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청주시의 일반구)] [include(틀:서원구의 면동)] ||
<-2><:> '''{{{#000 [[청주시|{{{#000 청주시}}}]]의 [[일반구|{{{#000 일반구}}}]]}}}'''[br]{{{#!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0,#fff '''{{{+1 서원구}}}'''[br]西原區 | Seowon-gu}}}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원구청, 너비=100%, 높이=100%)]}}} || || '''구청 소재지''' || [[사직대로]] 227[* 원래 흥덕구청이었으나, 2014년 7월 1일 통합 청주시 출범과 함께 서원구청으로 변경되었다.] || || '''[[광역자치단체|{{{#fff 광역자치단체}}}]]''' || [[충청북도]] || || '''[[기초자치단체|{{{#fff 기초자치단체}}}]]''' || [[청주시]] || || '''하위 행정구역''' || 2면 9동 || || '''면적''' || 122.59㎢ || || '''인구''' || 186,553명[* 2023년 11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인구밀도''' || 1,563.43명/㎢ || || '''구청장''' || 김종오 || ||<|2> '''시의원'''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FFFFFF 5석}}}[* 청주시 라선거구 (남이면, 현도면, 산남동, 분평동): 임은성, 박완희[br]청주시 마선거구 (사직1동, 사직2동, 모충동, 수곡1동, 수곡2동): [[김기동(1964)|김기동]][br]청주시 마선거구 (사창동, 성화·개신·죽림동): 신민수, [[김영근(1962)|김영근]]]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FFFFFF 4석}}}[* 청주시 라선거구 (남이면, 현도면, 산남동, 분평동): [[안성현(1961)|안성현]][br]청주시 마선거구 (사직1동, 사직2동, 모충동, 수곡1동, 수곡2동): 김태순, [[이완복(1960)|이완복]][br]청주시 마선거구 (사창동, 성화·개신·죽림동): [[홍성각]]] || || '''[[충청북도의회|{{{#FFFFFF 도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FFFFFF 3석}}}[* 청주시 제4선거구 (남이면, 현도면, 산남동, 분평동): [[박지헌(정치인)|박지헌]] (초선)[br]청주시 제5선거구 (사직1동, 사직2동, 모충동, 수곡1동, 수곡2동): [[이옥규]] (재선)[br]청주시 제6선거구 (사창동, 성화·개신·죽림동): [[박재주]] (초선)] || || '''[[청주시 서원구(선거구)|{{{#FFFFFF 국회의원}}}]]'''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이장섭|{{{#FFFFFF 이장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FFFFFF (초선)}}}]],, || || '''링크''' || [[http://www.cheongju.go.kr/seowon/index.d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inews365.com/pp_350897_1_1405318992.jpg|width=100%]]}}} || || {{{#FFFFFF 서원구청. 본래 [[흥덕구|{{{#white 흥덕구}}}]]청이었으나, 2014년 통합 청주시 출범 후 서원구청으로 변경되었다. }}} || [목차] [clearfix] == 개요 == [[충청북도]] [[청주시]]의 남부에 위치한 [[일반구]]. 구의 명칭은 [[통일신라]] 때의 지금으로 치면 [[광역시]]에 해당하는 5개 [[소경]](小京) 중 하나로, 청주의 옛 이름인 서원경(西原京)에서 따왔다. [[전라북도]] [[전주시]]의 [[완산구]]와 비슷한 방식으로 명칭을 정한 것. 2014년 7월 1일 청주시와 [[청원군]]이 통합되면서 신설된 구이다. 기존 [[흥덕구]] 중 [[사직동(청주)|사직1동, 사직2동]], [[사창동]], [[모충동]], [[수곡동|수곡1동, 수곡2동]], [[산남동(청주)|산남동]], [[분평동]], [[성화개신죽림동|성화·개신·죽림동]][* 과거 청주시 국회의원 선거구 중 흥덕구 갑 지역에 해당된다.]과 기존 [[청원군]] 중 [[남이면(청주)|남이면]], [[현도면]]을 관할한다. 6자리 [[우편번호]]를 사용하던 시절의 우편번호는 362-XXX였다. 흥덕구가 쓰는 361과 기존 청원군이 쓰던 363(통합 후 청원구로 승계) 사이에 있는 362가 마침 비어 있어서 서원구에 배당한 것. 기존 흥덕구에서 서원구로 편입된 지역은 앞자리를 361에서 362로 변경하였다. 우편번호가 5자리 [[기초구역번호]]로 대체된 이후로는 청주시에 배당된 281XX ~ 288XX 대역을 쓴다. == 지역 특징 == [include(틀:서원구의 로)] 청주시의 구 중 면적이 가장 좁으면서 또 인구밀도는 가장 높다. 이는 이 지역이 청주시 내에서도 베드타운 성격의 지역인데다 읍면 지역의 비중이 낮기 때문이다. 청주 청원 통합 당시, 일반구를 재설정해야 했는데, 이런저런 상황을 고려하다보니 서원구는 고작 2개의 면만 관할하게 되었고 이 결과 다른 구에 비해 좁은 면적을 가지게 되었다.[* 분구 당시 시내동지역은 구 흥덕갑 지역을 서원구로 분리하고 흥덕을 지역을 그대로 흥덕구로 잔류시키는 것으로 합의된 상태였다. 행정구역 형태 및 면적을 고려하면 문의면을 서원구에 넣는 방향도 고려해봄직 했으나, 당시만 해도 서원구 편입 예정지역이 상당구 잔류지역보다 몇 만명 넘게 많았던 상황이라 결국 청원군 남동부 지역은 모두 상당구에 편입되었다.][* 여담으로 만약 세종시가 설치되지 않았다면 현재 세종시 소속인 [[부강면]](구 부용면)은 서원구로 편입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한편 다른 구의 경우 상당구는 도심, 흥덕구와 청원구는 대규모 산업단지가 있지만 현재까지도 서원구에는 특별한 업무 및 산업 지구가 없다. 게다가 현재 성화•산남지구가 추진된 2000년대 중반 이래로 대규모 택지조성사업이 없었다.[* 대규모 택지개발을 한다 해도 그 위치가 애매하고 다른 구와 달리 개발 규모가 적다는 특징이 있다. 굳이 개발한다면 분평동 남부, 죽림동 쪽 정도 밖에 없다.] 이로 인해 서원구의 메리트였던 주거 환경도 세월이 흐르며 퇴색되자 지속적인 인구 유출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여타 세 구가 신규 공동주택을 분양하고 입주를 할 동안 서원구만 혼자 몇년 사이에 신규 공동주택 분양 및 입주가 없었다.] 실제로 2014년 청주 - 청원 통합 당시 23만 명대였던 서원구의 인구는 2020년 5월 말 기준으로 20만 명 선이 붕괴되었다. 3년이 지난 2023년에는 19만 명 선마저 붕괴되었다. 그래도 이 때까지는 청주시 4개구 중 2위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2021년 2월에는 청원구, 3월에는 상당구에 인구를 추월당하면서 현재 청주시 4개구 중 인구가 제일 적은 구가 되었다.[* 참고로 통합청주시 출범 직후에는 청원구와 무려 6만 명(!) 가까이 차이가 났었다. 7년도 안되어 저 수치가 역전이 된 것.] 다만 미래가 어둡다고 볼 수는 없는 것이, 잠두봉공원/매봉공원/구룡공원 등 민간공원특례사업과 개신2지구(방죽말) 도시개발사업이 분양되고 있고, 장기적으로는 [[2020년대]] 후반까지 사직1-4구역, 모충1-2구역, 사모1-2구역, 사창2공구B 등 사직•사창동 일원에 대략 15,000세대 규모의 [[뉴타운|서울의 뉴타운]]급 개발이 진행중이다. 아울러 인근의 산남주공 및 모충주공의 재개발도 추진된다면 다시 인구수가 상승할 여지가 충분하다. 아울러 현도산단 정도에 불과한 부족한 산업기반 역시 남청주현도산단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추후 [[강내IC]]가 개설되면 바로 인접한 인근 [[남이면(청주)|남이면]] 지역 역시 산업단지로 개발될 가능성이 있다. 산남동에 법원/검찰청이 위치해있지만, 한편으로는 네 개 구 가운데 유일하게 경찰서가 없다. 이 때문에 흥덕경찰서[* 성화.개신.죽림동, 현도면, 남이면]/청원경찰서[* 사직1.2동과 사창동]/상당경찰서[* 산남동, 분평동, 수곡1.2동, 모충동]가 구역을 나눠 관할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서원경찰서 신설을 건의했고 2017년 서원경찰서 신설이 확정되었다. 남이면 가마리에 지어진다고 한다. 한편, 바로 위 미평동에는 [[청주교도소]] 및 [[청주여자교도소|여자교도소]] 등의 교정시설이 여럿 위치해있다. 지역 주민들은 이전을 원하나 다른 지역과 달리 시설 노후화가 타 지역보다 심각하지 않아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충북대학교]], [[서원대학교]], [[청주교육대학교]] 등 통합 전 청주시내 소재 4년제 대학교 중 상당수가 서원구에 위치하고 있다. 덕분에 대학가 역시 다른 곳에 비해 비교적 발달한 편이다. 여담이지만 통합 이전에 흥덕구였을 당시에 [[산미분장동]]이라는 행정동이 존재했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 서원구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원구청)] == [[서원구/정치|정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원구/정치)] == 하위 행정구역 == 자세한 사항은 해당 읍면동 항목 참조. === 동 === ==== [[사직동(청주)|사직1동, 사직2동]] ==== 관할 법정동은 사직동이다. 1979년 6월 15일 사직·사창동이 사직동과 사창동으로 분동되었고, 이후 1982년 9월 1일 사직동이 사직1·2동으로 분동되며 형성되었다. 사직대로를 중심으로 북쪽이 1동, 남쪽이 2동이다. * '''사직1동''': 인구는 '''4,646명'''.[*P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통계] 서원구청, 청주종합경기장, 청주아트홀, 청주예술의전당, 청주시시설관리공단, 청주의료원이 있다. 학교는 한벌초가 있다. 재개발을 위한 이주가 본격화되면서 인구가 빠르게 줄고 있다. * '''사직2동''': 인구는 '''12,835명'''.[*P] 서쪽에는 3,600세대가 넘는 푸르지오1~5단지가 있는 반면 무심천에 가까운 동쪽은 주택 위주의 지역이다. CJB[[청주방송]], 충청북도교육도서관이 있으며 충북지방병무청이 있어 20대 남성들이 신검을 받기 위해 방문하는 곳이다. 학교는 사직초, 청주여중이 있다. ==== [[사창동]] ==== 관할 법정동은 사창동(일부)이다. 1979년 6월 15일 사직·사창동이 분동되며 형성되었다. 인구는 '''14,654명.'''[*P] 사창사거리와 [[충북대학교]] 중문이 있어 대학가 상권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게, 빌라와 원룸이 사창사거리 주변으로 엄청나게 많다. 청주사창정류장이 있어 대전 등 청주 이남으로 가는 시외버스들이 정차한다. [[메가박스]] 청주사창이 있다. 학교는 창신초, [[청주중앙여자고등학교|청주중앙여고]]가 있다. ==== [[모충동]] ====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17,396명.'''[*P] [[서원대학교]]가 있지만 딱히 대학가가 있지는 않고 후문 쪽에 작게 상권이 형성되어 있는 정도이다. 빌라와 저층 주택 위주의 주거지역이며 재개발을 통해 [[LH트릴로채]](1,692세대)가 들어섰다. 학교는 모충초, [[운호중]], [[충북여자중학교|충북여중]], [[운호고]], [[청주여자상업고등학교|청주여상고]], [[충북여고]]가 있다. ==== [[산남동(청주)|산남동]] ==== 관할 법정동은 [[미평동(청주)|미평동]](일부)·[[분평동]](일부)·[[산남동(청주)|산남동]]이다. 1992년 6월 4일 산·미·분·수곡동이 산·미·분·장동과 수곡동으로 분동되었고, 이후 2008년 1월 1일 산·미·분·장동이 분동되며 형성되었다. 인구는 '''25,693명.'''[*P] 분평동처럼 아파트가 잔뜩 있고 거기에 [[청주지방법원]], [[청주지방검찰청]], [[충청북도교육청]], 청주교육지원청 등 각종 관공서도 있으며 추가로 [[청주교도소]]/[[청주여자교도소]]도 있다. [[청주남부정류장]]이 있어 대전 등 청주 이남으로 가는 시외버스를 탈 수 있다. [[이마트]] 청주점, [[CJB]] 미디어센터가 있다. 학교는 산남초, 샛별초, [[산남중학교(충북)|산남중]], [[세광중]], [[산남고]], [[세광고]], [[충북고]]와 [[소년원]]인 미평여자학교가 있다. ==== [[분평동]] ==== 관할 법정동은 [[미평동(청주)|미평동]](일부)·분평동(일부)·[[장성동(청주)|장성동]]·[[장암동(청주)|장암동]]이다. 인구는 '''29,145명.'''[*P] 과거 이웃 산남동과 함께 [[산미분장동|산·미·분·장동]]이라는 요상한 이름의 행정동이었는데, 인구가 늘면서 [[청남로]]를 기준으로 동쪽을 분평동, 서쪽을 산남동으로 쪼갰다. [[대전지방고용노동청 청주지청]], 청주지방합동청사가 있다. 아파트가 잔뜩 있다. 법정동 분평동에 대부분의 인구가 몰려 있다. 분평동 남쪽과 장암동은 논으로 남아 있다. 학교는 남성초, 남평초, 분평초, 원평초, [[남성중학교(충북)|남성중]], [[원평중]], [[청주하이텍고]]가 있다. ==== [[수곡동(청주)|수곡1동, 수곡2동]] ==== 관할 법정동은 수곡동이다. 1992년 6월 4일 산·미·분·수곡동이 분동되어 산미분장동과 수곡동이 되었고, 이후 1996년 1월 1일 수곡동이 수곡1·2동으로 분동되며 형성되었다. 주공2단지를 기준으로 동쪽이 1동, 서쪽이 2동이라고 보면 된다. * '''수곡1동''': 인구는 '''13,071명'''.[*P] [[청주교육대학교]]가 있다. 큰 대학은 아니라서 대학가가 딱히 있지는 않으며, 산남주공1,3단지 정도를 제외하면 주로 주택 위주의 주거지역이다. 학교는 청주교대부설초, [[청주남중]]이 있다. * '''수곡2동''': 인구는 '''15,305명'''.[*P] 매봉산 남쪽에 있으며 1동과 달리 아파트가 주인 주거지역으로 산남주공2,4단지, [[더샵 청주퍼스트파크]](1,112세대) 등이 있고 산남사거리 동쪽으로 상권이 형성되어 있다. 청주우편집중국이 있다. 학교는 수곡초, 한솔초, [[수곡중]]이 있다. ==== [[성화개신죽림동|성화·개신·죽림동]] ==== 관할 법정동은 개신동·사창동(일부)[* 법정동 사창동 중 충북대학교 캠퍼스 부분만 해당된다.]·성화동·죽림동이다. 원래는 농촌·개신동이었다가 1987년 1월 1일 남이면 죽림리가 편입되면서 농촌·개신·죽림동이 되었고, 1990년 4월 1일 법정동 농촌동이 성화동으로 개칭되며 성화·개신·죽림동이 되었다. 인구는 '''42,818명'''[*P]으로 서원구에서 인구가 가장 많다. [[충북대학교]]와 그 이남이라고 보면 되며, 정문 쪽에는 충북지역 유일의 상급종합병원인 [[충북대학교병원]]이 있다. 분평동, 산남동과 마찬가지로 아파트가 잔뜩 있긴 한데, 충북대 근처와 주거지역 쪽은 농지와 산으로 분리되어 있다. [[KBS청주방송총국]], [[한국전력공사]] 충북지역본부, [[한국토지주택공사]] 충북지역본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충북지역대학 등 국가기관의 충북지역 본부가 많이 있다. 학교는 개신초, 성화초, 죽림초, 성화중이 있어 인구와는 맞지 않게 고등학교가 하나도 없다. === 면 === ==== [[남이면(청주)|남이면]] ==== 면소재지는 척산리, 관할 법정리는 20개이다.[* 가마리·가좌리·갈원리·구미리·구암리·대련리·문동리·부용외천리·비룡리·사동리·산막리·상발리·석실리·석판리·수대리·양촌리·외천리·척북리·척산리·팔봉리] 인구는 '''9,937명.'''[*P] [[경부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 [[서산영덕고속도로]]가 만나는 곳이지만 정작 고속도로로 진출입할 수 있는 [[나들목]]은 면 남쪽 끝의 [[남청주IC]]이다. 경부고속도로상에서 [[세종시]]로 가는 관문이다. 부용외천리는 원래 부강면이었으나 세종시 설치 과정에서 편입되지 않고 청주시에 남으면서 남이면으로 편입되었다. 가마리에 청주가마 힐데스하임(988세대)이 건설되면서 단숨에 인구가 1만명을 돌파하였다가 다시 밑으로 떨어졌다. 학교는 갈원초, 남이초와 특수학교인 청주혜화학교가 있다. ==== [[현도면]] ==== 면소재지는 선동리, 관할 법정리는 14개이다.[* 노산리·달계리·매봉리·상삼리·선동리·시동리·시목리·양지리·우록리·죽암리·죽전리·중삼리·중척리·하석리] 인구는 '''3,107명.'''[*P] [[금강]] 건너편이 [[대전광역시]] [[대덕구]] [[신탄진동]]이라 사실상 신탄진 생활권에 가깝다. 상삼리에 [[가톨릭꽃동네대학교]]가 있다. 선동리 일대에 일반산업단지가 조성 중이다. 학교는 옥포초, 현도초, 현도중, 청주IT과학고가 있다. [[분류:서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