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인천광역시|{{{#cfa547 인천}}}]] [[연수구(선거구)|{{{#cfa547 연수구}}}]])'''}}} || || ''선거구 신설''[br][[심정구]][*A 남구 갑][br][[하근수]][*B 남구 을] || → || '''제15대[br]서한샘''' || → || 제16-19대[br][[황우여]] || ---- ||<-2> '''{{{#fff {{{#ffffff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br]{{{+1 서한샘}}}[br]徐한샘[* 개명 전 이름은 서용웅(徐勇雄)이다.] | Seo Han-saem}}}'''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943972_229328_5034.jpg|width=100%]]}}} || ||<|2> {{{#fff '''출생'''}}} ||[[1944년]] [[1월 9일]] || ||[[경기도]] [[인천광역시|인천부]] (現 [[인천광역시]]) || || {{{#fff '''사망'''}}} ||[[2019년]] [[5월 6일]] (향년 75세) || || {{{#fff '''본관'''}}} ||[[이천 서씨]] || || {{{#fff '''가족'''}}} ||[[배우자]] 서화자, 슬하 1남 1녀 || || {{{#fff '''학력'''}}} ||[[동산고등학교(인천)|동산고등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 사범대학]] {{{-2 ([[국어교육과|국어교육학]] / [[학사]])}}}[br][[경기대학교/대학원|경기대학교 대학원]] {{{-2 ([[국어국문학]][* [[국문학]] 전공] / [[석사]][*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5368573|朴趾源 漢文 短篇 硏究 : 現實批判과 利用厚生의 限界와 意義]](박지원 한문 단편 연구 : 현실비판과 이용후생의 한계와 의의, 1988. 2).]·[[박사]][* 박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2173881|「東文選」수록 序·跋에 나타난 文學論硏究]](「동문선」 수록 서·발에 나타난 문학론연구, 1990. 12).])}}}|| || {{{#fff '''종교'''}}} ||[[기독교]] || || {{{#fff '''의원 선수'''}}} ||'''1''' || || {{{#fff '''의원 대수'''}}} ||'''[[제15대 국회의원|15]]''' || || {{{#fff '''마지막 소속'''}}} ||[[공단기|[[파일:h1_logo.png|width=20%&bgcolor=#fff]]]] (국어 강사) || || {{{#fff '''경력'''}}} ||고등학교 국어교사[br]고려대학교 강사[br]한샘출판 · 다솜방송 회장[br]예술의전당 운영위원[br]초대 · 2대 서울시 교육위원[br]신한국당 교육평가위원장 · 재해대책위원[br]국회 교육위원회 간사[br]인천시 씨름협회장[br]대한민국 헌정회 이사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국어교사, 국어 강사, 정치인. 개명 이전 이름은 서용웅으로, 개명한 이름인 서한샘은 국어학자 [[주시경]]의 호인 한힌샘에서 따온 이름으로 변경하였다. == 생애 == === 출생 및 국어교사 시절 === 1944년 1월 9일 [[경기도]] [[인천광역시|인천부]](現 [[인천광역시]])에서 태어났다. [[동산고등학교(인천)|동산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경기대학교/대학원|경기대학교 대학원]]에서 [[국문학]] 전공으로 1988년 2월 [[국어국문학]] [[석사]] 학위, 1990년 12월 국어국문학 [[박사]] 학위를 각각 취득했다. 서울대학교 졸업 후 고등학교 [[국어교사]]로 10여년간 재직하다가 [[폐결핵]]에 걸려 학교를 그만 두었다. 병원 입원 중 간호사 분의 극진한 간호로 완쾌되어 학원계에 투신하게 된다. 그 당시 동인천에서 유명하던 YMCI 학원에서 첫 강의를 했고, 서울 5대 단과 중의 하나였던 남영동 대종학원으로 이직 했다가 서대문 한샘학원으로 옮겨 학원강사로 전직, 이후 노량진 등에서 [[재수학원]] 단과 강의로 서서히 이름을 알렸다. [[노량진대성학원]]이 있긴 하지만 2010년대 초반까지도 노량진에서의 재수학원의 메인은 단과학원이였다.[* 지금과는 다르게 단과가 평일 오전, 오후에도 있는 다른 지역에서 찾기 힘든 독특한 문화였다. 물론 평일 저녁, 주말에 열리는 재학생용 강의도 있기는 하다. 지금은 학생 수 급감으로 인해 평일 오전, 오후에 열리는 재수단과는 찾기 힘들다] === 학원강사 생활 === 재수학원 강의로 이름을 알리던 중 1980년 전두환의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는 교육개혁 조치를 통해 [[대학교]] [[졸업정원제]], [[과외]] 금지를 골자로 한 일련의 조치를 내린다. 그러나 오히려 단속을 피해 음지로 숨어들면서 사교육비가 상승하는 악순환으로 이어진다. 결국 TV 강의를 통해 사교육을 대체하겠다는, 오늘날 [[한국교육방송공사|EBS]]의 원조격이 되는 시도를 하는데, 이때 영입된 특급 강사 가운데 한 사람이 서한샘이었고, 강의가 히트를 치면서 소위 스타 강사의 원조로서 떠올랐다. 오프라인 강의도 수백 석의 거대 강의실에 빈 자리가 없었다고. 유명어로 '밑줄 쫙~', '돼지꼬리 땡야' 등이 있으며, 사라진 한글 자모 설명 등 그가 고안한 암기법이 많고, 학창시절 그의 강의를 들었던 현재의 주류 강사들(40대~50대)이 이를 가져오거나 변형해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한때는 서한샘의 영향을 안 받은 강사들이 거의 없을 정도였다. 1992년 개그맨 [[최형만]]이 SBS [[웃으며 삽시다|토요일 7시 웃으면 좋아요]]에서 서한샘을 따라한 '랄랄라 선생님'이라는 코너로 스타덤에 오르기도 했다. 이후 비타에듀의 전신이 되는 한샘학원을 설립하였다.198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유두선|정진학원]]과 함께 재수단과의 메카로서 비타에듀가 사업을 접은 2010년대 후반까지도 우수강사의 마르지 않는 샘이었다.[* 정진학원과 더불어 스타강사가 되려면 반드시 거쳐가야 하는 곳으로 2000년대에도 유명강사가 많이 거쳐갔다. 국어의 [[이근갑]], [[정지웅(국어)|정지웅]], 김상진, 추경문, [[박담]]. 영어의 최원용, [[이충권]], [[김정호(강사)|김정호]](타미), [[로즈리]], 김한상, 이박사(그 [[이박사]]가 아니다.), 김선권. 수학의 라승균, 홍기하, [[삽자루]], [[정승제]], [[이기홍(강사)|이기홍]](폴수학), 유상현 과학의 [[백인덕]], 백호, [[김성재(강사)|김성재]], [[오지훈]]. 사회의 [[최진기]], [[신상호(강사)|신상호]], 위종욱, 현재복, 오성균, [[설민석]], 라영환 등 화려한 강사진들의 마르지 않는 샘이었다.] 근황의 자세한 건 [[비타에듀]] 참고. === 방송시장으로의 진출 === 한샘학원을 세우고 나서 교육채널 '''다솜방송'''[* 1995년 개국하였으며 당시 사옥은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교동(서울)|서교동]] 337-8(와우산로 143)번지에 있었다. 당시 채널 번호는 26번. 1998년 초 파산하면서 대한민국 [[케이블 방송]] 역사상 최초로 파산한 방송사라는 기록을 남겼다. 이후 홈마트에 인수되고 의료전문방송으로 업종을 전환한 후에도 이 명칭을 사용하다가 1999년 의료+건강 26을 거쳐 2004년 생활건강TV로 변경하였다. 그 뒤 2015년 현재의 [[카툰네트워크]] 계열 만화채널 [[부메랑(미국 방송)|부메랑]]으로 바뀌었다. 참고로 다솜방송 사옥이 있었던 자리는 [[한국영화아카데미]]가 사용하다가 현재는 다른 건물로 사용중이다.][* 사명의 의미는 '사랑'이라는 뜻의 순우리말로 대한민국 교육의 미래를 책임지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차이점으로는 비슷한 시기에 개국한 [[SBS Golf|마이TV]](미래교육방송)와 이듬해에 개국한 [[재능TV|두산수퍼네트워크]](DSN)가 약간의 광고수입으로 운영된 것과는 달리 다솜방송은 공익광고를 제외한 상업광고를 일체 방영하지 않았다. 그러나 1997년 즈음에 다솜방송도 상업광고 방영을 추진하기도 했으나 결국 파산되면서 없었던 일이 되었다.]도 세웠으며, 재산도 많이 모았다. === 정계진출 및 쓰라린 경험 === 유명세를 바탕으로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인천광역시]] [[연수구(선거구)|연수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신한국당]])되기도 했다. 그러나 [[김대중]] 정부가 출범한 후 [[새정치국민회의]]로 이적하여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출마했다가 낙선하면서 재선에 실패하였고[* 이 당시 서한샘을 꺾고 당선된 사람이 훗날 [[새누리당]] 대표를 지내는 [[황우여]]다. 참고로 3위는 [[자유민주연합]] 소속으로 출마한 배우 [[정한용]]이다. 참고로 이 당시 인천은 충남 서해안 지역 이주민과 실향민 출신들이 많은데다 토박이들의 성향도 꽤 보수적이여서 수도권 치고 보수세가 상당히 강한 편이었다. 그 중에서도 연수구는 충남 서해안 출신 어민 + 인천 최고 부촌이라는 환상의 콜라보(...)로 신한국당 - 한나라당에 TK급 몰표를 주는 것으로 유명했을 정도로 인천광역시 내에서도 보수정당 지지가 가장 강력한 곳이었다. 다만 서한샘 본인은 1998년 한나라당 탈당 후 새정치국민회의에 입당했는데, 서한샘 본인이 정치적으로 롱런하려는 생각이였다면 당적 변경은 확실히 실책이였다. 다만 2010년대 이후에는 민주당 지지 성향이 많이 강해졌다.][* 참고로 이 당시에는 한나라당 - 자민련 - 새정치국민회의 3개 정당의 정치 성향 차이가 생각보다 크지 않았고(사실상 없다고 보는 게 맞았다.) 유력 정치인을 중심으로 한 계파 정치와 지역주의의 성향이 커서 정권이 바뀌고 선거의 승패가 갈릴 때마다 각 정당에서 수도권 지역구를 중심으로 타당 현역의원들을 영입해가는 웃지 못할 일이 벌어졌는데 서한샘 역시 이 케이스일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2021년 현재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양당의 갈등처럼 양 진영 간 대립이 극단화된 지금은 상상도 못할 풍경.]설상가상으로 그 시기에 많은 재산을 투자했던 다솜방송이 파산하면서 재산상으로도 많은 손실을 입었다.[* 서한샘이 정치와 방송사업 등으로 학원계를 떠난 사이 빈 자리에서 [[유두선]]이 국어 1타 강사로 성장하였는데, 정진학원의 유두선이 국가 단속으로 주춤한 동안 손주은이 [[메가스터디]]를 통해 중견기업으로 성장하게 된다.] === 학원으로의 복귀 === 2003년 조용히 학원 강사로 복귀했다. 2013년부터 [[공무원 시험]] 강의에도 뛰어들어 남부고시학원에 이어 2014년에는 [[공무원단기학교|공단기]] 학원에서 국어 강의를 진행하였다. 특히 4월까지의 강의 수강시 이후 서울시 시험까지 오프라인 무료 혜택을 주는 코스가 화제였다. 문제에 있어서도 학원 공통 문제 기출 및 자신의 고유 기출 자료와 문제를 보충하면서 [[노익장]]을 과시했다. 강의 시에도 직접 생각하고 푸는 것을 중시하며 이론적으로 깊게 나가기보다는 원리를 정리하면서 시험 수준에 맞게 다져주는 스타일에 가깝다. 다만 전성기를 구가하던 시절에서 다소 빗겨나간 그를 접한 젊은 층은 그의 이름조차 잘 모르기도 하고, 종합반 강의를 진행하지 않아서 수강생이 많지는 않았다. 2017년 하반기 이후로는 정규 커리큘럼 대신 어휘의 힘, 문법 1500제 등 특강을 통해 수험생들을 가르쳤다. 국어 실력이 어느 정도 본궤도에 오른 다음 들으면 좋다는 평이 많으며, 가끔씩 옛 경험을 이야기하여 분위기를 풀어 주는데 이것이 엄청나게 오래된 이야기라 학생들이 혀를 내두르기도 한다. 학창시절 청소년 적십자단 전국 부회장으로서 '''[[경무대]]'''에 가서 [[윤보선]] 당시 [[대한민국 대통령]]을 예방한 일이라든가, 서울대학교 입시를 쳤는데 그것이 아주 옛날 방식이었다거나... 워낙 경력이 길다 보니 후배 강사들의 존경어린 평가도 여기저기서 들린다. 그와 같은 국어강사 [[이근갑]]은 서한샘을 존경하였고 그의 강의 스타일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회고하였다. [[고종훈]] 강사는 기출독종 OX 강의에서 "오랜 세월 강의하시는 모습이 멋있다"는 식으로 짤막하게 언급하였다. 사회 [[민준호]] 강사가 단과반 강의 때 말하기를, [[이선재]] 강사에게 서한샘 선생님의 위상은 어떠한지 질문했다가 '''"그 누구와도 비교가 불가능한 분"'''이라는 대답을 들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2018년 대비 <한샘 어휘의 힘> 교재 뒷부분에는 이선재 강사의 장문의 추천사가 실려 있다. === 별세 === 2019년 5월 6일, 향년 75세로 별세하였다. 뒤늦게 [[폐암]]을 발견하여 투병중이었다고 한다.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신한국당)] || 1996 - 1997 || 정계 입문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1997 - 1998 || 합당[* [[통합민주당(1995년)|통합민주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1998 || 탈당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1998 - 2000 || 입당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000 - 2002 || 합당[* [[새천년민주당]]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2 - 2019 || 탈당[br]정계 은퇴[br]작고 ||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 '''연도'''}}} || {{{#fff '''선거 종류'''}}} || {{{#fff '''선거구'''}}} || {{{#fff '''소속 정당'''}}} || {{{#fff '''득표수(득표율)'''}}} || {{{#fff '''당선 여부'''}}} || {{{#fff '''비고'''}}} ||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2> 인천 [[연수구(선거구)|연수]] || '''[include(틀:신한국당)]''' || '''30,128 (34.78%)''' || '''당선 (1위)''' || '''초선'''[* 1998.4.29 탈당[br][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입당] ||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31,557 (33.56%) || 낙선 (2위) || || || {{{#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한샘15.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한샘16.png|width=100%]]}}} ||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000000,#e5e5e5 (인천 [[연수구(선거구)|연수]])}}}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000000,#e5e5e5 (인천 [[연수구(선거구)|연수]])}}} ||}}}}}}}}}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15대 국회의원/인천광역시)]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1944년 출생]][[분류:2019년 사망]][[분류:인천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교사]][[분류:인터넷 강사/공단기]][[분류:제15대 국회의원]][[분류:신한국당 국회의원]][[분류:한나라당 국회의원]][[분류:새정치국민회의 국회의원]][[분류:새천년민주당 국회의원]][[분류:교육인 출신 정치인]][[분류:이천 서씨]][[분류:개명한 인물]][[분류:순우리말 이름]][[분류:동산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폐암으로 죽은 인물]][[분류:경기대학교 대학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