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전사족]] [[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성기사(유희왕), top2=잔느(유희왕))] [목차] == 설명 == === 원작 === || 한글판 명칭 ||<-4>'''성기사 잔느'''|| || 일어판 명칭 ||<-4>'''[ruby(聖騎士, ruby=せいきし)]ジャンヌ'''|| || 영어판 명칭 ||<-4>'''Sacred Knight Joan'''||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속성|빛]] || [[전사족]] || 1900 || 1300 || ||<-5>이 카드가 공격할 경우, 데미지 스텝 동안 공격력이 300 내려간다. 이 카드가 효과로 파괴되었을 때, 자신의 묘지에서 마법 카드 1장을 선택하고 패에 넣을 수 있다.|| [[유희왕 5D's]] 72화에서 [[셰리 루브란]]이 [[후도 유세이]]와의 듀얼 중 사용. 여기서는 파괴되었을 때 [[성스러운 마술사|묘지의 마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는 효과였다. 유세이의 몬스터를 [[자유 해방]]으로 날려보내고 필드가 텅 빈 상황에서 뽑은 뒤 소환하여 직접 공격을 시도했으나, 유세이가 발동한 [[싱크로 스피릿]]으로 [[정크 워리어]]를 제외하고 [[스피드 워리어]]와 [[정크 싱크론]]이 특수 소환되자 정크 싱크론을 공격하고 턴을 넘겼다. 이후 [[스타라이트 로드]]의 효과로 특수 소환된 [[스타더스트 드래곤]]과 전투를 하게 되지만, 듀얼이 돌발 사고로 인해 중단되면서 파괴되지 않고 끝났다. 공격명은 '세이크리드 디시전(セイクリッド・ディシジョン)'. 모티브는 [[잔 다르크]]로 추정되며, 이전에 등장한 [[성녀 잔느]]나 [[가디언 엔젤 잔느]]와의 연관성은 불명. === [[유희왕/OCG|OCG]] === ||<:>[[파일:聖騎士ジャンヌ.jpg|width=100%]]||<:>[[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1286_1.jpg|width=100%]]|| ||<:>내수판||<:>수출판|| || 한글판 명칭 ||<-4>'''성기사 잔느'''|| || 일어판 명칭 ||<-4>'''[ruby(聖騎士, ruby=せいきし)]ジャンヌ'''|| || 영어판 명칭 ||<-4>'''Noble Knight Joan'''||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속성|빛]] || [[전사족]] || 1900 || 1300 || ||<-5>①: 이 카드가 공격하는 데미지 스텝 동안, 이 카드의 공격력은 300 내린다.[br]②: 이 카드가 상대에 의해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패를 1장 묘지로 보내고, 자신 묘지의 레벨 4 이하의 전사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전사족 몬스터를 패에 넣는다.|| 자신의 공격시에 공격력이 내려가는 [[지속효과]]와, 상대에 의해 파괴되었을 때에 전사족 하급 몬스터를 샐비지하는 [[유발효과]]를 가진 하급 효과 몬스터. 스탯도 상당히 준수하고 [[전사의 생환]]과 같은 [[샐비지(유희왕)|샐비지]] 효과도 있지만, 상대에 의해 파괴되었을 때라는 한정적인 발동조건에 패를 1장 버려야 하기 때문에 미묘하다. 회수하는 범위도 레벨 4 이하로 한정되어있어 어차피 패 한장 써서 샐비지할거면 그냥 저 전사의 생환이 낫다. 일단 자기 자신도 샐비지할 수 있지만, 이 카드가 상대에게 파괴되는 상황이라면 패로 돌아온 이 카드가 다음 턴에 도움이 안 되는 경우일 것이다. 효과를 안 쓰고 1900 빛 속성 어태커로 기용하려고 해도 능동적으로 공격할 경우 전투력이 떨어지는 데다가 [[엘리멘틀 히어로 어나더 네오스]]나 [[성기사(유희왕)|성기사 가웨인]]처럼 디메리트가 없는 몬스터들이 더 우수한지라 우선도는 떨어진다. 두 가지를 카드 하나로 해결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겠지만 그 둘 다 이도저도 아닌 어중간한 수준이어서 아쉬운 카드. 최소한 패 버리는 코스트만 없었어도 꽤 쓸만했을 것이다. 아마도 손해 없이 자기 자신을 계속 샐비지하는 걸 막기 위해서인 듯 하지만 "성기사 잔느" 이외의~라는 구절을 붙이면 되었을 것을... [[스킬 드레인]] 발동중에는 디메리트는 없어지고 샐비지 효과만 남는지라 성능이 개선되며 [[고블린의 돌격 부대]]나 [[반란 용병 부대]] 등 역시 스킬 드레인과 상성이 좋은 전사족들도 있긴 하지만, 전사족 스킬 드레인 덱은 아직 좀 마이너한 감이 없지 않다. 효과 자체는 분명 어느 전사족 덱에서도 활약할 수 있는 범용이지만 그 성능이 애매한 관계로, 이 카드가 [[성기사(유희왕)|성기사]]의 일원이라는 점을 살려 그쪽 덱에서 사용하는 것이 그나마 좋을 듯 하다. 속성이 카드군 내에서 메이저한 빛 속성이라 많은 서포트를 공유하며, 마성기사 란슬롯이나 "성검" 카드 등 묘지에 있어도 다른 효과로 꺼내 사용할 수 있는 카드들을 코스트 삼아 전사의 생환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도 점점 더 강력한 성기사들이 하나둘씩 나타나면서 우선해서 넣기는 힘든 신세가 되어버렸다. 샐비지 효과도 능동적으로 발동할 수 있는 성기사 가라해드가 더 편하다. 이 카드의 TCG 발매시에는 전례 없는 황당한 이름 변경 때문에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 카드는 "성기사" 카드군에 속하지만 이 카드가 나왔을 때 OCG에서 이런 카드군은 존재하지 않았고, TCG 쪽에서 성기사에 해당하는 "Noble Knight" 카드군이 나왔을 때 이 카드는 아직 TCG에서 발매되지 않은 상태였다. 원래 OCG에만 존재할 적에 게임이나 애니에서 나오던 정식 영어 명칭이 "Sacred Knight Joan"이었고, [[성기사(유희왕)|Noble Knight]]에 해당하는 카드는 아직 OCG에는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 누구도 이것이 Noble Knight와 관련된 카드일 거라고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상태였다. 그런데 TCG판 [[우주의 섬광]]에서 실물이 나오면서 갑자기 이름이 "Noble Knight Joan"으로 변경되어 엉뚱하게도 Noble Knight의 일원이 된 것이다. 이것을 보고 팬들은 Noble Knight의 OCG명이 "성기사" / "聖騎士(せいきし)"가 될 것을 점쳐볼 수 있게 되었고 실제로 그렇게 되었다. 빛 속성 일반 몬스터나 성검에 관한 효과가 없는 등 다른 [[성기사(유희왕)|성기사]]들과 효과의 양상이 다른데, 원래 전혀 상관없는 카드였으니 당연한 일이다. 이 카드는 엄연한 원작 출신 카드고 다른 성기사들은 OCG/TCG 오리지널이다. 심지어 모티브를 살펴봐도 다른 성기사들은 [[아서 왕]]을 비롯한 [[원탁의 기사]]고 이쪽은 실존 인물인 [[잔 다르크]]를 모티브로 하여 별 상관이 없다. 어찌되었든 결과적으로 이 카드의 활용도는 기존에 비해 상승했으며, ~~얼떨결에~~ 최초의 성기사 카드라는 명예로운(?) 타이틀을 얻게 되었다. 사진을 보면 해외판에서 일러스트 수정이 들어간 것을 알 수 있는데 뒤편의 십자가 모양 빛의 폭이 작아져서 다른 빛과 구별이 힘들고, 투구에 있던 여성의 성상 장식이 삼각뿔로 바뀌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프리미엄 팩]] 7 || PP07-KR017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유희왕 태그 포스]] 5[br]공략본 동봉 || TF05-JPB01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우주의 섬광|Cosmo Blazer]] || CBLZ-EN092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관련 카드 == === [[전사의 생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