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이집트 파라오)]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DB76B 0%, #DECD87 20%, #DECD87 80%, #BDB76B)" {{{#A0522D '''이집트 중왕국 제12왕조 2대 파라오[br]{{{+1 세누스레트 1세}}}[br] 𓄊𓋴𓂋𓏏𓊃𓈖 | Senusret I'''}}}}}}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20px-Senusret.jpg|width=100%]][br]{{{-2 세누스레트 1세의 동상, [[카이로 박물관]]에 전시중이다}}}}}} || ||<-2> '''칭호''' ||<-2>{{{#!folding [ 펼치기 · 접기 ] 호루스 이름: '''앙크메수트 | 𓋹𓄟𓏏𓅱''' [*출처 세누스레트 1세의 오벨리스크] 즉위명: '''케페르카레 | 𓇳𓆣𓂓''' [*출처 세누스레트 1세의 오벨리스크] 출생명: '''세누스레트 | 𓄊𓋴𓂋𓏏𓊃𓈖''' [*출처 세누스레트 1세의 오벨리스크]}}}|| ||<-2> '''부왕''' ||[[아메넴헤트 1세]] || ||<-2> '''선대''' ||[[아메넴헤트 1세]] || ||<-2> '''후대''' ||[[아메넴헤트 2세]] || ||<-2> '''묘지''' ||세누스레트 1세의 피라미드 || ||<-2> '''왕비''' ||네페루 3세(Neferu III) || ||<-2> '''자녀''' ||[[아메넴헤트 2세]](Amenemhat II)♂[br]아메넴헤트-앙크(Amenemhat-ankh)[br]이타카이트(Itakayt)♀[br]세바트(Sebat)♀[br]네페루소베크(Neferusobek)[br]네페루프타(Neferuptah) || ||<-2><|2> '''재위''' || '''{{{#000 이집트 파라오}}}''' || ||[[기원전]] 1971년 ~ 기원전 1926년 혹은[br]기원전 1920년 ~ 기원전 1875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집트 중왕국]] 제12왕조의 2대 [[파라오]]. == 통치 == 중왕국의 제12왕조에서도 가장 강력한 왕권을 휘둘렀던 파라오로 강력한 군주였다. 아버지 [[아메넴헤트 1세]]의 확장적인 대외 정책을 본받아 [[누비아]]에 대한 활발한 정복 전쟁을 펼쳤으며, 재위 10년과 18년 되는 해에는 누비아로 직접 원정을 떠나기도 했다. 특히 재위 18년 되는 해에는 [[나일 강]]의 제2폭포 인근에 고대 이집트의 국경을 확립했다. 그리고 서쪽 사막의 오아시스들에도 원정을 보냈고, [[시리아]]와 [[가나안]] 지역의 몇몇 도시와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 또한 자신에게 충성하는 토후들에게 벼슬을 내려 왕권을 강화하고 [[시리아]]나 [[가나안]] 지방으로 탐험단을 꾸려 보내기도 했다. 확장 정책이 후대까지 기억에 남아, 고전기 그리스인들에게는 세소스트리스 라는 이름으로 기억되었으며, 때로는 [[람세스 2세]]와 혼동되기도 했다. 이 외에도 [[헬리오폴리스]]에 [[라(이집트 신화)|라]]-[[아툼]] 신전을 재건하고, 이 외에도 여러 신전을 건설하였다. 그의 집권기 후반에는 아들인 [[아메넴헤트 2세]]와 같이 공동통치하였다는 설이 있으나 현재는 해당 설이 부정당하고 있다. == 세누스레트 1세의 피라미드 == [[파일:Licht-senwsPyramids_01.jpg]] || 이름 || {{{+3 𓍹𓄊𓋴𓂋𓏏𓊃𓈖𓍺𓊪𓏏𓂋𓁹𓁹𓇾𓇾𓉴}}}[br]ptr-tꜣwj-z-n-wsrt || || 뜻 || 세누스레트가 두 땅을 내려보신다 || || 높이 || 61.25m || || 경사 || 불명 || 세누스레트 1세의 피라미드는 아버지인 [[아메넴헤트 1세]]의 피라미드에서 남쪽으로 약 1[[마일]] 떨어진 곳에 지어졌다. 피라미드의 규모는 아메넴헤트 1세의 피라미드보다 훨씬 거대했으며, 새로운 기술을 통해 피라미드를 더욱 견고하게 만들었다. 피라미드로 향하는 길에는 세누스레트 1세의 대형 [[석회암]] 조각상이 있었으며 현재는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카이로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내부는 일부는 보존되어있지만 [[나일강]]의 범람으로 인해 침수되어 있으며, 피라미드 자체도 무너져내렸다. 또한 내부에 있던 유물들도 대부분 도굴되었다.[* 후대에 발굴한 결과 피라미드가 만들어지자마자 바로 도굴되었다.] == 여담 ==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소설 또는 기행문으로 알려진 <<시누헤 이야기>>가 이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아메넴헤트 1세가 암살되고 세누스레트 1세가 즉위하자 귀족 시누헤는 오해로 인해 이집트를 탈출해 가나안을 거쳐 레바논 지방까지 망명을 가지만 '''이 세상에 신들이 계시는 땅 이집트만 한 곳은 없다.'''라는 진리를 깨닫고 고향을 그리워하다 세누스레트 1세의 사면을 받고 귀국한다는 내용으로, 신왕국 시대 이집트인들에게 인기를 끌었다고 한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도 동화로 각색되어 출간되었다.[[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7718775|#]] [[분류:파라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