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동서울, other1=흔히 동서울로 줄여쓰는 터미널, rd1=동서울터미널, other2=중부고속도로의 동서울 톨게이트, rd2=동서울TG)]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지역 구분)] [목차] == 개요 == [[파일:서울 동북.png]] [[서울특별시]] 동북부에 있는 자치구들을 묶어 가리키는 개념이다. == 지역 == * [[강북구]] * [[광진구]] * [[노원구]] * [[도봉구]] * [[동대문구]] * [[성동구]] * [[성북구]][* 동부 지역(돈암1동, 길음동, 월곡동, 장위동, 석관동, 정릉동, 종암동, 안암동) 한정. 서부 지역(돈암2동, 동소문동, 동선동, 삼선동, 성북동, 보문동)은 지형적 요건(미아리고개·아리랑고개)이나 생활권 역시 타 성북구 지역보다 종로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도심권으로 들어간다.] * [[중랑구]] == 특징 == 구가 너무 많다 보니까 동북 지방 중에서도 생활권이 다르다. 동북권이라고는 하지만 엄밀히 말해서는 북서울과 동서울 이렇게 구분된다. 한강에 가까워질수록 집값이 비싸지며 특히 [[성동구]]는 [[마용성]]으로 묶여 동북권 자치구들 중 평균 집값이 가장 높고 업무지구와 상업지구가 잘 활성화되어 있다. 노원구, 도봉구, 강북구, 성북구는 북서울로 불리우며, 도봉산과 북한산 등의 산을 통해서 경기도 [[의정부시]], [[양주시]], [[남양주시]]와 접한다. 다만 [[성북구]]는 서남쪽 동네들이 도심권 종로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지역이고 지리적 위치 또한 서울 내부권에 가까워서 나머지 3구들과 같이 언급되기에는 다소 애매한 편이다.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가 노원구 일부를 지나간다. 동대문구, 중랑구, 성동구, 광진구는 동서울 혹은 동부권이라고 따로 지칭하기도 한다. 광진구, 중랑구는 경기도 [[구리시]]와도 접한다. 생활권 측면에서는 동대문구와 중랑구는 1호선-경의중앙선 축을 따라 도심권의 영향을, 성동구와 광진구는 한강 건너 강남권의 영향을 받는 일이 많다. 이 지역의 주요 특징으로는 [[대학교]]가 굉장히 많다는 점이다. 특히 성북구와 동대문구를 중심으로 집중되어 있다. 반대로 강북구는 [[서울사이버대학교|사이버대학이나]] [[한신대학교|신학대학원]] 정도만 있으며, 중랑구는 [[서일대학교|전문대학교 하나]]만 있고, 도봉구 역시 [[덕성여자대학교|여자대학교 하나]]만 있다. 도로교통은 [[동부간선도로]], [[북부간선도로]]를 큰 토대로 하여 [[내부순환로]], [[왕산로(서울)|왕산로]], [[도봉로(서울)|도봉로]], [[화랑로(서울)|화랑로]], [[천호대로]], [[동일로]], [[아차산로]] 등등으로 대표되는 많은 도로들이 도심이나 강남을 연결하여 오밀조밀 조성되어 있다. 대중교통은 성동구, 광진구 쪽을 제외하고는 동남(강남)권이나 서북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편이다. 서울시에서도 이 사정을 감안하여 1,2(북서울, 동서울)번으로 시작하는 버스 차선을 서울에서 가장 많이 배정해 놓았고 배차간격 역시 준수하게 편성하였으나, 거주 주민들 입장에서는 좁은 도로 사정과 만성적인 교통체증 등 여전히 아쉬운 부분이 많다. 지하철 사각지대도 동북권 동네들 군데군데마다 제법 존재하는 편이며 경전철을 대안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2017년에 [[우이신설선]]이 개통되었으며 2026년 개통을 앞두고 있는 공사 중인 [[동북선]]이 있고 [[강북횡단선]]과 [[면목선]], [[신강북선]] 등이 착공 및 타당성 통과를 위한 검토 단계에 있다. 이와는 별도로 동북권을 북서울(창동/광운대) - 동서울(청량리/왕십리) 간으로 가로지르는 교통수단으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GTX C]]가 개통될 예정이다. 다만 중랑구, 강북구, 광진구와 성북구는 정차하지 않는다. == 관련 문서 == * [[서울/강북]] * [[서울/서북권]] * [[서울/도심권]] [[분류:서울특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