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일반 마법 카드. [[파일:雪花の光.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설화의 빛, 일어판명칭=雪花(せっか)(ひかり), 영어판명칭=Sekka's Light,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묘지에 마법 / 함정 카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덱에서 2장 드로우한다. 이 카드의 발동 후\, 이 듀얼 중에 자신은 "설화의 빛" 이외의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패의 몬스터 1장을 상대에게 보여주고\, 덱으로 되돌려 셔플한다. 그 후\, 자신은 덱에서 1장 드로우한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TCG=제한 카드, 마스터듀얼=준제한 카드)] 뜬금없이 등장한 '''풀 몬스터판 [[욕망의 항아리]].''' 심지어 회수 + 1장 드로우라 덱 압축을 포기하면 '''3장 드로우'''도 가능하다. 엄청난 효과와 함께 풀 몬스터 덱만 쓸 수 있고, 사실상 마법 / 함정을 이 카드만 써야 한다는 강력한 디메리트가 있다. 디메리트 때문에 사용 가능한 덱은 한정되며, 풀 몬스터 컨셉 덱이 쓸 수 있을 것이다. 이 때문에 초기엔 [[초중무사]]가 가진 패 순환 카드가 없는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결해 줄거라 생각됐지만, 음향전사, 장착돼야 쓸 수 있는 초중무사소울과 초중휘장 몬스터들의 효과, 특히 '''초중무사소울 츄우사이'''의 효과를 포기해야 한다는 점 때문에 굉장히 호불호가 갈렸다.[* 정확히는 초중무사소울의 효과들은 장착하는 효과는 몬스터일 때의 효과이므로 설화의 빛을 쓰고 난 이후에도 사용할 순 있다. 하지만 장착된 상태에서 발동하는 효과는 장착(마법) 카드의 효과라, 설화의 빛을 쓰고 나면 못 쓴다. 후술하다시피 지속 효과는 유지되기에 석궁의 관통 데미지나 더블 혼의 더블 어택 효과는 그대로 받기는 한다만...] 이후 초강력 전개 카드인 와카U4가 등장한 이후로는 아예 사용하지 않는다. 다만 이 디메리트도 잘 보면 헛점이 몇 개 있다. 우선 다른 마함을 발동할 수 없는 건 '''발동 후'''에 적용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묘지의 마법 / 함정을 치울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면 마법 / 함정을 얼마든지 발동하고 나서 그것들을 전부 묘지에서 치우고 이 카드를 쓸 수도 있다. 이는 상술한 초중무사소울도 마찬가지이며, 이쪽은 오히려 기본적으로 몬스터 카드라 굳이 묘지를 정리할 필요가 없다. 또한 발동이 따로 필요 없는 지속 효과는 영향을 안 준다. 즉, [[스킬 드레인]]이나 [[매크로 코스모스]] 등의 지속 효과를 가진 마법 / 함정 카드들을 발동하고 이 카드를 쓴다고 그 효과를 더 이상 못 쓰는 건 아니라는 말. 때문에 이러한 카드들을 먼저 발동해 상대에게 억제를 가하고 설화의 빛으로 어드밴티지를 버는 방법도 있다. 이 경우 상대가 해당 카드를 파괴하면 묘지에 마법 / 함정이 있기에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없으며, 지속 효과만 유지될 뿐 지속 마법 / 함정의 발동 효과는 못 쓴다. 이는 [[배너티 스페이스]] 한정으로 양날의 검이 될 수 있는 점인데, 특수 소환 봉쇄 효과는 지속 효과지만, 자괴 효과는 발동 효과라 배너티 스페이스를 발동하고 이 카드를 발동하면 배너티 스페이스는 자괴되지 않는다. 조금 특이한 경우로 [[천후]]의 몬스터 효과인 천후 지속 마법 / 함정 카드를 놓는 건 발동이 아니라 '''놓는''' 것이라 이 카드 발동 이후에도 몬스터들의 효과로 필드에 놓는 건 아무 문제 없다. 거기에 천후 마법 / 함정들의 효과도 자체적인 발동 효과가 있는 게 아니라 세로열의 몬스터들에게 효과를 부여하는 구조라 발동 조건을 제외하면 설화의 빛의 디메리트 대부분을 회피한다. 2021년에는 초동안정성과 채굴안정성을 극한으로 끌어올린 [[아다마시아]] 덱이나 [[미계역]], [[시간꽃의 현자-플뢰르 드 사쥬]], [[페어리테일-카구야]]를 넣은 구성의 풀 몬스터 덱이 간간히 우승하기도 했다. TCG에선 2020년 1월 20일에 제한 카드가 됐다. 일러스트는 [[전광-설화-]]가 눈꽃 모양의 마법진을 베어 버리는 모습이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 2022년 5월 9일자로 준제한 카드가 되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 || FLOD-KR062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FLAMES OF DESTRUCTION]] || FLOD-JP062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Flames of Destruction]] || FLOD-EN062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OTS Tournament Pack 9 || OP09-EN011 || [[슈퍼 레어]] || 미국 ||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전광-설화-, version=59)] [[분류:유희왕/OCG/일반 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