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A Electronics''' / 宣雅電子 [[파일:external/www.arcade-history.com/ART_26_sunalogo.png]] --SLnA / 슬나--[* 대문자 S옆에 붙어있는 소문자 U가 대문자 L처럼 보이기 때문에 그렇게 읽는 사람들도 있었다.] [목차] == 개요 == [youtube(O-Jp5pTzA0g)] 대한민국의 과거 존재하던 게임회사로 1985년 창립, 1987년부터 1999년까지 게임을 개발했다. 허나 그렇게 만들었던 것들이 캐릭터는 전혀 허가를 받지 않았고 고인돌과 하드헤드 빼고는 전부 아류작이라서 국내에서 개발됐다는 사실만 빼고는 그다지 평가가 좋지 않았다. 게다가 로고도 [[세가|일본의 모 게임회사]] 냄새가 심하다. [[게임물관리위원회]] 검색으로 확인한 결과, 1997년 이후로는 갬블 게임을 개발하기 시작하였으며, 이후 2000년의 '고2000'을 필두로 2005년 '고토피아플러스'까지 [[우려먹기]]를 단행하였다. 이후 더 이상 게임을 개발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도산한 것으로 추정. 참고로 우리회사로 개명했던 선아전자(宣亞電子)와는 한자가 비슷할 뿐 완전 별개다. 이쪽은 전자제품 검사설비 전문 업체. 게다가 어느 중소기업 공단에 있을 법한 묘한 이름이라 검색하면 엉뚱한 업체가 나오는 일도 있다(...). 일부 게임은 병맛나게 만들었다. * [[하드헤드 2]]: 게임 자체가 병맛 그 자체다. 주인공의 멜빵바지는 [[마계촌]] 갑옷같은 방어구인데 적에게 공격당하면서 이 멜빵바지가 벗겨지면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베스트 오브 베스트]]: 톰은 대전 격투 게임에서는 유례를 찾을 수 없는 U턴 장풍을 쏘고 탱고는 엉덩이에서 불을 뿜는다. 그리고 모든 스테이지에서 배경음악이 람바다로 통일되어 있다. 사사키의 스테이지에 나오는 여자들은 절을 하면서 엉덩이를 흔든다. * 일부 게임에서 람바다, 볼레로 등 BGM을 아무 교향곡이나 마구 갖다 붙였다. * [[스파크 맨]]은 그래픽이 쓸데없이 섹시해서 다들 팬티스타킹을 신은 것처럼 나온다. 일본의 게임 신문 게임머신 1988년 12월 1일자 20면 하드헤드 광고지를 보면 소재지는 경기도 부천시 내동 109번지, 전화 02-754-2094. [[https://onitama.tv/gamemachine/pdf/19881201p.pdf|#]] == 개발작품 일람 == 연대순으로 배열하였다. * 블록 (1986) [[타이토]]의 [[알카노이드]] 복제, 변조판. 라운드 30에 SunA 표기가 있다. 당시 한국에서 가장 많이 돌았던 알카노이드 복제 기판으로 추정된다. * [[고인돌(동음이의어)#s-3|고인돌]] (1987) [[벽돌깨기]] 게임으로 전 100 스테이지. 특이하게도 이 게임은 특허보호가 신청되었다. 1987년 소프트웨어 특허 등록의 붐을 탄 것. 물론 지금은 특허가 만료된 지 오래다. 타이틀 화면에 나오는 음악은 이탈리아 가수 Little Tony가 1968년에 발표한 Cuore Matto라는 곡이며, 1970년 [[펄 시스터즈]]가 '첫 사랑'이라는 제목으로 번안, 발표. 리뷰[[https://blog.naver.com/sunlin77/222235007593|#]] * 슈퍼 레인저 (1988) 남코의 [[롤링 썬더 시리즈|롤링 썬더]]를 표절했다. 특유의 점프모션은 완전히 똑같다. BGM으로 [[볼레로]]가 흐르는 것도 괴악한 포인트. * 러프 레인저 (1988) 슈퍼레인저의 개량버전. 스테이지 맵이 나오는 등 약간의 변화가 있지만 베이스는 같다. 스테이지를 깨면 BGM으로 [[트로이메라이]]가 나온다. * [[하드헤드]] (짱구박사) (1988) BGM만큼은 좋은 곡이 많다. [[크시코스의 우편마차]] 등... 대한민국에서 발매된 정품 기판 중에서 기판 값이 제일 싼 15만원이라, 한국 내에서는 복제품이 없었다. 리뷰 [[https://blog.naver.com/sunlin77/222670697917|◇]] * [[하드헤드 2]] (짱구박사 2) (1991) * [[스파크 맨]] (1989) * 스타 파이터 (1990) 평범한 세로 스크롤 슈팅게임인데 BGM이 [[바흐]]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5번(...). 게다가 엔딩을 보면 주인공이 다루던 전투기의 파일럿이 [[아줌마]](...)다. * 브릭 존 (1992) 고인돌과 마찬가지로 [[벽돌깨기]] 게임, 역시 전 100 스테이지, 스테이지 끝 자리 5, 0은 보스와 전투. 게임성은 꽝이나 음악이 좋다. * [[퀴즈 아카데미 6000]] (1994) 코나미의 〈퀴즈 학문의 스스메〉의 사운드를 그대로 빼왔다. * [[베스트 오브 베스트]] (1994) '''한국 최초의 아케이드 대전 액션 게임'''. 빅콤의 [[왕중왕(게임)|왕중왕]]보다도 2개월 가량 앞서 발매됐다고 한다. 물론 그 악명 높은 왕중왕보다도 더 구린 똥겜. * 퀴즈 토피아 (1995) 퀴즈 아카데미 이후 발매된 퀴즈 게임. 자료가 적어서 정보가 없다. 1995년에 심의를 신청하였고, 이후 오락실에도 보급되었다. 전작에 비해 무단으로 도용한 캐릭터가 적은 편이다. 퀴즈아카데미랑 달리 땅따먹기식으로 진행하여 최종골에 도달하는 것이 목표로, 2스테이지의 BGM이 룰라의 [[날개 잃은 천사]]를 미디샘플링한 BGM으로 되어있는 것이 인상적. [[https://bbs.ruliweb.com/nin/game/79142/read/4222915?view_best=1&view=gallery&page=36|기판 사진]], [[https://www.youtube.com/watch?v=wKcooxxl3ZU|플레이 영상]] * 업다운 챔피온, 프랙챔피온 (1995) - 각 나라별 인물들이 나와 청기백기를 하는 게임. * 백 스트리트 사커 (1996) 네임 엔트리 브금이 1993년 10월 ~ 1998년 초반까지 사용했던 [[MBC 뉴스데스크]] 광고 제공 자막 음악이다. 역시 베끼기 정신은 어딜가지 않는지, 전체적인 분위기는 [[덩크 드림]]을 농구에서 [[풋살]]로 바꾼 것에 로고는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2]]를, 클로즈업씬은 [[슈퍼슬램]] 등을 베끼고, 음악도 노이즈의 [[상상속의 너]], 어제와 다른 오늘, [[DJ DOC]]의 [[머피의 법칙(노래)|머피의 법칙]] 같은 당시 유행가부터 심지어는 [[윌 스미스]]의 곡까지 무단으로 넣었다! BGM 퀄리티도 들쭉날쭉해서 가요 카피BGM은 미디로 재생되지만 외국 랩송, 몇몇 외국곡은 음성신호를 디지타이즈해서 조악하게 열화된 음질로 나온다. * [[울트라벌룬]] (1996) [[버블보블]](정확히는 1994년작인 [[버블 심포니]])의 표절작, 선아전자가 갬블 게임을 제작하기 전에 마지막으로 제작한 게임이다. * 과일촌(1997) 딱지를 이용한 베팅게임. 룰 자체는 포커와 똑같다. 다만 과일딱지로 트럼프 카드를 바꿨다. * 탱고 탱고 (1997) [[뿌요뿌요]]와 [[컬럼스]]를 섞어만든 짝퉁 퍼즐게임. * 졸리라인(1998), 위너라인 (1999) 직소퍼즐 형태의 게임. * 파이프라인 (1999) 선아전자가 마지막으로 만든 일반 게임. 위너라인과 똑같은 게임에 탱고탱고가 보너스 게임으로 들어 있다. * 고2000 (2000) 화투 고스톱을 게임으로 만든 것, 이후 2005년 고토피아 플러스까지 우려먹었다. * 핫 트락스(Hot Trax)(2002) 슬롯머신 게임. * 드로우고스톱(2003) * 로얄드로우(2003) * 짓고탱고(2004) [[도리짓고 땡]]룰의 화투 게임. [[분류:선아전자]][[분류:한국의 게임 제작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