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선동열호/2017년)] [목차] [clearfix] == 개요 == [[2017년]] [[11월 6일]]에 [[2017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의 1번째 경기로 진행된 [[한일전/야구|야구 한일전]]이다. == 경기 전 == 한국은 [[장현식]]([[NC 다이노스]], 134⅓이닝 9승 9패 5.29)을 선발로 내세웠고, 일본은 [[야부타 카즈키]]([[히로시마 도요 카프]](129이닝 15승 3패 3홀 2.58)을 선발로 내세웠다. [[선동열]] 대표팀 감독은 장현식이 패넌트레이스에서는 부진했으나 큰 무대인 [[KBO 준플레이오프/2017년|롯데와의 준플레이오프]]에서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으며, 퀵모션이 일본의 발빠른 주자들을 상대하는 데 유리하다고 보고 선발로 낙점했다고 밝혔다. 이날 경기 시구자는 일본 여자 농구 선수이자 현 [[WNBA]]에서 뛰고 있는 [[도카시키 라무]](渡嘉敷来夢). 프로 데뷔를 스폰서인 ENEOS 산하 여자 농구단 "JX-ENEOS 선 플라워"에서 뛴 점도 고려된 듯 하다. == 라인업 == ||<-2> [[2017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파일:2017 ENEOS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jpg|width=200]]]] ||<-14>'''{{{+3 {{{#856929 2017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1경기}}}}}}'''[br]''{{{#d71921 ENEOS アジア プロ野球チャンピオンシップ 2017}}}''[br]'''{{{#000,#FFF 2017.11.16. 19:00 | 도쿄 돔}}}'''{{{#!wiki style="margin: 10px 0px 10px;" [include(틀:색상 수평줄, 색상=#CCC)]}}}[[MBC|[[파일:MBC 로고.svg|width=45]]]] [[백근곤|{{{#000,#FFF 백근곤}}}]], [[허구연|{{{#000,#FFF 허구연}}}]], [[차명석|{{{#000,#FFF 차명석}}}]] || ||<-16>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R''' || '''H''' || '''E''' || '''B'''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000,#fff 대한민국}}}]]''' || '''[[장현식]]''' || 0 || 0 || 0 || 4 || 0 || 0 || 0 || 0 || 0 || 3 || '''7''' || 10 || 1 || 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000,#fff 일본}}}]]''' || '''[[야부타 카즈키]]''' || 0 || 0 || 1 || 0 || 0 || 2 || 0 || 0 || 1 || 4X || '''8''' || 8 || 0 || 4 || ||<-16> '''{{{#fff 경기 H/L}}}''' [[https://youtu.be/nzFsBwcECj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16> '''{{{#fff 양 팀 선발 라인업}}}''' || ||<-16><^|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fff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2> '''타순''' ||<-2> '''{{{#fff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 || '''{{{#000 포지션}}}''' || '''{{{#000 선수명}}}''' || '''{{{#fff 선수명}}}''' || '''{{{#fff 포지션}}}''' || || 2B || [[박민우(야구선수)|박민우]] || '''1''' || [[쿄다 요타]] || 2B || || LF || [[이정후]] || '''2''' || [[겐다 소스케]] || SS || || RF || [[구자욱]] || '''3''' || [[콘도 켄스케]] || DH || || SS || [[김하성]] || '''4''' || [[야마카와 호타카]] || 1B || || DH || [[최원준(1997)|최원준]] || '''5''' || [[우에바야시 세이지]] || RF || || 3B || [[정현(야구선수)|정현]] || '''6''' || [[토노사키 슈타]] || LF || || 1B || [[하주석]] || '''7''' || [[니시카와 료마]] || 3B || || CF || [[안익훈]] || '''8''' || [[카이 타쿠야]] || C || || C || [[한승택]] || '''9''' || [[쿠와하라 마사유키]] || CF || || SP || [[장현식]] || '''P''' || [[야부타 카즈키]] || SP || }}}}}}}}}}}} || ▲승리투수 : 호리 미즈키 ▲패전투수 : [[이민호(1993)|이민호]] ▲홈런 : [[김하성]](4회 1점), [[야마카와 호타카|야마카와]](6회 2점), [[우에바야시 세이지|우에바야시]](10회 3점) ▲결승타 : [[타무라 타츠히로]](10회말 2사 2루서 좌중간 안타) ▲심판: 치화원, 창찬정, 수친원, 수펑추윤 == 경기 내용 == === 1회~9회 === 1회초 [[박민우]]가 볼넷으로 출루했지만 [[이정후]]가 풀카운트에서 우익수 뜬공, [[구자욱]]이 초구 우익수 뜬공, [[김하성]]이 2-2에서 내야 뜬공으로 이닝 종료되었다. 1회말 [[쿄다 요타]]가 땅볼로 1아웃, [[겐다 소스케]]가 2루 땅볼로 2아웃 되었고 풀카운트에서 [[정현(야구선수)|정현]]이 [[콘도 켄스케]]의 파울 타구를 처리하지 못했으나 삼진으로 이닝 종료. 2회초 [[최원준(1997)|최원준]]이 풀카운트 승부 끝에 볼넷 출루했고 [[정현(야구선수)|정현]]의 번트로 1사 2루를 만들었으나 [[하주석]]이 삼진, [[안익훈]]이 초구를 건드려 좌익수 뜬공으로 물러나며 무득점을 기록했다. 2회말 [[야마카와 호타카]]가 0-1에서 안타를 기록하며 무사 1루. [[우에바야시 세이지]]의 내야 땅볼 때 [[박민우]]가 야수선택으로 야마카와를 아웃시키며 1사 1루가 되었다. 이후 [[한승택]]이 우에바야시의 도루를 저지하며 주자 없이 2사로 만들어 냈다. 다음 타자인 [[토노사키 슈타]]가 1-2에서 안타를 치며 출루에 성공, [[니시카와 료마]]가 또 다시 안타를 때려내며 2사 1-3루의 위기를 맞게 되었다. 일본의 와일드 카드로 선발된 [[카이 타쿠야]]의 타석 2-2에서 텍사스 안타성 타구를 잘 잡아내며 이닝을 마무리 지었다. 3회초 [[한승택]]이 내야 땅볼로 물러난 이후, [[박민우]]가 2타석 연속으로 볼넷 출루에 성공한다. 무사 1루에서 [[이정후]]가 번트 모션을 취하기도 했으나 강공을 선택했고 결국 풀카운트에서 중견수 뜬공으로 물러났다. [[구자욱]]이 내야 땅볼로 물러나며 이닝 종료. 3회말 [[쿠와하라 마사유키]]가 3-0으로 유리한 카운트였으나 내야 땅볼로 아웃. 이어 쿄다가 내야 땅볼을 때리며 2아웃이 되었다. 중심타선인 [[겐다 소스케]]가 출루에 성공했고 콘도의 내야안타 때 [[박민우]]의 송구를 [[정현(야구선수)|정현]]이 놓치면서 1루 주자였던 겐다가 홈으로 들어와 일본이 선취득점을 기록했다. 2사 2루에서 야마카와가 삼진을 당하며 물러났다. 4회초 [[김하성]]이 155km/h의 초구 [[패스트볼]]을 때려서 좌측 담장을 넘기는 솔로 홈런을 기록하며 동점을 만들었다. 이어 [[최원준(1997)|최원준]]이 내야를 가르는 안타를 때려내고 히트앤 런 작전 상황에서 [[정현(야구선수)|정현]]의 타구가 중견수 앞 안타가 되며 무사 1,3루가 되었고 [[하주석]]이 좌익수 희생플라이로 [[최원준(1997)|최원준]]을 불러들이며 대한민국이 역전에 성공했다. 결국 일본 대표팀은 야부타를 내리고 [[콘도 타이스케]]를 등판시켰다. [[안익훈]]이 풀카운트 끝에 볼넷을 얻어내며 1사 1, 2루가 되었으나 [[한승택]]이 삼진으로 물러나며 2사 1, 2루가 되었다. 그러나 [[박민우]]가 풀카운트에서 또다시 볼넷을 얻어내며 2사 만루를 만들었고, [[이정후]]가 안타를 때려내는데 성공하며 2, 3루주자를 불러들여 또다시 두 점을 추가했다. [[구자욱]]이 초구를 때렸으나 내야 땅볼로 물러나며 잔루 1, 2루로 이닝 종료. 4회말 우에바야시가 우익수 뜬공으로[* 이때 [[구자욱]]과 [[박민우]]의 콜 플레이가 잘 안 됐는데 [[허구연]]이 "어어어어"하며 특유의 [[신음]]소리를 냈다(...)], 토노사키도 1루수 뜬공으로, 니시카와도 우익수 깊은 뜬공으로 물러나며 이닝 종료. 5회초, 일본의 바뀐투수 [[타와타 신사부로]]를 상대로 [[김하성]]이 초구를 쳐 안타를 만들어내고 [[최원준(1997)|최원준]]이 4구를 받아쳐 진루타를 만들어냈지만 [[정현(야구선수)|정현]]이 삼진을 당했고, [[하주석]]이 3구째를 잡아 당겼으나 1루 땅볼이 되며 이닝이 종료되었다. 5회말, 선두 타자 카이가 [[장현식]]에게 스트레이트 볼넷을 얻어내며 출루에 성공, 구와하라가 내야 깊숙한 땅볼을 때렸으나 [[김하성]]의 호수비에 막히며 1사 2루가 되었다. 쿄다가 내야 진루타를 때려내며 2사 3루가 된 상황에서 겐다가 풀카운트 승부끝에 공을 외야로 보냈으나 우익수 뜬공이 되며 이닝 종료. 6회초, [[안익훈]]이 3구를 받아쳐 좌익수 플라이, [[한승택]]은 유격수 땅볼로 물러났다. [[박민우]]가 2-2에서 우익수 앞에 떨어지는 안타를 때려내며 2사 1루. [[이정후]]가 초구를 받아쳐 홈런성 타구를 때려냈으나, 안타깝게 파울을 기록했고 이후 2-2에서 삼진을 당하며 이닝이 종료되었다. 6회말, 교체되어 등판한 [[구창모(야구선수)|구창모]]를 상대로 콘도가 때린 뜬공을 [[이정후]]가 다이빙캐치를 하였으나 놓치면서 안타로 출루하였다. 야마카와가 [[구창모(야구선수)|구창모]]의 초구를 받아쳐 우익수 뒷편 스탠드에 꽂아 넣는 투런 홈런으로 연결하며 점수는 1점차로 좁혀졌다. 우에바야시를 내야 땅볼로 처리하며 1아웃을 잡은 [[구창모(야구선수)|구창모]]는 이후 [[박진형]]으로 교체되었다. [[박진형]]은 토노사키를 유격수 땅볼로 처리하며 2아웃, 니시카와도 유격수 땅볼로 처리하며 이닝 종료. 7회초 일본은 [[이시자키 츠요시]]를 마운드에 올렸다. [[구자욱]]을 상대로 삼진을 잡아내며 1아웃, [[김하성]]을 3루 땅볼로 처리하며 2아웃, [[최원준(1997)|최원준]]도 땅볼로 처리하며 이닝이 종료되었다. 7회말 [[마츠모토 고]]가 카이를 대신해 대타로 들어왔고 [[박진형]]의 공을 받아쳤으나 2루 땅볼로 1아웃, 쿠와하라가 친 타구는 뻗지 못하고 중견수 뜬공으로 2아웃, 쿄다가 받아쳤으나 우익수 뜬공이 되며 이닝 종료. 8회초 일본은 포수를 [[타무라 타츠히로]]로 교체했다. 한국 대표팀은 [[정현(야구선수)|정현]]이 볼넷으로 출루한 이후, 대주자 [[나경민]]을 교체 투입했다. 이어서 [[하주석]]이 이시자키를 상대로 안타를 때려내며 무사 1, 2루가 되었고, [[안익훈]]이 번트를 댔으나 야마카와의 호수비로 1사 1, 2루가 되었다. [[한승택]]의 타격도 투수앞 직선타가 되면서 2사 1, 2루가 되었고 일본 대표팀이 [[박민우]] 타석을 앞두고 노다 쇼고를 마운드로 올렸다. [[박민우]]는 유격수 뜬공으로 물러나며 이닝이 종료되었다. 8회말 [[선동열]] 감독은 [[장필준]]을 마운드에 올렸다. 겐다는 삼진으로 물러났고, 콘도가 [[박민우]] 글러브 끝을 스치는 안타를 때려내며 1사 1루가 되었다. 일본은 대주자 [[오코에 루이]]를 투입. 타석에 들어선 야마카와는 1-2에서 헛스윙 삼진으로 물러나며 2아웃, 우에바야시는 대형 파울 홈런을 때려냈으나 삼진으로 물러서며 이닝을 마쳤다. 9회초 일본의 특급 마무리 [[야마사키 야스아키]]가 마운드에 올라왔고 [[이정후]]가 1루 땅볼, [[구자욱]]은 헛스윙 삼진, [[김하성]]이 3루 땅볼로 물러나며 이닝이 종료되었다. 9회말 [[김윤동]]이 마무리 투수로 출격했다. 토노사키를 상대로 삼구 삼진을 기록했지만, 니시카와가 볼넷을 얻어내며 출루했다. 이에 [[선동열]] 감독이 직접 마운드에 올라 [[김윤동]]에게 조언을 건넸으나 ~~수비형 포수~~ 타무라에게도 볼넷을 허용하며 1사 1, 2루가 되었다. 그후 한국 대표팀은 [[구자욱]]을 빼고 [[이정후]]가 우익수로 이동하면서, [[김성욱]]을 좌익수로 투입했다. 타석에 들어선 쿄다는 안타를 때려내며 1사 만루가 되었다. 첫 삼진 이후 2볼넷 1피안타를 얻어맞은 [[김윤동]]은 [[함덕주]]로 교체되었다. 쿄다는 밀어내기 볼넷을 얻어내며 동점을 만들어 내는데 성공했다. [[함덕주]]의 블론세이브와 함께 [[장현식]]의 승리도 날아갔다. 이후 유격수 땅볼로 2아웃이 된 상황에서 [[오코에 루이]]가 유격수 뜬공으로 물러나며 [[승부치기]]로 가게 되었다. === 연장전 === 대회 규정상 예선 라운드에선 10회부터 승부치기로 들어간다. 승부치기는 무사 1, 2루에서 많은 점수를 내는 쪽이 승리하는 방식이며 12회까지 동점으로 끝나면 무승부로 처리한다. 10회초, 일본의 와일드 카드였던 [[마타요시 카츠키]]가 마운드에 등판했다. [[김성욱]]과 [[김하성]]이 나가있는 상황에서 [[최원준(1997)|최원준]]은 적극적인 스윙을 가져갔고 우익수 뜬공을 기록했다. 그리고 후속타자였던 [[류지혁]]이 펜스를 직격하는 2루타를 때려내며 1점을 뽑아내는데 성공한다. 1사 2, 3루에서 [[하주석]]의 타구가 우익수 옆을 지나가면서 2타점을 기록하며 다시 3점차로 벌렸다. [[안익훈]]이 유격수 땅볼을 때리며 2아웃이 되었으나 [[한승택]]이 볼넷을 얻으며 출루했다. 이후 투수는 호리 미즈키가 올라왔고 [[박민우]]가 또다시 안타를 때려내며 2사 만루가 되었다. 하지만 [[이정후]]가 좌익수 뜬공을 때려내며 이닝 종료.[* 참고로 [[이정후]]와 호리 미즈키는 한국과 일본 대표팀의 가장 어린 선수들이다. 이정후는 1998년 8월 20일생, 호리 미즈키는 1998년 5월 10일생.] 10회말, [[야마카와 호타카]]는 [[함덕주]]의 공을 쳤으나 내야 뜬공으로 1아웃, 하지만 이후 [[우에바야시 세이지]]가 쓰리런을 치며 두 번째 동점을 허용한다. 그리고 다음 투수 [[이민호(1993)|이민호]]가 아웃카운트를 하나 남겨둔 상황에서 [[타무라 타츠히로]]에게 끝내기를 맞으며, 7:8 일본의 승리로 끝났다. == 여담 == * [[차우찬]]과 [[박석민]]이 [[도쿄돔]]에서 응원했다. * [[히로시마 도요 카프]] 특유의 응원인 [[스쿼트]] 응원[* 앉았다 일어났다 하는 응원.]이나 세이부 토노사키 슈타의 축구식 점프 응원[*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는 지바롯데와 같이 점프하면서 부르는 응원이 많다.]이 방송에 자주 잡히면서 "저게 뭐임?"이라는 반응이 야구 커뮤니티에 나왔다.[[http://gall.dcinside.com/ncdinos/2315874|##]](해당 링크는 토노사키 슈타의 응원장면으로 추정됨. 스쿼트응원은 박자에 맞추어 얹았다 일어났다 하는 것)심지어 "빠빠빠가 뒤늦게 일본을 강타한 줄 알았다" 하는 사람도 있었다(...) * 5회초, [[정현(야구선수)|정현]]의 응원가에 한 일본인 선수가 음악에 맞춰 리듬을 타는 모습이 잡히기도 했다. * 동점 쓰리런 홈런을 친 우에바야시의 어머니가 공교롭게도 한국인이다. 어머니의 나라에 제대로 한방을 먹였다.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 [[선동열호/2017년]] * [[한일전]] * [[한일전/야구]]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경기)] [include(틀: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경기)]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2017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version=702, paragraph=4.1)] [[분류: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경기]][[분류: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경기]][[분류:2017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분류:선동열호]][[분류:한일전/야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