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61년 영화]] [[분류:한국의 드라마 영화]] [[분류:죽기 전에 꼭 봐야 할 한국영화 1001]] [[분류:퍼블릭 도메인/영화]] [[분류:신상옥]] [include(틀:다른 뜻1, other1=1987년 한국 영화, rd1=성춘향(1987))] [include(틀:춘향전 시리즈)] ||||||||||||<#BF2F7B> '''{{{#FFFFFF [[1961년|{{{#FFFFFF 1961년}}}]] 국산 1위 흥행 영화 }}}''' || || [[1960년]][br][[하녀(1960)|하녀]] ||→|| [[1961년]][br][[성춘향]] ||→|| [[1962년]][br][[연산군(1962)|연산군]] || ||||<#BF2F7B>
<:> {{{#FFFFFF {{{+2 '''성춘향''' }}} (1961)[br]成春香}}}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bea351be091af0f6b889a88ebb289783cb333ddf.jpg|width=100%]]}}} || ||<#BF2F7B><:> {{{#FFFFFF '''출연''' }}} || [[최은희(배우)|최은희]], [[김진규(배우)|김진규]], [[도금봉]], [[허장강]], [[이예춘]] || ||<#BF2F7B><:> {{{#FFFFFF '''각본''' }}} || 임희재 || ||<#BF2F7B><:> {{{#FFFFFF '''감독''' }}} || [[신상옥]] || ||<#BF2F7B><:> {{{#FFFFFF '''제작''' }}} || [[신상옥]] || ||<#BF2F7B><:> {{{#FFFFFF '''제작사''' }}} || 신필림 || ||<#BF2F7B><:> {{{#FFFFFF '''기획''' }}} || 황남 || ||<#BF2F7B><:> {{{#FFFFFF '''촬영''' }}} || 이형표 정해준 || ||<#BF2F7B><:> {{{#FFFFFF '''조명''' }}} || 이계창 || ||<#BF2F7B><:> {{{#FFFFFF '''편집''' }}} || 김영희 || ||<#BF2F7B><:> {{{#FFFFFF '''음악''' }}} || 정윤주 || ||<#BF2F7B><:> {{{#FFFFFF '''개봉일자''' }}} || [[1961년]] [[1월 28일]] || ||<#BF2F7B><:> {{{#FFFFFF '''관람인원''' }}} || 380,000명 || ||<#BF2F7B><:> {{{#FFFFFF '''상영극장''' }}} || 명보극장 || ||<#BF2F7B><:> {{{#FFFFFF '''상영등급''' }}} || 미성년자관람가 || ||<#BF2F7B><:> {{{#FFFFFF '''상영시간''' }}} || 107분 || [목차] [clearfix] == 개요 == 신상옥 감독의 [[최은희(배우)|최은희]] 주연의 영화. 당시 36만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큰 성공을 했다. 이 기록은 현대로 치면 1000만을 훌쩍 넘는 기록이라고 한다. == 여러이야기 == 당시 [[김지미]] 주연, 홍성기[* [[신상옥]]-[[최은희(배우)|최은희]]처럼 두 사람도 당시에 부부였다.]연출의 [[춘향전(1961)|춘향전]]과 경쟁했는데 호사가들은 당연히 20대 초반의 절정의 미모를 자랑했던 [[김지미]]의 춘향전이 이길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이 대결은 모두의 예상을 뛰어넘고 [[최은희(배우)|최은희]]의 압승으로 끝났다. 사실 최은희가 미인이기는 했지만 성춘향 촬영 당시 당시 이미 [[한국나이]]로 35살이었기 때문에 한창 20대 초반이었던 김지미가 완승할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이처럼 신상옥의 성춘향은 김지미의 춘향전보다 여러 모로 불리한 조건에 놓여 있었다. 하지만 신상옥 감독은 한국영화사 최초로 컬러 시네마스코프를 도입한 기록을 남길 정도로 영상미에 정성을 다했다. 이를 강조하기 위해 고가의 코닥필름을 쓰면서 현상까지 일본에서 따로 진행했고, 색이 잘 안붙는다는 이유로 오후 3시 이후에는 촬영을 하지 않는 등 본인의 영화 제작 능력과 춘향 이외에도 상대적으로 명망있는 조연들([[허장강]], [[도금봉]], [[김희갑]], [[구봉서]] 등등)의 힘을 받으면서 악조건을 뛰어넘고 영화를 흥행시켰다. 반면 홍성기 감독의 춘향전은 뒤늦게 제작에 들어가서 먼저 개봉하는 바람에 춘향 이외의 캐스팅도 부실했고, 평면적인 연출과 칙칙한 화질, 부실한 세트까지 까이면서 신상옥 감독의 춘향전과 여러모로 비교되는 오점을 남겼다.~~후에 최은희 선생의 회고에 따르면 남편이 출연료 아끼자고 나이먹은 마누라를 부려먹는다는 이야기가 들렸다고 한다~~ == 등장인물 == [include(틀:춘향전 시리즈 등장인물)] * [[최은희(배우)|최은희]] - 성춘향 역 * [[김진규(배우)|김진규]] - 이몽룡 역 * [[이예춘]] - 변학도 역 * [[허장강]] - 방자 역 * [[도금봉]] - 향단 역 * [[한은진]] - 월매 역 * [[박암]] - 왕 역 * 양석천 - 목낭청 역 * [[양훈#s-2|양훈]] - 허봉사 역 * [[구봉서]] - 물렁쇠(포졸) 역 * [[김희갑]] - 덜렁쇠(포졸) 역 * [[조항(배우)|조항]] - 운봉 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