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성남시의 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720-1A_6380.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720-1A_6502.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성남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성남시 일반시내버스 720-1A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성남 720-1A 노선도.png|width=100%]] }}} || ||<-2> 기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오리역) ||<-2> 종점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양지동(남한산성입구) || ||<|2> 종점행 || 첫차 || 05:00 ||<|2> 기점행 || 첫차 || 04:40 || || 막차 || 23:00 || 막차 || 23:00 || ||<-2> 평일배차 || 출퇴근 10분/평시 15분 ||<-2> 휴일배차 || 15~20분 || ||<-2> 운수사명 || [[대원버스]] ||<-2> 인가대수 || 15대[* 주말 6~8대 운행.] || ||<-2> 노선 ||<-4> [[오리역]] - [[미금역]] - KT.주택전시관 - 정자2동행정복지센터 - 파크타운 - 분당구청.중앙공원후문 - [[서현역]].AK플라자 - [[이매역]] - 돌마초교.[[야탑역]] - 분당아람고 - 도촌북로입구 - 대원터널사거리 - 상대원시장 - 현성아름빌아파트 - 학년쇼핑 - [[성남중원경찰서]] - [[신구대학교]].향군회관 - 금광1.2동행정복지센터 - 단대쇼핑 - 남한산성입구역.법원검찰청 - [[을지대학교]] - 남한산성입구 || == 개요 == [[대원버스]]에서 운행 중인 일반시내버스 노선으로 오리역에서 남한산성입구를 잇는다. [[https://map.naver.com/v5/entry/bus-route/2300|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경기광주 버스 720-1|720-1번]]이 영통차고지 출발로 변경되며 생긴 노선으로, 20시 이후(첫차 20:45, 막차 22:50) 영통차고지 변경 전 '남한산성입구 → 삼성반도체' 구간을 [[경기고속]]에서 운행하던 노선이었다. 당시 노선은 아래와 같다. * 남한산성입구 → [[을지대학교]] → 남한산성입구역 → 구.단대동주민센터 → 단대쇼핑 → [[신구대학교]] → 중원경찰서 → 상대원시장 → 대원터널 → 매화마을3단지 → 야탑3동주민센터 → 돌마초교 → 이매역 → 서현역 → 중앙공원 → 정자2동주민센터 → KT.주택전시관 → 미금역 → 머내.기업은행 → 동천현대홈타운1차 → 삼익풍림동아아파트 → 수지삼성래미안1차 → 한성.한국아파트 → 수지구청역 → 진흥6단지 → 수지LG빌리지2차 → 상현지구대 → 경기대후문 → 우만주공4단지 → 수원월드컵경기장 → [[아주대학교]] → 아주대삼거리 → 황골마을 → 지역난방공사 → 극동.풍림아파트 → 망포역 → 반월리큰고개 → 삼성반도체정문 * 2019년 7월 8일에 [[경기광주 버스 720-1|720-1번]]이 남한산성입구에서 서현역으로 단축되면서, 단축 구간을 대체하기 위해 현재 노선으로 변경되었고, 운수업체도 [[경기고속]]에서 [[대원버스]]로 이관되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155696|관련 게시물]] * 2023년 4월 5일부터 15일까지 [[분당 정자교 붕괴 사고|불정교 통제]]로 인해 금곡교로 우회 운행하였다. [[https://www.seongnam.go.kr/city/1000052/30001/bbsView.do?idx=337473|성남시 공지사항]] == 특징 == * 720-1번의 남한산성 - 미금역 구간을 계승하여 오리역으로 연장한 형태의 노선이다. 성남 구간 [[굴곡 노선/버스/경기도|굴곡]]이 많으며 그 중에서도 금광동 투어[* 신구대학 - 금광동주민센터 - 단대쇼핑] 구간이 제일이다. 상대원시장에서 은행동·양지동을 가야 할 경우 오복슈퍼와 은행동 현대아파트를 경유하는 [[성남 버스 33-1|33-1번]]을 타는 것이 더 빠르다. 그러나 이 노선이 장거리 이동에 우위를 점하는 구간도 있는데, 일례로 서현역에서 상대원시장을 갈 때는 720-1A가 수정구까지 올라갔다가 내려오는 [[성남 버스 220|220번]][* 220번은 구성남 대표 헬게이트인 모란역을 지나간 뒤, 상습 정체 구간인 수정로의 태평역-구)성남시청 구간에 상대원고개의 병목 구간을 지나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보다 선형이 좋은 덕에 훨씬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 서현역 - 미금역 구간이 [[경기광주 버스 720-1|본선]]과 겹친다. 수지, 아주대 등을 가려면 이 구간에서 갈아타도 되고[* 당연하게도 720-1과 720-1A 노선 간 환승이 가능하다. 그래서 구성남, 야탑동 등지에서 720-1번 본선이 가는 구간을 가기위해 문의를 하면 720-1A번 승무원들은 이 겹치는 구간, 특히 서현역에서 환승을 하면 된다고 안내해줄 것이다.], 수지구청역이나 수지이마트, 경기대 수원캠퍼스 등을 간다면 미금역에서 [[경기광주 버스 700-2|700-2번]]을 이용해도 된다[* 7번 출구 앞 정류소로 이동해서 700-2로 환승. 720-1A는 8번 출구 앞에 정차한다.][* 단 [[경기광주 버스 700-2|700-2]]는 동천동 현대홈타운을 경유하지 않는다.]. 만약 영통이나 아주대, 수지 등지에서 720-1번을 타고 오다가 단축 전 구간을 가려 한다면, 720-1A번을 미금역, 청솔마을, 2001아울렛 정류소에서 환승해보자. 착석이 가능할테니. 반대의 경우라면 서현역에서 [[경기광주 버스 720-1|본선]]의 기점 착석 특권을 누려도 되겠다. * [[성남 버스 33-1|33-1번]]과는 대부분의 구간[* 남한산성입구 - 남한산성입구역, 신구대학 - 이매촌성지A, 파크타운 - KT본사]이 겹친다. 이 노선도 [[성남 버스 33-1|33-1번]]과 마찬가지로 야탑역을 갈때 버스터미널 앞 정류소가 아닌 '돌마초교, 야탑역, 야탑1동 행정복지센터' 정류소에 정차한다. 차이점이 있다면 앞서 언급한 금광동 투어 구간을 비롯하여 서현역과 주택전시관, 오리역을 경유[* 33-1은 서현역 대신 시범단지와 효자촌을, 주택전시관 대신 계원예고와 분당이마트를, 오리역 대신 구미동 하얀마을·청구아파트·불곡초교를 거친다.]한다는 것이다. 주 수요처가 거의 같지만 중간 경유지가 미묘하게 다르기도 하고, 수요에 비해 공급이 적은 상황이기 때문에 경쟁이라기 보다는 상호 보완 관계라고 볼 수 있다. * [[성남 버스 33-1|애증의 관계인 노선]]과 더불어 은행동, 양지동, 금광동, 상대원[* 금상초교 - 학년쇼핑 - 상대원시장 - 대원터널사거리 라인 한정]에서 분당아람고등학교 통학을 책임지고 있다. 등하교시간대는 분당아람고 통학생들 뿐 아니라 태원고나 한솔고 등 분당지역 고등학교로 통학하는 수요가 어느 정도 있다. * 720번대 노선 중 유일한 성남시 면허 노선이다. [[경기광주 버스 720-1|720-1번]], [[경기광주 버스 720-2|720-2번]], 그리고 없어진 [[경기광주 버스 720|720번]]과 [[광주시 버스 목록/폐선|723번]]은 광주시 면허 업체 [[경기고속]]이 운행했었고, [[화성 버스 720-3|720-3번]]과 [[화성 버스 721|721번]]은 화성시 업체인 [[화성여객]]이 운행한다. 720번을 성남시 연고 업체 [[경기교통]]이 운행하다 [[KD 운송그룹]]에 양도한 후, 20여년 만에 다시 720번대 노선에 성남시 면허가 등장하게 된 것. * 막차가 오리역 기준 21시로 제법 이른 편이었으나, 양방향 23시로 조정되었다. * 노선 분리 전에는 서현역에서 밤 11시를 넘어서도 남한산성입구행 버스를 탈 수 있었지만 분리를 한 초창기에는 분당에서 남한산성입구행 막차가 밤 9시대에 끊어졌었다. 지금은 양방향 23시로 조정되어 분리 전만큼 조밀한 간격은 아니어도 차편이 있다. 만약 서현역에서 이 노선의 막차를 놓치면 [[성남 버스 반디2|반디버스]]. [[성남 버스 220|220번]], [[성남 버스 250|250번]]이나 [[경기광주 버스 17|17번]] 등을 타고 이매촌성지A-성남아트센터 구간으로 넘어와서 [[성남 버스 33-1|33-1번]]으로 갈아타면 야탑3동-상대원시장-중원경찰서-신구대 구간 커버가 가능하다. 구)단대동주민센터-남한산성입구 구간은 [[성남 버스 51|51번]]으로 갈아타면 된다. 단대쇼핑-신구대학,향군회관 구간은 17번이 코스도 빠르고 막차도 더 늦게까지 있으니 걱정 말자. * 첫차의 경우도 720-1번 단축 전에는 단대쇼핑, 대원터널사거리, 야탑역에서 05시 중간출발 차량이 있었으나 분리 이후에는 중간출발이 사라졌다. 그나마 남한산성입구 기준 첫차가 유지된 것이 다행이라면 다행라고 할 수 있겠다. 현재의 남한산성입구 첫차는 야탑역을 05시 30분 경에 통과한다. * 720시리즈 노선들 중 노선거리가 짧은 편이다. 그래도 성남의 끝에서 끝으로 가는 노선이다 보니 왕복 40km대 후반의 거리가 나온다. [[성남 버스 33-1|라이벌]][* 33-1번이 49.1km가 나오니 운행거리는 왕복으로 46~47km정도 나올 듯. 51번이 45.7km 정도 나온다.]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 [[KD 운송그룹]]의 700번대 시내버스 노선 중 유일하게 성남시 내부에서만 운행하는 노선이다. 또한 [[화성 버스 721|721번]]과 더불어 수지지구에 들어오지 않는 노선이기도 하다. * 이 노선의 BIS에는 2019년 7월 8일 노선 변경중 잘못적용된 공항버스 전용 정류장인 청솔마을(07451)이 존재한다. 물론 [[하차벨]]을 눌러도 내려주지 않고, 손을 흔들어도 태워주지 않았지만, 언젠가부터 정류소에 720-1A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고 승하차가 가능하다. BIS를 다시 변경하면 귀찮으니 공항버스 전용 정류장이어도 정차하는 듯. * 이 노선 전 차량에는 Wi-Fi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같은 업체의 다른 노선은 Wi-Fi가 설치되어 있지만, 720-1A 노선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았으나 70번 출신 차량은 있었다. * 이 노선도 코로나19 초기에 대량감차를 피하지 못해 5~6대로 크게 줄었다가, 1~2개월 만에 다시 배차간격이 회복되어 정상적으로 운행중이다. == 시간표 == [[http://pf.kakao.com/_xoxarjK/91328433|2021년 12월 13일 기준]]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8_icon.svg|width=20]] [[서울 지하철 8호선]] : [[남한산성입구역]], [[단대오거리역]][* 단대쇼핑 하차 후 도보] * [[파일:GyeonggangLine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경강선]] : [[이매역]] * [[파일:SBLine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오리역]], [[미금역]], [[서현역]], 이매역, [[야탑역]] * [[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20]] [[신분당선]] : 미금역 [[분류:성남시의 시내버스]][[분류:2019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