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 '''서울전자음악단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한국대중음악상|[[파일:KMAlogoblack1.jpg|width=80]]]] || ||<-5> '''{{{#E5D85C 올해의 음반}}}''' || || [[언니네 이발관]][br]<가장 보통의 존재>[br](2009년) || {{{+1 →}}} || '''서울전자음악단[br][br](2010년)''' || {{{+1 →}}} || [[가리온(가수)|가리온]][br][br](2011년) || ||<-5> '''{{{#E5D85C 올해의 음악인}}}''' || || [[유희열/토이|토이]][br](2009년) || {{{+1 →}}} || '''서울전자음악단[br](2010년)''' || {{{+1 →}}} || [[갤럭시 익스프레스]][br](2011년) || ---- }}} || ||<-2> '''{{{+1 서울전자음악단}}}''' || ||<-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external/img.tenasia.hankyung.com/2014122219171113798-540x360.jpg|width=100%]]}}} || || '''국적'''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 || '''멤버''' || [[신윤철]], 김엘리사, 강대희, 최준하 || || '''활동 기간''' || [[2000년대]], [[2010년대]] || || '''활동 유형''' || 그룹(남성) || || '''데뷔''' || 2004년 || || '''데뷔 앨범''' || 볼륨을 높여라 || || '''소속사''' || 휴먼엔터테인먼트 || [목차] [clearfix] == 개요 == '''[[http://music.naver.com/onStage/onStageReview.nhn?menu=onStageReview&articleId=5637|돌아온 끝판왕, 서울전자음악단 - 네이버 뮤직]]''' [[신중현]]의 둘째 아들이자 [[신대철]]의 동생인 기타리스트 [[신윤철]]을 중심으로 구성된 [[사이키델릭]] 밴드. [[2005년]]부터 활동한 후 [[2012년]] 돌연 해체했으나, [[2014년]] 다시 컴백했다! [[YB]]와 함께 [[2007년]] 한국 음악인으로는 최초로 SXSW 무대에 선 것으로 유명하다. [[한국대중음악상]]에서 3관왕을 했다. 다양한 원로 음악인들의 밴드라 연주 실력이 매우 출중한 밴드로도 알려져 있다. 밴드 이름이 저렇다고 해서 이들이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인물 및 단체#s-1.2|일렉트로니카 그룹이라는 건 절대 아니다.]] 밴드명의 유래는 '평양전자음악단'이라 한다. 북한에 실제 있는 음악단인 '평양전자음악단', '보천보전자악단' 등의 이름이 재미있어서, 우리는 '서울전자음악단'으로 이름을 붙이자고 해서 그렇게 만들었다고. == 멤버 == [[신윤철]] - [[기타]].보컬. 밴드의 핵심. 국내에서는 최고라고 볼 수 있는 퍼즈톤 능력자로 특유의 퍼즈톤으로 밴드의 색깔을 이끈다. 강대희 - [[드럼]]. [[피아]], [[락타이거즈]] 등을 거쳐 현재는 [[ABTB]]와 서울전자음악단을 메인으로 활동하는 드러머. 2019년 부터 서울전자음악단에 합류. 엄청난 드럼 실력뿐 아니라 밴드를 지휘하는 프로듀싱 능력도 갖춘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ABTB]] 공연을 보면 2시간 가량의 러닝 타임동안 쉴틈 없이 에너지가 넘치는 연주를 보여준다. --그러나, 실제로 평상시에는 에너제틱한 타입은 아니고, 그렇게 강렬한 연주 뒤에는 나이에 걸맞게 무릎 통증으로 고생한다는 후문.-- 김엘리사 - 베이스 최준하 - 기타 == 전멤버 == 이봉준 - [[베이스 기타|베이스]]. 새로 음악을 시작한 [[신중현]]의 밴드에서 [[베이시스트]]로 활동했었다. 전 멤버들의 커리어 또한 화려하다. [[신중현]]의 막내 아들이자 [[신윤철]]의 동생인 [[신석철]] 또한 드럼에서 활동했으며, 현재 [[시나위(밴드)|시나위]]로 활동 중인 김정욱 또한 밴드에 있었다. 손경호 - 가 빠지면 안되지. 링크는 딴 사람이 걸어주세요. == 음악 == [[1960년대|60]], [[1970년대|70년대]]의 클래식 록을 신윤철의 퍼즈톤 기타를 중심에 두고 한국식으로 끌어왔다는 평가를 받는다. 무엇보다도 밴드 멤버들의 실력이 이를 철저히 받쳐준다. [[기타]], [[베이스 기타|베이스]], [[드럼]]. 단 세 명의 멤버만으로도 싸이키델릭하고 환상적인 사운드를 꽉차게 연주하며 멜로디 또한 출중하다. 어떤 사람들이 [[신윤철]]의 보컬을 힘빠진다고 하지만 그마저도 밴드의 몽환적인 색깔에 잘 부합한다. 1집과 2집은 전통적인 락 사운드와 현대적인 락 사운드를 제대로 합쳤다면, 컴백한 이후 발매한 3집은 완전히 [[1960년대|60]], [[1970년대|70년대]]의 클래식 락을 가져왔다고 평가받는다. 여러모로 클래식한 맛을 현대적으로 잘 소화해내는 밴드. '서로 다른' 등의 곡에서 밴드의 연주 실력과 분위기를 제대로 알 수 있다. ~~한국의 [[핑크 플로이드]]..~~ [youtube(XEmlHjjVtPs)] == 앨범 == === 1집 <볼륨을 높여라> [[2004년]] [[6월]] === [[파일:external/image.bugsm.co.kr/34853.jpg|width=400]] 일단 첫 정규 앨범으로 보이지만 똑같은 곡들이 그 다음 해에 <서울전자음악단>이라는 앨범 밑으로 나와 보통은 그 앨범을 정규 1집으로 친다. === 정규 1집 <서울전자음악단> [[2005년]] [[1월]] === [[파일:external/image.bugsm.co.kr/8006771.jpg|width=400]] <볼륨을 높여라>의 곡들이 정규 1집. 밴드의 대표곡인 '꿈에 들어와'가 실려 있으며 이후 [[2007년]] SXSW에 참여하는 계기 또한 되었다고 볼 수 있다. === 정규 2집 <[[Life is Strange(음반)]]> [[2009년]] [[3월]] === [[파일:external/image.bugsm.co.kr/179938.jpg|width=400]] 서울전자음악단 최고의 명반으로 불리는 앨범. 2010년 [[한국대중음악상]]에서 올해의 음반으로 뽑혔고, 2018년 3차 [[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에도 뽑힌 앨범이다. 이 앨범에 대한 내용은 [[Life is Strange(음반)|해당 항목]] 참조. === 정규 3집 <꿈이라면 좋을까> [[2014년]] [[12월]] === [[파일:external/image.bugsm.co.kr/472693.jpg|width=400]] 난데없이 밴드의 재결합 선언 이후 나온 앨범. 1집과 2집과 스타일과 꽤나 많이 달라진 앨범으로 모던한 맛을 줄인 후 완전히 싸이키델릭하고 블루지한 클래식 락을 선보인다. 멤버들의 즉흥성을 중심으로 만들어졌다고 한다. 여담으로 [[신윤철]]의 아내분이 '꿈이라면 좋을까'의 작사가 겸 보컬로 피쳐링했다.[* 피처링 아티스트 이름으로 나와있는 '장재원' 씨가 바로 신윤철의 아내이다.] [각주] [[분류:한국의 록밴드]][[분류:3인조 음악 그룹]][[분류:2004년 데뷔]] [[분류:한국대중음악상 후보]] [[분류:한국대중음악상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