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서해안선]]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경기도 고양시에서 충청남도 홍성군까지 잇는 철도 노선, rd1=서해선, other2=수도권 전철 노선, rd2=수도권 전철 서해선, other3=고속도로, rd3=서해안고속도로)] [include(틀:계획취소)] [목차] == 개요 == [[대한민국 제3공화국|박정희 정권]] 시대인 [[1967년]]에 서해안을 따라가는 선형으로 착공한 [[철도]] 노선. 노선명은 '''서해안선(西海岸線)'''이었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7041000209201008&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7-04-10&officeId=00020&pageNo=1&printNo=13992&publishType=00020|당시 기사]] [[1967년]]에 착공하여 [[1976년]]에 완공할 계획이었지만, [[1970년]] 즈음 가서 [[미건설선|사실상 공사가 중단되고 계획은 폐기되었다]]. == 상세 == > '''西海岸線(서해안선) 기공식'''[br][[김제시|金堤(김제)]]서 [[박정희|朴大統領(박대통령)]]도 參席(참석)[br][br]곡창 湖南(호남)의 西海岸(서해안)을 남북으로 종단할 西海岸線(서해안선) 기공식이 12일 낮12시30분 [[김제시|金堤(김제)]]에서 [[박정희|朴(박)대통령]]을 비롯, [[안경모|安(안) 교통부장관]], [[양택식|梁(양) 철도청장]]등이 참석한 가운데 거행된다.[br][[김제역|金堤(김제)]] ~ [[학교역|鶴橋(학교)]]간 124km와 [[대야역|大野(대야)]] ~ [[죽산면|竹山(죽산)]]간 22.3km를 잇는 총연장 146.3km의 西海岸線(서해안선)은 총공사비 75억 5천만원을 들여 오는 [[1976년|76년]]에 완공될 예정인데 금년안에는 5천만 원으로 4.3%의 공정만 진행할 예정이다. >---- >당시 기사 원문([[동아일보]] 1967. 4. 10) 해당 노선은 본선과 지선 계획 두 가지가 있었다. * [[호남선]] [[김제역]]을 출발하여 [[부안군]], [[고창군]], [[영광군]]을 경유하여 [[호남선]] [[함평역]]에서 종착하는 본선 철도 124km 구간 * [[군산선]] [[대야역]]을 출발하여 [[김제시]] 죽산면에서 서해안선 본선과 합류하는 지선 철도 22.3km 구간 하지만 해당노선은 1970년 폐기되었다. - 당시 기사 원문([[매일경제]] 1970. 2. 26)[* 놀랍게도 [[민주공화당]]과 [[박정희]] 대통령의 공약을 비판한 기사이다. 아직 유신 전이었기에 가능했던 것으로 추정.] >~(중략) "주요산업철도건설" 공약 중 [[비인선|庇仁線(비인선)]], [[김삼선|金三線(김삼선)]], [[충남선|忠南線(충남선)]], 西海岸線(서해안선) 등은 기공만 해놓고 중단상태에 있어 公約(공약)의 폐기상태. [[민주공화당|공화당]]은 공사중단상태에 있는 철도건설에 대해 정책전환을 고려, [[고속화도로]] 시설로 전환할 방침을 이미 마련한 바 있다. 서해안선은 [[서해안고속도로]]로 변경, 김삼선은 부활해서 [[남부내륙선]] 철도로 변경 추진 중, 충남선과 비인선은 그대로 폐기됐다. 이후 해당 철도가 지나갈 구간(김제 ~ 함평)은 [[서해안고속도로]]가 상당히 유사하게 따라가면서, 서해안선 철도를 대체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해당 노선은 현재 철도 음영지로 남아 있는 [[부안군]], [[고창군]], [[영광군]]을 지나갈 계획이 있었기에, 해당 노선이 착공되었더라면 도시 발전에 호재가 됨은 물론, [[호남선]]의 물동량을 분산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당시 호남지역은 본격적인 경제성장기 이전이기 때문에 지금보다 인구가 훨씬 많았던 지역이다. 1967년 당시 기준으로 [[부안군]]이 171,572명, [[고창군]]이 195,265명, [[영광군]]이 1966년 기준으로 159,451명이었다. 당시 국내 총 인구가 3천만 대였는데, 대략 지금의 3~4배 정도의 인구 규모였다. [[http://stat.kosis.kr/statHtml_host/statHtml.do?orgId=214&tblId=DT_1B02000&dbUser=NSI_IN_214|고창, 부안인구통계]],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IN0001_05&vw_cd=MT_ZTITLE&list_id=A111&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영광인구통계]]. 2019년 현재 3개 군 인구를 다 합쳐도(164,477명) 1967년 당시 고창 인구보다 3만 명 가까이 모자란다.] 더불어 [[목포역]] 착발 열차는 호남선 경유와 서해안선 경유 두 계통으로 분리되어 운영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1960년대 당시 착공한 철도노선 중에서 제대로 완공한 것이 손에 꼽았으며, 이 노선도 그 중 하나가 되고 말았다. 한편, 2000년대부터 지역정치권 차원에서 목포-군산간 [[http://www.dailian.co.kr/news/view/83769|서해안철도]]를 건설하자는 목소리가 [[https://newsis.com/view/?id=NISX20200510_0001019096&cID=10808&pID=10800|지금까지도]] 있다. 하지만 [[정읍시]] [[고부면]] 경유를 통해 합세 해야 하는 것도 모자라 목포-군산만으로 안 되면 광주.전남동부권 연계차원에서 영광군 백수읍-영광읍-광주역간 서해지선철도 건설까지 동원해야 할 정도로 인구가 부족해 경제적 타당성문제 때문에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2021년 3월 10일 국회에서 열린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당정간담회'에서 정부가 추진중인 U자형 순환교통망 구축사업에 군산~목포간 철도사업이 빠져있다며 다가올 4차 국가철도망 계획에 이를 포함시켜달라는 [[https://www.nocutnews.co.kr/news/5513507|요청]]이 나왔고, 여기에 대해 [[국토교통부]]는 해당노선의 필요성에 있어 적극 동의한다는 의견을 밝혔으나 어떻게 진행될 지는 지켜봐야할 부분이다. 2021년 4월 22일 열린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공청회에서는 '''군산목포선'''이라는 이름으로 추가 검토 사업에만 선정되어 추진에 적신호가 켜졌다. 해당 지자체에서는 '''"서해안철도"'''라는 이름으로 추진 중이며, 이를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최종안에 반영하도록 총력을 모으겠다고는 했지만 그것 마저 실패... 그렇다 보니 전남도에서는 목포군산간 서해안철도를 관철시키기 위해 [[달빛내륙철도]]를 [[http://www.simin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229183|광주에서 영광으로 연장]]시키려는 움직이는 동시에 광주도 서서히 [[https://v.daum.net/v/20231120175541725|관심]]을 갖고 있다. 한편, 군산시로서는 [[https://www.jjan.kr/article/20231018580071|서해안 철도중심지]]라는 입지를 위해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이러한 계획을 반영하기 위해 이달 중 ‘군산시 중장기 철도정책 용역’을 착수하는 것으로 [[http://www.kmrnews.com/ynews/ynews_view.php?pid=75926&code=NS06|군산~목포~남원~대야 잇는 광역철도망]]까지 구축까지 열을 올리고 있다. [youtube(quEIXIW4Xks)] == 역 목록 == === 본선 === * [[김제역]] * 부안역 * 고창역 * [[영광역(서해안선)|영광역]] * [[함평역]] === 지선 === * [[김제역]] * [[대야역]]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서해선, version=491, paragraph=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