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송사)] [목차] == 개요 == 石曦 (920년 ~ 993년) [[오대십국시대]], [[북송]]의 인물. == 생애 == 병주(并州) 태원현(太原縣) 출신으로, [[후진]]의 건국자인 [[석경당]]의 사촌이었던 한왕(韓王) 석경휘(石敬暉)의 아들이다. 후진 시기에는 우신무장군(右神武將軍)이 되었고, [[후한(오대십국시대)|후한]]과 [[후주]]를 거치면서 우무위장군(右武衛將軍), 좌신무장군(左神武將軍)을 역임하였다. [[시종훈]]이 즉위하자 석희는 좌위장군(左衛將軍)이 되었다가, [[고려]]의 제4대 국왕인 [[광종(고려)|광종]]에게 좌효위대장군(左驍衛大將軍) 대교(戴交)를 사신으로 파견하면서 석희는 대교를 보좌하며 고려로 파견되었다. 석희는 960년에 [[북송]]이 건국되고 962년에 다시 고려에 사신으로 파견되었고 좌효위대장군으로 승진하였으며 진주(秦州)의 둔병을 감호하였다. [[북한(오대십국시댸)|북한]]을 정벌할 때는 군대 2천을 이끌고 택로(澤潞)에서 북한까지 길을 닦았고 분수(汾水)의 물을 적진으로 끌었고 또한 요주(遼州)를 공격하였다. 975년에는 원주(袁州)에서 군대를 거느려 [[남당]]의 군대 2천여를 물리쳐서 남당을 멸망시켰으며, 또한 매산동(梅山洞)과 판창동(板倉洞)을 평정하였다. [[태종(송)|태종]]이 즉위한 뒤 석희는 태평흥국(太平興國) 연간에 우신무대장군(右神武大將軍), 우우림대장군(右羽林大將軍)을 역임하였고 연달아 지맹주(知孟州)와 지양주(知襄州)를 맡았으며 성주(誠州) 자사를 겸하였다. 987년에는 지패주(知霸州) 겸 부서로 전임되었는데 진정산(陳廷山)이 평융군(平戎軍)에서 배반하여 [[요나라]]로 달아나려 하자, 석희는 이를 살펴 후연제(侯延濟)와 함께 진정산을 토벌하였다. 석희는 공적을 세워 단련사를 겸하였고 진주(鎭州)의 통치를 맡았다. 991년에는 우용무군대장군(右龍武軍大將軍)으로 옮겼고 원주(原州)의 통치를 맡았다가 993년에 사망하였다. [[분류:송나라/인물]][[분류:920년 출생]][[분류:993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