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아모레퍼시픽의 브랜드]] ||<-4> '''{{{+1 설화수}}}'''[br]'''Sulwhasoo''' || ||<-4>{{{#!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ulwhasoo(2021).png|width=100%]]}}} || ||<-2> '''이전 브랜드명''' ||<-2> '''설화(雪花)''' || ||<-2> '''개발사''' ||<-2> [[아모레퍼시픽|[[파일:아모레퍼시픽 로고.svg|width=100]]]] || ||<|4><-2> '''브랜드[br]출시일''' || '''ABC 인삼 크림''' || [[1966년]] || || '''코리안 진생 삼미''' || [[1973년]] || || '''설화''' || [[1987년]] || || '''설화수''' || [[1997년]] || ||<-2> '''입점 매장''' ||<-2> [[신세계백화점]] / [[현대백화점]] / [[롯데백화점]][br] [[아이파크몰]] / [[갤러리아백화점]] / [[면세점]][* [[대구광역시]]는 [[대백프라자]]에도 입점이 되어 있으며 [[면세점]]은 [[인천국제공항]] 제 1터미널하고 [[신라면세점]], [[롯데면세점]]에 있다.] || ||<|4><-2> '''플래그십[br]스토어'''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설화수 북촌 플래그십 스토어, 너비=100%, 높이=100%)]}}} || ||<-2> '''설화수 북촌 플래그십 스토어[* [[네이버]] 거리뷰 기준으로 [[2019년]] 2월까지는 일반 상점이었다가 폐점을 하고 [[2019년]] 하반기까지 빈 건물로 있었으며 이후 전체적인 공사를 통해 [[2022년]] 1월에 오픈한 것으로 보인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 47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설화수 도산 플래그십 스토어, 너비=100%, 높이=100%)]}}} || ||<-2> '''설화수 도산 플래그십 스토어[* [[네이버]] 거리뷰 기준으로 [[2016년]] [[5월]]에 오픈 하였으며 그 뒤에 [[북촌]]에 2번째 플래그십 스토어를 오픈 하였다.]'''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 45길 18 || ||<|2><-2> '''실적''' || '''매출액''' || 7328억원^^(22년 1분기 기준)^^[* [[중국]]에서는 같은 분기 기준 1,148억원이다.] || || '''영업이익''' || 1120억원^^(22년 1분기 기준)^^[* 해당 영업이익은 국내 기준이며 [[중국]] 영업이익은 공개되지 않았다.] || ||<-2> '''링크''' ||<-2> [[https://www.sulwhasoo.com/kr/ko/index.html|[[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sulwhasoo.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sulwhasoo.officia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user/sulwhasookore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1 '''雪花秀, Sulwhasoo'''}}} [[아모레 퍼시픽]]의 한방(韓方) 컨셉의 고급 [[화장품]] 브랜드이다. 예전에는 주로 40대 이상 나이대의 여성이 주 타겟층이었으나, 2022년 리브랜딩 이후에는 20-30대 여성을 타겟층으로 운영하고 있다. == 상세 == 방문판매, 일명 방판 시장에서의 40대 주부들 사이에서 입지는 굉장히 탄탄하며, 이를 꾸준히 유지중이기도 하다. 일단 주고객층 자체가 40대 이상의 중,장년층 여성이기 때문에 인맥의 힘이 큰 방판에 적합하기 때문. 방판은 그 특성상 가격은 백화점과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살짝 비싸지만 그 대신 엄청난 양의 샘플만 덤으로 얹어주는데, 설화수는 이 얹어주는 샘플의 양이 어마어마해서 한번 방판을 이용했던 사람들은 꾸준하게 재이용하기도 한다. 한 때 중국인들이 매우 좋아하는 [[화장품]] 브랜드였다. 한국으로 여행가는 중국인에게 이웃집에서 사다달라고 부탁할 정도였다고 한다. [[중국]]에서는 한국제 고급 [[화장품]]의 대명사로 쓰였으며, [[면세점]]에서는 비싼 화장품을 다 싹쓸이하는걸로 유명했다. 그러나 [[LG생활건강]]의 '[[더 히스토리 오브 후]]'에게 2017년 이후 중국 판매량을 역전당해 [[콩라인]]으로 밀려났으며, 2020년부터 중국내 자국 화장품 브랜드가 급성장함에 따라 경쟁력을 점점 잃어가고 있는 상황이라 중국내 설화수의 판매량은 빠른 속도로 추락 중이다. [[북한]]의 고위층 부녀자들 사이에서도 인기라고 한다.[* 게다가 여기선 아예 혼수 필수품목 중 하나다. 한국제 [[한복]], [[쿠쿠]] 압력밥솥과 더불어 3대 혼수 필수품이다.] 일명 '[[대한민국|아랫동네]] 살결물'. [[리설주]]도 쓴다는 루머가 있다. 2017년 [[프랑스 파리]]의 [[백화점]]에 입점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56&aid=0010510041|#]] == 2022년 리브랜딩(Rebranding)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lxVcGzqpNU)]}}} || || '''FROM 1932 TO YOU[* [[서성환]] [[아모레퍼시픽]] 창업주의 어머니 윤독정 여사가 1932년 동백기름을 판매한 것으로 시작이 되기 때문에 1932 이라는 숫자가 붙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bPSi1_Wgcs)]}}} || || '''눈 속에서 피어난 꽃, 설화''' || 기존에는 40대 이상의 중년 여성을 위주로 중후한 마케팅을 하였기에 '엄마, 아줌마, 할머니들이나 쓰는 화장품'이라는 촌스러운 이미지가 고착화되어 있었다. 이런 이미지 때문에 젊은 층에게 외면받고, 중국 등 해외 판매량도 [[The history of 后|타사 제품]]에 밀려나 부진해지면서 2022년부터 '''20 - 30대'''를 주 연령대로 삼기 위해 리브랜딩을 하게 되었고 [[BLACKPINK]]의 [[로제(BLACKPINK)|로제]]를 앰버서더로 발탁하였다. 중국 시장에서의 부진으로 아모레퍼시픽 전체가 실적 부진에 빠져 있고 이를 타개하기 위해 중국 시장에서 벗어나 북미와 유럽 등으로 시장을 넓히려고 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한 시도로 풀이된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3410160?sid=101|#]] 2023년 5월, 인스타그램 팔로워 수나 유입량 등은 증가했는데 기대했던 외국 실적 개선은 없었다고 한다. 아모레퍼시픽 측은 브랜드 가치 제고를 위해 꾸준히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https://www.mk.co.kr/news/business/10745065|#]] == 여담 == * 설화수에서 출시하는 기초라인 제품을 [[이명박]] 전 대통령이 애용한 것으로 유명하다. [[G20]]에서는 [[퍼스트 레이디]] 선물용으로 [[청와대]] 마크를 찍어서 챙겨줄 정도로 좋아하는 듯하다. * 중국 [[맥주]]인 [[설화(맥주)|설화]]가 한국에 진출하지 못한 원인(?)이기도 한다. 아모레 퍼시픽 측에서 설화수의 상표권을 등록하면서 이와 유사한 이름들도 동시에 등록해서 유사 상품의 등장을 막았는데, 이 때문에 설화 맥주도 덩달아 막히게 된 것. 이후 2022년 상표권 문제가 해결되긴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