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현목 감독 장편 연출 작품)] [include(틀:이순신 시리즈)] ||<-2> {{{+1 '''성웅 이순신'''}}} (1962)[br]聖雄 李舜臣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성웅 이순신(1962) 포스터.jpg|width=100%]]}}} || || '''감독''' || [[유현목]] || || '''원작''' || [[이은상(시인)|이은상]] || || '''각색''' || 나소운 || || '''기획''' || 정봉규 || || '''제작''' || 김영화 || || '''주연''' || 김승길 || || '''촬영''' || 김학성 || || '''조명''' || 최의정 || || '''편집''' || 김영희, 양성란 || || '''음악''' || 김동진 || || '''미술''' || 이봉선 || || '''제작사''' || 세연영화사 || || '''개봉일''' || [[1962년]] [[4월 14일]] || || '''개봉관''' || [[국도극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유현목]] 감독의 1962년 개봉 영화. == 상세 == [[충무공 이순신]]의 일대기와 [[임진왜란]]의 활약상을 담은, 유현목 감독의 두 번째 사극 연출작[* 첫 번째는 《임꺽정》(1961).]이다. 원작은 시조 시인으로 잘 알려진 [[이은상(시인)|이은상]]. 이은상은 [[와세다대학]] 사학과를 나온 사학자이기도 한데 [[난중일기]]를 초역하고 충무공 이순신장군기념사업회장을 역임하는 등 이순신 연구자로도 명성이 높다. [[파일:성웅 이순신(1962) 한 장면.jpg|width=350]] 타이틀 롤 이순신 역을 맡은 배우는 김승길이다. 세연영화사가 이순신 역을 뽑기 위해 공모한 신인배우 콘테스트에서 선발된 김승길은 당시 '''44세''', 7남매의 아버지로 현직 토건회사 사장이었다. 오래 전 연극무대 경험이 있기는 하나 15년 전인 1947년 《민족의 새벽》이라는 단 한 편의 영화에 출연한 이력이 전부인 신인 아닌 신인이다. 이 영화 이후 다른 작품 활동이 없는 걸 보면 본업으로 돌아간 듯하다. == 등장인물 == * 김승길 – [[이순신]] 역 * [[김승호(1918)|김승호]] – [[선조(조선)|선조]] 역 * [[조미령(1929)|조미령]] – 길순 역 * [[윤일봉]] – [[정사립]] 역 * 임해림 – [[배흥립]] 역 * [[주선태]] – [[원균]] 역 * [[이예춘]] – [[가등청정]] 역 * [[최남현]] – [[류성룡]] 역 * 이택균 – [[이회(조선)|이회]](이순신의 장남) 역 * 최현 – 이울(이순신의 차남) 역 * [[김신재]] – 방씨(이순신의 부인) 역 * [[김동원(1916)|김동원]] – [[황윤길]] 역 * [[박암]] – [[윤근수]] 역 * [[한은진]] – 송씨 역 * [[변기종]] – [[정탁]] 역 * [[강계식]] – [[이덕형]] 역 * 최봉 – [[이산해]] 역 * 박경주 – [[윤두수]] 역 * 이용 – [[김응남]] 역 * 장훈 – [[이항복]] 역 * 최삼 – [[김성일(조선)|김성일]] 역 * 한림 – [[허성]] 역 * 이예성 – [[이억기]] 역 * 이창식 – [[권율]] 역 * 최성호 – [[정운]] 역 * 이업동 – [[어영담]] 역 * 이기홍 – [[이운룡]] 역 * 하지만 – [[고니시 유키나가]] 역 * 양일민 – [[구로다 나가마사]] 역 * 김수천 – [[와키자카 야스하루]] 역 * 김봉명 – [[소 요시토시]] 역 * 한재수 – [[안위]] 역 * 나일 – [[이순신(무의공)]] 역 * 박성근 – [[도요토미 히데요시]] 역 * 구종석 – [[신호(조선)|신호]] 역 * 석운아 – [[홍윤관]] 역 * 문송봉 – [[임준영]] 역 * 권성득 – [[이몽구]] 역 * 박철 – [[김완]] 역 * 김형진 – [[우치적]] 역 * 엄창섭 – [[이영남]] 역 * [[조춘(배우)|조춘]] – [[노개방]] 역 * 추봉 – [[나대용]] 역 * 김호연 – [[등자룡]] 역 * [[고설봉]] – [[진린]] 역 * 김세라 – [[요시라]] 역 * [[이향(1914)|이향]] – [[송상현]] 역 == 줄거리 == 전라 좌수사 [[이순신]](김승길 분)은 왜적의 침입을 예상해 장비를 정비하고 [[거북선]]을 건조하는 등 임전 태세를 기해오던 중, 임진년 6월 왜란을 당하여 해전에서 큰 공을 세우지만 한때 모함을 받고 옥살이를 하기도 한다. 그러나 변할 줄 모르는 이순신의 구국일념은 출옥 후 [[백의종군]]의 길을 선택하고 다시 전라수사를 제수 받는다. 그리하여 노량진 앞바다에서 왜적들을 몰아내던 중 11월 18일 적탄을 가슴에 맞고 장렬하게 전사한다. [[분류:한국 영화]][[분류:1962년 영화]][[분류:죽기 전에 꼭 봐야 할 한국영화 1001]][[분류:한국의 전기 영화]][[분류:한국의 전쟁 영화]][[분류:임진왜란/창작물]][[분류:없어진 영화]][[분류:퍼블릭 도메인/영화]] 여담으로 무한도전에서 개그맨 정준하가 그의 아버지인 정자룡씨가 단역으로 출연한 적이 있다고 언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