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1 [[대한민국 정부|[[파일:정부상징.svg|width=30]]]] [[대한민국|{{{#043762 '''대한민국'''}}}]] [[통일부|{{{#043762 '''통일부'''}}}]] [[통일부 차관|{{{#043762 '''차관'''}}}]]}}} || ||<-5> [[문재인 정부|{{{#ffffff ''' 문재인 정부 ''' }}}]] || || 24대[br][[천해성]] || → || ''' 25대[br]서호 ''' || → || 26대[br][[최영준(1966)|최영준]] || ---- || {{{#fff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 {{{+1 [[대한민국 정부|[[파일:한반도기.svg|height=30]]]] [[남북공동연락사무소|{{{#043762 '''남북공동연락사무소'''}}}]][[장|{{{#043762 '''장'''}}}]]}}} || ||<-5> [[문재인 정부|{{{#ffffff ''' 문재인 정부 ''' }}}]] || || 초대[br][[천해성]] || → || '''2대'''[br]'''서호''' || → || 3대[br][[최영준(1966)|최영준]] || }}} || ---- ||<-2> '''[[통일부차관|{{{#fff 대한민국 제25대 통일부 차관}}}]][br]{{{+1 서호}}}[br]徐虎 | Suh H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image_readtop_2019_345677_0_094513.jpg|width=100%]]}}} || || '''본관''' ||[[이천 서씨]][* 병부상서공파(兵部尙書公派)-익롱공파(益聾公派)-난정공계(懶亭公系) 33세 섭(燮) 항렬. 족보명은 서태섭(徐台燮).] || ||<|2> '''출생''' ||[[1960년]][* 이천서씨병부상서공파보 권4 615쪽에는 1959년생으로 등재돼 있다.] || ||[[광주광역시]] || || '''현직'''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 위원장 || || '''학력''' ||[[전주신흥고등학교]] {{{-2 ([[졸업]])}}}[br][[고려대학교 정경대학]] {{{-2 ([[정치외교학]] / [[학사]])}}}[br][[고려대학교 대학원|고려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 ([[정치학]][* 공산권연구 전공] / [[석사]][*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1289643|中立化統一論(중립화통일론)의 韓半島(한반도) 適用可能性(적용가능성)에 관한 硏究(연구)]](1991. 7. 12).]}}} || || '''병역''' ||육군 일병 소집해제 || || '''약력''' ||남북회담본부 회담기획부장[br][[통일부]] 교류협력국장[br]통일부 남북협력지구지원단장[br]남북출입사무소장[br]통일준비위원회 사무국장[br]통일부 기획조정실장[br][[국가안보실]] 통일정책비서관[br]제25대 통일부차관 {{{-2 ([[문재인 정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관료이자 [[문재인 정부]]의 두 번째 [[통일부]] 차관이다. 본관은 [[이천 서씨|이천]](利川). == 생애 == 1960년 [[광주광역시]]에서 아버지 인당(仁堂) 서상용(徐相容, 1930. 10. 29 ~ 2001. 10. 14)과 어머니 [[김해 김씨]] 김일순(金一順, 1934. 8. 26 ~ )[* 김판수(金判洙)의 딸이다.] 사이에서 2남 5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전주신흥고등학교]]와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1991년 7월 12일 [[고려대학교 대학원|고려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에서 공산권연구 전공으로 [[정치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세기]] 전 통일원 장관의 비서관인 6급 특채로 통일부에서 공직생활을 시작하였다. 이후 통일부 기획조정실장 등 부내 중요 직책을 두루 거쳤다. [[박근혜 정부]] 당시 개성공단 관리를 담당하는 남북협력지구지원단장을 지내면서 2013년 7월 개성공단 가동중단 사태 해결을 위한 남북간 1·2차 실무회담 수석대표로 나서기도 했다. 그러다가 3차 실무회담 때 교체되었는데 이는 박근혜 정부가 서호 차관의 유화적인 대북협상 태도에 불만이 있었기 때문이라는 관측이 있다. 2018년 9월에는 [[청와대]] 국가안보실 통일정책비서관으로 옮겨가서 9월 평양 남북정상회담 남측 선발대 단장을 맡는 등 정상회담 준비에 주도적으로 관여했다. 차관직에 임명되기 전까지 청와대 국가안보실 통일정책비서관을 지내는 등 남북관계 전문가라는 평이 대체적이다. 실무자일 때 말단 공익까지 직접 밥을 사줄 정도로 인화력 있는 공직자라는 이야기가 있다. 2021년 3월 26일, 문재인 정부의 1주택자 우선 임명으로 인하여, 차관직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후임은 [[최영준(1966)]]이다. == 문재인 정부의 2대 통일부차관으로 임명 == 2019년 5월 23일, 문재인 정부 차관직 9명이 교체되며 그중 하나로 임명되었다. [[https://www.mk.co.kr/news/politics/view/2019/05/343440/|#]] [[파일:201906141551099289_1.jpg]] 2019년 6월 14일에는 [[서호]] 통일부 차관이 임명 이후 처음으로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방문하여 김영철 임시소장대리와 접견하였다. 특히 하노이 회담 결렬 이후 한 번도 열리지 않은 남북소장회의의 필요성을 타진하였다고 한다. 2020년 1월 22일에도 공동연락사무소를 방문하며 직원들을 격려하기도 하였다. 전임자 [[천해성]]이 남북관계가 긍정적이였던 시절을 보냈다면, 서호 차관은 남북관계가 경색되고 악화되는 어려운 시기에 차관직을 수행하였다. [[김연철]] 통일부 장관의 전격적인 사임 의사 발표 이후 한동안 통일부장관 후보에 올랐으나, [[이인영(정치인)|이인영]] 의원이 내정됨에 따라서, 향후 장관직을 보좌하게 되었다. == 차관으로서 행보 == 2019년 5월 23일에 통일부 차관직을 [[천해성]] 전 차관에서 이임받으며 별도의 취임식 없이 바로 업무에 들어갔다. 2019년부터 남북관계가 경색됨에 따라 서호 통일부 차관의 역할이 시험대에 오르게 되었다. 특히 임기 중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사건]]이라는 남북관계 희대의 사고가 발생하며, 향후 서호 차관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사건]] 관련 == 2020년 6월 16일, 북한 조선로동당 선전선동부 제1부부장 김여정이 담화를 낸 뒤 3일 만에 북한이 직접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사건|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함]]에 따라 매우 강한 유감을 표하였다. 특히 남북공동연락사무소장 명의로 발표하여 북한이 응분의 책임을 져야한다고 밝혔다. [[https://www.yna.co.kr/view/AKR20200616185700704?input=1195m|#]] [[분류:문재인 정부/인사]][[분류:광주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이천 서씨]][[분류:1960년 출생]][[분류:전주신흥고등학교 출신]][[분류:고려대학교 출신]][[분류:고려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통일부 차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