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섬서구메뚜기}}}(장단메뚜기)[br]Atractomorpha lata}}}'''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ractomorpha lata.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Atractomorpha lata'' '''[br]Mochulsky, 1866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절지동물문]](Arthropod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곤충강(Insect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메뚜기목(Orthoptera)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섬서구메뚜기과(Pyrgomorph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섬서구메뚜기속(''Atractomorpha'')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섬서구메뚜기(''A. lata'')''' || [[파일:섬서구메뚜기.jpg|width=350]] [목차][clearfix] == 개요 == 메뚜기목 섬서구메뚜기과의 곤충으로 [[방아깨비]]와 유사하게 생겼다. 수컷은 약 20mm, 암컷은 수컷의 2배정도 크기인 약 40mm로 초식성이며 녹색과 갈색형이 존재한다. 한국, 일본, 중국, 타이완 등지에 분포한다. == 상세 == 머리는 원추형으로 가늘고 길게 돌출되어 있고, 더듬이는 칼모양이며 앞가슴은 길고 넓적하다. 앞가두리는 직선이고 뒷가두리는 둔하게 모가 나 있으며, 앞날개는 끝이 뾰족하고 길고 가늘다. 날 수는 있지만 거의 날지 않는다. 수컷은 이따금씩 날아다니는 것을 볼 수 있으나, 암컷은 날아다니는 것이 매우 드물다. 논밭이나 풀밭, 또는 정원에서 볼 수 있으며, 다른 메뚜기가 주로 벼과나 사초과 식물을 먹이로 삼는데 비해 국화과, 꿀풀과, 비름과, 마디풀과, 가지과(감자, 토마토 등), 메꽃과(고구마, 나팔꽃 등), 심지어 '''[[선인장]]과 [[수련(식물)|수련]], [[환삼덩굴]]''' 등의 다양한 식물을 먹어 작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분류된다. 이 식성 때문에 다른 메뚜기가 살지 않는 도시에서도 적응을 잘 하는 편이다. 몸집이 작은 수컷이 암컷에게 올라타 오랜 시간 짝짓기를 하는데, 마치 새끼를 등에 업고 다니는 것처럼 보인다.[* 그래서 일본명은 '[[어부바]]메뚜기'라는 뜻의 オンブバッタ이며, 일본의 서적을 번역했던 과거의 책에서는 '어부바메뚜기'라고 번역되어 있었다.] 연 1회 발생하고 알로 겨울을 지내며, 성충은 6∼11월에 나타난다. == 기타 == ||[[파일:섬서구메뚜기1.jpg|width=195]]||[[파일:방아깨비2.jpg|width=400]]|| ||<:>섬서구메뚜기||<:>방아깨비|| [[방아깨비]]와 자주 혼동이 되기는 하지만, 일단 섬서구메뚜기보다 방아깨비가 훨씬 더 크며, 또한 섬서구메뚜기는 뒷다리가 방아깨비에 비해 짧으며 등이 평평하다. 쉽게 말해서 몸이 마름모꼴이면 섬서구메뚜기고 길쭉하면 방아깨비다. 그리고 일단 과 자체가 매우 차이난다. 남부 도서지방에는 ''Atractomorpha sinensis''인 분홍날개섬서구메뚜기도 발견된다. 다른 [[메뚜기]]들처럼 식용이 가능하다. 구워 먹으면 새우맛과 비슷하다고 한다.[* 실제로 굽거나 볶아서 먹어본 사람들에 의하면 맛이 진짜로 새우볶음과 비슷하다고 한다.] [[분류:섬서구메뚜기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