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오대십국 왕조)]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D6C97 0%, #a283ab 20%, #a283ab 80%, #8D6C97); color: #ece5b6" '''후진 제2대 황제[br]{{{+1 출황제 | 出皇帝}}}'''}}} || ||<|2> '''출생''' ||[[914년]] [[7월 22일]] || ||[[후량]] [[산시성(산서성)|하동도]] [[타이위안시|태원부 태원현]][br](現 [[산시성(산서성)|산시성]] [[타이위안시]]) || ||<|2> '''사망''' ||[[974년]] [[7월 10일]] (향년 59세) || ||[[요나라|요]] [[랴오닝성|건주]][br](現 [[랴오닝성]] [[차오양시]]) || || '''능묘''' ||석중귀지묘(石重貴之墓) || ||<|2> '''재위기간''' ||'''{{{#ece5b6 제2대 황제}}}''' || ||[[942년]] [[9월 11일]] ~ [[947년]] [[1월 10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성씨''' ||[[석(성씨)|석(石)]] || || '''휘''' ||중귀(重貴) || ||<|2> '''부모''' ||양부 송왕[br]양모 황태비 안씨 || ||양부 [[석경당|고조]][br]양모 황후 이씨 || || '''배우자''' ||황후 장씨, 황후 풍씨 || || '''자녀''' ||1녀 (양자 2남) || || '''작호''' ||정왕(鄭王) → 제왕(齊王) → 부의후(負義侯) || ||<|2> '''제호''' ||'''출황제(出皇帝)'''[* [[신오대사]] 본기 근거.] || ||소황제(少皇帝)[* [[구오대사]] 본기 근거.] || || '''연호''' ||천복(天福, [[942년]] ~ [[944년]])[br]개운(開運, [[944년]] ~ [[946년]]) || || '''절일''' ||계성절(啓聖節)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사]]의 [[오대십국시대]] 국가였던 [[후진]](後晉)의 제2대 황제이다. 이전 황제인 [[석경당]]의 조카이며 작위는 제왕(齊王)이었다. 묘호나 시호는 없으며 출제(出帝)나 소제(少帝)로 불린다. == 생애 == 914년에 [[석경당]]의 형제인 석경유(石敬儒)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석경유가 일찍 세상을 떠나자 석경당이 조카를 데려다 키웠다. 석경당은 대부분의 아들들이 후진 건국을 전후로 요절하였고, 다른 아들인 석중예(石重睿)에게 계승할 것을 유언했으나 석중귀가 찬탈하였다. 석중예는 석중귀가 거란에 잡혀갈 때 같이 잡혀갔으며 이후 행적은 전하지 않는다. [[942년]], 석경당의 뒤를 이어 황제가 되었지만 [[거란]]에 대해 손자라 할 뿐 신하라 하지 않고, 보내던 조공까지 끊어버리는 강경 일변도로 나오며 거란에 적대 노선을 표명했다. 특히 요 태종이 조공을 끊은 것에 대해 추궁하는 사신을 보냈으나 석중귀는 사신을 폭행하고 추방했다. 이 탓에 대노한 요 태종은 동맹을 파기한 뒤 10만의 대군을 이끌고 남하해왔다. 재위 초에 거란군의 침략을 2번이나 막아내며 나름 버텨냈지만 [[946년]], 다시 거란군이 침략하여 후진의 군대를 격파하고 끝내 수도 개봉을 함락시킨 뒤 석중귀를 포로로 잡아 끌고 갔고, 이로 인해 후진은 단명하고 말았다. 요에 포로로 잡힌 이후에 석중귀는 부의후(負義侯)에 봉해졌으며 28년 후인 [[974년]], 요나라 건주에서 사망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구오대사)] [include(틀:신오대사)] [각주] [[분류:오대십국시대/황제]][[분류:914년 출생]][[분류:974년 사망]][[분류:망국의 군주]][[분류:타이위안시 출신 인물]][[분류:튀르크계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