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남유럽의 통화)] [Include(틀:구 유고슬라비아 화폐 변천사)] српски динар ([[키릴 문자]]) srpski dinar ([[라틴 문자]]) [[파일:Emblem_of_National_Bank_of_Serbia.svg.png|align=right&width=200]] [목차] == 개요 == [[세르비아]]의 통화. 크게 중세와 근대로 나뉘고, 근대 디나르는 다시 기간별로 하여 셋으로 나뉜다. 단수형은 디나르(динар, dinar), 복수형은 디나라(динара, dinara)라고 읽힌다. 2023년 6월 현재 환율은 약 12원. == 환전 == 국내에서는 취급하지 않는다. 또한 KEB하나은행 비고시 추심 통화 목록에 없다. 반대의 경우이라면 현지 사설환전소이나 은행에서 아래의 외국통화를 받는다.[* 목록에 있더라도 일부 사설환전소이나 은행에서만 가능하다.] [[http://www.menjacnicadunav.rs/|두나브 환율창]] * 유럽: 유로, 영국 파운드[* 잉글랜드 발행권만 가능], [[체코 코루나]], 덴마크 크로네, [[헝가리 포린트]], 노르웨이 크로네, 러시아 루블, 스위스 프랑, [[태환 마르카]], 불가리아 레프, [[폴란드 즈워티]], 루마니아 레우, 튀르키예 리라 * 오세아니아: 호주 달러 * 아메리카: 미국 달러 * 아시아: 일본 엔, 중국 위안 == 중세 세르비아 디나르 == 1214년 등장. == 근대 세르비아 디나르 == === 1기 === === 2기 === === 3기(현행권) === 2003년(동전은 2000년)에 등장하였다. 전신인 [[유고슬라비아 디나르]]를 계승한 통화이며[* 원래 유고슬라비아가 연방체제였기 때문에 "계승"이라는 표현이 그닥 옳은 표현은 아니지만, 하이퍼인플레로 고생하는 유고 디나르를 끝내 내치지 않은 점과 유고연방 자체가 세르비아 중심으로 돌아갔다는 점을 감안하면 완전히 틀린 것만은 아니다.], 과거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시절에는 [[몬테네그로]]와 [[코소보]]에서도 법정통화로 '''인정'''해줬지만 아무래도 민족불화 때문인지 둘 다 [[독일 마르크]]→[[유로]] 테크를 진작에 타고 있었으니 별 상관이 없다. 이렇다보니 주역권인 유럽에서조차 제대로 기 한 번 펴보지 못하는 약세 통화라는 불명예가 항상 따르고 있다(...) [[ISO 4217]]코드는 RSD, 기호는 코드를 키릴 문자로 변형시킨 РСД를 사용하고 있다. 인플레는 6.2%(2012년 추정치). 보조단위 "파라"[* [[튀르키예 리라|오스만 리라]]에서 파생한 것으로, 발칸반도에 오스만 세력이 들어와 있었던 증거이기도 했다.]는 50파라권 딱 하나가 남아 명맥을 이었지만 2013년부로 완전히 승화해버렸다. |||| || 앞면 || 뒷면 || || [[파일:attachment/세르비아 디나르/dinara300.jpg|width=100%]] || 10РСД || [[부크 카라지치]] || 1848 프라하 슬라브 의회 || || [[파일:attachment/세르비아 디나르/dinara301.jpg|width=100%]] || 20РСД || [[페타르 2세 페트로비치-네고시]], [[체티네]] 수도원 || 노브첸 산 || || [[파일:attachment/세르비아 디나르/dinara302.jpg|width=100%]] || 50РСД || [[스테판 스토야노비치 모크라냐크]], 바이올린과 피아노 건반 || 미로슬라브의 복음서[* 슬라브어로 쓰여진 복음서 중 최고(古)의 유물이다.] || || [[파일:attachment/세르비아 디나르/dinara303.jpg|width=100%]] || 100РСД || [[니콜라 테슬라]], [[자기장 세기]] 공식 || 테슬라 전자기유도 기기 구조도 || || [[파일:attachment/세르비아 디나르/dinara304.jpg|width=100%]] || 200РСД || [[나데즈다 페트로비치]], 그녀의 조각상과 그라차니차 수도원 || 그라차니차 수도원 || || [[파일:attachment/세르비아 디나르/dinara305.jpg|width=100%]] || 500РСД || [[요반 츠비이치]], [[아드리아 해]] 연안과 지구 평면도 || 민속풍 잡화 || || [[파일:attachment/세르비아 디나르/dinara306.jpg|width=100%]] || 1,000РСД || [[조르제 바이페르트]], 구 바이페르트 맥주회사 || 게오르기우스의 드래곤 사냥,국립은행 구 청사 || || [[파일:attachment/세르비아 디나르/dinara307.jpg|width=100%]] || 2,000РСД || [[밀루틴 밀란코비치]], 연구하는 그의 모습 || 지구 천체 운동 || || [[파일:attachment/세르비아 디나르/dinara308.jpg|width=100%]] || 5,000РСД || [[슬로보단 요바노비치]], 세르비아 학술원 조각상 || 세르비아 의사당 || *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최종판도 이것과 판본이 거의 흡사한데, 이는 판본 자체는 2000년에 등장하고, 세르비아 은행(구 유고슬라비아 은행)이 2003년에 새단장을 했기 때문에 나타난 시간적 격차가 원인이다. * 2,000디나라는 상당히 늦은 후인 2011년 국장 리뉴얼때 등장했지만 은행에서 말하길 애초부터 발행계획에 있었다고 한다. 다만 인플레가 걱정이어서 미리 발행을 하지 않았을 뿐이었다고. * 물가가 한국대비 1/2~1/5까지 떨어지는 세르비아로선 최고액권인 5,000디나라권(약 6만원)이 너무 부담스러운지라 거의 쓰여지질 않는다. === 주화 === [[파일:Serbia2020_3coins.jpg]] 주로 쓰이는 건 1, 2, 5디나르 3종으로 10, 20디나르도 있으나 지폐를 더 선호하는 편이다. 1РСД - 세르비아 국립은행 건물 2РСД - 그라차니차 수도원[* [[코소보]]의 그라차니차에 위치해 있다.] 5РСД - 크루세돌 수도원 == 둘러보기 == [include(틀:세르비아 관련 문서)] [각주] [[분류:통화]][[분류:세르비아의 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