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나무위키에 등재된 동양의 인성론 문서)] [목차] == 개요 == {{{+2 [[性]][[嗜]][[好]][[說]]}}} (유학 전통에서 말해지던) [[사람]]의 본성(性)이란 곧 기호[* 嗜好: (어느 것을) 즐기고 좋아함]로 해석해야 한다는 이론으로, [[조선]]의 [[실학]]자였던 정약용이 당시의 [[성리학]]적 성즉리(性卽理)를 비판하며 제시한 이론이다. 한마디로 요약하면, "선과 악은 존재하며, 사람이 기호에 따라 직접 선택한다." == 상세 == 정약용은 실학을 집대성하며 [[사람]]의 본성을 '''현실적인 경향성'''인 기호로 판단하였다. 그는 인간의 기호에는 '''"형구(形軀:몸의 형태)의 기호"'''와 '''"영지(靈知:영[* 靈: 영혼 등으로 번역할 수 있다. 본 문서의 한자 풀이는 이해를 돕기 위해 해석한 것으로, 한자고유의 뜻에서 따온 직역에 가까우므로 곧이 곧대로 받아들이지 말고 참고만 하는 것이 좋다.]이 아는것)의 기호"'''가 있다고 주장하였는데, 형구의 기호란 인간과 짐승이 모두 지닌 것으로 육체적/감각적인 것을 즐기고 좋아하는 기호이며, 영지의 기호란 사람만이 지닌 것으로 선(善)한 것을 좋아하고 악(惡)한 것을 미워하는 기호이다. 정약용은 이 기호를 선택함에 있어 사람이 스스로 선과 악을 결단할 수 있다고 보았는데, 이는 사람이 하늘(天)[* 단순히 자연, 기상 현상의 배경인 하늘의 개념이 아니다. 고전적으로 동아시아에서 천(天,하늘)은, 절대적인 존재, 숭배의 대상의 의미이다.]로 부터 '''자주지권(自主之權)'''을 부여받았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자주지권이라는 단어는 그의 저서 맹자요의(孟子要義)에서 정의한 표현으로, 사람이 선(善)을 행하고자 하면 선할 수 있고, 악(惡)을 행하고자 하면 악할 수 있는 자유로운 의지를 의미한다. 이러한 주장은 기독교에서 이단으로 여기는 [[펠라기우스]]의 주장과 동일한데, 정약용이 한때 [[천주교]] 신자였던 것을 생각할 때 정약용이 정말 천주교를 제대로 믿었는지에 대하여 의문이 남는다. 이 이론과 [[성무선악설]](性無善惡說)과의 차이는, 성무선악설은 선과 악 자체를 성(性:성품)에 있어 구분짓지 않으며 성에 있어 사람의 의지를 주체적으로 보지 않는 반면, 성기호설에서는 선악의 두 구분이 있으며 사람의 의지를 비교적[* 비교적이라는 단어를 쓴것은, 정약용 역시 신분에 따른 천성과 귀천을 인정한 시대적 한계를 보였기 때문이다. [[http://news.joins.com/article/22515256|참고]]. 다만, 신분에 따라 사람을 함부로 다루는 행위는 당연히 막아야 할 부정적인 것으로 보았다.] 주체적으로 본다는 것이다. == 현대의 평가 == 이 문단은 성기호설에 대한 평가와 분석에 해당하므로, 성기호설에 대한 획일된 정답이 아님을 미리 밝힌다. 정약용이 이 이론에서 한 사람의 의지와 노력을 성(性)의 요소로 보며 한 사람의 도덕적 자율성/주체성을 인정한 부분에서, 기존의 동양사상보다 인간관이 개인(個人)의 개념에 한발 다가섰다 할 수 있는데[* 개인이라는 한자어는 서양의 Individual이라는 개념을 번역하면서 들어온 개념으로, 그 이전에는 완벽히 일치하는 개념이 없었다.], 이러한 부분은 그가 인간의 욕구를 발전의 동기로 본 것과 더불어 조선의 경제구조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는 부분이다. 그러나 당시 사회질서에서는 적극적으로 수용되지 못하였다. 또한 성기호설이 사람의 주체성과 의지를 강조했다는 점에서 그가 이야기한 '''덕(德)의 후천설'''과도 연관이 있다. 다음은 덕의 후천설에 관한 서책의 내용이다. >인의예지(仁義禮智)라는 이름은 일을 행한 뒤에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사람을 사랑한 후에 인(仁)이라 하지, 사람을 사랑하기 전에 인이라 하지 않으며, >자신을 선하게 한 후에 의(義)라고 하지 선하게 하기 전에 의라 하지 않는다. >손님과 주인이 절하고 읍한 후에 예(禮)라 하고, >사물을 분명히 분간한 후에 지(智)라고 말할 수 있다. >어찌 인의예지 네 알맹이가 복숭아씨나 살구 씨처럼 사람의 마음 가운데 주렁주렁 매달려 있는 것이겠는가? >------- >정약용의 저서 《맹자요의》에서 발췌 정약용의 성기호설은 [[조너선 하이트]]의 사회적 직관론자(social intuitionist) 이론과도 통하는 면이 있다. == 관련 문서 == * [[유가(제자백가)]] * [[성선설]] * [[맹자]] * [[성리학]] * [[주자(철학자)]] * [[고자(전국시대)]] * [[사단]]([[四]][[端]]) * [[로고스]] * [[인본주의]] * [[민본주의]] * [[목민심서]] * [[자유의지]] * [[영지주의]] * [[프로파간다]] [[분류: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