}]][br][[회현역|회 현]][br]← 0.9 ㎞ || [[수도권 전철 4호선|{{{-1 {{{#fff 4호선[br](426)}}}}}}]] || [[오이도역|{{{-1 {{{#585858,#cccccc 오이도 방면}}}}}}]][br][[숙대입구역|숙대입구]][br]1.0 ㎞ → || ||<-3> {{{+3 '''서울역'''}}} || ||<-3>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30]]]]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파일:GJLine_icon.svg|width=30]]]] [[인천국제공항철도|[[파일:AREX_icon.svg|width=30]]]] || || {{{-1 {{{#585858,#cccccc 시종착}}}}}} || [[천안급행 B|{{{-1 {{{#fff 1호선[br][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08000,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경부선 급행 B)]}}}}}}]] || [[천안역|{{{-1 {{{#585858,#cccccc 천안 방면}}}}}}]][br][[영등포역|영등포]][*상행 상행만 [[영등포역]]에 정차한다.][br] ← 9.1 ㎞ [br][[금천구청역|금천구청]][*평일 평일 18:25][br]17.3 ㎞ → || ||<|2> [[문산역|{{{-1 {{{#585858,#cccccc 문산 방면}}}}}}]][br][[신촌역(경의선)|신 촌]][br]← 3.1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1 {{{#fff 경의·중앙선[br](P313)}}}}}}]] ||<|2> {{{-1 {{{#585858,#cccccc 시종착}}}}}}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1 {{{#fff 경의·중앙선[br][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f0000,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경의선 급행 A)]}}}}}}]] || ||<|2> {{{-1 {{{#585858,#cccccc 시종착}}}}}} || [[인천국제공항철도|{{{-1 {{{#fff 공항철도[br](A01)}}}}}}]] || [[인천공항2터미널역|{{{#!wiki style="letter-spacing: -1.35px" {{{#!wiki style="margin: -0px -10px" {{{-2 {{{#585858,#a7a7a7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공덕역|공 덕]][br] 3.3 ㎞ → || || [[인천국제공항철도|{{{-1 {{{#fff 공항철도[br][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97600,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직통열차)]}}}}}}]] || [[인천공항2터미널역|{{{#!wiki style="letter-spacing: -1.35px" {{{#!wiki style="margin: -0px -10px" {{{-2 {{{#585858,#a7a7a7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인천공항1터미널역|인천공항[br]1터미널]][br]58.0 ㎞ →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3>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파일:GreatTraineXpress_A.svg|width=30]]]]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파일:GreatTraineXpress_B.svg|width=30]]]] || || --[[운정역(GTX)|{{{-1 {{{#585858,#cccccc 운정 방면}}}}}}]][br][[연신내역|연신내]]--[br]← 9.5 ㎞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1 {{{#fff GTX-A}}}}}}]][br]{{{#fff (미개통)}}} || --[[동탄역|{{{-1 {{{#585858,#a7a7a7 동탄 방면}}}}}}]][br][[삼성역(GTX)|삼 성]]--[br]10.3 ㎞ → || || --[[송도역(GTX)|{{{-2 {{{#585858,#cccccc 송도 방면}}}}}}]][br][[용산역|용 산]]--[br]← 3.1 ㎞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1 {{{#fff GTX-B}}}}}}]][br]{{{#fff (착공 예정)}}} || --[[마석역|{{{-1 {{{#585858,#cccccc 마석 방면}}}}}}]][br][[청량리역|청량리]]--[br]8.3 ㎞ → ||}}}}}}}}} ||}}}}}}}}} || ||{{{#!wiki style="margin: -6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역, 너비=100%, 높이=100%)]}}} || || '''{{{#fff 다른 문자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로마자]] || Seoul (Station) || || [[한자]] || 서울(驛) || || [[간체자]] || 首尔(站) || || [[가나(문자)|가나]] || ソウル([ruby(駅, ruby=ヨク)]) ||}}}}}}}}} || || '''{{{#fff 주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경부선]] ||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405[br](동자동 43-205) || || [[경의선]] || || [[서울특별시]] [[중구(서울특별시)|중구]] [[통일로]] 1 (봉래동2가 122-28) || || [[수도권 전철 1호선|{{{#fff 1호선}}}]] || || [[서울특별시]] [[중구(서울특별시)|중구]] [[세종대로]] 지하2[br](남대문로5가 73-6) || || [[수도권 전철 4호선|{{{#fff 4호선}}}]] ||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지하392[br](동자동 14-151) || || [[인천국제공항철도|{{{#fff 인천국제공항철도}}}]] || ||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 378 (동자동 43-205) ||}}}}}}}}} || || '''{{{#fff 역 코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90]]]] || AFC: 1001^^[[경부선]]^^ , 125^^[[경의선]]^^[br]일반철도: 001^^[[한국철도공사/역명코드|발매]]^^, 010000^^통계^^ || ||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width=85]]]] || AFC: 0150^^[[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0426^^[[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 || || [[공항철도(기업)|[[파일:공항철도 CI.svg|width=85]]]] || AFC: 4201[br]일반철도: C10000 (통계) ||}}}}}}}}} || || '''{{{#fff 관리역 등급}}}'''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경부선]] || [[관리역]][br]('''1급''' /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서울본부]]) || || [[경의선]] ||<|2> [[무배치간이역]] [[코레일네트웍스|(위탁)]][*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train&no=1051887|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br]([[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 || [[수도권 전철 1호선|{{{#fff 1호선[* 서울~천안 급행 노선, 1호선 한국철도공사 측 게이트만 해당된다.]}}}]] || || [[인천국제공항철도|{{{-2 인천국제공항철도}}}]] || 그룹관리역[* 산하 [[공덕역]], [[홍대입구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을 관리한다.][br]([[공항철도주식회사|공항철도㈜]] 영업본부) ||}}}}}}}}} || || '''{{{#fff 운영 기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경부선]] ||<|2>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95]]]] || || [[경의선]] || ||<|2> [[수도권 전철 1호선|{{{#fff 1호선}}}]] ||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95]]]] (지상) || ||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width=115]]]] (지하) || || [[수도권 전철 4호선|{{{#fff 4호선}}}]] ||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width=115]]]] || || [[인천국제공항철도|{{{#fff 공항철도}}}]] || [[공항철도(기업)|[[파일:공항철도 CI.svg|width=95]]]] || ||<|2>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ffffff GTX-A}}}]] ||<-2>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width=120]]]] || ||<-2> [[주식회사 SR|[[파일:주식회사 SR 로고.svg|width=60]]]] ||}}}}}}}}} || || '''{{{#fff 개업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2> '''일반 철도''' || || [[경부선]] || 1900년 7월 8일 || || [[경의선]] || 1921년 7월 11일 || || [[KTX|[[파일:KTX BI_White, Red.svg|width=45]]]] || 2004년 4월 1일 || || [[ITX-새마을|[[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width=80px]]]] || 2014년 11월 1일 || || [[ITX-마음|[[파일:ITX-마음 BI_White.png|width=80px]]]] || 2023년 9월 1일 || || [[무궁화호|{{{#fff 무궁화호}}}]] || 1984년 1월 1일 || || [[남도해양관광열차|{{{#fff S-train}}}]] || 2013년 9월 27일 || || [[평화생명관광열차|{{{#fff DMZ-train}}}]] || 2014년 5월 4일 || ||<-2> '''수도권 전철''' || || [[수도권 전철 1호선|{{{#fff 1호선}}}]] || 1974년 8월 15일 || || [[수도권 전철 4호선|{{{#fff 4호선}}}]] || 1985년 10월 18일 || || [[수도권 전철 경의선|{{{#fff 경의선}}}]] || 2009년 7월 1일 || || [[인천국제공항철도|{{{#fff {{{#!wiki style="letter-spacing: -1.5px" 공항철도}}}}}}]] || 2010년 12월 29일 ||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ffffff GTX-A}}}]]~~ ||<-2> 2024년 하반기 예정 ||}}}}}}}}} || || '''{{{#fff 역사 구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지상 1층 ||<-2> [[경부선]] · [[경의선]] || || 지하 2층 || [[수도권 전철 1호선|{{{#fff 1호선}}}]] || [[수도권 전철 4호선|{{{#fff 4호선}}}]] || || 지하 7층 ||<-2> [[인천국제공항철도|{{{#fff 공항철도}}}]] ||}}}}}}}}} || || '''{{{#fff 승강장 구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경부선]] || 8면 20선 복합식 승강장[br](승강장 횡단 가능) || || [[경의선]] || 1면 6선 단선식 승강장 || || [[수도권 전철 1호선|{{{#fff 1호선}}}]] ||<|2> [[복선]] [[섬식 승강장]] || || [[수도권 전철 4호선|{{{#fff 4호선}}}]] || || [[인천국제공항철도|{{{#fff 공항철도}}}]] || 2면 3선 복합식 승강장(1섬식, 단선식)[br](승강장 횡단 가능) ||}}}}}}}}} || || '''{{{#fff 철도거리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 {{{-1 {{{#585858,#a7a7a7 기점}}}}}} || '''[[경부선]]'''[br]서 울 || [[부산역|{{{-1 {{{#585858,#a7a7a7 부산 방면}}}}}}]][br][[남영역|남 영]][br]1.7 ㎞ → || || '''[[경의선]]'''[br]서 울 || [[도라산역|{{{-1 {{{#585858,#a7a7a7 도라산 방면}}}}}}]][br][[신촌역(경의선)|신 촌]][br]3.1 ㎞ → || || '''{{{-1 [[인천국제공항선]]}}}'''[br]서 울 || [[인천공항2터미널역|{{{#!wiki style="letter-spacing: -1.35px" {{{#!wiki style="margin: -0px -10px" {{{-2 {{{#585858,#a7a7a7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공덕역|공 덕]][br]3.3 ㎞ → || ||<-3> {{{-1 [[경부선]]과 [[경의선]]은 남북 방면으로 상호 직결되어 있다.}}} ||}}}}}}}}} || || '''{{{#fff 참고 사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타 노선 ↔ [[수도권 전철 경의선|경의선]] 환승 시 1회용 교통카드 및 정기권으로 환승 불가 * 정기권 환승 시 이용 횟수 1회 차감 * 일반 교통카드는 환승이 가능하지만 환승횟수가 1회 차감 ---- * 노선별 이 역의 전산상 명칭은 아래와 같음 * 1호선: '''1지서''' * 1호선(지상): '''지상 서울역''' * 4호선: '''4지서''' * 경의선: '''서울역(서부)'''[* 과거 2017년까지 서부 역사에 위치했던 잔재이며, 현재는 서부 역사가 아니다.] * 공항철도: '''공항서울''' ---- * [[서울교통공사]] 서울역은 '''서울역역'''이 고시된 명칭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ig_274272.jpg|width=100%]]}}} || || {{{#ffffff '''현 역사(2004년 1월 1일 준공)'''}}}[* 2003년 11월 28일 임시 개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울역 KTX.jpg|width=100%]]}}} || || {{{#ffffff '''지상 승강장'''}}} || ||[[https://ko.wikipedia.org/wiki/%EC%84%9C%EC%9A%B8%EC%97%AD|역 배선도]] || >'''유라시아 철도허브를 향해 날아오르다''' >서울역은 1900년 7월 8일, 남대문 정거장이라는 이름의 33㎡의 단층 목조 건물로 처음 문을 열었다. 1923년 경성역으로 이름을 바꾸고, 약 3년간의 공사를 거쳐 1925년 스위스 루체른 역을 모델로 한 르네상스와 바로크 절충 양식의 역사(현, 문화역서울284)가 준공되었다. 1947년 서울역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꾸준한 확장을 통해 명실상부한 수도 서울의 관문으로서 위용을 갖추게 되었다. 이후 1988년 현대식 건물의 민자역사시대를 맞아했고, 2004년 고속철도시대를 여는 시발역으로 재단장하였다. 서울역은 세계로 뻗어가는 활 모양을 모티브로 유리와 철골구조로 지어졌고, 타는 곳의 웅장한 지붕은 유라시아 철도허브를 향해 비상하는 새의 날개를 연상시킨다. >---- >[[국가철도공단]] '철도역 이야기'에서 발췌. '''서울역'''(Seoul Station, 서울驛)은 [[서울특별시]] [[중구(서울특별시)|중구]], [[용산구]]의 경계에 있는 [[철도역]]으로, 간선철도 [[경부선]], [[경의선]]과 [[공항철도(철도노선)|인천국제공항철도]]의 기점이자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구간과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기점이며 [[수도권 전철 4호선]]이 지나가는 중추역 기능을 하고 있다. 경부선이 철도의 대동맥이라면 이곳은 대한민국 철도의 심장이다. 서울역에는 [[차량사업소]]가 없어서 일반열차는 입고를 위해 수색까지 회송하며, [[KTX]] 열차는 [[행신역]]이 기점이다. 고양기지에서 입출고하는 일부 열차가 서울역에서 출발한다. 몇몇 KTX 열차는 서울역을 지나서 행신역에서 종착하거나 또는 반대로 행신역에서 출발해서 서울역을 경유하고 [[호남고속철도]] 계통은 [[용산역]]을 경유한다. 서울 역사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405(동자동 18)에 있으며([[한국철도공사]] 역 코드번호 001), [[서울특별시]] [[중구(서울특별시)|중구]] [[통일로]] 1(봉래동2가 122-28)에 있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P313번), [[서울특별시]] [[중구(서울특별시)|중구]] [[세종대로]] 지하2 (남대문로5가 74)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133번, 개정 전 50번),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지하392 (동자동 14)에 있는 [[수도권 전철 4호선]](426번, 개정 전 26번),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 378(동자동 43-227)에 있는 [[인천국제공항철도]](A01번)와의 [[환승역]]이다. 서울역의 상징성은 정치적으로도 연관이 깊다.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은 2004년 KTX 개통으로 인해서 [[용산역]]이 주 출발역으로 바뀌었을 때에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들이 들고 일어났다. 그 후 몇몇 KTX가 용산 경유 서울역 착발로 바뀌었다. [[강릉선 KTX]]은 특히 서울역에서 영동 지방으로 직접 가는 정기 열차이며 서울역 착발임을 [[한국철도공사]]가 크게 알렸고, 이는 신의 한 수가 된다. 그 전에는 강원도 가는 기차는 [[청량리역]]이 진리였다. 영서 지방은 [[ITX-청춘]] 용산발 춘천행, [[평화생명관광열차|DMZ-train]] 서울발 [[백마고지역|백마고지]]행 둘뿐이었다. 서울역 착발 열차는 개통 전부터 매진을 띄울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 이는 몇몇 경부선 KTX 열차가 용산역 착발로 바뀌었다가 수요부족으로 인해서 환원된 것, 몇몇 서울역 착발 호남선 KTX 열차가 아직 유지되는 까닭이다. [[행신역]] 착발 열차도 경부선 계통은 서울역은 필수 정차하며, 호남선과 전라선 계통은 일부 열차만 정차하고 나머지 열차는 서울역을 통과한다. 다만 서울역 통과 열차는 서울역 통과시에는 고속으로 주행하지 않고 서행한다. 4, 5번과 6, 7번 승강장 사이에 통과선이 있지만 이쪽으로 다니는 건 [[회송]]열차나 극히 일부 [[화물열차]], 그리고 호남선 타고 온 행신행 KTX 외에는 없으며, 98%의 여객열차는 서울역에 선다. 그리고 [[호남고속철도]]의 주요 시 · 종착역은 [[용산역]]이다. 서울역 시 · 종착 열차는 연장 운행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철도의 심장인 만큼 서울역에는 회송열차를 제외하면 지나가는 모든 여객열차가 정차할 것 같이 보이지만 그렇지는 않은 것이다. 여객열차 중에는 [[수원역]] 통과열차를 찾는 게 훨씬 더 어렵다. [[수원 경유 KTX]] 중 연휴에만 운행하는 KTX #4001 같은 열차도 [[영등포역]]은 통과하는데 [[수원역]]은 정차한다. 2004년 3월 31일까지는 수원역을 통과하는 새마을호 열차가 있었으나, 2004년 4월 1일부터 수원역 통과 여객열차는 모두 없어졌다. KTX 역시 고속선 불통으로 기존선 우회시 가급적 전역에 정차하다 보니 화물열차 외에는 통과열차를 보기 힘들다. 이렇게 굵직한 간선철도들의 시 · 종착역이다 보니 연간 일반 · 고속철도 약 3,010만 명[* 출처: 2017 철도연감]에 연간 광역 · 도시철도 약 7,500만 명 총 약 1억 명으로 [[한반도]]에서 가장 이용객이 많다. 광역 · 도시철도만 셀 때에는 [[강남역]], [[홍대입구역]], [[잠실역]] 등에 약간 밀리지만, 서울역의 주력은 일반 · 고속철도이므로 이를 세면 이런 역들을 뛰어넘는다. 기차를 타고 와서 지하철로 들어가는 중복 계산이 포함되는 수치이지만, 이러한 환승도 포함하는 것이 세계에서 대부분 쓰이는 방식이다. 대규모 철도 시설이 오래 자리잡고 나서 지역을 분할하는 경계가 되었다.[* 이승빈.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560605|「20세기 전반기 서울역의 ‘경계짓기’ 과정에 대한 연구 : 철도, 도시, 경계의 공간 매개적 커뮤니케이션」]]. 언론과 사회, 제29권 제2호, 2021. pp.58-123.][* [[http://ebook.seoul.go.kr/Viewer/MIIEZ1TPY2XL|서울로 7017 백서]]][* 신예경.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f4362ec4a0068f47ffe0bdc3ef48d419&keyword=20%EC%84%B8%EA%B8%B0%20%EC%84%9C%EC%9A%B8%EC%97%AD%EC%82%AC%EC%9D%98%20%EB%8F%84%EC%8B%9C%20%EA%B3%B5%EA%B0%84%EC%A0%81%20%EB%B3%80%EB%AA%A8|「20세기 서울驛舍의 都市空間的 變貌」]]. 국내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중구, 용산구 말고도 [[마포구]]도 마찬가지이다. [[서울로 7017]]의 목적에 분할된 도시를 연결하기 위한 시도도 있다고 한다.[* [[https://www.si.re.kr/si_download/59754/21519|서울로 7017 시민 이용실태와 주변지역 변화]] (PDF)] == 역 정보 == === 역 안내도 === || [[파일:서울역 안내도(지상역사).png|width=100%]] || [[파일:서울역 안내도(1,4,경의중앙 2022.9 ver).png|width=100%]] || [[파일:서울역(공항철도) 안내도.png|width=100%]] || || 1호선 본선, 4호선, 지상 대합실 || 1, 4호선, 경의·중앙선, 지상 1~4번 승강장[br]([[https://drive.google.com/file/d/1rXBXW_ABu2sBx4f-FT2QLNHWRQ_FLWCQ/view?usp=sharing|크게보기]]) || 공항철도 ([[https://www.arex.or.kr/file/emergency_seoul.pdf|크게보기(PDF)]]) || === [[서울역/역사|역사(歷史)]]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울역 2002년.jpg|width=100%]]}}} || || {{{#ffffff '''舊 민자역사의 대합실 (2002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울역 대합실 2.jpg|width=100%]]}}} || || {{{#ffffff '''現 서울역사의 대합실 (2020년)'''}}}[* 2003년 11월 28일 임시 개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울역/역사)] === [[KTX]], 일반열차,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2> {{{#000000,#ffffff '''민자역사'''}}} || || 정식 명칭 || [[한화역사]]주식회사 || || 영어 명칭 || Hanwha Station Development Co., Ltd. || || 설립일 || [[1987년]] [[9월 14일]] || || 업종명 || 부동산업 || || 상장 여부 || 비상장기업 || || 기업 규모 || '''[[대기업]]''' || ||{{{#!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파일:IMG_58114.jpg|width=100%]]}}}|| || [[한국철도공사]]가 관리하고 있는 서울역사 (2003년 완공) || ||
[[파일:서울역 스탬프_2.jpg|width=200]]||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새 역사를 개장하면서 [[한화그룹]] 계열의 [[갤러리아백화점]] 콩코스점이 함께 입점했으나 영업 부진으로 폐점하고 대신 그 자리를 [[롯데쇼핑]]에 20년간 임대하여 2013년 1월 18일부터 [[롯데아울렛]] 서울역점이 개점했다. 새 역사 개업 및 KTX 개통 뒤에 선로용량이 부족해서 [[용산역]]과 KTX 노선별 전용역 제도를 실시했다. 시기는 알 수 없으나 몇몇 호남 · 전라선 열차가 [[행신역]]까지 운행하기도 했다. 이 제도는 2016년 12월부터 [[SRT]] [[수서역]]이 개업해서 폐지되었다. 이에 호남본선 · 고속선 및 전라선 KTX 24편성이 서울역에서 시 · 종착하며 경부선 KTX 24편성은 용산역에서 시 · 종착한다. 그러나 수요부족 때문에 용산착발 경부선 KTX는 모두 폐지되었다. 지금은 경부선 KTX 시 · 종착역이 [[행신역]](일부), 서울역, [[부산역]], [[대전역]](첫 · 막차), [[동대구역]](첫 · 막차)이다. 모두 경부본선 · 고속선의 최상급 관리역들이다. 서울역발 호남/전라선 KTX 막차시간은 17:35(여수EXPO행), 19:33(목포행), 서울역착 호남/전라선 KTX 막차시간은 18:06(여수EXPO발), 20:18(광주송정발)이다. 경부선 KTX가 22시대에 막차가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서울역이 사실상 경부선 열차가 주이다. 호남선 열차들이 주인 곳은 용산역이다. 사실상 KTX의 본진이다. 거의 모든 경부 · 경전 · 동해 · 강릉선 KTX 열차와 일부 호남 · 전라선 열차가 시 · 종착하며, 차량도 [[KTX-1]], [[KTX-산천]], [[KTX-이음]]을 모두 볼 수 있다. 현 시점에서 KTX의 모든 차량 종류를 취급하는 역은 서울역이 유일하다. 2022년 현재 KTX 열차 가운데 경유하지 않는 노선은 [[중앙선]]과 [[중부내륙선]]이다. 미래에는 [[동해선]], [[경전선]] 등 서울을 지나지 않는 KTX-이음 열차들이 개통한다. 한국은 서울 방향이 상행이다. 지방에서 서울로 가는 것을 [[상경#s-1.1|'올라간다']]라고 표현하기 때문이다. 다만 일제강점기에는 반대였다. 부산역에서 일본으로 이어지는 부관연락선의 존재로 인해 도쿄 방향을 상행으로 잡았기 때문이다. 물론 광복 후에는 서울이 수도인 만큼 이곳을 상행으로 잡는다. [[서대동부]]라는 순서 역시 이 때부터 정립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member.segye.com/20110804002241_0.jpg|width=100%]]}}}|| || 구 서울역사 전경 || 이는 1923년에 [[일제강점기]]에 신축된 경성역사로, 사적 284호이다. 2004년에 신 역사 완공한 이래 버려졌었다. 한국철도공사가 거의 관리를 하지 않았던 것도 있었지만, 특히 노숙자들이 몰려들면서 흉물로 전락했다. 2007년 7월 24일에 관리단체가 [[문화재청]]으로 바뀌었고, 2008년 5월 1일에 [[문화체육관광부]]로 다시 바뀐다. 2011년 8월 9일에 문화역 서울 284라는 새 이름으로 열어서, 이른바 복합문화공간으로 전환되었다. 그렇게 역으로서의 역할은 끝나나 싶었는데 2017년에 [[강릉선 KTX]] 운행으로 인해서 서부역사에 있던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 승강장이 구 서울역 앞으로 옮겨가면서 역 업무를 재개했다. 경의·중앙선 역사는 맞이방이 옛 서울역 한 켠에 마련되어 있다. 이곳으로 오가려면 밖으로 나와야 한다. 다만 배차 간격이 1시간이라서 미리 운행 여부를 확인해야 하며, 시간이 맞는다면 탈 만하다. 만일 그게 아니고, [[신촌역(경의선)|신촌역]] 방면으로 간다면 차라리 1호선을 타서 [[시청역(서울)|시청역]]에서 2호선으로 환승하는 것이 낫다. 가좌 · 일산역 방면으로 간다면 공항철도를 타서 홍대입구역에서 환승하는 것이 좋다. 경의선과 1, 4호선 · 공항철도 간의 환승을 할 때에는 예외로 선 · 후불교통카드만 제한 시간안에 처리가 가능하다. 다만 환승 거리 누적이 서울역에 강제로 걸쳐지므로 총 지불하는 운임도 많아질 수 있다. 경의·중앙선 서울역 발매기에서 일반 서울역을 도착역으로 지정하면 1,450원이 나온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울역_서부역.jpg|width=100%]]}}}|| || 구 서울역사의 정 반대편에 지어진 서부역의 모습 || 옛 역사 때인 1988년에 선상역사가 지어졌는데, 이는 한국 최초의 민자역사이고, 2004년에 지어진 새 역사와는 별도이다. 이 민자역사는 한화역사에서 서울프라자쇼핑을 거쳐서 '[[갤러리아백화점]] 서울역점'이 영업했다. 새 역사가 지어지자 역무시설과 갤러리아백화점이 이전한 자리에 [[롯데마트 서울역점]]이 들어와서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2004년에 지어진 역사는 민자역사 30년 점용기한에 따라서 2032년까지 점용이 가능하지만, 1988년에 지어진 선상역사는 2017년에 점용기한이 만료되었고, 그 뒤에 한화역사에서 연장해서 영업하고 있다. 2번 선로에는 [[천안역]] 및 [[신창역]]으로 가는 1호선 급행열차가 운행된다. 1982년에 최초 신설된 급행 전동차 노선으로 평일 출퇴근 시간대에 운행한다. 2019년 12월 30일부터 1호선 급행 운행 체계가 전면 개편되어 37년의 역사를 끝으로 폐지되었다가 열차 지연 등 민원 과다로 인해 약 1달 만인 2020년 1월 28일에 부활했다. 이 승강장은 다른 전철 노선과 환승할 수 있도록 지하 환승통로와 연결되어 있으나 계단 뿐이고 엘리베이터가 없어서 교통약자는 이용에 유의해야 한다.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 - 지하 서울역 === ||※ 서술의 자연스러움을 위하여 '''[[서울 지하철]] 1, 4호선의 서울역'''은 “지하 서울역”으로 서술합니다.|| >'''“이번 역은 서울역, 지하 서울역입니다.”''' > ---- >― [[한국철도공사]] 차량의 안내방송. TTS로 바뀐 지금도 이 표현을 유지하고 있다. >'''“이번 역은 서울역, 서울역입니다.”''' > ---- >― [[서울교통공사]] 차량의 안내방송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5서울역.jpg|width=100%]]}}}|| || 서울역 4호선 옛 폴사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eoulstnfront.png|width=100%]]}}}|| || '서울역(앞)'이라고 쓰여진 4호선 예전 역명판의 모습 || 4호선의 경우 1990년대 초까지는 '서울역(앞)'역이었으나, 역명이 너무 거추장스러워서 1호선과 마찬가지로 '서울역'으로 고쳤다. 지하 서울역은 서울을 대표하는 철도역 자체가 '도시철도 역의 랜드마크'가 되어서 '서울역'역으로 해석할 수 있다. [[대한민국 정부]] 내부의 네트워크(통칭 '핸디')에서는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 관할권이 다른 이런 역들을 구분하기 위해 실제로 "서울역역", "부산역역" 등으로 쓴다. [[네이버 지도]]에 도시철도 서울역과 부산역 주변 건물을 검색하면 하단에 '서울역역' / '부산역역'에서 00m'으로 표기된다.[* [[:파일:서울역역역역역역역.png|이미지1]] / [[:파일:부산역역역역.png|이미지2]]] 단, [[대전도시철도]] [[대전역]]은 정식 이름이 '''대전역'''이다. 옛날 안내방송도 "대전, 대전역입니다"이었으나 지금은 "대전역, 대전역입니다"로 바뀌었다. 다만 외부 공문으로는 표현하지 않는다. 이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관할권 문제로 인해서 다르게 쓰는 것이다. 이름을 같이하면 "서울역"이라고 썼을 때에 어느 쪽 관할인지 구분이 가지 않는 이유였다. 또한 차내 안내방송의 구체적 표현도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다르다. [[한국철도공사]]는 "이번 역은 서울역, 지하 서울역입니다"로, [[서울교통공사]]는 "이번 역은 서울역, 서울역입니다"로 안내한다. [[파일:attachment/491213_1_chungmyeng.jpg]] 위의 사진을 보면 1호선 지하 서울역 사진 중 흔히 합성이라고 생각하는 사진으로, 사실은 2호선 신규 차량을 견인하는 것이다. 2005년 사진이므로 [[서울메트로 2000호대 VVVF 전동차]] 1차분을 끌고 있다. 2호선은 직류 전용이기 때문에 차가 교류가 흐르는 지상 구간은 스스로 운행을 못해서 디젤 기관차가 일일이 끌어와야 한다. 디젤 기관차는 지하 서울역에 들어간 뒤, 연결 차량과 분리하고 나서 [[시청역(서울)|시청역]] 방면의 회차선에서 하행으로 방향을 바꾼 뒤에 역주행해서 다시 지상으로 나간다. 그 뒤로 반입된 2호선 차는 [[신설동역]] 근처에 있는 [[꽈배기굴]]을 통해서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성수지선]]과의 [[연결선로]]로 이동하여, [[군자차량사업소]]나 [[신정차량사업소]]로 들어간다. 2017년 5월부터 도입된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s-2.4|2000호대 VVVF 3차분]]도 위 사진처럼 지하 서울역에서 기관차와 분리한 뒤에 군자차량사업소 또는 신정차량사업소까지 자력회송했다. 옛날에 5, 8호선 열차도 이 경로대로 도입 후 2호선 [[까치산역]] 연결선로로 회송했으며 2018년 5월에 도입된 5호선 하남 연장 증차분도 지하 서울역까지 디젤 기관차가 견인했다. 1974년 1호선 전동차를 입환할 때 디젤 기관차가 서울역까지 견인했었고, 입환 당시에는 서울역~남영역 교직절환구간 전차선이 아직 건설되지 않았다. 1994년 4호선 쵸퍼제어 열차가 2호선으로 이적하는 과정에도 디젤 기관차가 금정역에서 서울역까지 견인했었다. [youtube(WBohQmQAac0)] 2005~2008년 안내방송이다. 영상에 1990년대 혹은 2000년대 초반이라고 나와 있는데, 영상에서 [[제니퍼 클라이드]]는 영어방송을 2005년부터 담당했다. 그 앞 성우는 인천지하철 1호선 · [[서울메트로|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 승강장 진입 영어 방송을 담당하던 [[리사 켈리]]이다. 그 앞으로 가면 수잔 맥도날드로,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5678 서울도시철도]] 안내방송이 [[은영선]] · [[제니퍼 클라이드]] 성우로 개정하기 전에 [[조예신]] 성우와 함께 안내방송을 담당하였다. 2015년경에 1호선 대합실 혼잡도 개선공사가 완료되었다. 1호선으로 내려가는 곳에는 [[에스컬레이터]]가 새로 설치되었고, 맞이방이 확장되었으며, 플랩 - 슬림형 개찰구도 새로 설치되었다. 현재 두 노선 모두 Y자 유치선이 있으며, 모두 하행으로 자리한다. 1호선은 평일 양주발 서울역행 2회 휴일 양주발 서울역행 1회가 운행하고 그 후 서울역 막차 주박 뒤에 광운대행으로 운행한다. 또한 경부선 계통 서동탄발 서울역행 평일, 주말 각각 1회가 있다. 4호선은 오이도 방향 시 · 종착하는 첫차 · 막차가 한 대씩 있다. 4호선은 주박 뒤에 당고개행으로 운행한다. 가끔 낮에 4호선 유치선에 전동차가 있는데 이는 충무로역 연결선로로 지축차량사업소에 중검수를 받으러 가면서 잠시 주박하는 것이다. 4호선 운행 초기에는 [[러시 아워]]에만 서울역행 열차를 운행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whR2wVyf62E&t=67s|「자비없는 혼돈의 출근길, 80년대 신도림역 전철 풍경 [그땐그랬지 : 환승지옥 신도림역]」]], KBS, 2020-11-09] 1호선은 [[남영역]] 방면으로 지상 출구가 보인다. 1호선 역사는 서울미래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안성기]] 주연의 1983년 영화 '풀잎처럼 눕다'에 4호선 개통 전 1호선 서울역의 모습이 잘 나와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orail&no=367969|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 ==== [[연결선로|연결선]] 계획 ==== [[서울 지하철 1호선]] 건설 당시에 1호선과 [[1기 지하철 계획]]의 옛 4호선의 [[연결선로]]를 만들려는 계획도 존재했었기에 1호선 쪽에 일부 구간을 미리 건설했다. 1호선 [[남영역]] 방면 선로를 보면 터널이 넓어지는데 이게 그 흔적이다. 하지만 1호선 개통 후 얼마 안 되어 옛 4호선을 백지화해서 그대로 방치되고 있다. 옛 4호선은 한강을 두 번 넘는 ∩자형 노선이었다(포이동↔장충동↔동대문↔종로↔을지로↔서울역↔한강로↔대림동). 4호선이 지금의 [[서울 지하철 4호선]]으로 바뀌면서 연결선로 계획도 되살아났지만 [[창동차량사업소]] - [[경원선]] 연결로 대신하여 끝내 실현되지 않았다. 현재 4호선 배선도에서 [[숙대입구역]] 방면 선로 오른쪽에 반대편으로 빠지는 선로를 볼 수 있으며 길이도 그리 안 길어서 모터카용 유치선으로 쓰고 있다. 예전에는 비록 어두웠어도 육안으로 보였지만 지금은 스크린도어를 설치해서 숙대입구역 방면 터널의 구석에서 조금 보인다. === [[인천국제공항철도]] === 한국철도공사 서울역 기준으로 남서쪽에 있다. 온갖 지하시설물이 들어차 있는 도심인 데다가 대심도로 지어진 탓에 승강장이 지하 7층(51.9m)에 있는데, 이는 [[수도권 전철]] 역에서 [[수도권 전철 서해선|서해선]] [[김포공항역]](83m), [[서울 지하철 8호선|8호선]] [[산성역]](55.4m)에 이어 세 번째로 깊으며 열차를 한 번 타려면 끝없이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계단을 내려가야 하는 [[막장환승]]이다. 서울역 대합실에서 공항철도 승강장까지 내려가는데 약 5분이 걸린다. 지하역이지만 지상에도 맞이방이 있으며 이는 한국철도공사 서울역 맞이방과도 연결되어 있다. 원래는 환승 통로가 따로 구축되지 않아 기존 1호선이나 4호선과 환승하려면 하차 태그 후 다시 승차 태그를 하는 [[간접환승]]을 해야 했다. 이러다 보니 막장환승인 데다가 하차를 찍고 나와야 하므로 오히려 교통비가 늘어날 수 있었다. 물론 버스를 갈아타는 것처럼 환승할 때에 기본운임 감면처리는 되지만 선 · 후불카드는 서울역까지의 구간요금이 다 찍히기에 총 이동경로에 따라 비용이 늘어날 수 있었고, 1회권이나 정기권은 그나마도 감면되지 않았다. 그러다가 환승 통로가 개설되어 [[환승 게이트]]를 통해서 서울역에서 중간에 돈을 내지 않고도 환승할 길이 생겼는데, 여전히 막장환승이다. 환승 게이트는 당초 맞이방 층에 있었다가 그 자리에 안내센터를 만들면서 무빙워크 앞으로 옮겼다. 1호선 또는 4호선을 타고 와서 공항철도 환승 게이트를 지나더라도 환승 게이트에서는 추가요금이 지불되지 않으니 화장실이나 15번 출구로 가려면 이용해야 한다. 지하 2층에 [[서울역 도심공항터미널]]이 있다. [[인천국제공항]]에서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에어서울]], [[에어부산]], [[이스타항공]], [[진에어]]를 이용하여 출국하려는 승객들은 여기에서 수하물 · 출국 절차를 마쳐서 공항에서는 보안 검사와 세관 신고만 마치고 바로 출국장으로 갈 수 있다. [[공항철도(기업)|공항철도주식회사]]는 공항철도의 서울역을 승객 편의상 "서울역"역 으로 안내하고 있는데, [[인천국제공항철도]]를 소유한 상위 기관인 [[국토교통부]]에 문의해본 결과 국토교통부 고시상 "서울" 역이 맞으며, 이에 따라 수도권 전철 보기 부분의 공항철도 측의 안내(역번호 등)를 서술한 표 부분과 승강장 안내 부분은 "서울역"역으로 서술,인천국제공항철도선의 정보를 나타낸 철도거리표에는 "서울"역으로 서술해야 한다. [[파일:공항철도 및 국토부의 공항철도 서울역 역명 관련 공식 답변.png|공항철도&국토부 답변 내용]] 또한 한국철도시설공단 측의 철도거리표에서 공항철도의 서울역을 "서울역"역이라고 표기하고 있었는데[* [[https://www.data.go.kr/data/15041310/fileData.do|공공데이터포털]]], 이에 대해 문의해본 결과 한국철도시설공단 측에서도 공항철도 측에서 편의상 서울역으로 사용 중인 것을 확인했으며, 국토교통부 고시상 서울역이 아닌 서울이 맞다는 답변을 받았다. === 미래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계획에 따라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GTX-A]],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GTX-B]] 정거장이 세워진다. 지도상으로는 [[서울역 버스환승센터]] 부지의 지하에 승강장이 들어선다. GTX-A는 2020년 하반기에 공사를 시작했으며, 2024년 하반기에 개통한다. [[삼성역(GTX)|삼성역]], [[청량리역]]과 다르게 동일 승강장에서 환승할 수 있는 수평환승시스템을 하지 않지만 승강장 간 연결통로를 통해 환승거리를 최소화할 예정이다.[* [[http://www.molit.go.kr/USR/NEWS/m_72/dtl.jsp?lcmspage=2&id=95086895|국토교통부 > 뉴스·소식 > 설명자료]]] [[신안산선]] 2단계와 [[신분당선]] 삼송 연장이 장기계획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신분당선 삼송 연장은 예비타당성조사 값이 낮아서 탈락해 사업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울역 지하화 - 국토교통부.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onorail-20201124-225321-001.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울역북부.png|width=100%]]}}} || 경부선은 도시철도, KTX와 ITX-새마을 등의 여객열차도 다니고, 화물열차도 지나간다. 다른 도시철도 노선에 견줘서 소음이 크고, 공해가 심하기 때문에 선로 주변에 사는 주민들의 소음공해 · 사생활 침해민원이 끊이지 않는다. 선거철만 되면 단골 공약으로 경부선 지하화가 빠짐없이 나온다. 다만 서울역 정도 되는 초대형역사를 지하에 밀어서 넣는다면 지반침하 위험이 있다. 실제로 공항철도 공사 때 지반침하가 발생한 적이 있다. 용산역부터 서울역까지의 경부선 부지는 과거 [[만초천]]이라는 하천이 흘렀던 자리이며, 서울역이 지하화되면 용산역도 지하화되어야 한다. 그러나 용산역부터 경의·중앙선 승강장을 지하에 건설하려고 했다 좌절되었으며, 설상가상으로 바로 남쪽에 [[한강철교]]까지 있다. 그렇기에 선형 변경 없이 지하에 역사와 하저터널을 건축하려면 상당한 비용과 기술적 도전이 예상된다. 여기에 사적으로 지정된 옛 역사는 물론 주변에 있는 [[숭례문]]([[대한민국의 국보|국보]]), [[서울 한양도성|한양도성]]([[대한민국의 사적|사적]]) 등 문화재와 여러 건물, 주택지에 영향을 끼치는 열차 진동도 고려해야 한다. [[흥인지문]]은 4호선 동대문역이 들어서면서부터 진동 때문에 기울고 있다. 추후 GTX-A, GTX-B에 이어 [[수색-광명 고속철도]]가 개통되면 일부 경부 및 호남선 등의 기존선을 이용하는 열차들을 제외하고는 전부 지하의 대심도 승강장으로 이설될 예정이다. KTX 경부선과 호남선 계통은 별도의 지하 승강장을 마련하고, 중앙선과 경강선 계통은 GTX-B의 지하 승강장을 이용할 것이다. 지상 서울역 승강장은 축소되며 이전 부지는 또 새로운 공간으로 개발될 예정이다. 계획에 따르면 일반열차 전용 승강장은 4면 4선으로 크게 축소된다. 1호선 서울역 급행 및 경의·중앙선 승강장도 위치가 조정될 예정이다. === 환승 === 규모가 거대하여 대한민국에서 손꼽히는 [[막장환승]]역이다. 1호선 역 남쪽 끝에서 4호선 역 북쪽 끝을 1자로 이어서 만든 탓에 잘못 내리면 환승 거리가 크게 늘어난다. 바로 다음 환승역인 [[동대문역]]은 4호선에서 1호선으로 환승할 때의 기준으로 2개 층을 올라가고, 긴 환승 통로를 걸어야 하며 그 다음에 다시 1개 층을 내려가야 하는 반면에 서울역은 1호선과 4호선 모두 지하 2층에 승차장이 자리해서 고저차가 없어서 상대적으로 환승이 쉽지만, 1호선-4호선 환승 통로가 조금 길다. 이는 노선 경로상 서로 교차하지 않고 평행으로 달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4호선 역을 1호선 역이 있는 쪽으로 조금 옮겼더라면 충분히 개념환승에 들어갈 수 있었다. 한국철도공사 서울역과의 환승은 그나마 낫다. 한국철도공사 서울역과 바로 잇는 통로가 1호선과 4호선 중간에 만들어져 있기 때문이다. 옛 역사 때에는 철도청 서울역이 지금 위치보다 더 북쪽에 있던 탓에 4호선 역에서 철도청 서울역으로 들어가려면 1호선 역 전체를 종단하여 가야 했다. [[수도권 전철 경의선]]과 [[인천국제공항철도]]가 개통하면서 [[노원역]], [[종로3가역]]을 능가하는 막장환승역으로 등극했다. 두 노선의 개통 당시에는 환승 통로가 따로 없어서 경의선에서 1, 4호선으로 갈아타려면 그 거대한 한국철도공사 역사를 가로질러서 길고 긴 데크를 걸은 뒤에 광장으로 내려와서 지하로 들어가야 했다. 횡단하는 데에만 최소 200 ~ 300m이다. 똑같이 한국철도공사 역 서쪽에 있는 인천국제공항철도 역시 개통 때에는 한국철도공사 역사를 가로질러서 환승해야 하는 데다가 지하 7층에 승차장이 있어서 더더욱 막장이었다. 환승통로가 없으니 교통카드를 통한 환승할인(간접환승)이 적용되었으며, 이때의 공항철도-1호선 환승 거리는 500m, 공항철도-4호선 환승 거리는 700m였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150318_0013544124|「[초점]‘공항철도 환승 통로’ 개통…28일 서울역이 확 달라진다」]], 뉴시스, 2015-03-24] 환승 거리를 단축하기 위해서 공항철도와 1, 4호선을 잇는 환승 통로가 2015년 3월 28일에 개통되었다.[* [[http://blog.naver.com/arex_blog/220313449617|「인천공항철도~1, 4호선 서울역 환승 통로 3월 28일 개통」]], 공항철도 공식 네이버 블로그, 2015년 3월 28일] 일단 공항철도-1호선 환승 거리는 360m로, 공항철도-4호선 환승 거리는 300m로 줄어들게 되었고, 공항철도와 1·4호선 간의 간접환승은 폐지되었다. 지금도 공항철도와 1, 4호선을 갈아타려면 한국철도공사 역사를 지하로 가로질러야 하기 때문에 공항철도가 이설하지 않는 이상 막장환승임은 변함이 없다. 공항철도-1호선 환승 통로는 자잘한 계단이 많은 서울역발 급행열차 환승 통로에 이어 붙여 만든 것이라서 휠체어는 사실상 이용이 불가능해서 4호선 맞이방을 우회해야 했다. 게다가 계단 하부에 남산에서 내려오는 하수관이 있는 까닭으로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하는 대신에 계단 한쪽을 막은 자리에 경사형 엘리베이터를 설치해서 환승이 가능하다. [[치상궤도]]식 [[모노레일]]에 가까운 체계여서 [[궤도운송법]]을 적용받는다.[* [[http://www.samsungeltec.co.kr/?mid=board_Gtoa73&listStyle=viewer&document_srl=3628|「서울역 경사형엘리베이터엔 특별함이 있다」]], 삼성엘텍, 2017-11-09] 환승 통로 공사 때에 지반침하가 발생하는 등 난항을 겪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4/0000334672?sid=102|「꺼지고 갈라지고…서울역 '지반침하' 대형사고 우려」]], MBC, 2014-01-18] 위 기사를 보았을 때에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 [[고속터미널역]], [[인천국제공항철도]] [[인천공항2터미널역|인천공항2터미널]] 연장 구간[* [[http://www.ikld.kr/news/articleView.html?idxno=86710|「철도공단 "13일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 연결철도 개통"」]], 국토일보, 2018-01-10], [[신분당선]] [[강남역]][* [[http://www.trenc.co.kr/bbs/board.php?bo_table=technology01|티알이엔씨(주) > 공법소개 > TRcM]]]에 적용된 TRcM 공법, 즉 두 관을 넣은 뒤에 이를 관으로 연결해서 그 밑을 파는 공법이 쓰인 것 같다. 경의·중앙선 서울역은 여전히 다른 노선과 간접환승이 가능하며 배차 간격 1시간으로 운행 횟수가 적어서 운행계통 재조정이나 폭발적인 수요 증가가 없는 한 환승 통로가 만들어지지 않을 것이다. 경의·중앙선(경의선 서울역 착발 운행계통) – 1·4호선 간 환승하려면 목적지가 서울 도심이나 혜화, 성북구, 동대문구, 강북구, 노원구, 도봉구, 의정부, 양주, 동두천이 아닌 이상 1호선은 [[용산역]], 4호선은 [[이촌역]] 환승이 조금 더 낫다. 1시간에 1대라는 배차 간격과 밖으로 나가야 하는 불편함 때문이다. 경의선 서울역 승강장이 서부역에 위치했던 시절에는 환승 거리가 길어서 환승이 상당히 힘들었다. 여러 지하철 어플 등에 따르면 [[홍대입구역]]과 비슷한 소요시간이 걸렸다. 2017년 11월 28일부터 승차장이 옛 역사 근처로 이전됨에 따라서 이전보다 1·4호선과의 환승 경로가 상당히 단축되면서 1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이 막장에서는 벗어났다. 1호선 서울역 2번 출구로 나오면 바로 앞에 있는 문화역 서울284 건물이 경의선 승강장 진입로이다. 2018년 7월부터 에스컬레이터와 맞이방이 생겨서 전처럼 역사 반대편으로 돌아갈 필요가 없어져서 개념환승급으로 좋아졌다. 하지만 4호선은 1호선 맞이방을 상당 부분 거쳐 가야 하기에 여전히 막장이다. 한편 2017년 3월 24일에 한국철도공사는 간선열차와 수도권 전철 간의 환승동선 단축, 수평환승 등 편리한 연계를 세우기 위해 서울역 4번 승차장에 1·4호선으로 바로 갈 수 있는 게이트를 개설했다. 이로써 [[서울교통공사]]와 승차율 경쟁을 펼치고 있으며 이용객 상당수가 이곳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에 부수수익을 충당하고 있다. 다만, 미리 레츠코레일 홈페이지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코레일톡]]으로 승차권을 사지 않았다면 맞이방으로 올라가서 사야 한다. 게이트 주변에는 승차권 자동발매기가 없어서 생기는 문제점이다. 또한 다른 승차장을 쓴다면 한 층을 올라갔다가 3/4번 쪽으로 이동해야 한다. 빠른 환승 자리는 1호선 상행 기준 9-3, 하행 기준 1-3이며 평균 5분 정도 걸리지만 개찰구와 승 · 하차 플랫폼이 멀거나 환승 통로 계단에 승객이 밀리면 더 걸릴 수 있다. [[파일:external/news.korail.com/185098383358d36a309ae8c.jpg]]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TX 서울역.png|width=100%]]}}} || || GTX 서울역 조감도 || 향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와 [[신안산선]]까지 개통되면 각지에서 몰려오는 유동인구로 전국 세 손가락 안에 드는 혼잡한 역이 된다. === 역대 역장 === 1960년대까지는 잡지에 부인도 지명인사로 나올 정도로 권위있는 자리였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740935|「서울역장{{{|}}}밤·낮이 따로 없는「철로 수문장」{{{|}}}명절 때면 귀성객수송"홍역"」]], 중앙일보, 1992-08-28] 2000년 1월부터 2006년경까지 '서울지역관리역장'이 사실상 서울역장을 맡았다. * 이종림 (1945~1951) * 신순우 (1951~1953) * 박흥복 (1953~1955) * 김인석 (1955~1958) * 홍성부 (1958~1959) * 윤기 (1959~1960) * 신현대 (1960) * 송달호 (1960~1961) * 원환현 (1961~1962) * 김준경 (1962~1965) * 이근상 (1965) * 임수복 (1965~1966) * 강영진 (1966) * 유경희 (1966~1967) * 박동선 (1967~1970) * 양주철 (1970~1971) * 이기상[*A 그 후 홍익회장을 역임했다.] (1971~1972) * 오원근 (1972~1973) * 이낙영 (1973~1975) * 이종만 (1975) * 임봉수 (1975~1976) * 기우진 (1976) * 이약우[*A] (1976~1977) * 송종면 (1977~1978) * 이건중 (1978~1979) * 김형배 (1979~1980) * 고태주 (1980~1981) * 이종준 (1981~1982) * 방석기[*A] (1982~1984) * 강성태 (1984~1985): 나중에 [[부평역]]사 사장을 맡았다. * 고용평 (1985~1988) * 김응주 (1988~1990) * 신진복 (1990~1992) * 이율재 (1992~1993) * 허기도 (1993~1994) * 윤주수 (1994~1995) * 장재선 (1995~1996) * 정구섭 (1996~1997) * 박원갑 (1997~1998) * 박일숙 (1998~1999) * 최용 (1999) * 김영환 (2000) * 윤인균 (2000~2001) * 이근국 (2001~2002): 나중에 철도청 차장을 맡았다. * 이상숙 (2002~2003) * 배종규 (2003~2004) * 고완석 (2004) * 박선규 (2004~2006) * 이우방 (2006~2007) * [[김복환]] (2007~2008): 나중에 한국철도공사 경영본부장과 주식회사 SR 사장을 맡았다. * 양홍만 (2008~2009) * 윤중한 (2009~2011) * 박종승 (2011~2012) * 박철환 (2012) * 김양숙 (2012~2014) * 윤성련 (2014~2016) * 류정민 (2016) * 한병근 (2016~2018) * 이규영 (2018~2020) * 이두희 (2020~2022) * 송포명 (2022~) == 역 주변 정보 == [[영등포역]]과 함께 수도권에서 [[노숙자]]가 제일 많은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노숙자들을 위한 무료 급식소가 이 역 인근에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서울역에 기거하는 노숙자들은 만만하게 보이는 젊은 [[여대생]]이나, 흡연구역의 젊은 흡연자, 휴가를 나온 [[군인]]들한테도 괜스레 [[시비]]를 걸어온다. 주부나 나이 많은 중년의 여성에게는 시비를 잘 걸지 않는데 말빨에서 밀리기 때문이다. 고속열차 승차장 부분에는 노숙자들이 거의 없다. 역무원들이 제대로 통제하는 데다가 외국 귀빈들도 쓰기 때문이다. 그래서 노숙자들이 많은 곳은 전철 승차장 부분이다. 그 중 1호선 지하 1층에 가장 많이 몰려 있다. 외진 곳에 있는 4호선 역에는 별로 없다. 노숙자뿐만 아니라 각종 종교·정치 단체 시위도 빈번하다. 지하 부분은 뉴욕이나 파리 지하철역처럼 더럽거나 난잡하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1호선에서 내려서 4호선 환승 및 기차역 방향이 아닌 반대 방향 쪽 출구로 나가면 심심찮게 [[닭둘기|비둘기]]를 볼 수 있다. 잘 관리가 되지 않는 것은 유동인구가 많다 보니 상당히 관리가 힘들다는 점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광장 안 흡연구역에서는 노숙자들이 [[담배]] 구걸도 하는데 유리병 조각을 들고 덤벼드니 속히 자리를 떠야 한다. 볼일이 있을 때 토요일은 가급적 피하는 게 좋다. 열차를 이용하려는 내국인 승객과 외국인 관광객이 합해진 데다 역 광장에서 열리는 각종 집회로 인해서 역 안에 사람이 매우 많기 때문이다. 역사 안에 유명 패스트푸드점들이 입점해 있다. [[롯데리아]], [[버거킹]], [[맥도날드]]가 있으며, 롯데리아와 맥도날드는 2층에, 버거킹은 3층 태극당 옆에 있다. 롯데리아는 맥도날드 옆 외에 서울역 밖의 광장에도 입점해 있었으나 현재 그곳은 폐점하고 [[다이소]] 매장으로 바뀌었다. [[KFC]]도 3층 버거킹 옆에 들어와 있었지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서 2020년 11월 30일부로 폐점하였으며, 그 자리에는 현재 [[태극당]]이 입점해있다. 공항철도 지하 2층에는 [[국민은행]] 환전센터가 있다. 본래 기업은행과 우리은행도 환전센터가 있었으나 각각 2017년 10월, 2018년 12월 11일에 철수했고, 무인영업소, 국민은행 환전센터만 남아 있다. 취급하는 외국통화는 [[미국 달러]], [[유로]], [[엔화]], [[영국 파운드]], [[중국 위안]], [[스위스 프랑]], [[캐나다 달러]], [[홍콩 달러]], [[대만 달러]], [[태국 바트]], [[필리핀 페소]], [[인도네시아 루피아]], [[베트남 동]], [[싱가포르 달러]], [[말레이시아 링깃]], [[호주 달러]], [[뉴질랜드 달러]], [[체코 코루나]], [[러시아 루블]]이다. 역사 남북 쪽 출입문이 상시 개방된 탓에 이 문으로 [[비둘기]]가 간혹 역사 안에 난입해서 돌아다닌다. 출구 번호가 다소 헷갈린다는 지적이 많다. 다른 노선의 출구가 겹치는 숫자를 써서 통합해서 관리해 달라는 요구가 있고, 실제로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도 고스란히 나타나는 문제이다. 한편 외국인들은 1·4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경의·중앙선이 모두 청색 계열이라 헷갈린다고 가끔 불편을 호소한다.[*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180809/91434012/1|「1, 2, 3번 출구가 2개씩… 서울역서 길을 잃다」]], 동아일보, 2018-08-09] 차후 청색 계열의 GTX-B와 적색 계열의 GTX-A, 신분당선, 신안산선이 건설 및 계획 중이라서 더욱 우려된다. 2010년대 후반 들어 도로 근처에 대부업체들이 한 곳에 모여 있는 건물이 유명했는데 [[밈(인터넷 용어)|인터넷 밈]]이 되면서 절망의 [[탑]]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2964080?sid=103|「노량진 ‘시련의 탑’을 아십니까」]], 경향신문, 2019-09-22] === 문화역서울 284[anchor(문화역서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G_20190421_213742_389.jpg|width=100%]]}}}|| || 문화역서울 284가 있는 구 서울역사 전경 || 문화역서울 284는 [[서울특별시]] [[중구(서울특별시)|중구]] [[통일로]] 1 (봉래동2가 122-28)에 있다. 역 건물 자체를 한 곳의 지번으로 분리해 놓았다. 주변 지역은 122-17이다. 한국 철도의 중심지로 1981년에 사적 284호로 지정될 정도로 여러 가지 많은 역사(歷史)가 살아있는 역사(驛舍)이다. 등록문화재 284호는 상주농협 구 창고(尙州農協 舊 倉庫)이다.[*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jsessionid=2AhIuOWEYaHN9VhfHxXvzAOcoV1esqrzZ1SNm1aUD1RS1uKox7esNpcR1Ik1S2X9.cpawas_servlet_engine1?pageNo=1_1_2_0&ccbaCpno=4413702840000|문화재청 문화유산 검색 > 문화재 검색 > 문화재 종목별 검색]]] 1923년부터 2003년 10월까지 약 80년 동안 역사의 공간분화에도 불구하고 본 역사로 사용되었다.[* 신예경, 김진균.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225616|「서울역사(驛舍) 공간분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제25권 제7호, 2009년. pp.71-80.] 그러다가 [[박정희]] 정권기인 1960년대에는 위상이 엎어지고 공간분화 다른 시설물로 본 역사 역할이 넘어갈 뻔했고, 심지어 헐릴 뻔했다.[* 이승빈.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714163|「서울역 일대 도시공간 재구성의 무산된 청사진: 1968년도 개발안들의 경계 해체 구상」]]. 공간과 사회 제31권 제2호, 2021년. pp.171-212.] 2017년 11월 28일부터 문화역서울 284로 개조된 서울역 구 역사의 여객업무 기능이 부활했다. 종래 서부역에 있던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승강장을 반대편 북단으로 이전했기 때문이다. 물론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안에 개찰구를 놓을 수 없으므로 승차장에 설치했으며, 출구는 정문 오른쪽의 'Cafe 자리' 바로 옆에 개설되어 있다. 원래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대비용 임시 조치이지만, 향후 서부역으로 위치가 되돌아갈 일은 없어 보인다. 엘리베이터를 타면 바로 내려갔지만 길은 ㄷ자였다. 이 까닭은 바로 앞이 선로라서 그랬다. 애초에 KTX 승강장 선로에 경의선 승강장을 유치한 것이라 공간이 날 수가 없었다. 지금은 대합실 공사를 하면서 ㄱ자로 동선이 줄었으며, 대부분 지하로 가서 환승하므로 이 점을 감안하면 오히려 좋아졌다. 올라갔다가 두 번 내려가면 1호선 승강장이다. === [[사전투표|사전투표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7050401000143400012991.jpg|width=100%]]}}}|| || 서울역에 마련된 사전투표소의 모습 || 서울역 3층 대합실은,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부터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까지 사전투표소로 활용되었다. 서울역이 소재한 행정구역인 [[용산구]] [[남영동]] 사전투표소로 지정되어 있다. 따라서 남영동 주민들은 관내사전, 그 외에는 관외사전투표로 처리한다. 물론 용산역과 함께 관외사전투표인이 훨씬 많다.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용산구 남영동 사전투표소가 동주민센터로 지정되어 서울역에 설치되었던 사전투표소가 폐지되었다. == 일평균 이용객 == 대한민국 일반철도, 고속철도, 도시철도, 광역철도 역들을 포함하여 전국의 모든 역을 통틀어 이용객이 가장 많으며 수도권 전철과 일반, 고속열차 이용객을 모두 포함하여 일평균 약 36만 명이 이용한다. === 수도권 전철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wiki style="margin: -0px -10px"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25]]]],,(지하),,}}} || {{{#!wiki style="margin: -0px -10px"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25]]]],,(지상),,}}} || [[수도권 전철 4호선|[[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25]]]]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파일:GJLine_icon.svg|width=25]]]] || [[인천국제공항철도|[[파일:AREX_icon.svg|width=25]]]] || {{{#ffffff '''총합'''}}} || {{{#ffffff '''비고'''}}} || ||<^|1><-8>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94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1994년 || 116,122명 ||<|16> {{{#fff,#1f2023 8,830명}}} || 37,434명 ||<|15> {{{#fff,#1f2023 13,263명}}} ||<|16> {{{#fff,#1f2023 37,738명}}} || 153,556명 || || || 1995년 || 114,559명 || 38,650명 || 153,209명 || || || 1996년 || 109,448명 || {{{#289dd5 38,764명}}} || 148,212명 || || || 1997년 || 102,958명 || 38,294명 || 141,252명 || || || 1998년 || 96,273명 || 33,961명 || 130,234명 || || || 1999년 || 자료없음 || 자료없음 || - || || || 2000년 || 91,754명 || 28,866명 || 120,620명 || {{{#fff,#1f2023 비고}}} || || 2001년 || 91,908명 || 28,933명 || 120,841명 || || || 2002년 || 91,182명 || 29,110명 || 120,292명 || || || 2003년 || 88,756명 || 28,067명 || 116,823명 || || || 2004년 || 97,081명 || 27,085명 || 124,166명 || || || 2005년 || 102,280명 || 25,289명 || 127,569명 || || || 2006년 || 105,323명 || 24,676명 || 129,999명 || || || 2007년 || 105,870명 || 24,696명 || 130,566명 || || || 2008년 || 118,820명 || 23,889명 || 142,709명 || || || 2009년 || 106,228명 || 24,124명 || 9,068명 || 139,420명 || [* 경의선의 자료는 개통일인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84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 2010년 || 114,427명 ||<|7> || 28,208명 || 11,809명 || 19,258명 || 173,702명 || [* 공항철도의 자료는 개통일인 12월 29일부터 12월 31일까지 3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11년 || 134,183명 || 33,756명 || 13,110명 || 26,218명 || 207,267명 || || || 2012년 || 135,425명 || 32,936명 || {{{#77c4a3 13,263명}}} || 35,075명 || 216,699명 || || || 2013년 || 138,804명 || 31,366명 || 11,960명 || {{{#3681b7 39,113명}}} || 221,243명 || || || 2014년 || {{{#0052a4 140,569명}}} || 30,521명 || 12,536명 || 37,738명 || {{{#red 221,364명}}} || || || 2015년 || 121,254명 || 31,312명 || 6,486명 || 29,893명 || 188,945명 || [* 공항철도의 자료는 이 연도까지 [[http://www.kric.go.kr/jsp/industry/rss/citystapassList.jsp?q_org_cd=A010010029&q_fdate=2017|국토교통부 철도통계]]의 자료를 반영하였다.] || || 2016년 || 118,281명 || 34,213명 || 5,241명 || 18,568명 || 176,303명 || || || 2017년 || 111,215명 || 6,897명 || 33,557명 || 6,186명 || 19,824명 || 177,679명 || [* 경부선의 자료는 게이트 완공일인 3월 24일부터 12월 31일까지 283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18년 || 108,475명 || 7,219명 || 35,719명 || 7,026명 || 23,169명 || 181,608명 || || || 2019년 || 111,771명 || 8,830명 || 37,210명 || 8,671명 || 25,697명 || 192,179명 || || || 2020년 || 69,015명 || 5,482명 || 22,353명 || 6,688명 || 12,648명 || 116,186명 || || || 2021년 || 67,966명 || 6,649명 || 20,856명 || 6,860명 || 12,598명 || 114,929명 || || || 2022년 || 84,366명 || {{{#0052a4 9,965명}}} || 26,619명 || 8,141명 || 17,536명 || 146,627명 || || ||<-8> {{{#ffffff '''출처'''}}} || ||<-8>[[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지하,, [[수도권 전철 4호선|[[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48|서울교통공사 자료실]][* 옛 자료 출처: [[http://www.riss.kr/search/Search.do?isDetailSearch=N&searchGubun=true&viewYn=OP&query=%EC%A7%80%ED%95%98%EC%B2%A0+%EC%88%98%EC%86%A1%EA%B3%84%ED%9A%8D|지하철 수송계획]], [[http://www.riss.kr/search/Search.do?isDetailSearch=N&searchGubun=true&viewYn=OP&query=%EC%A7%80%ED%95%98%EC%B2%A0+%EA%B2%BD%EC%98%81|서울지하철경영]]]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파일:GJLine_icon.svg|width=17]]]]: [[https://info.korail.com/info/selectBbsNttList.do?bbsNo=425&key=867|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경부,, [[인천국제공항철도|[[파일:AREX_icon.svg|width=17]]]]: [[http://data.seoul.go.kr/dataList/datasetView.do?infId=OA-12252&srvType=S&serviceKind=1¤tPageNo=1|서울열린데이터광장]] || }}} * 2015년까지 하루 평균 이용객에 있어서 서울 강북권 1위를 달리고 있었지만, 2016년에 [[홍대입구역]]에 추월당해 강북권 2위로 내려왔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 본선이 [[홍대입구역]]을 경유하다 보니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문제점/서울역행 열차 문제|경의선 서울역 지선 열차 감차]]를 주장하는 근본적인 원인이 되고 있다. 서울역 지선으로 인해 홍대입구역의 배차간격이 특정 시간대에 지나치게 벌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도 2019년 기준으로 도시철도만 하루 평균 183,349명이 이용하는 역으로 [[강남역]] - 홍대입구역 - [[잠실역]] - [[고속터미널역]]에 이은 전국 5위를 기록하고 있다. * 2015년 공항철도 환승 통로가 개통하면서 [[간접환승]]을 하던 이용객이 제외되어 공항철도 승하차 인원이 절반으로 줄었다. 이를 보면 공항철도 서울역 이용객의 절반이 환승객, 절반은 승하차객이라는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 B 급행은 지상 서울역에 종착하고 한국철도공사 게이트를 사용하기에 같은 1호선이지만 승차량이 따로 집계된다. 2016년에는 15,826명을 기록했다. 2019년 12월 30일 폐지했으나 여러 문제로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운행하기 시작했다. * 2014년 [[용산선]] 구간 광역철도 완전 개통 후 경의선의 서울역 이용객 수가 많이 줄었으나 체감 혼잡도는 예전과 비슷하다. 8량 운행이 전부 4량으로 감차되었고 2017년 11월, 구 서울역사(문화역서울 284) 옆으로 승강장 이동 후 승강장의 크기도 줄었다. 특히 아직도 퇴근시간대 열차를 타면 앉아서 가기 위한 전쟁이 일어난다. 다만 출퇴근 시간과 평시/휴일 간의 승하차량 격차가 심하며, 특히 휴일에는 [[월롱역]]에도 밀릴 정도로 승하차량이 많이 줄었다. * 서울 지하철 1호선 구간에서는 물론, 수도권 1호선 99개역 전 구간을 통틀어서 1위이다. 하지만 4호선 승객수는 3만 명대로 22위로 중상위권이다. 1호선은 11만 명대인데 비해 4호선은 적다. * 서울역에서 타고 내리는 도시철도 이용객의 약 65% 정도가 1호선 개찰구를 이용하는 승객이다. 20%는 4호선 개찰구 승객이고 15%는 공항철도 개찰구 승객이다. * 1호선 서울역은 [[중구(서울특별시)|중구]]의 도시철도역 중 최다 승객이 이용한 역이다. === 일반 · 고속철도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KTX|[[파일:KTX BI.svg|width=50]]]] || {{{#!wiki style="margin: -0px -9px" [[ITX-새마을|[[파일:ITX-새마을 BI.svg|width=68]]]]}}} ||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 || {{{#ffffff '''총합'''}}} || {{{#ffffff '''비고'''}}} || || 2004년 || 44,388명 || {{{#c2002f 9,467명}}} || {{{#f55839 22,552명}}} || 76,407명 || [* KTX의 자료는 개통일인 4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275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05년 || 50,386명 || 4,895명 || 12,379명 || 67,660명 || || || 2006년 || 55,101명 || 4,085명 || 11,879명 || 71,065명 || || || 2007년 || 54,850명 || 3,782명 || 12,444명 || 71,076명 || || || 2008년 || 54,901명 || 3,649명 || 12,332명 || 70,882명 || || || 2009년 || 54,088명 || 3,452명 || 13,220명 || 70,760명 || || || 2010년 || 59,636명 || 3,347명 || 15,251명 || 78,234명 || || || 2011년 || 71,779명 || 3,182명 || 17,252명 || 92,213명 || || || 2012년 || 73,050명 || 2,585명 || 17,529명 || 93,164명 || || || 2013년 || 75,398명 || 2,547명 || 18,127명 || 96,072명 || [* 4월 12일에 개통된 O-train과 9월 27일에 개통된 S-train의 통계는 새마을호로 집계된다.] || || 2014년 || 77,687명 || 2,960명 || 17,632명 || 98,279명 || [* 11월 1일에 운행 개시된 ITX-새마을은 새마을호와 합산하여 집계된다. ] || || 2015년 || 77,583명 || 2,838명 || 16,823명 || 97,244명 || || || 2016년 || 78,842명 || 2,516명 || 14,936명 || 96,294명 || || || 2017년 || 66,257명 || 2,914명 || 13,314명 || 82,485명 || || || 2018년 || 76,720명 || 2,846명 || 13,259명 || 92,825명 || || || 2019년 || {{{#144999 85,022명}}} || 2,995명 || 13,902명 || {{{#red 101,919명}}} || || || 2020년 || 50,185명 || 1,644명 || 7,818명 || 59,647명 || || || 2021년 || 55,305명 || 1,823명 || 7,447명 || 64,575명 || || || 2022년 || || || || || || ||<-6> {{{#ffffff '''출처'''}}} || ||<-6> [[https://info.korail.com/info/selectBbsNttList.do?bbsNo=202&key=1421|철도통계연보]] || }}} * 대한민국 철도의 상징이자 정점과도 같은 역이며, KTX의 개통과 함께 성장해 왔다. 경전선, 전라선, 동해선 KTX의 개통 때 이용객 수가 급증했다. 2017년에는 [[수서역]]의 개통 영향으로 수요가 분산되어 다소 이용객이 감소했으나 2019년에 [[강릉선 KTX]]의 영향으로 서울역이 대한민국 철도 역사상 최초로 일반열차로만 10만 이용객을 찍었다. == 승강장 == === 지상역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ds23.egloos.com/d0019235_4ff18b5ac4806.jpg|width=100%]]}}}|| || 서울역 지상역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울역_역명판_지상.jpg|width=100%]]}}}|| || 일반열차 승강장 역명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31918.jpg|width=100%]]}}}|| || '''{{{#fff 경의선 승강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eoul Station Line 1 Rapid platform new.jpg|width=100%]]}}}|| || '''{{{#fff 1호선 급행 승강장}}}''' || [[https://ko.wikipedia.org/wiki/%EC%84%9C%EC%9A%B8%EC%97%AD#%EB%B0%B0%EC%84%A0%EB%8F%84|한국어 위키백과 서울역 문서 배선도]] (문서 하단부)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승강장 ||<-7> [[신촌역(경의선)|신촌]] || || | || | || | || | || | || ↑ || {{{#ffffff 1}}} || ||<-7> 종착역 || || {{{#ffffff 1}}} || [[파일:GJ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완행·{{{#red 급행}}} || [[대곡역(고양)|대곡]]·[[수색역|수색]]·[[일산역|일산]]·[[문산역|문산]] 방면 || 경의·중앙선 승강장은 아래 승강장에서 4번 승강장 북쪽에 있다. * [[KTX]]·일반열차·[[수도권 전철 1호선]](경부선 급행 B) 승강장 ||<-26> [[행신역|행신]] ||<-9> 종착역 |||| ||<#000000> {{{#ffffff }}} || --↑-- || ↕ ||<#808080> {{{#ffffff 14}}} ||<#808080> {{{#ffffff 13}}} || ↕ || ↕ ||<#808080> {{{#ffffff 12}}} ||<#808080> {{{#ffffff 11}}} || ↕ || ↕ ||<#808080> {{{#ffffff 10}}} ||<#808080> {{{#ffffff 9}}} || ↕ || ↕ ||<#808080> {{{#ffffff 8}}} ||<#808080> {{{#ffffff 7}}} || ↕ || | || ↕ ||<#808080> {{{#ffffff 6}}} ||<#808080> {{{#ffffff 5}}} || ↕ || | || ↕ ||<#808080> {{{#ffffff 4}}} ||<#808080> {{{#ffffff 3}}} || ↕ || | || ↓ ||<#0052A4> {{{#ffffff 2}}} ||<#0052A4> {{{#ffffff 1}}} || ↓ || | || | || ||<-2> --종착-- ||<-4> [[청량리역|청량리]] ||<-20> [[용산역|용산]]·[[영등포역|영등포]]·[[광명역|광명]] ||<-3> 영등포 ||<-6> [[금천구청역|금천구청]] |||| 1~3번 승강장은 [[두단식 승강장]]이다. ||<#0052A4> {{{#ffffff 1~2}}}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8]] [[수도권 전철 1호선]] || {{{#green 경부선 B급행}}} || [[안양역|안양]]·[[수원역|수원]]·[[천안역|천안]] 방면 || ||<|2><#808080> {{{#ffffff 3}}} || [[경부선]] ||<|2> [[ITX-새마을|[[파일:ITX-새마을 BI.svg|width=45]]]] || [[대전역|대전]]·[[동대구역|동대구]]·[[부산역|부산]] 방면 || || [[경전선]] || 동대구·[[마산역|마산]]·[[진주역|진주]] 방면 || ||<|15><#808080> {{{#ffffff 4~12}}} || [[경부고속선]] || [[KTX|[[파일:KTX BI.svg|width=35]]]] || 대전·동대구·부산 방면 || ||<|3> [[경부선]] || [[KTX|[[파일:KTX BI.svg|width=35]]]][br]([[수원 경유 KTX|수원]]) || 영등포·수원·부산 방면 || || [[KTX|[[파일:KTX BI.svg|width=35]]]][br]([[구포 경유 KTX|구포]]) || [[밀양역|밀양]]·[[구포역|구포]]·부산 방면 || || [[ITX-새마을|[[파일:ITX-새마을 BI.svg|width=45]]]][br][[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 || 대전·동대구·부산 방면 || || [[경전선]] || [[KTX|[[파일:KTX BI.svg|width=35]]]][br][[ITX-새마을|[[파일:ITX-새마을 BI.svg|width=45]]]] || 동대구·마산·진주 방면 || ||<|2> [[동해선]] || [[KTX|[[파일:KTX BI.svg|width=35]]]] || 대전·동대구·[[포항역|포항]] 방면 || || [[ITX-새마을|[[파일:ITX-새마을 BI.svg|width=45]]]] || 동대구·[[부전역(동해선)|부전]]·[[신해운대역|신해운대]] 방면 || || [[호남고속선]] ||<|2> [[KTX|[[파일:KTX BI.svg|width=35]]]] || [[익산역|익산]]·[[광주송정역|광주송정]]·[[목포역|목포]] 방면 || || [[호남선]] || [[서대전역|서대전]]·익산·목포 방면 || || [[전라선]] || [[KTX|[[파일:KTX BI.svg|width=35]]]][br][[남도해양관광열차|S-train]] || 익산·[[전주역|전주]]·[[여수엑스포역|여수]] 방면 || || [[충북선]] ||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 || [[청주역|청주]]·[[충주역|충주]]·[[제천역|제천]] 방면 || || --[[경의선]]-- ||<|2> --[[평화생명관광열차|DMZ-Train]]-- || --용산·[[임진강역|임진강]]·[[도라산역|도라산]] 방면-- || || --[[경원선]]-- || --[[의정부역|의정부]]·[[연천역|연천]]·[[백마고지역|백마고지]] 방면-- || ||<|2> 전 노선 공통 || [[KTX|[[파일:KTX BI.svg|width=35]]]] || 행신 방면 || || [[ITX-새마을|[[파일:ITX-새마을 BI.svg|width=45]]]][br][[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br][[남도해양관광열차|S-train]][br]--[[평화생명관광열차|DMZ-Train]]-- || 당역종착 || ||<#808080> {{{#ffffff 11~14}}} || [* 일반적으로 14번 승강장을 사용한다. 하지만 가끔 간격이 짧으면 14번 승강장에서 선행 열차가 대기할 시 후행 열차가 11~13번 승강장을 사용한다.] || [[KTX|[[파일:KTX BI.svg|width=35]]]][br]·[[KTX-이음|[[파일:KTX-이음 BI.svg|width=70]]]] || [[행신역|행신]]·[[강릉역|강릉]]·[[동해역|동해]] 방면 || ||<#000000> {{{#ffffff }}} ||<-3> 사용하지 않는 승강장(구 [[수도권 전철 경의선]] 승강장) || || '''노선 및 방면''' || '''빠른 환승''' || ||[[파일:GJLine_icon.svg|width=18]] 경의·중앙선→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8]] 1호선,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8]] 4호선, [[파일:AREX_icon.svg|width=17]] 공항철도 || 1-1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8]] 1호선(경부선 급행 B)→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8]] 4호선, [[파일:GJLine_icon.svg|width=18]] 경의·중앙선, [[파일:AREX_icon.svg|width=17]] 공항철도 || 1-1 || 9면 21선으로, 승강장이 붙어있는 것만 따지면 9면 16선이다. 대한민국 전체 철도망의 심장과도 같은 역인 만큼 당연하게도 승강장 수가 가장 많다. 3·4번 승강장에 철도기점비가 설치되어 있다. 현재 버전은 2005년 4월 1일 KTX 개통 1주년 기점으로 새로 제작된 버전이며 기존 비석은 [[철도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http://web.archive.org/web/20230602210449/http://rurika.egloos.com/2653935|관련 게시글]], 2023년 6월 2일 [[http://rurika.egloos.com/2653935|원본 페이지]]에서 보존된 페이지, 출처: 이글루스] 1번 승강장부터 3번 승강장 사이의 선로 6개는 승강장 사이를 잇는 다리에 가로막혀 있어 이 역에서 끝이 나는 [[두단식 승강장]]이다. 6~10번 승강장에는 자주 [[KTX]]가 정차한다.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급행 B의 승강장은 평일 출퇴근 시간에 사용하고 있으며 1번 승강장은 사용하지 않고 2번 승강장에서 시종착한다. 다른 시간대에는 닫혀 있므며 개방시간은 평일 오전 07:00 ~ 8:10, 오후 17:55 ~ 18:25까지만 개방한다. 평일 출퇴근 시간만 개방해서 의자가 없다. O-Train과 누리로 열차가 정차하던 시기에는 1번 승강장을 사용했고 2번 승강장을 급행 열차가 정차한 적 있다. 급행 승강장에 역명판이 있었으나 어느 순간 사라졌다. 열차가 승강장에 진입하면 구형 여객열차 진입음이 울린다. 하행은 영등포역을 통과하지만 상행은 정차한다. 추후에 1호선 급행 승강장 개량 공사 후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할 예정이라고 한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orail&no=310856|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 경의·중앙선 승강장은 맞이방과 개찰구를 별도로 쓴다. 이는 본래 서부역에 있다가 옮겨온 것으로, 기존 서부역 경의선 승강장은 개축을 거쳐 경강선 KTX 승강장으로 사용할 예정이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train&no=900330|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 이설된 경의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 설치를 완료해서 가동 중에 있다. 또한 서울특별시 [[중구(서울특별시)|중구]]의 수도권 전철 중에서는 유일한 지상역사이다. 수도권 전철 서울역 중 유일한 지상역사는 아니지만, 1호선 급행 승강장은 중구가 아닌 용산구에 있다. 경의·중앙선 승강장은 서울역 4번 승강장의 북쪽 연장선상에 건설되어 있으나 가벽으로 인해 막혀 있는 상태이다. 통로를 뚫는다면 4번 승강장으로의 휠체어 통로를 따로 건설할 필요가 없으나, 현재는 서울역을 나갔다가 다시 들어와야 한다. === [[수도권 전철 1호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fgaagf.jpg|width=100%]]}}}|| || {{{#fff '''1호선 승강장 (2009년 6월 21일 촬영)''' }}} || ||<-4> ↑ [[시청역(서울)|시청]] || ||ㅣ|| {{{#ffffff 상}}} || {{{#ffffff 하}}} || ㅣ || ||<-4> [[남영역|남영]] ↓ || || {{{#ffffff 상}}} ||<|2>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8]] [[수도권 전철 1호선]] ||[[시청역(서울)|시청]]·[[종로3가역|종로3가]]·[[동대문역|동대문]]·[[청량리역|청량리]]·[[광운대역|광운대]]·[[소요산역|소요산]][급행] 방면|| || {{{#ffffff 하}}} ||[[구로역|구로]]·[[부천역|부천]]·[[인천역|인천]]·[[서동탄역|서동탄]]·[[천안역|천안]]·[[신창역|신창]][급행] 방면|| || '''노선 및 방면''' || '''빠른 환승'''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8]] 1호선 (소요산 방면)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8]] B급행 (천안 방면),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8]] 4호선, [[파일:AREX_icon.svg|width=18]] 공항철도, [[KTX|[[파일:KTX BI.svg|width=35]]]]|| 10-4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8]] 1호선 (인천, 천안, 신창 방면)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8]] B급행 (천안 방면),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4호선, [[파일:AREX_icon.svg|width=18]] 공항철도, [[KTX|[[파일:KTX BI.svg|width=35]]]]|| 1-2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8]] 1호선 (소요산 방면) → [[파일:GJLine_icon.svg|width=18]] 경의·중앙선|| 7-2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8]] 1호선 (인천, 천안, 신창 방면) → [[파일:GJLine_icon.svg|width=17]] 경의·중앙선|| 4-3 || 승강장이 [[시청역(서울)|시청역]]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며 2호선 [[홍대입구역]], [[서울대입구역]]과 같은 승강장 형태를 띄고 있다. 2019년에 스크린도어 개폐음이 '스크린도어가 열립니다/닫힙니다'에서 '안전문이 열립니다' 방송 후 '발빠짐 주의' 안내가 세 번 나온다. 닫힐 때는 차임벨 소리가 5번 나고 '안전문이 닫힙니다. 한걸음 물러나 주시기 바랍니다.' 로 바뀌었다. 동년 6월 말쯤에 열림음이 바뀌었고, 9월 중순쯤에 닫힘음마저 바뀌었다. 특이점이 있다면 [[남영역]] 방향으로 지상 구간이 보인다. 이는 상·하행선 둘 다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가운데 회차선은 지상으로 나가지 않고 계속 지하이다. 평일 시간표 기준, 막차는 다음과 같다. * '''상행 막차''' * (K218)소요산 23:04: 소요산~덕계 막차, 동두천시로 가는 마지막 열차이다. * (K220)양주 23:19: 양주~가능 막차, 양주시로 가는 마지막 열차이다. 양주역이나 의정부시 북부 지역으로 가야 하는데 이 차를 눈앞에서 놓쳤으면 4호선 승강장으로 가서 23:23에 출발하는 진접행 열차를 타면 된다. 이 열차는 23:53에 창동역에 도착하고, 양주행 막차는 23:56에 도착하는데 창동역은 환승 거리가 길지 않아 3분만에 환승이 가능하다. * (K224)의정부 23:37: 의정부~월계 막차, 서울 밖으로 나가는 마지막 열차이다. 창동역은 4호선 당고개행 막차가, 도봉산역은 4호선 진접행 막차(00:37 노원 도착, 00:48 도봉산행 막차 연계)가 전체 막차이다. * (K704)광운대 23:50: 광운대~회기 막차이다. 석계역은 0:15 당고개행(0:30 성신여대입구 도착-0:32 신설동행(0:34 보문 도착)-0:44 봉화산행 막차 연계)이 전체 막차이다. * (S228)청량리 00:03: 청량리~신설동 막차이다. 신설동역은 4호선 당고개행 막차가 전체 막차로 성신여대입구역에서 우이신설선 신설동행 막차와 연계된다. 당고개행 막차를 놓치면 동묘앞행 막차를 타고 동묘앞역에서 내려서 걸어가면 된다. * (S912/서울역발 동묘앞행)동묘앞 00:48: 동묘앞~시청 막차 이자 상행 전체 막차이다. * '''경부선 하행 막차''' * 신창 21:54: 신창~봉명 구간 막차이다. 아산시로 가는 마지막 열차이다. * 천안 22:20: 천안~세마 구간 막차, 충청남도로 나가는 마지막 열차이다. * 서동탄 23:15: 서동탄~가산디지털단지 막차, 경부선 전체 막차이다. 가산디지털단지역은 4호선의 00:05 사당행(00:19 이수 도착, 00:29 온수행 막차 연계), 금정역은 4호선 금정행 막차가 전체 막차이다. * '''경인선 하행 막차''' * 인천 23:22: 인천~구일 막차이다. 경인선 전체 막차이다. 부평역이나 주안역으로 가야 하는데 이 열차를 놓쳤으면 공항철도를 타고 계양역이나 검암역에서 환승하면 된다. 전자는 23:50 검암행, 후자는 23:40 인천공항2터미널행이 막차이다. 온수역은 상술된 00:05 사당행이 진짜 막차로 이수역에서 7호선 온수행 막차로 환승해서 끝까지 가면 된다. * 구로 00:03: 구로~남영 막차, 하행 전체 막차이다. 용산역은 4호선 사당행 막차(신용산역 하차)까지, 노량진역(동작역 환승), 신도림역(삼각지역-합정역)은 0:24 사당행까지 이용 가능하다. * '''경부선 급행 막차''' * 급행 A (청량리역 출발, 지하 승강장 정차): 천안급행 19:34(K1949), 신창급행 20:21(K1951) * 급행 B (서울역 출발, 지상 승강장에서 출발): 천안급행 18:25'(K1945) === [[수도권 전철 4호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fgvafgafg.jpg|width=100%]]}}}|| || {{{#fff '''4호선 승강장''' }}} || ||<-4> [[회현역|회현]] ↑ || || ㅣ || {{{#ffffff 하}}} || {{{#ffffff 상}}} || ㅣ || ||<-4> ↓ [[숙대입구역|숙대입구]] || || {{{#ffffff 상}}} ||<|2>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회현역|회현]]·[[명동역|명동]]·[[창동역|창동]]·[[노원역|노원]]·[[진접역|진접]] 방면|| || {{{#ffffff 하}}} ||[[삼각지역|삼각지]]·[[이촌역|이촌]]·[[동작역|동작]]·[[금정역|금정]]·[[오이도역|오이도]] 방면|| || '''노선 및 방면''' || '''빠른 환승'''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8]] 4호선 (진접 방면)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8]] 1호선, [[파일:GJLine_icon.svg|width=18]] 경의·중앙선, [[KTX|[[파일:KTX BI.svg|width=35]]]](맞이방)|| 1-1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8]] 4호선 (오이도 방면)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8]] 1호선, [[파일:GJLine_icon.svg|width=18]] 경의·중앙선, [[KTX|[[파일:KTX BI.svg|width=35]]]](맞이방)|| 10-4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8]] 4호선 (진접 방면) → [[파일:AREX_icon.svg|width=18]] 공항철도, [[KTX|[[파일:KTX BI.svg|width=35]]]](지상 승강장)[* 공항철도 환승 통로를 이용하여 1호선 쪽으로 가면, 지상서울역 3,4번 승강장으로 직통되는 게이트를 통해 맞이방을 경유할 필요 없이 승강장으로 바로 가서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3-3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8]] 4호선 (오이도 방면) → [[파일:AREX_icon.svg|width=18]] 공항철도, [[KTX|[[파일:KTX BI.svg|width=35]]]](지상 승강장)|| 8-1 || 1-4호선과 舊 경의·중앙선 서울역 승강장(서부역)의 빠른 환승 경로인 1번 출구 하차나, 現 경의·중앙선 서울역 승강장(문화역서울 284)의 빠른 환승경로인 2번 출구 하차의 두 경우 모두 가장 빠른 경로는 1호선과의 환승이기 때문에 4호선 - 경의·중앙선 환승의 빠른 환승 출입문은 그대로라고 볼 수 있으며, 4호선에서 경의·중앙선으로 갈아탈 때 1번 출구에는 에스컬레이터가 있는 만큼 여전히 1번 출구 하차-환승을 이용하는 것이 더 유리할 수도 있다. 특히 역사 전체가 적색 벽돌과 황색 벽돌의 조합으로 전통 창살무늬 형으로 되어 있어 한국적인 디자인을 강조하였다. 스크린도어 설치 전에는 승강장에서도 볼 수 있었지만 스크린도어 설치 후에는 대합실에서만 볼 수 있다. 한국철도공사 소속 기관사들은 이 역에서 교대를 한다. 창동역에서는 차장만 교대하고 안산역에서는 기관사, 차장 둘 다 교대한다. 이 역에서 사당/안산/오이도행 열차를 타면, 자신이 탄 문(진행방향 기준 왼쪽)이 다시 열리는 역이 7개 정거장이나 차이가 나는 [[사당역]]이다. [[서울역버스환승센터]] 직전 정류장인 갈월동 정류장을 이용하려면 4호선 측 남쪽에 있는 가장 끄트머리 출구 쪽으로 나가야 한다. 그리고 거기서도 한참 더 걸어가야 한다. 또다른 방법으로는 숙대입구역에서 환승하는 것이 좋은데, 이 쪽은 출구 코앞에 정류장이 있다. 평일 시간표 기준, 막차는 다음과 같다. * '''상행 막차''' * (S4230)진접 00:05: 진접~별내별가람 막차, 진접선 막차이다. * (S4232)당고개 00:28: 당고개~성신여대입구 막차 * (S4718)한성대입구 00:47: 한성대입구~회현 막차이자 상행 전체 막차이다. * '''하행 막차''' * (K4717)오이도 23:13: 오이도~신길온천 막차이다. 시흥시로 가는 마지막 열차이다. * (K4341)안산 23:28: 안산~산본 막차, 안산선 막차이다. * (K4343)금정 23:52: 금정~남태령 막차, 과천선 막차이다. * (S4219)사당 00:46: 사당~숙대입구 막차, 하행 전체 막차이다. === [[인천국제공항철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arexseoul.jpg|width=100%]]}}}|| || {{{#fff '''인천국제공항철도 승강장''' }}} || ||<-6> 종착역 || || ㅣ || {{{#ffffff 2}}} || {{{#ffffff 1}}} || ㅣ || ㅣ || {{{#ffffff 3}}} || ||<-6> [[공덕역|공덕]] ↓ || 승강장 번호는 실제 승강장에 표시되어 있다. || {{{#ffffff 1}}} ||<|3> [[파일:AREX_icon.svg|width=18]] [[인천국제공항철도]] ||[[공덕역|공덕]]·[[홍대입구역|홍대입구]]··[[김포공항역|김포공항]]·[[검암역|검암]]·[[인천공항T1역|인천공항T1]]·[[인천공항T2역|인천공항T2]] 방면|| || {{{#ffffff 2}}} ||당역종착|| || {{{#ffffff 3}}} ||[[인천공항T1역|인천공항T1]]·[[인천공항T2역|인천공항T2]](직통전용) 방면|| || '''노선 및 방면''' || '''빠른 환승''' || ||[[파일:AREX_icon.svg|width=18]] 공항철도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8]] 1호선,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8]] 4호선, [[파일:GJLine_icon.svg|width=18]] 경의·중앙선|| 5-1 || 승강장이 지하 7층에 있기 때문에 교통약자가 아니어도 엘리베이터를 탈 수 있다. 에스컬레이터로 내려가지 말고 왼편의 통로로 걸어가면 지하 2층(직통열차 개찰구), 지하 3층(일반열차 개찰구)까지 내려갈 수 있는 엘리베이터가 있다. 개찰구를 지나 다시 엘리베이터를 타면 지하 7층까지 내려갈 수 있다. 직통열차 승강장은 한때 엘리베이터로만 연결되어 있어서 혼잡도가 높았으나 2020년 중순에 직통열차 개찰구에서 승강장으로 내려갈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가 신설되었다. 그런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로 인해 직통열차 운행이 중지되고 있을 때 신설되었으며, 2022년 5월 29일까지 중지 중이었기 때문에 계속 먼지만 날리고 있었다. 2022년 5월 30일부터 직통열차 운행이 재개되면서 약 2년 2개월 만에 이 에스컬레이터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서울역으로 올 때는 일반열차 승강장에서 내리기 때문에 에스컬레이터로 올라갈 수 있었다. 엘리베이터는 두 개씩 있으며, 2012년에는 2층에서 지하 3층까지 운행하는 두 개의 엘리베이터 중 하나를 지하 2층까지만 운행하도록 하였다가 원상 복귀하였다. 인천공항2터미널행 일반열차와 직통열차는 승강장을 따로 쓰지만, 당역종착 일반열차와 직통열차는 모두 같은 승강장을 쓴다.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 ||<-4> [[연신내역|연신내]] ↑ || || {{{#ffffff 상}}} ||ㅣ || ㅣ || {{{#ffffff 하}}} || ||<-4> ↓ [[삼성역(GTX)|삼성]] || || {{{#ffffff 상}}} ||<|2>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대곡역(고양)|대곡]]·[[킨텍스역|킨텍스]]·[[운정역(GTX)|운정]] 방면|| || {{{#ffffff 하}}} ||[[수서역|수서]]·[[성남역|성남]]·[[용인역(GTX)|용인]]·[[동탄역|동탄]] 방면||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 === ||<-4> [[청량리역|청량리]] ↑ || || {{{#ffffff 상}}} || ㅣ || ㅣ || {{{#ffffff 하}}} || ||<-4> ↓ [[용산역|용산]] || || {{{#ffffff 상}}} ||<|2>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 ||[[인천대입구역|인천대입구]]·[[부평역|부평]]·[[신도림역|신도림]] 방면|| || {{{#ffffff 하}}} ||[[청량리역|청량리]]·[[망우역|망우]]·[[별내역|별내]]·[[마석역|마석]] 방면|| == 연계 교통 == === [[서울역 도심공항터미널|도심공항터미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울역 도심공항터미널)] [[인천국제공항철도]] 역사 지하 2층에 있다. === [[서울역버스환승센터|버스환승센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울역버스환승센터)] === [[서울역/연계 버스|그 외 정류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울역/연계 버스)] == 사건 사고 == * 2001년 2월 6일 - 1호선 승강장에서 장애인 단체가 선로를 무단 점거하여 지하철 이용객들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 시위 주도자는 2021년부터 지하철 운행 방해 시위를 진행하고 있는 [[박경석(1960)|박경석]]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대표였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158297|「지하철 선로 점거한 장애인 시위」]], KBS, 2001-02-06] * 2016년 2월 3일 - 1호선 승강장에서 스크린도어에 낀 가방을 빼내려다 끌려가 80대 노인이 사망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2941494?sid=102|「1호선 서울역 스크린도어 사고, 가방 빼내려다…7m 끌려가다 선로에 떨어져 사망」]], 동아일보, 2016-02-03] * 2019년 3월 30일 - 서울역 롯데아울렛 옥상에 설치되어 있던 행사용 [[천막]]이 갑작스럽게 분 바람으로 인해 떨어지면서 지나가던 50대 남성이 기둥에 얼굴을 맞으면서 병원으로 이송되었다. 다행히 생명엔 지장이 없었다고 한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56/0010686160|「서울역 롯데아울렛에서 천막 떨어져…50대 남성 다쳐」]], KBS, 2019-03-30] * 2020년 11월 13일 - 1호선에서 오전 9시 8분에 열차 고장으로 용산~광운대 구간이 약 3시간 동안 운행 중단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 사태로 인천행 열차가 경의·중앙선 선로로 우회 운행하고 운행 재개가 이루어진 후에도 여파로 인해 다이어가 심하게 꼬여 후속 열차들이 줄줄이 지연되고 천안/신창~청량리 간 급행열차가 완행열차로 운행되거나 완행열차가 급행 전용 승강장으로 들어오고 중간 종착을 하는 등 여러모로 난장판이 벌어졌다. * 2021년 1월 10일 - 서울역 2층 대합실에서 전국철도 노조 코레일네트웍스지회 소속 조합원이 파업집회를 하면서 [[한국철도공사]] 측의 퇴거 요청에 불응하여 신고를 받고 출동한 [[서울남대문경찰서]] 서장의 명을 받은 경비과장이 [[집시법]] 미신고 집회에 대한 해산 명령을 했으나 하루 종일 대합실 점거를 계속했다. 경찰이 집시법 위반으로 해산 명령을 했지만 집시법상 집회 시위정의에 해당하는 장소가 아닌 역시설 내부이며 "일반인이 자유롭게 통행할 수 있는 장소"가 적용될 수 있는 듯 보이지만 집시법 제정 당시 건조물 침입죄와 퇴거불응이 [[형법]]에 있어 형법을 보완하는 특별법으로서의 집시법 입법 취지에 맞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의자나 의자처럼 보이는 곳이 아닌 곳에서 앉으면 근무자가 제지를 하고 이에 응하지 않으면 강제 퇴거하는 상황이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일반인의 통행이 자유로운 장소"에서 주저앉을 때와 비교하면 법률을 잘못 적용한 것을 알 수 있다. 주거가 일정하지 않아야 체포 가능한 집시법과 달리 다중의 위력으로 퇴거 불응하면 특수침입죄가 적용되어 벌금형은 없다. * 2021년 1월 22일 - 오후 2시경 4호선 [[당고개역]] 방향 열차에서 장애인 단체가 시위를 벌여 4호선 열차가 당고개역에 1시간 가량 지연 도착하였다. 이 일로 당고개 방면 열차들이 10분 이상 지연되었다. * 2021년 7월 2일 - 20:57경 서울역 북단 52AD 선로전환기 부근에서 [[무궁화호|무궁화회송]] 제H1515열차가 탈선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 사고로 서울역과 용산역에서 출발하는 KTX, 새마을호 등 열차운행이 지연되었고, 서울역 착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전동열차도 지장을 받아 신촌역까지만 운행하였다.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는 이번 사고의 원인을 '선로전환기 브라켓 파손으로 인한 쇄정 불량으로 발전차 차륜이 텅레일을 타고 이선진입하여 탈선된 것'으로 결정하였다. * 2022년 4월 13일 - 오후 6시경 K1938 청량리 급행 전동열차가 지하 서울역에서 폭발음을 내며 급전 장애가 발생하였다. * 2023년 6월 16일 - 낮 12시 35분경 [[행신역]] - 서울역 간 [[경의선]] 연희터널 서울 방향 선로 전기공급 이상(단전)으로 인해 상, 하행선 선로 두 곳 중 하행선 선로에서 열차가 교대로 서행 운행하면서 서울역/[[용산역]]에서 출발하는 [[경부선]], [[호남선]], [[무궁화호]] 등 [[KTX]] 27대 및 일반열차 15대가 약 11분~3시간 20분 지연되었다. 마침 [[금요일]]이라 이용객들이 몰렸는데 [[한국철도공사]]는 홈페이지 등을 통해 지연 상황을 알렸다고 설명했으나 정작 승객들은 기차역에 도착할 때까지 별다른 안내를 받지 못해 여러 불편을 겪었다. 4시간 30분만인 오후 5시 4분쯤 전기 공급이 복구되어 열차 운행이 재개됐으나 연착된 열차 탓에 복구가 끝난 뒤에도 운행지연은 한동안 이어졌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232267|「금요일 '열차 대란'…전기 장애로 KTX 줄줄이 지연」]], SBS, 2023-06-16][*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232269|「4시간 반 만에 임시 복구…단전 원인 조사 중」]], SBS, 2023-06-16][*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232270|「"가야 하는데" 발 동동 구르던 승객들…이 시각 서울역」]], SBS, 2023-06-16][*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701466|「경의선 ‘단전’…승객 175명 선로에서 환승」]], KBS, 2023-06-16][*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701467|「4시간 반 만에 복구…주말 앞두고 기차역마다 ‘혼란’」]], KBS, 2023-06-16] === [[서울역 압사 사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울역 압사 사고)] == 대중매체 == * [[신해철]]이 이끌었던 밴드 [[넥스트(밴드)|N.EX.T]]의 5집 <[[The Return of N.EX.T Part 3: 개한민국|개한민국]]> 수록곡 중에 "서울역"이라는 노래가 있다. 이 노래는 [[노숙자]]들과, 차가운 사회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곡이다. * [[서태지와 아이들]] 4집 컴백쇼 초반 티저 영상에도 등장했다. * 영화 [[거래완료]]에서 서울역 고가도로(서울로7017)가 촬영지로 쓰였다. 대학교 추가합격을 단념한 민혁(권일)이 친구들과 이야기하는 장소이다. 이야기하는 도중에 추가 합격 문자가 온다. * 영화 [[부산행]]에 등장한다. * 부산행과 같은 [[연상호]] 감독의 애니메이션 《[[서울역(애니메이션)|서울역]]》에서는 아예 서울역 일대가 주 배경으로 나온다. * [[콘크리트 유토피아]]에서 등장인물들 말로 대재난 이후 사람들이 모여산다고 들었다고 한다. * [[무한도전]] [[돈가방을 갖고 튀어라]], [[무한도전 인생극장 Yes or No|인생극장 Yes or No]]에 등장했다. * 모바일 게임 [[회색도시2]]의 에피소드 1에서 주인공 [[정은창]]이 안내자를 기다리던 곳으로 나왔다. 시대적 배경이 1990년대이다 보니 구 역사를 배경으로 했다. * [[JTBC 뉴스룸]] OP 영상에도 2014년부터 서울역 쇼핑센터 일대가 등장한다. * 서울을 다루는 레이싱 게임이라면 [[사대문#서울특별시|사대문]]과 함께 필수적으로 등장한다. [[시티레이서]], [[레이시티]], 심지어는 트랙 레이싱인 [[그란 투리스모 4]]에도 약간이나마 묘사된다. * [[웹소설]]과 [[웹툰]]으로 만들어진 [[서울역 드루이드]]의 제목에서부터 포함되어 있다. 이 작품의 주인공은 서울역에서 갑자기 [[이세계]]로 전송되었고 여기서 버텨 [[지구]]로 귀환하며 이야기가 시작된다. * [[극장판 헬로카봇: 수상한 마술단의 비밀]]에서 상경한 [[차탄(헬로 카봇)|차탄]]의 외할아버지가 커다란 수박 하나를 들고 1호선 열차를 기다렸다가 타는 장면이 나온다. [각주] == 둘러보기 == [include(틀: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목록)] [include(틀: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역 목록)] [include(틀:인천국제공항철도의 역 목록)] [include(틀: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역 목록)] [include(틀:경인선의 역 목록)] [include(틀:경부선의 역 목록)] [include(틀:경의선의 역 목록)]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철도)]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수도권 전철 환승 정보, version=110, title2=서울역버스환승센터, version2=232)][[분류:서울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