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1 石膏─ / gypsum board / drywall }}} 건축 재료의 일종으로 석고와 섬유 물질로 만들어진 판 모양의 것. 플라스터 보드라고도 한다. 1902년 A. Sackett가 발명하였다. 구미에서는 옛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근래 급속도로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소[[석고]]를 주원료로 하여 [[톱밥]]·[[섬유]]·[[펄라이트]] 등을 혼합하고 때에 따라서는 [[발포제]](發泡劑)를 첨가하고 물로 반죽하여 두 장의 시트 사이에 부어서 판상(板狀)으로 굳힌 것을 가리킨다. 이것은 1902년에 미국에서 발명되었다. 평(平)보드는 벽이나 천장에 사용되어 방화재의 기능을 하고 라스보드는 벽의 속재료로 사용한다. 또, 흡음(吸音)보드는 음향흡수성이 있으며, 표면에 인쇄나 플라스틱 도장(塗裝)을 한 화장석고보드는 [[단열]]을 위한 내장벽용(內裝壁用)으로 사용한다. 만드는 방법은 석고 벽판 방법과 석고 라스 방법이 있다. 석고 벽판 방법은 구운 석고와 톱밥을 물로 개어 섞은 후 두 장의 판지 또는 적당한 섬유질 재료 사이에 흘려 넣고, 롤러로 일정한 두께로 해서 경화시킨 후 건조하는 방법이다. 외국에서는 톱밥 대신에 섬유 재료를 사용하고 있다. 석고 라스 방법은 석고를 심으로 하고 그 표면을 종이 등의 섬유 재료로 피복하는 방법이다. 석고 속에 섬유를 섞는 일도 있고 또 철망을 넣은 일도 있다. 원래 석고는 불에 타지 않으며 화염에 노출 시 석고결정에 화학결합되어 있는 물분자가 화염전파 및 온도상승을 막고 인근 구조물로의 연소확대를 방지한다고 한다. 건축법에서 요구하는 내화, 난연성능을 모두 갖추고 있으며 석고보드로 구성된 내력벽/비내력벽, 지붕, 바닥의 내화구조는 KS 표준화재시험 시 2시간까지 내화성능이 있다. 건설현장에서 [[커터칼]]로 석고보드를 쪼갠다. 수장공사를 하는 사람들은 대체로 왼손에 줄자를 잡고 오른손에 커터칼을 잡는다. == 장점 == 다른 건축자재에 비해 비중이 낮고 절단이 용이해[* 아크릴 나이프로 손쉽게 절단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못을 박을 때에도 편리하다.] STUD공법, 석고본드공법, [[파티션]]시스템, [[천장]] 시스템 등 시공이 간편하며 [[벽지]]로 하는 [[도배]]나, [[페인트]]칠 등 다양한 치장을 가능하게 하며, 건물 내구수명 동안 여러가지 치장을 반복하여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습식공법(조적, [[콘크리트]] 등)과 달리 양생기간이 필요 없으므로 동절기 공사 시 공사지연 없이 적기에 완공할 수 있다. 석고보드는 재활용이 가능한 FGD((배연 탈황 석고)를 사용하는 환경친화적 제품이고, 벽 및 천장 [[마감재]]로써 유효자원 재활용, 유해물질 저감, [[단열]]·흡음에 우수하다.[* 이때 단열시공에서 내부에 들어갈 [[단열재]]로 다연 [[스티로폼]]이 들어간다.] 석고보드시스템은 동일 두께의 조적벽, 콘크리트벽, ALC, 경량콘크리트패널 등에 비해 월등히 가볍다. 따라서 중량물의 이동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구조상으로 슬래브 두께나 기둥, 보의 크기를 줄일 수도 있다. 석고보드는 그 무게나 부피에 비해 매우 우수한 차음성([[방음]]), 충격음 차단성을 가지고 있어 쾌적한 실내 환경 조성을 위한 세대간 경계벽, [[소음]]방지가 필요한 벽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국내의 차음법규에 만족한다. 두겹의 방화석고보드의 마감은 아주 우수한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사람들의 이동이 많은 곳이나 어린이들이 드나드는 곳 등 충격이 발생될 수 있는 부분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석고 자체는 안정된 결정상태를 지니고 있어 습도,온도 변화에 대한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일반 칸막이벽, 가벽, 복도벽, 세대간 경계벽, 샤프트구획벽, 외벽, 방화구역벽 등 다양한 용도의 벽으로 사용할 수 있고, 건물 용도도 사무실, 병원, 호텔, 기숙사, 공동주택 등 거의 모든 건축물의 신축 및 리모델링에 적용되며 이음매 없는 벽이나 천장, 곡선 벽 등의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이 이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가벽은 예전에 [[벽돌]]을 쌓아서 만들었으나 현재는 거의 석고보드로 마감한다. == 단점 == 단가가 낮다는 점을 이용하여 날림공사를 하는 데 주로 쓰기도 한다. 특히 군부대 관사 등이 대표격으로, 모든 벽면이 석고보드로만 처리가 돼 있어서 선반을 달 수도 없다. 석고보드가 내구성이 좋다지만 동일 두께의 다른 마감재에 비해선 밀리는 게 사실이다. 오죽하면 전용 앵커가 있는데, 그마저도 수직으로 받는 힘이 아니면 장담하지 못할 정도. 특히 위의 장점 문서대로 두겹의 석고보드를 사용하면 내구성 면에서는 어느 정도 쓸 만하나 문제는 특유의 날림공사로 그냥 한겹만 세워두는 일이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그 뒤는 엄청난 깊이의 빈 공간이라[* 원래 단열재가 들어가는 곳인데 그거마저 없다...] 벽을 똑똑 두드리면 벽 전체가 울린다...[* 물론 이를 통해 일부러 두드려서 못을 박을 위치를 미리 정하는 방법도 있지만.] == 분류 == 용도에 따라: 일반 석고(하양), 방화 석고(분홍), 방수 석고(파랑), SGP(Steel Gypsum Panel) 두께에 따라: 12.5T, 15T, 19T, 25T (Thickness) 참고로 CH스터드(CH-Stud)의 H 부분에 라이너 보드(Liner Board, 25T)를 꽂는다. 영단어 Liner의 정의 '''다른 물건의 속에 대거나 까는 것'''에 부합한다. == 관련 문서 == * [[건축 관련 정보]] [[분류:건축 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