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성주군 농어촌버스]][[분류:대구광역시 경유 관외노선]] [include(틀:성주군 농어촌버스)] || [[파일:DSC_7060.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성주군 CI_White.svg|width=20]] {{{#FFFFFF 성주군 농어촌버스 성주-고령-대구서부}}} || ||<-2><:>기점||<:>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성산리(성주버스정류장)||<-2><:>종점||<:>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서부정류장]])|| ||<|2><:>종점행||<:>첫차||<:>06:10||<|2><:>기점행||<:>첫차||<:>07:55|| ||<:>막차||<:>16:10||<:>막차||<:>18:10|| ||<-2> 운수사명 || [[경일교통]] ||<-2> 운행횟수 || 1일 6.5회(대구서부 방향 6회 / 성주 방향 7회) || ||<-2><:>노선||<-4><:>[[성주버스정류장]] - [[33번 국도|{{{#bbb 33번 국도}}}]] - 대흥리 - 대가(옥성리) - 옥련 - 금산 - 옥화 - 대천삼거리 - 가천삼거리 - 가천터미널(창천) - 가천삼거리 - 양정 - 수륜(신당마을) - 성리 - 윤동 - 오천2리 - 계정리 - 남은리 - 화암 - 월산 - 쾌빈3리 - [[고령터미널|고령시외버스정류장]] - [[26번 국도|{{{#bbb 26번 국도}}}]] - [[동고령IC|{{{#bbb 동고령IC}}}]] - [[광주대구고속도로|{{{#bbb 광주대구고속도로}}}]] - [[옥포JC|{{{#bbb 옥포JC}}}]] -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bbb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 [[남대구IC|{{{#bbb 남대구IC}}}]] - [[서부정류장]] || ||<-6> [[파일:성주군 CI_White.svg|width=20]] {{{#FFFFFF 성주군 농어촌버스 성주-고령-대구서부(금수 경유)}}} || ||<-2><:>기점||<:>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성산리(성주버스정류장)||<-2><:>종점||<:>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서부정류장]])|| ||<|2><:>종점행||<:>첫차||<:>07:10||<|2><:>기점행||<:>첫차||<:>|| ||<:>막차||<:>||<:>막차||<:>|| ||<-2> 운수사명 || [[경일교통]] ||<-2> 운행횟수 || 1일 0.5회(대구서부 방향만 1회) || ||<-2><:>노선||<-4><:>[[성주버스정류장]] → [[33번 국도|{{{#bbb 33번 국도}}}]] → 대흥리 → 대가(옥성리) → 옥련 → 금산 → 옥화 → 대천삼거리 → 도남 → 금수 → 어은 → 후평리 → 봉두리 → 신성 → 중산 → 가천터미널(창천) → 가천삼거리 → 양정 → 수륜(신당마을) → 성리 → 윤동 → 오천2리 → 계정리 → 남은리 → 화암 → 월산 → 쾌빈3리 → [[고령터미널|고령시외버스정류장]] → [[26번 국도|{{{#bbb 26번 국도}}}]] → [[동고령IC|{{{#bbb 동고령IC}}}]] → [[광주대구고속도로|{{{#bbb 광주대구고속도로}}}]] → [[옥포JC|{{{#bbb 옥포JC}}}]] →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bbb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 [[남대구IC|{{{#bbb 남대구IC}}}]] → [[서부정류장]] || ||<-6> [[파일:성주군 CI_White.svg|width=20]] {{{#FFFFFF 성주군 농어촌버스 성주-고령}}} || ||<-2><:>기점||<:>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성산리(성주버스정류장)||<-2><:>종점||<:>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헌문리([[고령터미널|고령시외버스정류장]])|| ||<|2><:>종점행||<:>첫차||<:>09:50||<|2><:>기점행||<:>첫차||<:>10:50|| ||<:>막차||<:>19:00||<:>막차||<:>20:00|| ||<-2> 운수사명 || [[경일교통]] ||<-2> 운행횟수 || 1일 3회 || ||<-2><:>노선||<-4><:>[[성주버스정류장]] - [[33번 국도|{{{#bbb 33번 국도}}}]] - 대흥리 - 대가(옥성리) - 옥련 - 금산 - 옥화 - 대천삼거리 - 가천삼거리 - 가천터미널(창천) - 가천삼거리 - 양정 - 수륜(신당마을) - 성리 - 윤동 - 오천2리 - 계정리 - 남은리 - 화암 - 월산 - 쾌빈3리 - [[고령터미널|고령시외버스정류장]]|| ||<-6> [[파일:성주군 CI_White.svg|width=20]] {{{#FFFFFF 성주군 농어촌버스 성주-수륜}}} || ||<-2><:>기점||<:>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성산리(성주버스정류장)||<-2><:>종점||<:>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신당리(수륜(신당마을))|| ||<|2><:>종점행||<:>첫차||<:>20:30||<|2><:>기점행||<:>첫차||<:>20:55|| ||<:>막차||<:>||<:>막차||<:>|| ||<-2> 운수사명 || [[경일교통]] ||<-2> 운행횟수 || 1일 1회 || ||<-2><:>노선||<-4><:>[[성주버스정류장]] - [[33번 국도|{{{#bbb 33번 국도}}}]] - 대흥리 - 대가(옥성리) - 옥련 - 금산 - 옥화 - 대천삼거리 - 가천삼거리 - 가천터미널(창천) - 가천삼거리 - 양정 - 수륜(신당마을) || == 개요 == 성주버스정류장에서 대가, 가천(창천), 수륜을 거쳐 고령시외버스정류장과 대구 서부정류장을 잇는 농어촌버스 노선이다.[* 20시 30분 운행편은 성주-대가-가천-수륜 구간만 운행한다.] 기사들은 이 노선을 '서부조'라고 부른다. == 역사 == == 특징 == * 서부정류장과 고령시외버스정류장에서 탑승 시 승차권을 구입해야 하며, 교통카드 사용이 불가능하다.[* 현재 성주터미널은 경산리 일대의 재생사업으로 인해 임시로 폐쇄되면서 현재는 임시버스정류장에서 승차하며, 임시버스정류장에서는 한시적으로 교통카드 사용이 가능하다.][* 서부정류장과 고령시외버스정류장에서 교통카드 사용이 불가능한건 터미널 수입 때문 이로 인해 [[대구권 광역환승할인]]에 논란이 될수도 있다.] * 운행패턴과 들어가는 차량이 차량인지라 시외버스로 혼동되기 쉬운데, 엄연히 정식 분류상 농어촌버스로 분류되어 있다. 그래서 다니는 차량 면허도 경북 시외버스 면허인 경북 72 아가 아닌 시내, 농어촌버스 면허인 경북 70 자를 달고 있다. * 성주발 대구서부행 중 1일 1회는 금수 쪽으로 둘러간다. 반대로 [[서부정류장]]에서 출발해 금수 쪽으로 둘러가서 [[성주버스정류장|성주]]로 가는 버스는 없다. * 고령군인데도 대가야여객이 오지 않는 고령군 운수면 화암리[* 2012년까지만 해도 고령-화암-수륜 노선, 고령-화암-작은동 노선이 1회 운행하였으나, 폐지되었다.]에서 고령 대가야읍으로 가는 유일한 버스노선이다. * 주로 33번 국도의 연선 지역인 성주-대가-가천-수륜-고령간 수요와 고령-대구서부간 수요가 대부분이다. * [[고령터미널|고령]]까지는 --[[시외버스 대구서부-합천|합천행]](8회), [[시외버스 대구서부-진주|삼가, 진주(완행)]](2회)--, [[시외버스 대구서부-초계|초계행]](4회), [[시외버스 대구서부-해인사|해인사행]](14회), --[[시외버스 대구서부-거창·함양|거창(완행)]](2회)--로 대체가 가능하다. * 성주-대가-가천-수륜 노선은 성주-고령, 대구서부 노선의 차량으로 운행하기 때문에 이 노선에 포함하며, 가천, 수륜 방면의 막차 역할을 하고 있다.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kimuh0218&logNo=222803749014&parentCategoryNo=&categoryNo=9&viewDate=&isShowPopularPosts=false&from=postView|성주-대가-가천-수륜]] 과거에는 성주-초전간 막차버스도 해당차량으로 운행했으나, 현재는 별도의 0번 차량으로 운행한다. * 성주-대구서부까지 운임은 성인 기준 8,100원이다. * 만약 고령에서 다사, 강창, 계명대로 간다면 오히려 이 노선을 타서 성주로 가서 갈아타지 말고 대구(직행)을 타고 [[서부정류장]]으로 와서 성서가는 시내버스를 아무거나 타거나 아님 [[고령 버스 606|606번]]을 타고 논공 위천에서 내려 [[대구 버스 655|655번]]을 타고 가도록하자 왜냐면 고령-성주, 성주-다사 국도 운임 적용으로 요금이 비싸기 때문이다. --2024년 추후 대구권 광역환승할인 시행되도 구간요금은 계속시행이라서 성주로 돌아가서 가는건 오히려 요금만 깨진다.-- === 시간표 === [[파일:SE-2ed1ac26-ed8d-41a0-86bb-367a40a7b699.jpg|width=100%]] == 연계 철도역 == *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서부정류장역]]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구-근교지역간 시내버스)] [include(틀:성주-타 시·군 간 버스)] [include(틀:고령-타 시·군 간 버스)] [include(틀:비수도권 고속도로 경유 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