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천군의 읍면)] ||<-2> '''[[파일:서천군 CI.svg|height=15]] [[서천군|{{{#000000,#dddddd 서천군}}}]]의 [[읍(행정구역)|{{{#000000,#dddddd 읍}}}]]'''[br]'''{{{+1 서천읍}}}'''[br]舒川邑 | Seocheon-eup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천군 서천읍,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충청남도 || || '''기초자치단체''' || 서천군 || || '''행정표준코드''' || 4580034 || || '''관할 법정리''' || 13리 || || '''하위 행정구역''' || 30행정리 158반 || || '''면적''' || 27.74㎢ || || '''인구''' || 13,000명[* 2023년 7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468.64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보령시·서천군'''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장동혁(정치인)|장동혁]] ,,(초선),, || ||<-2> '''충청남도의원 | 제2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신영호 ,,(초선),, || ||<-2> '''서천군의원 | 나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지혜(정치인)|이지혜]] ,,(초선),, || || [include(틀:무소속/행정구역)] || 한경석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홍성희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서천로 92 (군사리 481-8) || || [[http://www.seocheon.go.kr/seocheon.do|서천읍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서천군]]의 중심에 있는 읍으로 서천군의 행정, 경제, 교통,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심지 역할을 하는 읍이다. 사곡리와 군사리에 시가지가 조성되어 있다. 이름은 서천군의 중심지라는 의미에서 유래되었다. 전국의 수많은 읍과 유사하게 행정 기능의 집중으로서 해당 군의 중심지가 된 지역이다. 남쪽으로는 [[마서면]], 북쪽으로는 종천면, 문산면, 동쪽으로는 시초면, 기산면이 있다. == 역사 == 삼한 시대 마한의 소국이었던 아림국이 현 남산리에 자리잡고 있었으며, 백제가 지배할 무렵에는 숲이 있어 서쪽의 숲이라 하여 서림(西林)으로 불렸다. 현재의 이름인 서천(舒川)의 이름이 붙은 것은 조선 태종 대이다. 조선시대에는 판산면, 개곡면, 장항면[* [[장항읍]]과는 다른 지역이다. 현 장항읍은 조선시대에 남부면 지역이었다.]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현재 서천읍 시가지를 구성하고 있는 지역은 개곡면이며, 그 동쪽과 북쪽에 걸쳐 판산면, 서쪽에 장항면이 위치해 있었다.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당시 이 세 면이 통합되어 남양면[* 삼국시대 당시 서천 지역의 다른 이름이었다.]이 되었다. 이후 1917년 면제를 본격적으로 실시하면서 서천면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973년 마서면 남산리를 편입하였고, 1979년 대통령령에 따라 읍으로 승격되었다. 본래 [[장항읍]]보다 작은 지역이었지만 장항의 인구가 급격하게 감소하는 동시에 서천의 인구가 소폭 증가하면서 역전되었다. == 공공기관 == 군사리에 [[서천군청]], [[충청남도서천교육지원청]]이 있다. 서천군청은 현재 서천읍성 근처에 있으나 청사가 비좁고 노후화[* 1967년 지어져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다.]되어 구 [[서천역]] 자리[* 원래 군청 맑은물사업소가 남은 역사를 사무실로 쓰고 있었다. 현재는 구 장항시외버스정류소 건물을 리모델링해 사용하고 있다.]로 신축이 예정되어 있다. == 교통 == 명실상부 [[서천군 농어촌버스]]의 중심지. [[서천시외버스터미널]]에서 서천군의 웬만한 지역은 모두 접근할 수 있다. 물론 태생이 농어촌버스인 만큼 배차간격은 책임지지 못한다. 송내리, 덕암리, 어리, 계동리를 경유하는 서천-장항 간 버스가 30분 배차로 가장 빈번한 수준에 꼽힌다. 그 외에도 [[군산 버스 72]]가 1시간에 1대 꼴로 출발해 [[군산대학교]]까지 이어준다. 시외버스로는 보령, 홍성, 예산, 아산, 천안, 서울, 군산, 부여, 논산, 공주, 대전과 이어져 있다. 버스교통의 측면에서는 중심지이지만 철도교통은 그럭저럭인 편. [[장항선]] [[서천역]]이 있으며 장항선이 이설되기 이전 삼산리에 [[삼산역(장항선)|삼산역]]이 있었다. [[장항역]]이 --마서역이 되기--이설되기 전에는 장항역이 가진 종착역이라는 위엄에 가려져 정차하는 역 1 취급이었으며, 장항역이 시가지에서 크게 떨어져 위상을 잃은 뒤에도 서천역 역시 시가지에서 이격되어 은근히 불편해진 감이 있다.--하향평준화-- 그나마 아주 다른 면으로 가버린 장항역만큼 떨어진 것은 아니어서 수요는 나름 있는 편. 삼산역은 애초에 역사도 수요도 없는 간이역이었기 때문에 그대로 폐역되었다. 서천을 지나는 도로로는 [[4번 국도]], [[21번 국도]][* 마서면 송내리에서 합류하여 서천읍 오석리까지의 구간을 공유한다.]가 시가지 남쪽과 서쪽을 감싸고 있으며, 오석리에 [[서해안고속도로]] [[서천IC]]가 있다. == 주변 시설 == === 주거 === * 군사리 * [[한신공영]] 군사지구 도시개발구역 B1블록 : 입주미정. == 하위 행정구역 == === 시가지 지역 === ==== 군사리 ==== [[서천군청]], [[충청남도서천교육지원청]], 서천우체국, 서천특화시장[* 현재 '봄의마을'로 불리는 서천청소년문화센터와 여성문화센터가 있는 곳에 자리하고 있었으나 2004년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 , [[서천시외버스터미널]]이 있다. 군청 이전 예정지도 군사리 내인 구 서천역 자리. 이 구간의 중심 도로인 서천로가 왕복 2차로에 불과한 좁은 도로인데다 서천군 각 읍면에서 몰리는 통행량과 불법주정차가 시너지 효과를 내 혼잡한 편이므로 주의. ==== 사곡리 ==== 공공기관, 교통시설, 상업시설 등이 자리잡은 군사리와는 달리 주거 기능이 발달해 있는 편. 서천 시가지 지역의 아파트 단지들이 집중되어 있다. 군사리에서 이어지는 서천로가 마찬가지로 혼잡한 편이다. 이 지역에서 활동했던 사업가의 이름을 따 현재 회전교차로 인근 지역을 오창동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비 시가지 지역 === ==== 신송리 ==== '곰솔' 이라는 소나무가 1988년 4월 30일 천연기념물 제353호로 지정되었지만, 2002년에 낙뢰에 피해를 입은 이후 극히 쇠약해져버린데다 좀벌레 등의 피해도 일어나서 고사하므로 2005년 8월 19일 헤체되었다. ==== 구암리 ==== ==== 오석리 ==== [[서해안고속도로]] [[서천IC]]가 있다. ==== 화성리 ==== ==== 태월리 ==== ==== 둔덕리 ==== ==== 동산리 ==== ==== 두왕리 ==== ==== 삼산리 ==== [[장항선]] [[삼산역(장항선)|삼산역]]이 있었으나 구 [[장항역]]과 [[서천역]] 사이에 끼인 애매한 위치로 여객 수요는 극히 미미했다. 역임을 알 수 있었던 것은 역명판과 붉은 벽돌로 만든 경계석과 나무 뿐. 장항선이 직선화 된 지금은 흔적조차 남지 않은 채 밭으로 변해버렸다. 그 외에는 특별할 것 없는 농촌 지역이다. ==== 화금리 ==== 장항선 이설 이후 새로 만들어진 [[서천역]]이 있다. ==== 남산리 ==== 1973년 [[마서면]]에서 편입된 지역. 고대인들의 흔적이었던 조개무지 유적이 있어 삼한시대 [[마한]]의 아림국의 중심지로 비정되는 곳 중 하나이다. == 출신 인물 == * [[박형순]] * [[송태호]](군사리) * [[조이환]](두왕리) [[분류:서천군의 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