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성남시의 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성남 111번 현대차량.webp|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성남 111번(맞춤형) 현대차량.webp|width=100%]]}}} || || 본선 || 맞춤형 노선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성남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성남시 마을버스 111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성남 111 지도 노선도.sv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정자역) ||<-2> 종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분당서울대병원) || ||<|2> 종점행 || 첫차 || 07:00 ||<|2> 기점행 || 첫차 || 07:15 || || 막차 || 19:25 || 막차 || 19:25 || ||<-2> 평일배차 || 10~20분 ||<-2> 휴일배차 || '''미운행''' || ||<-2> 운수사명 || [[진아교통(성남)|진아교통]] ||<-2> 인가대수 || 3대[* 본래 2대였으나 2020년 3월까지 3대로 증차될 예정이었고, 실제로 신차(6419호)가 반입되었다. [[http://www.ilyoseoul.co.kr/news/articleView.html?idxno=361698|#]]] || ||<-2> 노선 ||<-4> 정자역 - KT.주택전시관 - KT(정문) - 분당도서관 - 이마트 - 헬스케어혁신파크 - 우방.우성빌라 - 분당서울대병원 || ||<-6> [[파일:성남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성남시 마을버스 111번(맞춤형)}}} || ||<-2> 기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정자역) ||<-2> 종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KT) || ||<|2> 종점행 || 첫차 || 07:00(출근) 18:00(퇴근)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09:00(출근) 19:30(퇴근) || 막차 || - || ||<-2> 평일배차 || 5~10분 ||<-2> 휴일배차 || '''미운행''' || ||<-2> 운수사명 || [[진아교통(성남)|진아교통]] ||<-2> 인가대수 || -[* 공용 예비차량 1대와 본선 차량들을 상황에 따라 최대 3대까지 투입한다. 맞춤형에 3대를 투입하면 본선에는 1대만 운행하는 방식.] || ||<-2> 노선 ||<-4> 정자역 → KT.주택전시관 → KT(정문) → KT.주택전시관 → 아데나팰리스 → 정자역 || == 개요 == [[정자역]]에서 분당도서관[* [[계원예술중학교]]ㆍ[[계원예술고등학교]]와 이웃해 있다.], [[이마트 분당점]], 헬스케어혁신파크를 거쳐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을 잇는 마을버스 노선. [[http://map.naver.com/?busId=5122|111번 전체 정류장 목록]] [[http://naver.me/GT7FPf3z|(맞춤형)]] == 역사 == * 2011년 초에 신설되었다. 차량은 타 노선에서 운행하던 구형 에어로타운을 그린시티 디젤차량으로 대차해 투입했다.[* 현재는 3대 모두 예비차량으로 운행중이다.]당시 노선은 '정자역 - 정자2동주민센터 - 주공5단지 - 이마트 - 까치마을 - 서울대병원'이었으며, 수요가 거의 없어 파행운행을 거듭하면서 차급도 폐차 직전의 카운티로 내려갔다. * 신분당선이 개통되면서 2011년 10월 31일에 하행(서울대병원 방향)에 한해 정자2동, 주공5단지 대신 KT, 분당도서관 경유로 바뀌었다. * 2013년 말에 카운티 2대가 글로벌900 F/L 가스차로 바뀌었다. * 2018년 경 상행(정자역 방향) 구간에 한해 정자2동 행정복지센터와 느티마을을 경유했던 것을 없애고, 상·하행선 모두 KT를 경유하도록 하였다. 이로써 출근시간 뿐만 아니라 퇴근시간에도 220번과 함께 KT-정자역 간 셔틀버스 역할[* 이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맞춤형 버스를 만든 것이다.]을 충실히 수행하게 되었다. * 명색이 정자역↔서울대병원 간 최단거리 직통 노선이지만, 몇 년 동안 이 노선을 운행한 기사의 증언에 따르면 주말이나 평일 NH시간대에는 빈 자리가 넘쳐난다고 한다. 설령 평일 RH시간대에 정자역에서 입석승객까지 꽉 채워 출발해도 KT에서 거의 다 내리고, 서울대병원까지 가는 수요는 없어 적자를 면치 못했다고 한다. 그나마 시에서 지원금으로 적자를 메꿔주어서 겨우 운행했다고. 결국 2018년 11월 26일부터는 주말(토~일)에 운행하지 않아서 평일에만 볼 수 있는 노선이 되었다. * 2023년 4월 5일부터 15일까지 [[분당 정자교 붕괴 사고|불정교 통제]]로 인해 금곡교로 우회 운행하면서 아데나팰리스 정류소(07308) 를 무정차 통과 후 정자역에 정차하였다. [[https://www.seongnam.go.kr/city/1000052/30001/bbsView.do?idx=337473|성남시 공지사항]] == 특징 == * [[성남 버스 19|19번]][* [[미금역]]과 '''[[오리역]]'''을 경유한다.]과는 기종점이, [[성남 버스 2|2번]][* [[미금역]]을 경유하는 순간 이미 소요시간에서 111번의 압승인데, 여기다 [[정자역]] - [[미금역]] 사이는 [[성남대로]]를 경유하지 않고 뒷길을 통과하기 때문에 시간 소모가 더 커진다.]과는 [[정자역]]과 분당서울대병원을 연결한다는 점은 똑같지만 [[정자역]]과 분당서울대병원을 오갈 경우, 111번을 이용하면 최단 시간으로 오갈 수 있다. 다만 첫・막차는 19번이나 2번에 밀리는데, 111번은 막차가 무려 '''19시 30분'''에 끊긴다. (19번 정자역 23:25/서울대병원 23:10, 2번 정자역 23:15/서울대병원 23:30) * 평소에는 배차간격이 15분이나 12~13시에는 식사시간 관계로 30분으로 늘어나니 주의. * 정자역 4번 출구 근처 대로변에 정차되어 있는 버스는 정류장으로 들어오기 전 대기 중인 차량이다. 정류장에서 오기까지 기다렸다 타는 게 맞다. * 과거엔 파행운행까지 할 정도로 수요가 좋지 못했으나, 현재는 자리를 다 채워가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승객들은 KT에서 거의 모두 내리고 서울대병원까지는 텅텅 비어간다. * 111(맞춤형) 노선은 성남시 차적 시내·마을버스를 통틀어 '''최단 거리'''[* 왕복 '''2.5km''']로 운행하는 노선이다. 또한 고정차량이 아닌 예비차량이 투입되며 옆 행선판에 정자역, KT 푯말만 붙이고 운행한다. === 일평균 승차량 === * 원 출처는 [[http://gits.gg.go.kr/gtdb/web/trafficDb/bus/TransitBusLinePass.do|경기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경기도 자료는 연간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 '''매년 3월'''을 기준으로 작성했다. * '''현금승차량은 집계되지 않았으며, 데이터 누락이나 오류로 인해 실제 승차량보다는 낮게 집계되니 단순 참고용으로만 확인하기 바람.''' * 111번 정규노선과 맞춤형 노선의 승차량을 합산했다. ||<-3><#f99d1c> {{{#ffffff '''평일'''}}}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20년 ||<)> 445 ||<)> || || 2021년 ||<)> '''940''' ||<)> {{{#red △ 495}}}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연계 철도역 == * [[파일:SBLine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정자역]] * [[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20]] [[신분당선]] : 정자역 [[분류:성남시의 마을버스]][[분류:2011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