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의회)] ---- [include(틀:서울특별시의회의 원내 구성)] ---- ||<-2> [[파일:지방의회 휘장_White.svg|width=40]][br]'''{{{+2 서울특별시의회}}}[br]首都廣域市議會[br]Seoul Metropolitan Counci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PS21061800636.jpg|width=100%]]}}} || || '''구성''' ||[[단원제]], [[다당제]] || || '''개회''' ||[[1956년]] [[9월 5일]] || || '''[[지방의회의원|{{{#fff 의장}}}]]''' ||[[김현기(1956년 2월)|김현기]] {{{-3 ([[국민의힘|{{{#E61E2B 국민의힘}}}]] / [[강남구 제3선거구|{{{#000,#fff 강남구 제3선거구}}}]])}}} || ||<|2> '''[[지방의회의원|{{{#fff 부의장}}}]]''' ||[[남창진]] {{{-3 ([[국민의힘|{{{#e61e2b 국민의힘}}}]] / [[송파구 제2선거구|{{{#000,#fff 송파구 제2선거구}}}]])}}} || ||[[우형찬]] {{{-3 ([[더불어민주당|{{{#004ea2,#008ccd 더불어민주당}}}]] / [[양천구 제3선거구|{{{#000,#fff 양천구 제3선거구}}}]])}}} || || '''[[사무총장|{{{#fff 사무처장}}}]]''' ||[[김상인]] || || '''[[지방의회의원|{{{#fff 시의원}}}]]''' || [[서울특별시의회|[[파일:제11대 서울특별시의회 의석수(230703).svg|width=100%]]]][br]정원 112석 중 재적 112인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11대 의회]]),, ---- '''시장 소속 정당''': [[국민의힘|{{{#e61e2b '''국민의힘'''}}}]]{{{-1 (75석)}}}[br]'''그외 원내정당''': [[더불어민주당|{{{#004ea2,#008ccd '''더불어민주당'''}}}]]{{{-1 (35석)}}}, [[공석|{{{#080808 '''공석'''}}}]]{{{-1 (2석)}}} ---- (2023년 11월 10일 기준) || || '''주소'''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의회,너비=100%)]}}} ---- '''[[서울특별시의회 본관]]''' {{{-2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태평로 1가 세종대로 125 (서소문동)}}} || || '''최근 선거'''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차기 선거'''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공식 사이트''' ||[[https://www.smc.seoul.kr/main/index.d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facebook.com/seoulcounci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youtube.com/channel/UC7ncBppTSon0LEU_kcgz7e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https://blog.naver.com/seoulcouncil|[[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5]]]] || [목차]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AM_0197.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3559_382_7-8.jpg|width=100%]]}}} || [clearfix] == 개요 == || {{{#fff {{{+1 '''서울특별시의회 의정 슬로건'''}}}}}} || || [[파일:서울시의회슬로건_기본형.svg|width=250]] || || {{{#000,#fff 민선 8기 전반기 의정 [[슬로건]].}}} || [[서울특별시]]의 [[지방의회]]이다. [[서울특별시의회 본관|의사당 본관]]은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세종대로]] 125 ([[태평로(서울)|태평로1가]])에 위치해 있다. 이 건물은 [[1935년]]에 경성부민관으로 건립되어 [[6.25 전쟁]] 이후 [[대한민국 국회|국회]]의사당으로 쓰인 적이 있던 유서깊은 건물로 [[등록문화재]] 제11호로 등록되었다. 초대 서울특별시의회는 1956년 8월 13일에 있었던 [[1956년 지방선거]]에 따라 선출되었다. == 역사 == * 1956. 8. 13.: [[1956년 지방선거|초대 서울시의회 의원 선거]](47명 선출) * 1956. 9. 05.: 초대 서울시의회 개원 (제1기 의장단 선출) * 1957. 9. 04.: 제2기 의장단 선출 * 1958. 10. 15.: 제3기 의장단 선출 * 1960. 5. 13.: 제4기 의장단 선출 * 1960. 12. 12.: [[1960년 지방선거|제 2대 서울시의회 의원 선거]](54명) * 1960. 12. 22.: 제2대 서울시의회 개원, 의장단 선출 * 1961. 5. 16.: [[5.16 군사정변|군사정부포고령 제4호로 해산]] * 1990. 12. 31.: 지방자치법 제9차 개정으로 부활(법률 제4310호), (1991년 6월 30일까지 지방의회의원 선거 실시 규정) * 1991. 6. 20.: [[1991년 지방선거|제3대 서울시의회 의원 선거]](132명 선출) * 1991. 7. 8.: 제3대 서울시의회 개원, 전반기 의장단 선출 * 1993. 7. 8.: 서울시의회 후반기 의장단 선출 == 의사당 == 의사당에 대해서는 [[서울특별시의회 본관]] 문서를 참고. == 마스코트 == || {{{#fff {{{+1 '''해통이'''}}}}}} || || [[파일:해통이.jpg|width=250]] || || {{{#000,#fff 서울특별시의회 마스코트 해통이.}}} || 제 10대 의회에서는 SNS 캐릭터인 해통이를 채택 중이다. 조선시대 선혜청[* [[대동법|대동미, 대동포, 대동전]]의 출납을 관장하는 관청] 뒤에 있는 사자모양의 바위와 능선을 본 따 디자인되었다. == 현황 == [include(틀:서울특별시의회의 원내 구성)] * 제11대 서울특별시의회 의석 현황 (2022.7.1.) * 재적: 112석 * 교섭단체 * [[국민의힘|{{{#e61e2b '''국민의힘'''}}}]] : 76석 {{{-2 (지역구 70석, 비례대표 6석)}}} = 67.9% * [[더불어민주당|{{{#004ea2 '''더불어민주당'''}}}]] : 35석 {{{-2 (지역구 30석, 비례대표 5석)}}} = 31.2% * [[무소속|{{{#808080 '''무소속'''}}}]] : 1석 {{{-2 (지역구 1석)}}} = 0.9% * 제11대 서울특별시의회 전반기 상임위원장 * '''의회운영위원회''': 공석 * '''행정자치위원회''': [[국민의힘]] [[김원태(1963)|김원태]]([[송파구 제6선거구]]) * '''기획경제위원회''': [[국민의힘]] [[이숙자(정치인)|이숙자]]([[서초구 제2선거구]]) * '''환경수자원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봉양순]]([[노원구 제3선거구]]) * '''보건복지위원회''': [[국민의힘]] 강석주([[강서구 제2선거구(서울)|강서구 제2선거구]]) *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민의힘]] [[이종환(1956)|이종환]]([[강북구 제1선거구]]) * '''도시안전건설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송도호]]([[관악구 제1선거구]]) * '''도시기획관리위원회''': [[국민의힘]] [[도문열]]([[영등포구 제3선거구]]) * '''교통위원회''': [[국민의힘]] [[박중화(정치인)|박중화]]([[성동구 제1선거구]]) * '''교육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이승미]]([[서대문구 제3선거구]]) 범여권 정당의 나눠먹기였던 1960년 서울시의회 선거를 제외하면 대체로 시장의 소속당과 시의회 다수당이 일치했으며, 역대 모든 지방선거에서 다수당으로 전체 의석의 2/3 이상이 쏠리는 극단적인 의석 편중 현상이 일어났다.[* 사실 지방선거는 단체장과 지방의회의원을 같이 뽑는 특성상 줄투표가 일어나는 경우가 많아 여대야소가 일반적이다. 물론 [[5회 지방선거]]의 [[오세훈]] 시장과 같이 단체장이 특정 지역의 몰표로 신승한 경우 나머지 지역에서 야당 의원들이 우르르 뽑히는 경우가 많아 반대로 여소야대가 일어난다.] 그러다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오세훈]] 시장이 신승했으나 시의회는 민주당이 장악하며 여소야대가 됐다. 이후 의회와 대립하던 오세훈 시장은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시장직까지 걸으면서 무상급식 주민투표를 주도했다. 그러나 투표율 미달이라는 결과가 나오면서 사퇴하게 되었다. 이후 치러진 재보선에서 박원순 시장이 당선되면서 여대야소가 되었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총 의석수 '''110석 중 102석'''을 차지하며 놀라운 압승을 거뒀다. 지역구 기준으로는 강남구의 3석을 제외한 나머지 전석을 [[더불어민주당]]이 독식했다. 더욱이 비례대표를 포함할 경우, 무려 전체 의석중 92%를 차지한 것이며 [[박원순]] 서울시장도 3선에 성공하면서 더불어민주당은 시정운영에 더욱 강한 추진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그러나 [[2021년 재보궐선거]]에서 5동을 제외한 나머지 동에서 오세훈 후보가 낙승을 거두면서 6년 만의 '''여당 7석 vs 야당 100석'''의 전례 없는 여소야대가 일어났다. 오세훈 시장 취임 이후 시의회 다수당인 민주당 의원들과의 충돌이 잦아졌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총 112석 가운데 국민의힘이 76석, 더불어민주당이 36석을 차지하며 우위가 역전되었다.[[https://newsis.com/view/?id=NISX20220602_0001894690&cID=10201&pID=10200|#]] === 의석 변동 === ====# 제10대 서울특별시의회 #==== || {{{#fff '''일시'''}}} ||<-5> {{{#fff '''정당별 의석'''}}} || {{{#fff '''재적'''}}} || || 2018년 6월 13일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자유한국당|{{{#ffffff 자유한국당}}}]] || [[바른미래당|{{{#ffffff 바른미래당}}}]] || [[정의당|{{{#000 정의당}}}]] || [[무소속|{{{#ffffff 무소속}}}]] ||<|2> 110석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102석 || 6석 || 1석 || 1석 || 0석 || || 2020년 2월 17일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ffffff 미래통합당}}}]] || [[바른미래당|{{{#ffffff 바른미래당}}}]] || [[정의당|{{{#000 정의당}}}]] || [[무소속|{{{#ffffff 무소속}}}]] ||<|2> 110석 || || [[미래통합당]][br]창당 || 102석 || 6석 || 1석 || 1석 || 0석 || || 2020년 2월 24일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ffffff 미래통합당}}}]] || [[민생당|{{{#ffffff 민생당}}}]] || [[정의당|{{{#000 정의당}}}]] || [[무소속|{{{#ffffff 무소속}}}]] ||<|2> 110석 || || [[민생당]][br]창당 || 102석 || 6석 || 1석 || 1석 || 0석 || || 2020년 9월 2일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fff 국민의힘}}}]] || [[민생당|{{{#ffffff 민생당}}}]] || [[정의당|{{{#000 정의당}}}]] || [[무소속|{{{#ffffff 무소속}}}]] ||<|2> 110석 || || [[미래통합당]]→[[국민의힘]][br]당명변경 || 102석 || 6석 || 1석 || 1석 || 0석 || || 2020년 10월 29일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fff 국민의힘}}}]] || [[민생당|{{{#ffffff 민생당}}}]] || [[정의당|{{{#000 정의당}}}]] || [[무소속|{{{#ffffff 무소속}}}]] ||<|2> 109석 || || 김동식[br]당선 무효 || 101석 || 6석 || 1석 || 1석 || 0석 || || 2021년 4월 7일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fff 국민의힘}}}]] || [[민생당|{{{#ffffff 민생당}}}]] || [[정의당|{{{#000 정의당}}}]] || [[무소속|{{{#ffffff 무소속}}}]] ||<|2> 110석 || || [[2021년 재보궐선거]] || 101석 || 7석 || 1석 || 1석 || 0석 || || 2021년 5월 7일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fff 국민의힘}}}]] || [[민생당|{{{#ffffff 민생당}}}]] || [[정의당|{{{#000 정의당}}}]] || [[무소속|{{{#ffffff 무소속}}}]] ||<|2> 110석 || || 김달호[br]더불어민주당 제명 || 100석 || 7석 || 1석 || 1석 || 1석 || || 2021년 8월 30일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fff 국민의힘}}}]] || [[민생당|{{{#ffffff 민생당}}}]] || [[정의당|{{{#000 정의당}}}]] || [[무소속|{{{#ffffff 무소속}}}]] ||<|2> 110석 || || [[김평남]][br]더불어민주당 탈당 || 99석 || 7석 || 1석 || 1석 || 2석 || || 2022년 2월 17일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fff 국민의힘}}}]] || [[민생당|{{{#ffffff 민생당}}}]] || [[정의당|{{{#000 정의당}}}]] || [[무소속|{{{#ffffff 무소속}}}]] ||<|2> 109석 || || [[김진수(1952)|김진수]][br]임기 중 사망 || 99석 || 6석 || 1석 || 1석 || 2석 || ==== 제11대 서울특별시의회 ==== ||
{{{#fff '''일시'''}}} ||<-3> {{{#fff '''정당별 의석'''}}} || {{{#fff '''재적'''}}} || || 2022년 6월 1일 || [[국민의힘|{{{#ffffff 국민의힘}}}]]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무소속|{{{#ffffff 무소속}}}]] ||<|2> 112석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76석 || 36석 || 0석 || || 2023년 4월 7일 || [[국민의힘|{{{#ffffff 국민의힘}}}]]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무소속|{{{#ffffff 무소속}}}]] ||<|2> 112석 || || [[정진술]][br]더불어민주당 제명 || 76석 || 35석 || 1석 || || 2023년 8월 28일 || [[국민의힘|{{{#ffffff 국민의힘}}}]]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공석|{{{#ffffff 공석}}}]] ||<|2> 111석 || || [[정진술]][br]서울시의원 제명 || 76석 || 35석 || 1석 || || 2023년 11월 10일 || [[국민의힘|{{{#ffffff 국민의힘}}}]]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공석|{{{#ffffff 공석}}}]] ||<|2> 110석 || || [[박환희(1970)|박환희]][br]임기 중 사망 || 75석 || 35석 || 2석 || == 의석 == [include(틀:제11대 서울시의원/지역구)] [include(틀:제11대 서울시의원/비례대표)] 서울특별시의회에서는 인구에 따라서 한 [[자치구]]당 최소 2석에서 최대 6석의 의석을 배정하고 있으며, 이외 [[비례대표]]도 11석이 존재한다. [[8회 지선]]에서 당선되어 7월 1일부로 임기를 시작한 현재 서울시의회의 다수당은 시정여당인 [[국민의힘]]이며, 이외에 민주당이 유일한 야당으로 있다. == 의장 == [Include(틀:역대 서울특별시의회 의장)] ||<-2> '''{{{#cfa547 의회대수}}}''' || '''{{{#cfa547 이름}}}''' || '''{{{#cfa547 임기}}}''' || '''{{{#cfa547 선출 당시 정당}}}''' || ||<|2> 1 ||<|2> 전 || [[김진용]] || 1956년 9월 6일 ~ 1957년 9월 3일 || [include(틀:무소속)] || ||<|2> [[박명준]] || 1957년 9월 4일 ~ 1958년 10월 14일 ||<|2> [include(틀:자유당)] || ||<|2> 1 ||<|2> 후 || 1958년 10월 14일 ~ 1959년 10월 13일 || || [[홍순우]] || 1959년 10월 14일 ~ 1960년 8월 12일 ||<|2> [include(틀:민주당(1955년))] || ||<-2> 2 || [[한상기]] || 1960년 12월 22일 ~ 1961년 5월 20일[* 5.16 군사정변으로 인한 시의회 해산] || ||<|2> 3 || 전 || [[김찬회]] || 1991년 7월 8일 ~ 1993년 7월 7일 ||<|2> [include(틀:민주자유당)] || || 후 || 백창현 || 1993년 7월 8일 ~ 1995년 6월 30일 |||| ||<|2> 4 || 전 ||<|2> 문일권 || 1995년 7월 8일 ~ 1997년 1월 7일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 후 || 1997년 1월 8일 ~ 1998년 6월 30일 ||<|3>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3> 5 ||<|2> 전 || [[김기영(1943)|김기영]] || 1998년 7월 9일 ~ 1999년 11월 19일[* 16대 총선 출마를 위한 사퇴] || || [[최종오(1938)|최종오]] || 1999년 12월 20일 ~ 2000년 7월 7일 |||| || 후 || [[이용부]] || 2000년 7월 9일 ~ 2002년 6월 30일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3> 6 ||<|2> 전 || [[이성구]] || 2002년 7월 9일 ~ 2004년 2월 5일[* 17대 총선 출마를 위한 사퇴] ||<|6> [include(틀:한나라당)] || ||<|2> [[임동규(정치인)|임동규]] || 2004년 2월 5일 ~ 2004년 7월 8일 |||| || 후 || 2004년 7월 9일 ~ 2006년 6월 30일 |||| ||<|3> 7 || 전 || 박주웅 || 2006년 7월 12일 ~ 2008년 7월 11일 |||| ||<|2> 후 || 김귀환 || 2008년 7월 12일 ~ 2008년 11월 10일[* 임기 중 사퇴] || || [[김기성(1948)|김기성]] || 2008년 11월 25일 ~ 2010년 4월 13일[* 5회 지선 강북구청장 출마를 위한 사퇴] || ||<|3> 8 || 전 || [[허광태]] || 2010년 7월 13일 ~ 2012년 7월 12일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2> 후 || [[김명수]] || 2012년 7월 13일 ~ 2014년 3월 4일[* 임기 중 사퇴] || [include(틀:민주통합당)] || || [[성백진]] || 2014년 3월 4일 ~ 2014년 6월 30일 ||<|2>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2> 9 || 전 || [[박래학]] || 2014년 7월 16일 ~ 2016년 6월 30일 || || 후 || [[양준욱]] || 2016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3>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 10 || 전 || [[신원철(1964)|신원철]] || 2018년 7월 12일 ~ 2020년 6월 30일 || || 후 || [[김인호(1967)|김인호]] || 2020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2> 11 || 전 || [[김현기(1956년 2월)|김현기]] || 2022년 7월 4일 ~ || [include(틀:국민의힘)] || || 후 || || || || == 부의장 == [Include(틀:역대 서울특별시의회 부의장)] == 역대 의장단 == * 제1대 전반기 시의회 의장단 (1956년 9월 6일 ~ 1958년 10월 14일) * [[의장]]: 김진용 ([[무소속|{{{#808080 무소속}}}]]) → 박명준 ([[자유당|{{{#254170 자유당}}}]]) * 부의장 * 이행득 ([[자유당|{{{#254170 자유당}}}]]) → 이중구 ([[무소속|{{{#808080 무소속}}}]]) * 제1대 후반기 시의회 의장단 (1958년 10월 14일 ~ 1960년 8월 12일) * [[의장]]: 박명준 ([[자유당|{{{#254170 자유당}}}]]) → 홍순우 ([[자유당|{{{#254170 자유당}}}]]) * 부의장 * 이행득 ([[자유당|{{{#254170 자유당}}}]]) → 김석근 ([[무소속|{{{#808080 무소속}}}]]) * 제2대 시의회 의장단 (1960년 12월 22일 ~ 1960년 5월 20일) * [[의장]]: 한상기 ([[민주당(1955년)|{{{#000080 민주당}}}]]) * 부의장 * 방동석 ([[무소속|{{{#808080 무소속}}}]]) * 제3대 전반기 시의회 의장단 (1991년 7월 8일 ~ 1993년 7월 7일) * [[의장]]: [[김찬회]] ([[민주자유당|{{{#003990 민주자유당}}}]], [[종로구 제2선거구]]) * 부의장 * 조정순 ([[민주자유당|{{{#003990 민주자유당}}}]], 성동구 제8선거구) * 이재진 ([[신민주연합당|{{{#70ba86 신민주연합당}}}]], 관악구 제5선거구) * 제3대 후반기 시의회 의장단 (1993년 7월 8일 ~ 1995년 6월 30일) * [[의장]]: 백창현 ([[민주자유당|{{{#003990 민주자유당}}}]], [[강남구 제1선거구]]) * 부의장 * [[오유근]] ([[민주자유당|{{{#003990 민주자유당}}}]], [[관악구 제4선거구]]) * [[문일권]] ([[민주당(1991년)|{{{#d82634 민주당}}}]], [[서대문구 제4선거구]]) * 제4대 전반기 시의회 의장단 (1995년 7월 8일 ~ 1997년 1월 8일) * [[의장]]: [[문일권]] ([[민주당(1991년)|{{{#d82634 민주당}}}]], [[중구 제1선거구(서울)|중구 제1선거구]]) * 부의장 * 김기영 ([[민주당(1991년)|{{{#d82634 민주당}}}]], [[금천구 제1선거구]]) * [[이성구]] ([[민주자유당|{{{#003990 민주자유당}}}]], [[서초구 제1선거구]]) * 제4대 후반기 시의회 의장단 (1997년 1월 8일 ~ 1998년 6월 30일) * [[의장]]: 문일권 ([[새정치국민회의|{{{#009a44 새정치국민회의}}}]], [[중구 제1선거구(서울)|중구 제1선거구]]) * 부의장 * [[이선재(정치인)|이선재]] ([[새정치국민회의|{{{#009a44 새정치국민회의}}}]], [[마포구 제2선거구]]) * 유기종 ([[신한국당|{{{#003990 신한국당}}}]], [[강서구 제4선거구]]) * 제5대 전반기 시의회 의장단 (1998년 7월 9일 ~ 2000년 7월 7일) * [[의장]]: [[김기영(1943)|김기영]] ([[새정치국민회의|{{{#009a44 새정치국민회의}}}]], [[금천구 제1선거구]]) → [[최종오]] ([[새정치국민회의|{{{#009a44 새정치국민회의}}}]], [[성북구 제2선거구]]) * 부의장 * 최종오 ([[새정치국민회의|{{{#009a44 새정치국민회의}}}]], [[성북구 제2선거구]]) → [[유대운]] ([[새정치국민회의|{{{#009a44 새정치국민회의}}}]], [[강북구 제4선거구]]) * [[이성구]] ([[한나라당|{{{#0000a8 한나라당}}}]], [[서초구 제1선거구]]) * 제5대 후반기 시의회 의장단 (2000년 7월 8일 ~ 2002년 6월 30일) * [[의장]]: [[이용부]] ([[새천년민주당|{{{#00aa7b 새천년민주당}}}]], [[송파구 제2선거구]]) * 부의장 * [[민연식]] ([[새천년민주당|{{{#00aa7b 새천년민주당}}}]], [[관악구 제1선거구]]) * [[이양한]] ([[한나라당|{{{#0000a8 한나라당)}}}]], [[강남구 제3선거구]]) → [[임동규(정치인)|임동규]] ([[한나라당|{{{#0000a8 한나라당}}}]], [[강동구 제4선거구]]) * 제6대 전반기 시의회 의장단 (2002년 7월 8일 ~ 2004년 7월 8일) * [[의장]]: [[이성구]] ([[한나라당|{{{#0000a8 한나라당}}}]], [[서초구 제1선거구]]) → [[임동규(정치인)|임동규]] ([[한나라당|{{{#0000a8 한나라당}}}]], [[강동구 제4선거구]]) * 부의장 * [[백의종]] ([[한나라당|{{{#0000a8 한나라당}}}]], [[마포구 제1선거구]]) * [[유대운]] ([[새천년민주당|{{{#00aa7b 새천년민주당}}}]], [[강북구 제4선거구]]) → [[정창희]] ([[한나라당|{{{#0000a8 한나라당}}}]], [[종로구 제2선거구]]) * 제6대 후반기 시의회 의장단 (2004년 7월 9일 ~ 2006년 6월 30일) * [[의장]]: 임동규 ([[한나라당|{{{#0095da 한나라당}}}]], [[강동구 제4선거구]]) * 부의장 * [[박주웅]] ([[한나라당|{{{#0095da 한나라당}}}]], [[동대문구 제3선거구]]) * [[민연식]] ([[새천년민주당|{{{#00aa7b 새천년민주당}}}]], [[관악구 제1선거구]]) * 제7대 전반기 시의회 의장단 (2006년 7월 7일 ~ 2008년 7월 6일) * [[의장]]: [[박주웅]] ([[한나라당|{{{#0095da 한나라당}}}]], [[동대문구 제3선거구]]) * 부의장 * [[이종필]] ([[한나라당|{{{#0095da 한나라당}}}]], [[용산구 제2선거구]]) * [[김기성(1948)|김기성]] ([[한나라당|{{{#0095da 한나라당}}}]], [[강북구 제4선거구]]) * 제7대 후반기 시의회 의장단 (2008년 7월 7일 ~ 2010년 6월 30일) * [[의장]]: [[김귀환]] ([[한나라당|{{{#0095da 한나라당}}}]], [[광진구 제2선거구]]) → [[김기성(1948)|김기성]] ([[한나라당|{{{#0095da 한나라당}}}]], [[강북구 제4선거구]]) * 부의장 * [[김진수(1952)|김진수]] ([[한나라당|{{{#0095da 한나라당}}}]], [[강남구 제2선거구]]) * [[임승업]] ([[한나라당|{{{#0095da 한나라당}}}]], [[은평구 제4선거구]]) → [[하태종]] ([[한나라당|{{{#0095da 한나라당}}}]], [[서대문구 제2선거구]]) * 제8대 전반기 시의회 의장단 (2010년 7월 13일 ~ 2012년 7월 12일) * [[의장]]: [[허광태]] ([[민주당(2008년)|{{{#019e33 민주당}}}]], [[양천구 제3선거구]]) * 부의장 * [[양준욱]] ([[민주당(2008년)|{{{#019e33 민주당}}}]], [[강동구 제3선거구]]) * [[진두생]] ([[한나라당|{{{#0095da 한나라당}}}]], [[송파구 제3선거구]]) * 제8대 후반기 시의회 의장단 (2012년 7월 13일 ~ 2014년 6월 30일) * [[의장]]: 김명수 ([[민주통합당|{{{#ffd400 민주통합당}}}]], [[구로구 제4선거구]]) * 부의장 * [[성백진]] ([[민주당(2008년)|{{{#ffd400 민주통합당}}}]], [[중랑구 제1선거구]]) * 김진수 ([[새누리당|{{{#c9252b 새누리당}}}]], [[강남구 제2선거구]]) * 제9대 전반기 시의회 의장단 (2014년 7월 9일 ~ 2016년 7월 8일) * [[의장]]: [[박래학]] ([[새정치민주연합|{{{#0082cd 새정치민주연합}}}]], [[광진구 제4선거구]]) * 부의장 * [[김인호(1967)|김인호]] ([[새정치민주연합|{{{#0082cd 새정치민주연합}}}]], [[동대문구 제3선거구]]) * [[강감창]] ([[새누리당|{{{#c9252b 새누리당}}}]], [[송파구 제4선거구]]) * 제9대 후반기 시의회 의장단 (2016년 7월 9일 ~ 2018년 6월 30일) * [[의장]]: [[양준욱]] ([[더불어민주당|{{{#004ea2,#008ccd 더불어민주당}}}]], [[강동구 제3선거구]]) * 부의장 * [[조규영]] ([[더불어민주당|{{{#004ea2,#008ccd 더불어민주당}}}]], [[구로구 제2선거구]]) * 김진수 ([[새누리당|{{{#c9252b 새누리당}}}]], [[강남구 제2선거구]]) * 제10대 전반기 시의회 의장단 (2018년 7월 10일 ~ 2020년 7월 6일) * [[의장]]: [[신원철(1964)|신원철]] ([[더불어민주당|{{{#004ea2,#008ccd 더불어민주당}}}]], [[서대문구 제1선거구]]) * 부의장 * [[김생환]] ([[더불어민주당|{{{#004ea2,#008ccd 더불어민주당}}}]], [[노원구 제4선거구]]) * [[박기열]] ([[더불어민주당|{{{#004ea2,#008ccd 더불어민주당}}}]], [[동작구 제3선거구]]) * 제10대 후반기 시의회 의장단 (2020년 7월 7일 ~ 2022년 6월 30일) * [[의장]]: [[김인호(1967)|김인호]] ([[더불어민주당|{{{#004ea2,#008ccd 더불어민주당}}}]], [[동대문구 제3선거구]]) * 부의장 * [[김기덕(정치인)|김기덕]] ([[더불어민주당|{{{#004ea2,#008ccd 더불어민주당}}}]], [[마포구 제4선거구]]) * [[김광수(1957)|김광수]] ([[더불어민주당|{{{#004ea2,#008ccd 더불어민주당}}}]], [[도봉구 제2선거구]]) * 제11대 전반기 시의회 의장단 (2022년 7월 4일 ~ ) * [[의장]]: [[김현기(1956년 2월)|김현기]] ([[국민의힘|{{{#e61e2b 국민의힘}}}]], [[강남구 제3선거구]]) * 부의장 * 남창진 ([[국민의힘|{{{#e61e2b 국민의힘}}}]], [[송파구 제2선거구]]) * [[우형찬]] ([[더불어민주당|{{{#004ea2,#008ccd 더불어민주당}}}]], [[양천구 제3선거구]]) == 위원회 == === 상임위원회 === ||
'''서울특별시의회 기본 조례 제32조(상임위원회와 위원정수)''' 상임위원회는 다음과 같으며, 그 위원정수는 13명 이내로 한다. 다만, 원구성시 최소 위원정수는 9명 이상으로 한다.|| * 운영위원회 - 13명 의회운영에 관한 사항, 특별위원회 구성에 관한 사항, 의회사무처 소관에 속하는 사항, 시장비서실, 정무부시장실 소관에 속하는 사항, 시장 권한 대행 사무에 관한 사항 * 행정자치위원회 - 12명 서울혁신기획관, 비상기획관, 스마트도시정책관, 민생사법경찰단, 행정국, 재무국, 평생교육국, 인재개발원, 감사위원회, 시민감사옴부즈만위원회 소관에 속하는 사항 [[서울시자원봉사센터|자원봉사센터]]에 관한 사항, 서울장학재단에 관한 사항, 시장비서실 소관 중 청년청에 속하는 사항, 정무부시장실 소관 중 인권담당관에 속하는 사항, 서울디지털재단에 관한 사항, [[서울특별시경찰청|지방경찰청]] 업무 중 시예산 지원에 관한 사항, 서울민주주의위원회에 관한 사항 * 기획경제위원회 - 13명 기획조정실, 경제정책실, 노동민생정책관 소관에 속하는 사항 남북협력추진단에 관한 사항,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농수산식품공사]]에 관한 사항, 서울연구원에 관한 사항, 서울산업진흥원에 관한 사항, 서울신용보증재단에 관한 사항, [[서울시립대학교]]에 관한 사항 * 환경수자원위원회 - 13명 기후환경본부, 푸른도시국, 상수도사업본부, 미래한강본부 소관에 속하는 사항 [[서울에너지공사]]에 관한 사항 * 문화체육관광위원회 - 12명 문화본부, 관광체육국, 대변인, 시민소통기획관 소관에 속하는 사항 [[세종문화회관]]에 관한 사항, 서울문화재단에 관한 사항, [[서울시립교향악단]]에 관한 사항, [[서울관광재단]]에 관한 사항, 서울디자인재단에 관한 사항, [[TBS|서울특별시 미디어재단 티비에스(tbs)]]에 관한 사항, 서울역사편찬원에 관한 사항, [[다산콜센터|120다산콜재단]]에 관한 사항 * 보건복지위원회 - 9명 복지정책실, 시민건강국, 여성가족정책실 소관에 속하는 사항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서울의료원]]에 관한 사항, 서울복지재단에 관한 사항, 여성가족재단에 관한 사항, 50플러스재단에 관한 사항, 공공보건의료재단에 관한 사항, 재단법인 서울특별시 사회서비스원에 관한 사항 * 도시안전건설위원회 - 13명 안전총괄실, 물순환안전국, [[서울소방재난본부|소방재난본부]], 기술심사담당관 소관에 속하는 사항 도시기반시설본부 사무 중 시설국 소관에 속하는 사항 서울기술연구원에 관한 사항 * 도시계획관리위원회 - 13명 도시재생실, 도시계획국, 주택건축본부, 도시공간개선단, 지역발전본부, 공공개발기획단 소관에 속하는 사항, [[서울주택도시공사]]에 관한 사항 * 교통위원회 - 11명 도시교통실 소관에 속하는 사항, 도시기반시설본부 사무 중 도시철도국 소관에 속하는 사항, [[서울교통공사]]에 관한 사항, [[서울시설공단]]에 관한 사항 * 교육위원회 - 13명 [[서울특별시교육청]] 소관에 속하는 사항 === 특별위원회 === ||
'''서울특별시의회 기본 조례 제37조(특별위원회)''' ⑥ 특별위원회 위원정수는 15명 이내로 한다. 다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정수는 33명 이내로 한다.|| * 예산결산특별위원회 - 33명 * 윤리특별위원회 - 14명 * 기타 특별위원회 == [[/선거구|선거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울특별시의회/선거구)] == 역대 서울특별시의회 == ||<-4> '''[[1956년 지방선거]][* 1952년 지방선거는 [[6.25 전쟁]]의 전황이 심각한 일부 지역(서울, 경기, 강원 등)에서 선거가 실시되지 않았다.](제1대 서울특별시의회) 결과[br](총 재적 47석)''' || || [include(틀:민주당(1955년))] || [include(틀:자유당)] || 대한농민회[* 친[[이승만]] 관변 우익단체인 [[대한독립촉성농민총연맹]]의 후신] || [include(틀:무소속)] || || '''40석''' || 1석 || 1석 || 5석 || ||<-4> '''[[1960년 지방선거]](제2대 서울특별시의회) 결과[br](총 재적 54석)''' || || [include(틀:민주당(1955년))] || [include(틀:신민당(1960년))] || [include(틀:한국독립당(1960년))] || [include(틀:무소속)] || || '''19석''' || 17석 || 1석 || 17석 || ||<-3> '''[[1991년 지방선거]](제3대 서울특별시의회) 결과[br](총 재적 132석)'''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include(틀:신민주연합당)] || [include(틀:민주당(1990년))] || || '''110석''' || 21석 || 1석 || ||<-2>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4대 서울특별시의회) 결과[br](총 재적 147석)'''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include(틀:민주자유당)] || || '''130석''' || 17석 || ||<-3>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5대 서울특별시의회) 결과[br](총 재적 104석)'''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 '''83석''' || 20석 || 1석 || ||<-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6대 서울특별시의회) 결과[br](총 재적 102석)'''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include(틀:민주노동당)] || || '''87석''' || 14석 || 1석 || ||<-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대 서울특별시의회) 결과[br](총 재적 106석)''' || || [include(틀:한나라당)] || [include(틀:열린우리당)] || [include(틀:민주당(2005년))] || [include(틀:민주노동당)] || || '''102석''' || 2석 || 1석 || 1석 || ||<-3>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8대 서울특별시의회) 결과[br](총 재적 114석)''' ||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include(틀:한나라당)] || [[교육의원|{{{#!wiki style="margin: 0 -10px; padding: 2px 3px; display: inline; background: #ffffff; border: 1px solid #000;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000000 '''교육의원'''}}}}}}]] || || '''79석''' || 27석 || 8석 || 서울에서 [[교육의원]] 직선제가 시행된 유일한 선거다. 교육의원은 각 지역 광역의회에 소속되며 정당 가입이 금지된다. ||<-2>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9대 서울특별시의회) 결과[br](총 재적 106석)'''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 '''77석''' || 29석 || ||<-4>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10대 서울특별시의회) 결과[br](총 재적 110석)'''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자유한국당)] || [include(틀:바른미래당)] || [include(틀:정의당)] || || '''102석''' || 6석 || 1석 || 1석 || ||<-2>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11대 서울특별시의회) 결과[br](총 재적 112석)''' || || [include(틀:국민의힘)]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 '''76석''' || 36석 || == 여담 == * 서울시의회가 민선으로 전환되고 나서 가장 뜨거운 이슈는 '무상급식 투표'와 '메트로 9호선과 우면산터널 민자사업'과 관련된 논란이었다. 무상급식 투표는 2010년 지방선거 당시 전국을 강타한 '무상복지' 열풍의 후폭풍으로 벌어진 일이며, 보편적 복지와 선별적 복지에 대한 사회적 두 담론의 대결을 상징하는 투표였다. 당시 시장이었던 오세훈 서울시장은 무상복지 바람에 맞서 무분별한 복지 포퓰리즘을 저해하겠다는 목적으로 주민투표 방식으로 무상급식 반대 투쟁에 나섰고, 투표율이 33%를 넘지 못하면 시장직을 사퇴하겠다고 공언하였다. 하지만 당시 초선 서울시의원이던 강희용 의원을 주축으로 무상급식 반대 서명운동의 명부가 허위임을 지적 받았고, 당시 여당의 조직적 개입 의혹이 확산되어 서울시에서는 26만여건의 서명 건을 폐기하였다. 여기에 예산 및 법적 소송[* 당시 무상급식조례안은 재판 중인 상황이었다.]의 경우에는 주민투표를 할 수 없다는 강희용 의원의 주장에 의거해 투표 거부 운동이 더욱 확산되었고, 결국 무상급식 주민 투표율은 25.7%에 그쳐 개표함도 열지 못했고, 오세훈 서울시장이 전격 사퇴했다. 이로 인해 전국적으로 무상복지가 확산되었고, 무상급식은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모두에서 시행될 정도로 보편적인 정책이 되었다. == 논란 == === 성·생명윤리 규범 조례안 관련 논란 === [[2023년]]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는 다음 달 제316회 임시회를 앞두고 ‘서울특별시교육청 학교구성원 성·생명윤리 규범 조례안’을 마련하고 1월 25일 서울시교육청에 공문을 보내 검토를 요구했고, 서울시교육청은 27일부터 30일까지 서울시 교사들로부터 조례안에 대한 검토 의견서를 받았는데, 그 내용이라는 것이 제8조(성교육) 항목에서 성·생명윤리를 규정하면서 ‘성관계는 혼인 관계 안에서만 이루어져야 한다’고 했으며, ‘아동·청소년의 성적 자기 결정권은 원치 않는 성행위를 거부할 소극적인 권리로 제한돼야 한다’는 조항도 포함되었고 학교 성교육의 목적은 ‘절제’라고 명시한 것은 물론, 교사, 학생 등 학교 구성원이 이러한 성·생명윤리를 위반하면 학교장에게 제보하도록 하기도 했다. 한마디로 "'''성관계는 부부 사이에만 이루어져야 한다'''"는 지극히 보수적이고 시대 착오적이라고까지 부를 수 있는 성 윤리관을 아동 및 청소년 나아가 교육 관계자 전원에게 교육시키고 이를 위반할 경우 학교장에게 제보할 것까지 권장하는 내용이다. 국가 기관에서 개인의 성적인 문제에 대한 개입을 명문화하려는 움직임으로 비칠 수 있는 것으로 헌법 제10조를 침해할 소지가 있는 내용인지라 서울교사노동조합에서는 이에 대해 입장문을 내어 "의견을 낼 가치조차 느끼기 어려운 수준으로 인간에 대한 혐오와 배제를 기본 논리로 삼아 헌법을 침해하는 괴상한 조례안"이라고 강하게 반발하였다.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소속 [[전병주]] 의원(더민주)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같은 동료 의원으로서 창피하기 짝이 없다”며 “교육청 조례에 성관계를 규정짓는 이런 몰상식한 행동이 어디 있냐”고 비판했다. 이어 “기존 학생인권조례를 폐지하고자 새로운 안을 들고나온 국민의힘 교육위원회의 대안이 고작 성관계나 규정하고 있다”고 했다. 보수 성향인 한교총도 "지금이 조선 시대도 아니고 학생들도 다 성적 자기 결정권이 있는데 사회적 공감과 전혀 동떨어진 이해하기 어려운 이야기다. 시의회에서 학생을 유해업소에서 분리하고 룸카페 같은 데서 무분별하게 성행위하는 것을 개선해야 하는 거 아니냐?"며 "상당히 보수적인 단체에서 제기된 내용 같은데 성적 감수성에 대한 시대 변화의 맥을 전혀 못 잡고 있다. 2020년대에 20세기 초반 인식이 담긴 법안이 나오다니, 이런 건 당연히 폐기되어야 마땅하다"고 비판했다. [[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30201_0002177697#_PA|#]] 누리꾼들은 "이제 나라에서 개인의 사생활까지 통제하려 드는 거냐?", "차라리 조선시대로 돌아가자고 하지 그러냐?" "앞으로 숙박업소 결제할 때는 가족관계증명서도 검사해야 하는 거냐" 등의 비판을 쏟아냈다.[[https://m.segye.com/view/20230131506940?mache=portal|#]][[https://www.mk.co.kr/news/politics/10624757|#]] "서울시의회에서 성관계는 부부만 할 수 있다는 조례를 내놓으면 서울시의회 의원은 혼전순결서약서 제출해 증명한 사람만 될 수 있는 거냐?", "앞으로 서울에서는 미혼모와 아이는 보호받지 않고 범죄자 취급을 받아야 하는 거냐"라는 반응도 있었다. [[https://imnews.imbc.com/news/2023/society/article/6450451_36126.html|#]][[https://www.yonhapnewstv.co.kr/news/MYH20230131015000641|#]][* 옹호하는 여론도 없지는 않은데, 그런 반응은 주로 개신교 언론에서의 보도에서만 보일 뿐[[https://www.christiantoday.co.kr/news/352545|#]] 다른 언론에서는 전혀 언급이 없다.] 서울시의회 교육전문위원실은 설명자료를 통해 “해당 조례안은 '''외부 민원 형식'''"이었다고 항변했는데, 이 외부 민원을 제기한 주체를 MBC는 '보수 단체'라고 명시해 놓았고, 누리꾼들은 저 정도로 보수적인 성 윤리관을 강조하는 곳이 개신교 말고 어디 있겠느냐고 개신교를 의심하는 눈치였는데, 실제로 해당 내용을 담은 '서울특별시 학교구성원 성 생명윤리 규범 조례안'을 서울시의회에 제안한 인물은 [[오마이뉴스]] 및 [[한겨레]] 취재 결과 개신교 계열의 건강한가정만들기국민운동본부[* 차별금지법이나 건강가정기본법 등에도 반대하는 보수 개신교 단체이다.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5971959&code=61221111&sid1=all|#]] ] 사무총장인 조용식 목사로 확인되었다.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077915.html|#]] [* 조 목사는 오마이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우리는 해당 조례가 꼭 통과되는 차원이 아니라 그냥 우리 의견을 제출한 것일 뿐이다. [[꼰대|청소년들의 성적인 타락 같은 게 마음이 아파서 그런 의견을 낸 건데]] 그게 반사회적인 것처럼 비판받고 조롱받아야 할 내용이냐"라며 "서구 사회가 타락해 가고 미국 사회도 성 윤리가 무너지는 시대에 그런 걸 발맞춰서 나가면 안 된다. [[개소리|대한민국의 건강한 도덕성을 학교 때에 안 가르치면 언제 가르치겠느냐]]"며 자신들이 조례에서 이야기하는 것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지 성인들의 자유까지 제약하자는 것이 아니었다고 했지만, 엄연히 조례 안에는 학생뿐 아니라 교직원, 보호자 등 '학교구성원' 전체가 규정 대상으로 되어 있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899081|#]] ][[https://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3328.html|#]] 교육전문위원실은 “통상 각종 시민사회단체와 일반 시민 등이 ‘안건의 제안을 요청’하는 민원의 형태로 제시한 조례안의 경우 서울시의회는 전문위원실 차원에서 조례안 전반에 대한 검토를 시행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검토 절차를 거친 조례안의 경우 다양한 결과가 도출되고 있으므로, 이번 조례안 역시 제안 여부와 제안 방식(의원 발의 여부), 발의 의원 등은 전혀 결정된 것이 없는데, 교육청이 이러한 통상적인 부서간 내부협의 문제를 공론화함으로써 마치 이번 조례안의 제정이 입법화되는 양 민의를 호도하고 있다”고 유감을 표한다고 하였다. [[https://m.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2302010956001|#]] 실제로도 서울시교육청은 "해당 조례안은 수용할 수도 없고 전면 재검토가 필요하다"라는 취지의 의견을 서울시의회에 전달, 사실상 무산되었다.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077915.html|#]] 실제로 서울시의회에서 이러한 조례를 입법하고 실현시키겠다는 것도 아니고 제기된 안건에 대한 '검토'를 '권고'하는 정도인지라 서울시의회로서도 억울한 부분이지만, 엄연히 혼전순결 즉 "성관계는 부부간에만 하는 거다"라는 다분히 시대착오적이고 보수적인 성 윤리를 학생뿐 아니라 교직원들에게까지 주입적으로 가르쳐라, 이를 위반하면 학교장에게도 제보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라는 안건을 '말 같지도 않은 소리 하고 있네' 정도로 치부하지 못하고 '검토 좀 해 봐라'라고 해서 논란의 소지를 일으킨 것은 분명히 서울시의회의 실책이며, 나아가 이런 걸 안건이랍시고 제출한 개신교라는 종교에 대한 반감 그리고 비웃음거리만 하나 더 늘려준 셈이다. [*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당연히 "'''예수쟁이나 서울시의회나 뭔 말 같지도 않은 소리를 하고 있냐'''"는 비웃음 일색이다. [[https://www.fmkorea.com/5451754866|#]][[https://bbs.ruliweb.com/news/board/1005/read/3180672?view=default|#]][[https://www.ppomppu.co.kr/zboard/view.php?id=freeboard&no=8205681|#]][[https://www.clien.net/service/board/park/17885096|#]][[https://www.inven.co.kr/board/webzine/2097/2013502|#]]] == 관련 문서 == * [[서울특별시]] * [[서울특별시청]] * [[지방의회]] == 둘러보기 == [include(틀:중구(서울) 소재 관공서)] [[분류:서울특별시의 정치]][[분류:광역자치의회]][[분류:1956년 설립]][[분류:세종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