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attachment/va_adlib(1).jpg]] 참고로 2기에서는 [[아사쿠라 노부나가]](오른쪽 녹색머리)도 저 짓을 한다. [[파일:attachment/va_adlib(2).jpg|width=480]] [[센죠가하라 히타기|성우드립의]] [[사이토 치와|다른 예.]][* 이 뒤엔 "[[제4의 벽|이 세계는 애니메이션이었나?!]]" 라는 대사가 이어졌다. 참고로 원작 소설에도 있었던 대사로 당시 모노가타리 시리즈 애니화가 아직 되지 않았던 때였는데 [[바케모노가타리|실제로 일어났다.]]] [목차] == 개요 == [[성우]] + [[애드립]]의 합성어. 쉽게 말해서 라노벨, 애니메이션 등의 '''[[제4의 벽|작품 내에서]] 공식적으로''' 등장 캐릭터의 입을 빌려 '''실명 성우'''를 거론하는 일. 꼭 실명을 거론하지 않더라도, 위 사진처럼 실제 성우의 존재를 시청자에게 알려주는 대사도 성우드립에 포함된다. 물론 진지한 애니나 극장판 애니에서는 성우드립을 치는 일이 없다. 주로 성우드립이 나오는 작품은 [[오덕후]]들을 노린 가볍고 밝은 [[미소녀]]계가 대부분. 특정 성우 이름과 이력을 알고 있는 시청자야 재밌겠지만, 성우 정보에 어두운 사람은 알지 못하는 하이개그 쯤으로 이해할 수 있다. 성우드립이 나오는 거 자체가 그만큼 요즘 일본 애니메이션이 매니악해졌다는 증거. 그나마 성우드립에서 끝나면 다행이다. 언급하는 성우에 대해 잘 몰라도 제4의 벽을 넘는 메타발언으로 이해하면 웃을 수는 있기 때문. [[성우개그]]를 치기 시작하면 해당 성우에 대해 무관심하거나 정보가 없는 사람은 불쾌감만 들게 만든다. 이런 탓에 성우드립은 성우와 무관한 커뮤니티에서는 [[그뭔씹]] 취급으로 끝나면 다행이고 차단을 당하는 경우가 잦아서 주의가 필요하다. 동일한 성우가 연기하는 '''캐릭터'''를 이용하는 개그인 [[성우개그]]와는 좀 다르다. == 예시 == * [[이야기 시리즈]]는 [[메타발언]]이 주요 소재인 만큼 꽤 자주 나온다. [[괴물 이야기]]에서 [[센조가하라 히타기]]가 [[사이토 치와|자신의 성우]]는 매우 우수한 사람이라고 언급하는 장면이 대표적이다. 그 외에는 [[고양이 이야기 (흑)]]에서 [[아라라기 코요미]]가 [[아라라기 츠키히]]의 목소리를 어설프게 흉내내자 츠키히가 "내 목소리는 좀 더 [[이구치 유카]] 같단 말이야!"라고 신경질을 부리는 장면과 [[빙의 이야기]]에서 코요미가 시곗바늘이 각각 카렌(긴 바늘)과 츠키히(짧은 바늘)로 만들어지고 [[키타무라 에리|키타무라 씨]]와 [[이구치 유카|이구치 씨]]의 목소리로 알람이 울리는 '자맹종'이라는 굿즈를 만드려는 계획을 세우는 장면 등이 나오기도 한다. 단, 괴물 이야기의 장면을 제외하곤 애니메이션판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 [[엽기발랄 오렌지]] 투니버스 방영판에서 배가 '이거 어차피 한국어 더빙이거든?'라고 했다. * [[도라에몽]] 중 미래도구 '애니메이커'로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에피소드가 있는데, 거기에서 [[노진구]]는 "목소리로는 요즘 한창 주가를 올리는 [[문남숙]](도라에몽의 성우)이 어때?"라고 말하고 거기에 [[도라에몽(도라에몽)|도라에몽]]은 "최고의 성우로 이름이 높은 [[김정아]](노진구의 성우)도 좋겠다"라고 말하는 장면이 나온다. 일본판에서는 자기 배역의 성우를 말하는 것이었는데 번역되면서 상대방 배역의 성우를 말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신도라에몽 3기 19화 1파트 애니메이션을 만들자 편, [[https://www.youtube.com/watch?v=MFeloMKFyco|링크]] * [[드리프터즈]] 애니 8화에서 [[헬싱]]의 [[발렌타인 형제]]가 출연, [[부치 캐시디 & 선댄스 키드(드리프터즈)|부치]]가 루크에게 개에게 먹힌 형이냐고 묻자 '맞다 나는 개한테 먹힌 코야스'라고 답한다. 루크 발렌타인의 성우가 [[코야스 타케히토]]고 루크는 개에게 먹혔다. * [[어떤 마술의 인덱스땅]]에서 [[칸자키 카오리]]가 '''술김에 난동부렸다''' [[이토 시즈카|같은 성우]]가 관련된 실제 사건 관련 소재를 언급한다.그리고 [[엑셀러레이터]]는 [[키하라군]]에게 [[오카모토 노부히코|자신]]이 신인상 탔다고 자랑질을했다가 키하라에게 [[후지와라 케이지|자신]]은 공로상을 노리고있다며 신나게 얻어맞았다 * [[오소마츠 상]] 3기 1화에서 [[마츠노 오소마츠|오소마츠]], [[마츠노 카라마츠|카라마츠]], [[마츠노 쵸로마츠|쵸로마츠]], [[마츠노 이치마츠|이치마츠]], [[마츠노 쥬시마츠|쥬시마츠]]의 성우를 맡은 분들로 [[사쿠라이 타카히로]], [[나카무라 유이치]], [[카미야 히로시]], [[후쿠야마 쥰]], [[오노 다이스케]]가 등장한다. 해당 화에서 오소마츠가 왜 자신 편을 들지 않냐며 화내자 카미야 히로시가 우리는 어차피 고정 작품 많으니 상관없다고 한다. 한국판도 담당 캐릭터의 성우가 맡았지만 성우명을 언급하지 않고 "난 XX마츠 담당 성우야"라고 언급만 한다. 외모와 성격도 한국판 성우와 다르고, 해당 애니를 만든 국가가 일본인데 갑자기 한국 이름이 나오면 어색할 거 같아 일부러 언급을 피한 것으로 보인다. * [[캠퍼(소설)|캠퍼]] 애니메이션에서는 "이 ○○ 목소리가~!"라는 대사로 성우 실명들이 대놓고 언급되며 그 중에서도 노무라 미치코[* [[도라에몽]]에서의 [[신이슬]] 초대 성우. 때문에 목소리가 신이슬같다는 대사도 나온다.]와 [[타무라 유카리]]는 실제 인물로 그려지기도 했다. * [[개구리 중사 케로로]]에는 [[우주 와타나베 쿠미코]]라는 외계인 성우가 등장하는데, [[와타나베 쿠미코]]는 [[케로로]]의 성우다. 한국어 더빙판에서도 케로로의 성우인 [[양정화]]의 이름을 따서 "우주 양정화"가 되었다. * [[클로저스]]의 등장인물 [[서유리(클로저스)|서유리]]의 담당 성우는 [[서유리]]였다. 의도한 이름은 아니고, 이름을 결정한 후에 성우를 섭외했다고. 후에는 교체되었다. == 관련 문서 == * [[성우개그]] [[분류:성우]][[분류:애니메이션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