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송 황후)] ||<-2> '''{{{#ece5b6 북송의 황후[br]{{{+1 宣仁聖烈皇后 | 선인성렬황후}}}}}}'''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宣仁聖烈皇后.jpg|width=100%]]}}} || || '''[[시호|{{{#ece5b6 시호}}}]]''' ||<(> 선인성렬황후(宣仁聖烈皇后) || || '''[[성씨|{{{#ece5b6 성}}}]]''' ||<(> 고(高) || || '''{{{#ece5b6 출생}}}''' ||<(> 1032년 || || '''{{{#ece5b6 사망}}}''' ||<(> 1093년 || ||<|6> '''{{{#ece5b6 재위}}}''' ||<:> '''{{{#fff 북송의 황후}}}''' || ||<:> 1065년 ~ 1067년 || ||<:> '''{{{#fff 북송의 황태후}}}''' || ||<:> 1067년 ~ 1085년 || ||<:> '''{{{#fff 북송의 태황태후}}}''' || ||<:> 1085년 ~ 1093년 || || '''{{{#ece5b6 배우자}}}''' ||<(> [[영종(북송)|영종]](英宗) || || '''{{{#ece5b6 부친}}}''' ||<(> 고준보(高遵甫) || [목차] [clearfix] == 개요 == [[송영종(5대)|송영종]]의 황후이자 [[송신종|신종]]의 모후, [[송철종|철종]]과 [[송휘종|휘종]]의 할머니이다. 영종과의 사이에서 4남 2녀를 얻었다. 흔히 고태후 또는 선인태후로 불린다. 별칭은 여중요순(女中堯舜) 또는 여자요순. == 가계와 일화 == 선세(先世)는 연인(燕人)[* 지금의 [[베이징]] 및 [[허베이성]] 일대]이며 성은 고씨(高氏), 아명은 도도(滔滔)로 증조부는 북송의 대장이자 충무절도사(忠武節度使) 고경(高瓊)으로, 조부는 고계훈(高繼勳)이며, 부친은 고준보(高遵甫)이다. 고준보와 [[자성광헌황후]]의 자매인 조씨(曹氏)[* 선인성렬황후의 어머니 조씨의 집안도 명문가인데, 그녀의 할아버지가 북송의 개국공신 조빈이다.] 사이에서 1032년에 태어났으며 남동생으로는 고사림(高士林), 고사손(高士遜)이 있다. ||고황후의 아들인 신종이 어린 시절 외가를 방문했을때 늘 불만이고 마음아파했던 것은 개국공신이자 오조공신인 외가가 허름하고 가난한 기와집이라는 것이었다고 한다. 이를 마음에 담아두고 있던 신종은 즉위한 뒤, 여러 차례 외할아버지의 집을 크고 멋진 저택으로 지어 주라는 지시를 내렸지만 그때마다 고황후가 아들의 의견에 반대하며 이를 막아서 그 뜻을 이루지 못했다. 이에 신종이 어머니 고황후에게 크게 불만을 터트리자, 고황후는 아들 신종을 크게 혼냈다고 한다. 그녀는 아들에게 외할아버지의 저택을 짓는 것은 개인의 일이며 황제가 사사로운 감정으로 국고에서 이를 추진하면 안 된다고 꾸짓고 부지 선정과 모든 금액은 고황후 본인의 녹봉과 자금으로 부담할테니 국고에서 돈이 나가는 일이 없어야 된다며 더이상 이를 시도하지도 말라고 했다고 한다. 이후 그녀는 본인의 사재로 부지를 선정하고 땅을 구입하여 도성 외곽에 집을 지어 아버지와 가족들을 모셨다고 한다.|| ||고황후의 남동생인 고사림은 어려서부터 경사에 두루 능통하고 문장 솜씨도 뛰어날 뿐더러 문과 무 모두에 뛰어난 인물로 사람됨도 정직하고 대의가 있어서 주변에서도 이를 인정한 인물이었다. 그는 내전숭반 하급군관을 시작으로 경성기병부대에 수년간 근무해왔는데 평소 고사림의 재주와 능력을 알던 고황후의 남편 영종이 즉위 후 과거 인종이 조씨 일가 사람들의 관직을 올려준 것을 명분삼아 관직을 올려주려했을때, 고황후가 누구보다 이를 막고[* 남편 영종에게 선인성렬황후는 '''"이미 제가 황후의 몸이 되어 저희 가문은 이미 그 덕을 입어 과분합니다. 그래서 저희 친정사람들을 올려주려는 것에는 더욱 신중해야할것입니다. 제 동생 사림은 이미 승진했고 조정에서의 직위도 과분하오니 어찌 더 올려줄 수가 있습니까."'''라며 반대했다고 한다.] 그 이후에도 영종이 여러번 고사림의 직위를 올리려고 할때도 간절하게 이를 말렸다고 한다.|| == 황후, 황태후 시절 == 어린 시절 간택되어 이모인 자성광헌황후를 따라 입궁했으며 [[송인종]]의 양자인 조종실과 15세 때 혼인했고, 남편과 함께 궁 밖 사저에서 살았다. 그리고 남편인 조종실이 가우 7년(1062년) 태자가 되면서 휘를 서(曙)로 바꾸고 1063년 인종의 뒤를 이어 황제가 된 후, 치평 2년(1065년) 황후에 책봉되었다. 남편인 영종이 재위 4년만인 1067년 붕어하고 장남인 조욱(趙頊)이 즉위하여 황제가 된 후, 보자황태후(寶慈皇太后)로 높여졌다. 그녀는 아들인 신종이 [[왕안석]]의 신법을 받아들여 정책을 추진했던 것에 반대해왔으며 아들인 신종이 원풍 8년(1085년) 병상에 눕게 되었을 때 태자건저 회의를 주재했다. 그리고 손자인 용(傭)[* 황태자가 된 후 휘를 후(煦)로 바꿨다.]을 황태자로 책봉하는 교서를 갑오3년 초하루에 반포했으며 아들인 신종이 죽고 손자인 조후(철종)가 황제가 되었을 때 [[태황태후]]가 되어 어린 손자 철종의 [[수렴청정]]을 하게 된다. == 수렴청정과 사망 == 손자 철종의 연호인 원우(元祐, 1086년 ~ 1094년 4월) 연간동안 수렴청정을 했으며 이때 [[사마광]]을 재상으로 임명하고 신종 연간 당쟁으로 연좌되어 쫓겨난 이들을 복권시키고 구법당 대신들을 기용했다. 아울러 이 시기동안 어린 철종에게 늘 다른 곳이 아닌 황제 자신의 침상에서 잠을 자게 하는 등의 규칙을 정하고 엄격하게 훈육했으며[* 궁중에서 철종이 다치거나 불상사가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해 고태후는 주변을 통해 어린 황제의 동향을 보고받고 상황에 따라 미리 안전조치들을 명하며 상당히 신경썼다고 한다. 따라서 궁중에서 키우던 어린 곰을 만지던 철종이 다칠까봐 궁녀와 환관들에게 어린 곰들을 안게 해서 보게 하는 등 조치를 취하게 했다고 한다. 물론 이런 고태후의 교육방식과 달리 주변의 급격한 인사조치에 걱정하던 철종의 생모 [[흠성황후|덕비 주씨]]는 과민반응하여 먼저 아들의 음식을 손수 기미하는 등의 행동으로 불필요한 오해를 일으켰고 고태후와 대립하게 됐다. 또 철종 역시 이런 과보호에 대해 사춘기 시절 본인 나름의 반항(할머니가 의견을 물으면 입을 닫고 말하지 않거나 할머니께서 시킨대로 하라고 말하기 등)을 하기도 했다. 철종은 할머니가 사망한 이후 지나치게 자신의 행동을 비약하여 보고한 일부 환관들을 친정 이후 황제와 태황태후를 기만하고 할머니와 손자 사이를 벌어지게 음모를 꾀했다고 해서 처벌했다.] 시독 [[소동파|소식]], 범저우를 어린 황제의 스승으로 삼아 인성교육과 제왕교육 모두에 상당히 신경을 기울였다. 그녀는 비록 [[왕안석]]의 신법에는 반대했지만 청렴하고 엄격한 정치를 했으며 뛰어난 재능을 가지고 있었고 스스로에게도 엄격했다고 한다. 1093년 9월 지병으로 향년 62세의 나이에 사망했으며 아들 신종의 무덤인 영유릉(永裕陵)에 묻혔다. == 자녀 == 남편인 영종과의 사이에서 4남 2녀를 두었는데 청매죽마의 부부사이라고 할 만큼 서로를 사랑하고 아낀 것으로 유명하다. * 장남 [[신종(송)|신종(神宗)]] * 차남 오영왕 호(吳榮王 顥)[* 창왕(昌王) 조호라고도 한다.] * 3남 윤왕 안(潤王 顔)[* 요절] * 4남 익단헌왕 군(益端獻王 頵) * 장녀[* 영종의 딸 중에서는 차녀.] 위국대장공주(魏國大長公主)[* 흔히 촉국공주, 보안공주라고 부른다. 남편인 왕선과의 사이에서는 아들 1명을 얻었지만 요절하였다고 하며, 그녀 역시 1080년 불과 29세의 나이에 병으로 요절했다.] * 차녀[* 영종의 딸 중에서는 3녀.] 한국위국대장공주(韓國魏國大長公主) == 평가 == 공사를 철저히 나누어 잘 지키고 사적인 감정을 이유로 청탁을 받거나 눈감아주지 않았고, 수렴청정 기간동안 수도 내에서 건설중이거나 계획된 궁궐, 부아, 사원 건축을 중지케하고 각종 부역 의무에 징용된 농민들을 모두 집으로 보내고 각종 세금들도 감면하여 여자요순, 여중요순으로 불러졌다. 더해서 스스로도 사치를 하지 않고 모범을 보이고 주변의 부정축재와 같은 부패행위를 엄히 단속하여 구법당의 맥을 이은 [[성리학]] 체제하에서 수렴청정의 모범으로 칭해졌다. 조선왕조에서도 대비들이 [[수렴청정]]의 조서를 반포할 때 늘상 나오는 얘기가 선인태후의 수렴청정을 모범으로 하겠다는 얘기이다. == 대중매체에서 == 2020년 드라마 청평악에 등장한다. [[자성광헌황후]]의 조카이자 양녀로서 어릴 때부터 궁에서 생활했고 조종실과 사이가 좋다. 김용의 소설 [[천룡팔부]]의 막바지에 선인성렬황후의 임종이 나온다. 역사상의 평가와 마찬가지로 여중요순이라 불리는 성군답게 죽어가면서도 국정과 외세를 염려하는 한편, 황제인 손자가 자기 말을 따르지 않자 꾸짖고 내치려 하는 냉혹함을 보인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역대 송 황태후)] [include(틀:역대 송 태황태후)] [include(틀:송사)] [[분류:송나라의 황후]][[분류:아시아의 섭정]][[분류:1032년 출생]][[분류:1093년 사망]][[분류:보저우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