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역)] {{{+1 城東驛 / Seongdong Station }}} ||<-6><:>{{{+2 '''성동역'''}}}[br]{{{#red '''(폐역)'''}}}|| ||<-6><:>[include(틀:지도,장소=37.578557 127.035555,너비=100%,높이=225px)]|| ||<-6><:><#c0c0c0>'''다국어 표기'''|| ||<:><-2>[[영어]] ||<:><-4>Seongdong|| ||<:><-2>[[한자]]||<:><-4>城東|| ||<:><-2>[[중국어]]||<:><-4>城东|| ||<:><-2>[[일본어]]||<:><-4>ソンドン|| ||<:><-6><#c0c0c0>'''주소''' || ||<:><-6>[[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제기동 892-71|| ||<:><-6>'''관리역 등급'''|| ||<:><-6>폐역[br](~~[[철도청]]~~)|| ||<:><-6><#c0c0c0>'''일반 철도''' || ||<:><-3>[[경춘선]] 개업일||<:><-3>1939년 7월 20일|| ||<:><-3>[[경춘선]] 폐업일||<:><-3>1971년 10월 5일|| ||<-6><#c0c0c0><:>'''열차거리표'''|| ||<:><-2><#ffffff>{{{#!html
기점}}}||<:><-2>'''[[경춘선|옛 경춘선]]'''[br]~~성 동~~[br]{{{#red '''(폐역)'''}}}||<:><-2><#ffffff>[[춘천역|{{{#!html
춘천 방면}}}]]~~[[고상전역|고상전]]~~[br] ㎞ →|| [[파일:external/www.ddmnews.com/doongdae102202.jpg]] [[파일:external/img.yonhapnews.co.kr/AKR20140725033800805_02_i.jpg]]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BC%BA%B5%BF%BF%AA.jpg]] [[경춘선]] 개통 초기에 존재했던 역으로, 지금의 [[제기동역]] 앞 한솔 동의보감 자리에 있었다.[* 그 앞에 성동역터 비석이 있다. [[http://blog.daum.net/sonsungil/17949112]]]1971년까지 경춘선 시종착역 역할을 했다. 당시 [[광운대역]] 남쪽(지금의 [[석계역]] 부근)에서 월곡 방면으로 갈라져나오는 선로가 있었는데[* 그 흔적이 석계역에서 석관초등학교까지 가는 건물들이 골목길 사이로 빼곡히 몰려있는 커브길이다.], 이 선로의 종점이 성동역이었다. 당시 경춘선 열차는 [[청량리역]]으로 가지 않고 이 역에서 발착했다. 경춘선이 이렇게 된 이유는 개통 당시 [[사철(철도)|사철]]이었기 때문에 선로를 따로 놓은 것이다. 역 구조가 [[두단식 승강장]]에, 선로가 끝나는 지점에 역사가 있는 [[유럽]]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터미널식 구조였다. 이런 구조를 가진 역은 이 당시 한국에서는 [[내금강역]]과 성동역 단 두 곳 뿐이었다.(당시 [[인천역]]도 두단식 승강장이었지만 역사가 선로 옆쪽에 있기 때문에 구조가 성동역과는 다르다) 성동역이 사라지고나서 몇십 년이 흐른 뒤 [[여수엑스포역]]이 재건축되면서 이 구조를 이어받았다. 해방 후 [[국철]]로 전환되면서 성동역의 존재가치는 사라졌다. 해방 직후 국철로 편입되면서 청량리역으로 시종착역을 통합할려고 했으나 연선지역의 반발로 [[1970년대]]가 되서야 서울 도심의 철도를 정비하면서 성동역-광운대역(당시 성북역) 구간이 폐지되고, [[1971년]]에 이 역도 같이 폐지된다. 이 때부터 경춘선 열차의 시종착역이 청량리역으로 바뀌게 된다. 폐역 이후 성동역사는 1974년부터 서울시지하철건설본부 사무실로 사용되다가 그 자리에 성동백화점(이후 미도파백화점에 인수)이 들어서면서 철거되었다. 이후 미도파백화점 청량리점으로 바뀌었다가 2002년에 미도파가 롯데에 인수될 때 롯데에 같이 인수되지 않고 '한솔동의보감'이라는 한방전문 쇼핑몰로 바뀐 뒤 현재에 이르고 있다. 그리고 현재는 이곳이 구 성동역 자리였음를 알리는 비석이 한솔동의보감 앞에 있다. 일제강점기시 계획되었던 지하철 노선의 시종점이었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39122300209202009&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39-12-23&officeId=00020&pageNo=2&printNo=6589&publishType=00020|#]] [[파일:/20141018_10/fv7878_1413621706046WhfQ0_PNG/001.png]] [[1기 지하철]]의 일부인 [[서울 지하철 2호선]]의 극초창기 계획에는 이 역이 종점으로 계획되었다. 서소문 ~ 시청 ~ 남대문 ~ 동대문 ~ 신설동 ~ 성동 간 6.5km 구간. [[1966년]] 11월 26일 [[경향신문]] 발췌.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폐지된 철도역]] [[분류:경춘선(폐지된 구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