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ffffff 제8·9대 경기도의원}}} [br] {{{+1 서진웅}}} [br] 徐珍雄 | Seo Jin-u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서진웅증명사진2.jpg|width=100%]]}}} || ||<|2> {{{#ffffff '''출생'''}}} ||[[1965년]] [[9월 18일]] (58세)|| ||[[전라북도]] [[진안군]] || || {{{#ffffff '''거주지'''}}} ||[[경기도]] [[부천시]]|| || {{{#ffffff '''학력'''}}} ||{{{-1 [[단국대학교]]}}} {{{-2 (행정학 / [[학사]])}}}[br]{{{-1 [[연세대학교]]}}} {{{-2 (지방·도시행정학 / [[석사]])}}} || || {{{#ffffff '''병역'''}}} ||[[대한민국 육군]] 병장 만기전역 || || {{{#ffffff '''정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 {{{#ffffff '''경력'''}}} ||[[제20대 대통령선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종합상황실 부실장[br] [[제20대 대통령선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조직본부 미래경제단장[br][[국무총리비서실]][* 정세균 국무총리] 정무비서관[br][[대한민국 국회의장|국회의장]] 정책기획비서관[br][[제19대 대통령선거]]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 교육특보[br][[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br][[더불어민주당]] 중앙위원회 중앙위원[br]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전문위원[br]제9대 [[경기도의회]] 의원[br]제8대 [[경기도의회]] 의원 || || {{{#ffffff '''SNS'''}}} ||[[https://www.facebook.com/jinung.seo|[[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blog.naver.com/jus0050|[[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jinwung.seo/|[[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jinunghopetable, 크기=20)] | [[https://www.youtube.com/channel/UChHdumaWMwO4WoWv__vqsc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경기도의회]] 의원과 [[국무총리]] 정무비서관, [[대한민국 국회의장|국회의장]] 정책기획비서관을 역임했다. == 생애 == 1965년 [[전라북도]] [[진안군]]에서 태어났다. 초등학교 6학년 때 전기가 들어오고, 중학교 2학년 때 버스가 다니기 시작한 궁벽한 오지 마을에서 태어나 농사일과 학업을 병행하며 자랐다. 전주제일고등학교, [[단국대학교]] 행정학 학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지방·도시행정학 석사를 졸업하였다. 정치인으로 활동하기 전, 부천시민으로서 지역시민운동에 참여하였다. 부천지역 [[한국마사회]] 실내TV경마장 상동입점 문제대책위원장을 맡아 입점저지를 해결하였다.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하부공간(부천구간) 소음·분진·매연으로 주민들이 고통받자 시민들과 함께 방음벽을 설치하는 등 안전한 생활환경 인프라를 구축하였다. 또한, 지하철 7호선 개통을 위한 부천시범시민 지하철사업재원 대책위원으로 중추적인 활동을 하였다. == 정치활동 ==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당(2008년)|민주당]] 후보로 [[경기도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민주당(2008년)]] [[경기도의회]] 부대표를 역임하였다. 2012년 지방의원 매니페스토 약속대상 광역의원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http://www.saebucheon.com/news/news.html?news_num=3056|#]] 2012년 제18대 대통령선거 [[민주당(2008년)]] 중앙선대위 국가균형발전분권특위 부위원장과 교육특별위 부위원장에 임명되었다. 2013년 [[경기도의회]] 교육용 전기료인하 추진위원회 부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로 [[경기도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노후공업지역재생과 노동자의 열악한 환경개선을 위해 조례를 제정하고 소규모기업 지원사업을 확대했다. 골목상권 자영업자를 살리기 위한 소상공인경영환경지원사업에 앞장섰다. 장애인들의 이동편의와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대안정책을 만들고 예산을 지원했다. 2014년부터 2018년까지 [[경기도의회]] 경기교육정책포럼 대표를 역임하였다. 2016년 경기복지대상 특별상을 수상하였다.[[http://www.saebucheon.com/news/news.html?news_num=10343|#]] 2017년 [[제19대 대통령선거]] [[더불어민주당]] 문재인후보 교육특보 및 경기도당 선대위 조직특보를 맡았다. 2020년 [[국무총리비서실]]정무비서관으로 임명되었다. 2021년부터 [[제20대 대통령선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선대위 종합상황실 부실장과 [[제20대 대통령선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조직본부 미래경제단장을 맡았다. 2022년 [[대한민국 국회의장|국회의장]] 정책기획비서관으로 임명되었다. 2023년 3월 6일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출마를 위해 [[대한민국 국회의장|국회의장]] 정책기획비서관직을 사임했다. 2019년부터 현재까지 [[경기도교육청]] 시민감사관으로 활동중이다. == 여담 == [[경기도]] [[부천시]]가 광역동을 폐지하고 다시 3개 [[일반구]] 체제로 전환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고 한다.[[https://www.yna.co.kr/view/AKR20230522042900065?input=1195m|#]] [[대한민국 국회의장|국회의장]] 정책기획비서관 역임 당시 국회의장에게 부천시 주민 불편 해소와 시민 중심 행정을 위해 부천시장과의 면담을 건의하였다. 면담이 성사되어 국회의장실, [[행안부]], [[부천시]]가 광역동 폐지와 일반구 복원 및 일반동 전환 추진을 위한 협의 및 관련 현장을 방문하였다. 이후 행안부가 부천시 3개 일반구 및 37개 일반동 체제 변경 승인을 하였다. == 저서 == * 희망 밥상을 차리는, 밥 짓는 남자 서진웅 (2018) [[http://www.bucheon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33807|#]] == 선거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10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경기도의회]]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30,713 (53.65%)''' || '''당선(1위)''' || '''초선''' || || 2014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경기도의회]]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33,030 (53.37%)''' || '''당선(1위)''' || '''재선''' || ---- [[분류:경기도의회의원]][[분류:민주당(2008년) 광역의회의원]][[분류:민주통합당 광역의회의원]][[분류:민주당(2013년) 광역의회의원]][[분류:새정치민주연합 광역의회의원]][[분류:더불어민주당 광역의회의원]][[분류:진안군 출신 인물]][[분류:문재인 정부/인사]][[분류:1965년 출생]][[분류:전주제일고등학교 출신]][[분류:단국대학교 출신]][[분류:연세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더불어민주당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