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2)]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다른 뜻, rd1=세븐틴(동음이의어))] [include(틀:세븐틴)]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7CAC9, #92A8D1)" {{{#fff '''세븐틴 관련 둘러보기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 ---- [include(틀:멜론의 전당, rd1=세븐틴, rd2=세븐틴)]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7CAC9, #92A8D1)" [[파일:세븐틴 로고 화이트.svg|width=47]][br]{{{#fff '''세븐틴의 주요 수상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마마 어워즈|[[파일:마마 어워즈 로고.svg|width=20%]]]][br]'''{{{#000 MAMA 어워즈 대상 - 올해의 앨범상}}}''' || || {{{#000,#fff [[방탄소년단]][br]<[[Proof(방탄소년단)|Proof]]>[br]{{{#000,#fff (2022년)}}}}}} || {{{+1 →}}} || '''{{{#ff0000 '''{{{#!html 세븐틴}}}'''}}}[br]<[[FML]]>[br]{{{#000,#fff (2023년)}}}''' || {{{+1 →}}} || -[br]{{{#000,#fff (-)}}} || ---- ||<-5> [[골든디스크어워즈|[[파일:f_logo.png|width=20%]]]][br]'''{{{#000 골든디스크어워즈 대상 - 음반 부문}}}''' || || {{{#000,#fff [[방탄소년단]][br]<[[Proof(방탄소년단)|Proof]]>[br]{{{#000,#fff (2023년)}}}}}} || {{{+1 →}}} || '''{{{#ff0000 '''{{{#!html 세븐틴}}}'''}}}[br]<[[FML]]>[br]{{{#000,#fff (2024년)}}}''' || {{{+1 →}}} || -[br]{{{#000,#fff (-)}}} || ---- ||<-5>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파일:AAA 200 200.png|width=20%]]]][br]'''{{{#ff0000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AAA 대상 - 올해의 앨범상}}}''' || || {{{#000,#fff -[* 2019년도에 시상 시작.]}}} || {{{+1 →}}} || '''{{{#ff0000 '''{{{#!html 세븐틴}}}'''}}}[br]<[[An Ode]]>[br]{{{#000,#fff (2019년)}}}'''[* 최초 시상이다.] || {{{+1 →}}} || [[NCT]][br]<[[NCT RESONANCE Pt. 1]]>[br]{{{#000,#fff (2020년)}}} || ---- ||<-5>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파일:AAA 200 200.png|width=20%]]]][br]'''{{{#ff0000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AAA 대상 - 올해의 가수상}}}''' || || {{{#000,#fff 세븐틴[br]{{{#000,#fff (2021년)}}}}}} || {{{+1 →}}} || '''{{{#ff0000 '''{{{#!html 세븐틴}}}'''}}}[br]{{{#000,#fff (2022년)}}}''' || {{{+1 →}}} || -[br]{{{#000,#fff (-)}}} || }}}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17 IS RIGHT HERE|[[파일:17 IS RIGHT HERE 세븐틴 프로필.jpg|width=100%]]]]}}} || || {{{-1 {{{#fff '''[[준(세븐틴)|{{{#fff 준}}}]] · [[도겸(세븐틴)|{{{#fff 도겸}}}]] · [[호시|{{{#fff 호시}}}]] · [[에스쿱스|{{{#fff 에스쿱스}}}]] · [[원우(세븐틴)|{{{#fff 원우}}}]] · [[디에잇|{{{#fff 디에잇}}}]] · [[민규(세븐틴)|{{{#fff 민규}}}]][br][[버논|{{{#fff 버논}}}]] · [[승관|{{{#fff 승관}}}]] · [[조슈아(세븐틴)|{{{#fff 조슈아}}}]] · [[우지(세븐틴)|{{{#fff 우지}}}]] · [[정한|{{{#fff 정한}}}]] · [[디노(세븐틴)|{{{#fff 디노}}}]]'''}}}}}}[br][[17 IS RIGHT HERE|{{{#fff ,,Official Profile Photo of Best Album,,}}} [[파일:17 IS RIGHT HERE 로고.svg|height=25]]]]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7CAC9, #92A8D1)" {{{#!wiki style="display: block; float: left; width: 45%; text-align: right" [[파일:세븐틴 로고 화이트.svg|width=60]]}}}{{{#!wiki style="display: block; float: right; width: 52%; text-align: left; border-left: 1.5px solid #ddd; padding-left: 10px" {{{#FFFFFF {{{+1 '''세븐틴'''}}}[br]SEVENTEEN}}}}}}{{{#!wiki style="display: block; clear: both" }}}}}} || ||<|2> '''데뷔일'''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2015년]] [[5월 26일]][* [[MBC M]] 데뷔 생방송 기준이며, 데뷔 앨범은 29일에 발매되었다.][br]({{{-2 데뷔일로부터 '''[dday(2015-05-26)]일''', '''[age(2015-05-26)]주년'''}}}) ||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2018년]] [[5월 30일]][br]{{{-2 (데뷔일로부터 '''[dday(2018-05-30)]일''', '''[age(2018-05-30)]주년''')}}} || ||<|2> '''데뷔 음반'''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include(틀:음반 표시, 배경색=#152c94, 글자색=#fff, 음반종류=미니, n집=1집, 문서명=17 CARAT, 음반명=17 CARAT)] ||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include(틀:음반 표시, 배경색=#CACACA, 글자색=#fff, 음반종류=미니, n집=1집, 문서명=WE MAKE YOU, 음반명=WE MAKE YOU)] || || '''총괄리더''' ||<-2>[[에스쿱스]] || || '''소속사''' ||<-2>[[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7CAC9, #92A8D1)" '''레이블'''}}} ||<-2>[[HYBE LABELS]] || || '''유통사''' ||<-2>[[YG PLUS]][* (전) [[카카오엔터테인먼트/뮤직부문|로엔엔터테인먼트]] {{{#000,#fff →}}} [[지니뮤직(기업)|지니뮤직]]&[[스톤뮤직엔터테인먼트]] {{{#000,#fff →}}} [[드림어스컴퍼니]]] || || '''팬덤''' ||<-2>[include(틀:팬덤, 문서=CARAT, 팬덤명=CARAT(캐럿), 방향=to right, 그라데이션=#F7CAC9\, #92A8D1, 글자색=#fff)] || || '''공식색''' ||<-2>{{{-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CAC9; font-size: 0.75em" {{{#fff '''ROSE QUARTZ''' }}}}}}}}}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2A8D1; font-size: 0.75em" {{{#fff '''SERENITY''' }}}}}}}}} || || '''응원봉''' ||<-2>'''{{{#!html CARAT BONG}}}''' || ||<|2> '''공식[br]사이트'''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https://www.pledis.co.kr/artist/detail/seventeen/|[[파일:세븐틴 로고.svg|width=20&theme=light]][[파일:세븐틴 로고 화이트.svg|width=20&theme=dark]]]] ||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http://seventeen-17.jp|{{{#!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padding: 2px 2px; border-radius: 20px; background-color: #92A8D1" [[파일:세븐틴 로고 화이트.svg|width=20&theme=light]][[파일:세븐틴 로고.svg|width=20&theme=dark]]}}}]] || || '''링크''' ||<-2><^|1>{{{#!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https://www.youtube.com/channel/UCfkXDY7vwkcJ8ddFGz8Kus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https://instagram.com/saythename_17/|[[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https://www.tiktok.com/@seventeen17_official|[[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0]]]]|[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pledis_17, 크기=20)]|[[https://www.facebook.com/seventeennew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soundcloud.com/pledis_seventeen|[[파일:사운드클라우드 아이콘.svg|width=20]]]][* 세븐틴 명의의 믹스테이프가 올라온다.]|[[http://cafe.daum.net/pledis-17|[[파일:다음 카페 아이콘.png|width=20]]]]|[[https://m.post.naver.com/my/series/detail.naver?seriesNo=359143&memberNo=38657154|[[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width=20]]]]|[[https://www.weverse.io/seventeen/feed|[[파일:Weverse 아이콘.svg|width=20]]]] ||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https://www.youtube.com/channel/UCpbTKp4B80rE2zHWvQvZpv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pledis_17jp, 크기=20)] ||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출력= )] ||[[https://weibo.com/u/5518837994|[[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width=20]]]]|[[https://space.bilibili.com/692206640?share_medium=android&share_source=copy_link&bbid=XY43641467CC24DD73A753B0C7061C46257E3&ts=1650101823305|[[파일:빌리빌리 아이콘.svg|width=20]]]] ||}}}}}}}}} || [목차] [clearfix] == 개요 == >SAY THE NAME, SEVENTEEN! 안녕하세요, 세븐틴입니다![* 총괄리더 [[에스쿱스]]가 "SAY THE NAME"을 먼저 선창한 후, 멤버 전원이 "SEVENTEEN! 안녕하세요, 세븐틴입니다."를 외치면서 인사하는 방식. 손동작은 [[호시]]가 만들었다.] 2015년 5월 26일 데뷔한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 소속 [[대한민국]]의 13인조 [[다국적 아이돌 그룹|다국적 보이그룹]].[* [[한국인]] 9명, [[한국계 미국인]] 1명(조슈아), [[대한민국|한국]]-[[미국]] 복수국적자 1명(버논), [[중국인]] 2명(준, 디에잇)으로 구성되어 있다.] == 멤버 == ## 나무위키에서 인물의 나이는 '만 나이'를 사용해야 하고, 자동 갱신이 필요한 나이는 age 매크로를 사용해서 [age(YYYY-MM-DD)]로 표기해야 한다. ('편집지침/일반문서' 참고) ## 기본적으로는 생년월일 순서로 나열하고, 세븐틴의 고유번호에 따라 디에잇과 도겸의 순서 교체. {{{#!wiki style="word-break: keep-all"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7cac9, #92a8d1)" [[세븐틴|[[파일:세븐틴 로고 화이트.svg|width=6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에스쿱스|[[파일:17 IS RIGHT HERE 에스쿱스.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정한|[[파일:17 IS RIGHT HERE 정한.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조슈아(세븐틴)|[[파일:17 IS RIGHT HERE 조슈아.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준(세븐틴)|[[파일:17 IS RIGHT HERE_준.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호시|[[파일:17 IS RIGHT HERE 호시.jpg|width=100%]]]]}}} || || '''[[에스쿱스|{{{#fff 에스쿱스}}}]]''' || '''[[정한|{{{#fff 정한}}}]]''' || '''[[조슈아(세븐틴)|{{{#fff 조슈아}}}]]''' || '''[[준(세븐틴)|{{{#fff 준}}}]]''' || '''[[호시|{{{#fff 호시}}}]]''' || ||<^|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1995. 08. 08. ([age(1995-08-08)]세)}}}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총괄리더'''[br]'''힙합팀 리더'''[br]'''래퍼'''}}} ||<^|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1995. 10. 04. ([age(1995-10-04)]세)}}}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서브보컬'''}}} ||<^|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1995. 12. 30. ([age(1995-12-30)]세)}}}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서브보컬'''}}} ||<^|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1996. 06. 10. ([age(1996-06-10)]세)}}}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출력=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댄서'''[br]서브보컬}}} ||<^|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1996. 06. 15. ([age(1996-06-15)]세)}}}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퍼포먼스팀 리더'''[br]'''메인댄서'''[br]서브보컬}}}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힙합팀}}}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보컬팀}}}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보컬팀}}}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퍼포먼스팀}}}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퍼포먼스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원우|[[파일:17 IS RIGHT HERE 원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우지(세븐틴)|[[파일:17 IS RIGHT HERE 우지.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디에잇|[[파일:17 IS RIGHT HERE_디에잇.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민규(세븐틴)|[[파일:17 IS RIGHT HERE 민규.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도겸(세븐틴)|[[파일:17 IS RIGHT HERE 도겸.jpg|width=100%]]]]}}} || || '''[[원우|{{{#fff 원우}}}]]''' || '''[[우지(세븐틴)|{{{#fff 우지}}}]]''' || '''[[디에잇|{{{#fff 디에잇}}}]]''' || '''[[민규(세븐틴)|{{{#fff 민규}}}]]''' || '''[[도겸(세븐틴)|{{{#fff 도겸}}}]]''' || ||<^|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1996. 07. 17. ([age(1996-07-17)]세)}}}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래퍼'''}}} ||<^|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1996. 11. 22. ([age(1996-11-22)]세)}}}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보컬팀 리더'''[br]'''리드보컬'''}}} ||<^|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1997. 11. 07. ([age(1997-11-07)]세)}}}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출력=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댄서'''[br]서브보컬}}} ||<^|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1997. 04. 06. ([age(1997-04-06)]세)}}}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래퍼'''}}} ||<^|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1997. 02. 18. ([age(1997-02-18)]세)}}}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메인보컬'''}}}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힙합팀}}}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보컬팀}}}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퍼포먼스팀}}}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힙합팀}}}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보컬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승관|[[파일:17 IS RIGHT HERE 승관.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버논(세븐틴)|[[파일:17 IS RIGHT HERE 버논.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디노(세븐틴)|[[파일:17 IS RIGHT HERE 디노.jpg|width=100%]]]]}}} ||<-2><|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세븐틴 로고.svg|width=70%&theme=light]][[파일:세븐틴 로고 화이트.svg|width=70%&theme=dark]]}}} || || '''[[승관|{{{#fff 승관}}}]]''' || '''[[버논(세븐틴)|{{{#fff 버논}}}]]''' || '''[[디노(세븐틴)|{{{#fff 디노}}}]]''' || ||<^|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1998. 01. 16. ([age(1998-01-16)]세)}}}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메인보컬'''}}} ||<^|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1998. 02. 18. ([age(1998-02-18)]세)}}}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ccc,#383b4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래퍼'''}}} ||<^|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1999. 02. 11. ([age(1999-02-11)]세)}}}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메인댄서'''[br]래퍼 [br]서브보컬}}}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보컬팀}}}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힙합팀}}}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퍼포먼스팀}}} || ||<-5> {{{#!folding [ 참고 사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보컬 포지션은 '''메인보컬'''부터 리드보컬, 서브보컬까지 가장 세분화되어있다. [[https://youtu.be/B96LHrZ-nYM?t=220|보컬팀 포지션 소개]] * 댄스 포지션은 '''메인댄서'''와 댄서로 구분한다. * 랩 포지션은 메인, 리드, 서브 등의 '''포지션 구분이 없다'''. [[https://youtu.be/o7DGZ-mE_Ys?t=96|잘못 기재된 포지션을 본 힙합팀 반응]] ||}}}}}} ||}}} === [[/멤버 간 케미|멤버 간 케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세븐틴/멤버 간 케미)] == 연혁 ==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그룹명 때문에 흔히 멤버가 17명일 거라는 오해를 받곤 하는데,]] 공식적으로는 '''13명의 멤버 + 3개의 유닛 + 하나의 팀 (1) = 17(SEVENTEEN, 세븐틴)'''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2017년]] [[2월 10일]] ~ [[2월 12일]] 양일간 진행된 국내 첫 팬미팅에서 13명의 멤버 + 3개의 유닛 + 1개의 팬덤 이라고 정의를 추가한 바 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세븐틴TV)] 당시 플레디스에서 보이그룹 기획을 맡았던 정해창 現 [[위에화엔터테인먼트]] 한국지사 대표는 첫 보이그룹인 [[뉴이스트]]와 쌍둥이 그룹 격인 7인조 보이그룹 '템페스트'를 만들려는 계획을 세웠다고 한다. 그러나 김연수 부사장[* 前 [[X JAPAN]] 매니저이다.]이 플레디스에 합류하여 세븐틴 TV를 위시한 '''평균 연령 17세의 17인조 세븐틴''' 기획을 시작하고, 정해창 대표가 위에화로 이직하면서 템페스트의 론칭은 완전히 엎어졌다.[* 이후 '[[TEMPEST(아이돌)|템페스트]]'라는 이름은 정해창 대표가 이직한 위에화의 2022년 데뷔 7인조 신인 보이그룹 이름으로 사용되었다.][* 세븐틴 초기 입사 멤버들 중 특히 리더즈가 이 팀의 데뷔조였을 것이라는 추측이 많다. 특히 에스쿱스의 경우, 세븐틴 멤버들 중 최초로 입사했음에도 세븐틴TV에 등장하지 않다가 뒤늦게 합류했기 때문에 템페스트 데뷔조 설이 사실처럼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멤버들이 이것까지 따로 이야기한 적은 없었기 때문에 결국 설에 불과하다.] 결국 김연수 부사장의 세븐틴 프로젝트를 통해 연습생들의 이탈과 영입 등을 거쳐 최종적으로 지금의 13인조로 데뷔하였다.[* 2022년 12월 10일 호시의 라이브에서 밝혀졌으며 호시의 라이브 이전까지만 해도 정말 세븐틴이 17인조로 데뷔할 계획이었는지 말이 나뉘었는데 세븐틴 TV의 기획대로라면 17인조가 맞지만 한 번도 멤버가 17명이 모였던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멤버들의 평균 연습 기간은 3~4년으로 모두 혹독한 프리 데뷔(Pre-Debut) 시스템[* 정식 데뷔를 하지는 않았으나 연습생으로 미디어 등에 노출하는 시스템을 이야기한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SM 엔터테인먼트|SM]]의 [[SMROOKIES|SM 루키즈]], 일본의 대형 엔터테인먼트 [[쟈니스 사무소|쟈니스]]의 주니어 시스템이다. 다만, 이 두 시스템과 세븐틴의 프리 데뷔 시스템은 다르다. ]을 거쳤다. 소속사 선배 그룹인 [[애프터스쿨]], [[뉴이스트]], [[헬로비너스]]의 뮤직비디오에 카메오로 출연 및 무대 댄서로도 활동했으며, [[2012년]] 12월부터는 [[세븐틴TV]]라는 명칭의 인터넷 생방송을 시작하면서 약 2년 동안 팬들에게 꾸준히 얼굴을 비춰왔다. 그리고 드디어 [[2015년]] [[5월 26일]], <[[/콘텐츠#s-4.1|세븐틴 프로젝트 - 데뷔 대작전]]>이라는 리얼리티 방송을 통해 정식 데뷔하게 된다. [[2016년]] [[2월]], 데뷔한 지 1년도 안 된 신인이 앨범 두 장으로 가온 차트 기준 누적 25만 장을 팔아치우며 2015년에 데뷔한 남자 아이돌 그룹 중에서 팬덤과 음반 면으로 최고의 성적을 거두게 된다. 그 후 2016년 4월에 발매한 첫 번째 정규 앨범 <[[FIRST 'LOVE&LETTER']]>가 초동 8만 장, 이때 데뷔 후 1년이 채 되지 않은 채로 2016년 5월 4일, [[쇼챔피언]]으로 음방 첫 1위를 달성하게 되고 2016년 12월에 발매한 세 번째 미니 앨범 <[[Going Seventeen]]>이 초동 13만 장을 연달아 돌파, 초동 10만 장을 달성한 역대 4번째 보이그룹이 되었으며, 2016년 12월 16일 [[뮤직뱅크]]에서 지상파 첫 1위를 달성했다. 당시 쫄딱 망하기 일보 직전이었던 중소 기획사에서 데뷔해 언론의 주목을 그다지 받지 못했던 그룹이 오로지 프리 데뷔와 데뷔 후의 활동만으로 이뤄낸 성과임을 생각하면 이는 대단히 놀라운 성적이라고 할 수 있다.[*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의 한성수 대표는 [[서울가요대상]]에서 신인상을 수상한 세븐틴에게 80인분의 고기를 사 먹였다고 한다. 한성수 대표에게는 세븐틴 신인상의 감회가 남달랐을 법도 하다.] [[2016년]] [[10월 5일]] 데뷔 500일을 맞아 공식 컬러가 {{{#f5cac4 '''로즈쿼츠'''}}}와 {{{#93a9ce '''세레니티'''}}}로 정해졌다. 세븐틴의 따뜻함과 청량함을 모두 표현하기 위함이라고. 이전부터 앨범 커버나 의상 등에서 핑크톤과 라이트 블루톤을 동시에 활용하는 일이 많았는데, [[팬톤]]이 [[2016년]] 올해의 컬러를 로즈쿼츠와 세레니티로 선정하면서 확실히 방향을 잡게 된 것으로 보인다. {{{#f5cac4 '''투'''}}}{{{#e5c5c6 '''톤'''}}} {{{#d7c0c7 '''그'''}}}{{{#c9bbc8 '''라'''}}}{{{#c0b8c9 '''데'''}}}{{{#b8b5ca '''이'''}}}{{{#93a9ce '''션'''}}}을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각각 따로 쓰기도 한다. [[2019년]] 1월 미니앨범 6집 <[[YOU MADE MY DAWN]]>이 초동 33만 장을 돌파하여 세븐틴 내 자체 초동 기록을 세웠다. 또한, 음악방송(케이블, 지상파)에서 총 10번, 1위를 하게 되면서 자체 기록을 세웠다. 이 앨범을 통해 MBC 쇼!음악중심과 멤버인 [[민규(세븐틴)|민규]]가 MC로 있던 SBS 인기가요에서 첫 1위를 수상했고, 첫 그랜드슬램과 트리플크라운을 달성했다. 특히 SBS 인기가요 1위는 선배 그룹인 [[애프터스쿨]] 이후로 플레디스에서 9년 만에 1위를 한 것이였다. 2019년을 좋게 시작한 세븐틴은 이후 9월에 발매된 정규 3집 <[[An Ode]]> 앨범이 초동 70만 장을 달성하였다. 이는 전작 앨범보다 2배 이상 팔린 기록이며, 2019년 하반기 초동 1위를 달성했다. 또한 초동 70만 장을 달성한 역대 3번째 보이그룹이 되었으며, 2019년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AAA]]> 시상식에서 올해의 앨범상을 수상했다. 이로써 5년 차에 첫 대상을 수상하게 되었다. [[2020년]] 4월 일본 싱글 2집인 <[[Fallin' Flower]]>가 초동 33만 4천 장을 달성하였다. 세븐틴 일본 자체 초동 기록이며, 한국 가수 Top5 안에 드는 초동 기록을 달성했다. 누적 출하량은 55만 장을 돌파해 일본 레코드협회의 '더블 플래티넘'(50만 장) 인증을 받았으며, 이는 일본 싱글 1집 <[[Happy Ending(세븐틴)|Happy Ending]]>이 받았던 '플래티넘'(25만 장)의 자체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6월 22일 미니앨범 7집 <[[헹가래(세븐틴)|헹가래]]>로 컴백했으며, 발매 이전인 6월 12일부터 앨범 선주문량이 106만 장을 돌파했다. 최종적으로 초동 109만 장을 팔아 데뷔 이후 첫 밀리언셀러를 달성했고, 초동 100만 장을 달성한 역대 두 번째 보이그룹이 되었다. 헹가래 앨범은 [[역대 보이그룹 음반 초동 기록|역대 음반 초동 4위]]라는 기록을 세웠고, [[일본]] [[오리콘차트]]에서도 주간 앨범 랭킹 2주 연속 1위[* 해외 남성 아티스트로는 12년 만의 성과.]와 3작품([[YOU MADE MY DAWN|미니 6집]]→[[An Ode|정규 3집]]→[[헹가래(세븐틴)|미니 7집]]) 연속 1위 달성[* 해외 남성 아티스트로는 42년 만, 한국 남성 아티스트로는 사상 최초의 기록이다.]이라는 기록을 달성했다. 9월 9일 일본 미니앨범 2집 <[[24H]]>로 컴백했으며, 발매 이전 출하량 45만 장을 기록했다. 더불어 일본 대표 가요제인 후지TV '[[FNS 가요제]]'에 이어 일본 대표 음악 프로그램 '[[뮤직 스테이션]]'과 '[[THE MUSIC DAY|더 뮤직 데이]]'에 첫 출연을 했다. 9월 15일 초동 24만 장을 돌파, [[일본]] [[오리콘차트]]에서 주간 1위를 달성했다. 세븐틴은 미니 6집 [[YOU MADE MY DAWN]], 정규 3집 [[An Ode]], 미니 7집 [[헹가래(세븐틴)|헹가래]]에 이어 일본 미니 2집 [[24H]]까지 국내외 앨범으로 네 작품 연속 오리콘 주간 앨범 랭킹 1위를 차지했으며 해외 남성 아티스트로는 최초 기록을 세웠다. 10월 스페셜앨범 <[[Semicolon]]>으로 컴백했다. 앨범 1종으로 초동 93만 장, 총판 100만 장을 달성했다. Semicolon 앨범은 [[역대 보이그룹 음반 초동 기록|역대 음반 초동 7위]]라는 기록을 다시 세웠고, 더블 밀리언 셀러가 되었다. [[2021년]] 프로젝트 "Power of 'Love"의 일환으로 2021년 5월 28일 원우, 민규의 Bittersweet 음원이 공개되었다. 2021년 6월 18일 공개된 미니 8집 [[Your Choice]]는 초동 136만 장을 기록하였고, 이번 미니 8집으로 단일 앨범으로 4번 연속 [[밀리언셀러]]에 등극, 쿼드러플 밀리언셀러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그리고 빌보드의 메인 앨범 차트인 [[빌보드 200]]에 15위로 진입하기도 하였다. 2021년 7월 19일 소속사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 측에서 공지를 통해 세븐틴 멤버 13명 전원과 재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https://t.co/pHyURM6SFE|#]] 기존 계약 기간이 아직 남았음에도 불구하고 멤버들과 소속사가 함께 그룹의 미래 비전에 대해 심도 깊게 논의하고 공감대를 형성한 끝에 조기 재계약을 체결하는 데 성공했다고 한다. 참고로 10인 이상 다인원 보이그룹, 그리고 [[중국인]][* 국내에서 활동하던 중국인 아이돌들 대다수는, 어느 정도 인지도를 얻고 나면 계약이 채 끝나기도 전에 중국으로 떠나서 돌아오지 않는 경우가 허다했다.]이 포함된 다국적 아이돌 그룹 중 인원 변동 없이 데뷔 멤버 그대로 전원 재계약에 성공한 최초의 사례로 케이팝 역사에 긍정적인 선례를 남기게 되었다. 2022년 5월 24일 '지혜를 빼앗는 도깨비' 방송을 통해 전원 재계약 일등공신은 [[민규(세븐틴)|민규]]이며 재계약 관련 미팅을 개인이 아닌 단체로 진행했는데 그 과정에서 서로 돈, 미래, 계약기간, 수익 비율, 싫은 소리 등 하기 싫어도 해야 하는 계산적인 이야기들을 하는 것이 힘들어 외면하고 싶었다고 밝혔다. [[https://twitter.com/0nmymilkyway/status/1529013479595966466|영상1]] [[https://twitter.com/0nmymilkyway/status/1529014156396879872|영상2]] [[https://twitter.com/0nmymilkyway/status/1529016179175886848|영상3]] 2022년 5월 27일 발매한 정규 4집 <[[Face the Sun]]>이 초동 206만 장을 달성하면서 세븐틴은 방탄소년단에 이어 한국 가요계 역사상 두 번째로 초동 200만 장을 돌파한 가수가 되었다. 2023년 4월 24일 발매한 미니 10집 <[[FML]]>은 세븐틴 활동 최초 더블 타이틀곡이 수록된 앨범으로, 선주문량 464만 장 및 초동 455만 장을 달성하면서 '''한국 가요계 역사상 초동 400만 장을 달성한 첫 번째 가수'''가 되었다. 2023년 6월 8일 미니 10집 <[[FML]]>이 써클차트 520만 장을 돌파하며 한국 가요계 역사상 두 번째로 판매량 500만 장을 돌파한 가수, 그리고 '''한국 가요계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앨범의 가수'''라는 기록을 세웠다. 이후 2023년 7월 5일 미니 10집 이 유통사를 통해 앨범 판매량 620만장을 돌파한 것이 보도되었다. 2023년 10월 23일 발매한 미니 11집 <[[SEVENTEENTH HEAVEN]]>이 초동 509만장을 달성하면서 '''한국 가요계 역사상 초동 500만장을 달성한 첫 번째 가수'''가 되었다. 2023년 11월 15일 오전 3시(현지시간 11월 14일 오후 7시) [[프랑스]] [[파리(프랑스)|파리]]의 [[유네스코]] 본부에서 개최되는 제13회 '유네스코 청년포럼'에서 스페셜 세션을 배정받아 약 1시간 동안 [[연설]]과 공연을 진행했다. 글로벌 [[캠페인#s-3]]도 공동 진행한다. [[K팝]] 아티스트가 유네스코 총회급 행사에서 하나의 세션을 통째로 배정받은 사례는 이번이 처음으로 '유네스코 청년포럼 사상 최초로 단독 초대되는 아티스트'라는 타이틀을 얻게 됐다. [[https://v.daum.net/v/20231027070541991|#]] [[승관]], [[준(세븐틴)|준]], [[우지(세븐틴)|우지]], [[민규(세븐틴)|민규]], [[조슈아(세븐틴)|조슈아]], [[버논(세븐틴)|버논]] 총 6명이 [[https://youtu.be/inf7IiloLm0|연설]]을 했으며, [[SECTOR 17|_WORLD]][[https://youtu.be/Lj_A8NrtBD0|#]], [[Darl+ing]][[https://youtu.be/9UVWxdkBBWo|#]], [[SEVENTEENTH HEAVEN|Headliner]][[https://youtu.be/Tw5ApiBRnsc|#]], [[SEVENTEENTH HEAVEN|음악의 신]][[https://youtu.be/a7vAHFr7yh4|#]], [[헹가래(세븐틴)|같이가요(영어 버전)]][[https://youtu.be/NYTi4cXl6pU|#]] 5곡을 불렀다. [[https://www.koreaherald.com/view.php?ud=20231114000729|#]] [[https://youtu.be/N_iF-xmz-bs|full 영상]] [[https://youtu.be/k0HfCnd5B2A|뉴스1]]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152365|뉴스2]]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425267|뉴스3]]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819293|뉴스4]] == 특징 == === 로고 === 매 컴백마다 로고가 조금씩 바뀐다. 기본형은 숫자 17을 역삼각형으로 배치한 모양이다. [[TEEN, AGE]] 때 만들어져 [[헹가래(세븐틴)|헹가래]]에도 사용된 로고는 결합된 17자 모양[* 사회적 거리두기 로고에서 총 3개로 나눠진 조각들이 17자 모양이다. ㄷ자처럼 보이기도 한다.]이 3개가 겹쳐져 있는데, 3개의 유닛을 의미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세븐틴+CARAT 공식로고 모션.gif|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7CAC9, #92A8D1)" {{{+1 {{{#FFFFFF '''OFFICIAL LOGO MOTION'''}}}}}}}}} || || [[파일:SVT_LOGO1.png|width=75%]] || [[파일:SVT_LOGO2.png|width=75%]] || [[파일:SVT_LOGO3.png|width=75%]] || [[파일:SVT_LOGO4.png|width=75%]] || || [[17 CARAT]] ~ [[BOYS BE]] || [[FIRST 'LOVE&LETTER']] || [[Going Seventeen]] ~ [[Al1]] || [[TEEN, AGE]] || || [[파일:SVT_LOGO5.png|width=80%]] || [[파일:SVT_LOGO6.png|width=85%]] || [[파일:SVT_LOGO7.png|width=85%]] || [[파일:셉틴거리두기로고.png|width=75%]] || || [[YOU MAKE MY DAY]] || [[YOU MADE MY DAWN]] || [[HIT(세븐틴)|HIT]] ~ [[An Ode]] || [[사회적 거리두기]] 독려 [[https://star.mt.co.kr/stview.php?no=2020040214004714906|#]][* 위에 있는 < TEEN, AGE > 로고를 변형해 만들어졌다.] || || [[파일:SVT_LOGO4.png|width=80%]] || [[파일:세븐틴 로고 깜장.png|width=75%]] || [[파일:세븐틴 로고.svg|width=75%]] || || || [[헹가래(세븐틴)|헹가래]] ~ || ~ [[Attacca(세븐틴)|Attacca]] || [[Darl+ing]] ~ [* 현재 사용중] || || === 콘셉트 === 기본적인 콘셉트의 틀을 청량함으로 잡고 있는 대표적인 그룹이다. 데뷔곡 '아낀다'부터 네 번째 타이틀곡 '아주 NICE'까지 청량한 콘셉트로 큰 사랑을 받았고, 2016년 말 '붐붐'부터 2017년 말 '박수', 2019년 중순 '독' 등의 강한 곡으로 이따금씩 콘셉트 변화를 보이기도 한다. 다만 청량 콘셉트를 아예 버린 것은 아니다. 다시 한번 청량한 컨셉을 시도한 2018년 여름, 타이틀곡 '어쩌나'가 큰 호평을 받으며 아이돌 팬들 사이에서 "역시 세븐틴은 청량 전공[* 2020년 여름 'Left & Right'으로 오랜만에 청량 콘셉트로 컴백하자 커뮤니티에서는 '세븐틴은 청량 전공을 넘어 청량 교수 수준이다.'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 데뷔 6년 차임에도 청량함을 완벽하게 소화해 내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우스갯소리로 할아버지가 되어도 청량이 어울릴 거라는 얘기도 나왔다.--봄세븐틴가을겨울--]이다. 청량 맛집이다."라는 농담이 나오기도 했다. 또한 2022년 '_WORLD'로 컴백하며 청량 콘셉트를 보여주었다. 이는 프로듀싱을 맡고 있는 멤버 [[우지(세븐틴)|우지]]가 "세븐틴의 가장 자연스러운 모습을 보여 주고 싶었다."라는 생각으로 앨범을 작업하는 것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며, 때문에 매 앨범은 멤버들의 긴 회의를 통해 세븐틴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모습, 세븐틴이 가장 보여 주고 싶은 모습에 맞춰 제작된다. === 다인원 그룹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세븐틴화환.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세븐틴피씨방.jpg|width=100%]]}}} || || [[슈퍼주니어]] 콘서트에 '''인당 1개씩''' 보낸 화환 || PC방에 간 세븐틴[* 뒤쪽으로 튀어나온 팔들의 주인은 모두 세븐틴이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세븐틴캐리어.jpg|width=100%]]}}} || ||<-2> 해외 투어 때 사용하는 캐리어[* 심지어 사진 속에서는 캐리어를 '''두 줄로''' 세웠다고 한다.] || 멤버의 수가 하도 많다 보니 일단 어디를 가든 '''사상 최다 인원 출연'''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다닌다.[* 세븐틴을 제외하면 현재 한국 남자 아이돌 그룹들 중에서 멤버가 13명 이상인 그룹은 현재까지 세븐틴의 2배에 달하는 26인조 [[NCT]]뿐이다.(과거까지 포함하면 [[규현]]이 합류한 당시 [[슈퍼주니어]]가 있다.) 그러나 NCT는 팀 전체가 활동하는 것보다 유닛으로 나눈 그룹 활동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 일반적인 활동 기간 자체로 봤을 때는 가장 많은 멤버 수로 구성된 팀이다.] 본인들도 스스로 대인원이라는 자각을 충분히 하고 있기 때문에 혹여나 누구 한 명을 빼놓고 다닐까 봐 개인행동마저 삼가며 어디든 2열로 줄을 맞춰 이동하는 편. 한 일본 잡지 스태프는 세븐틴 멤버들이 촬영장에 도착하자마자 입고 온 옷을 벗어 한자리에 차곡차곡 정리해 두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며 단체 생활과 관련된 비하인드를 공개하기도 했다. 연차가 쌓이면서 두 줄로 완벽히 각을 맞추는 모습은 많이 옅어졌으나, 2019년 〈[[전지적 참견 시점]]〉이나 여러 [[V LIVE]]를 보면 무조건 두세 명씩 떼를 지어 다니는 습관은 여전하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때문에 [[https://youtu.be/Ha-GXz7WKu8?t=12s|생일 순으로 번호를 매겨]] [[https://youtu.be/bq62Fp0Y8ac?t=245|자신의 숫자를 외치]]는 독특한 방식으로 인원을 체크하고 있다. 총괄리더이자 맏형인 [[에스쿱스]]가 "출석 체크! 일!"을 외치면 다음 동생들이 자기 출석 번호를 외쳐 자리에 제대로 있음을 확인하고 막내인 [[디노(세븐틴)|디노]]까지 "십삼! 번호 끝!"을 외쳐야 인원 체크가 끝난다. 다만 예외 경우가 있는데, 원래대로라면 [[디에잇]]보다 생일이 빠른 [[도겸(세븐틴)|도겸]]의 번호가 8번이어야 하지만 [[디에잇]]이 자신의 예명과 관련된 8번을 원해서 [[도겸(세븐틴)|도겸]]과 서로의 출석 번호를 교환했다. 이러한 이유로 [[도겸(세븐틴)|도겸]]과 [[디에잇]]은 여러 외내부적인 상황에서 생일순과 관련 없이 각각 열째, 여덟째 멤버로 소개된다. [* 에스쿱스 - 정한 - 조슈아 - 준 - 호시 - 원우 - 우지 - 디에잇 - 민규 - 도겸 - 승관 - 버논 - 디노 순] 그래도 헷갈릴 때가 종종 있는 모양이다. 하루는 [[V LIVE]] 방송 도중 멤버가 다 자리에 있는지 확인하던 총괄리더 [[에스쿱스]]가 카메라를 들고 서 있던 [[민규(세븐틴)|민규]]를 빼고 의자에 앉아 있는 멤버들만 세는 바람에 [[https://youtube.com/shorts/rgqcf-iV8ko?si=EP49H_U003eECXWe|크게 당황하며 연달아 멤버를 다시 세어 보는 모습]]이 방송을 타기도 했다. 가만히 앉아 있는 멤버들과 달리 안절부절못하며 두세 번씩 수를 세다가, 마침내 민규를 제외했다는 걸 깨닫고 크게 안도하는 것이 눈에 바로 띌 정도. 인원수에 관련된 웃긴 일화도 많은데, 숙소의 샴푸통 크기가 락스통 같다든지, 치약이 누가 빨아먹는 것처럼 빨리 없어진다든지, 13명이 20인분의 라면을 먹기 위해 숙소에 대야 같은 냄비가 구비되어 있다든지 하는 내용은 기본이다. 데뷔 초엔 모든 멤버가 [[정한]]의 아이디로만 인터넷 쇼핑을 한다고 밝히며 이에 대해 포인트가 금방 모여서 좋다고 해맑게 답하기도 했다. 또 하루는 [[호시]]가 길을 걷다가 오렌지를 보고 멤버들이 생각나 그 자리에서 60개를 쓸어온 적이 있는데 이것을 배분했더니 안타깝게도 한 명당 4~5개밖에 못 먹는다든가, [[조슈아(세븐틴)|조슈아]]가 멤버들을 위해 사 온 미국 과자 100봉지가 순식간에 거덜났다는 얘기도 있다. 그리고 한 번은 멤버들이 단체 인사에서 '인원이 이렇게 많은데 누군가는 하겠지' 하고 13명 전원이 인사를 생략했다가 빵 터진 적도 있다.[[https://twitter.com/hambam_zzang/status/1400367393201741828?t=P8bpyjHCpGDGQ3iV2DHGVA&s=19|#]] 멤버 수가 워낙 많다보니 장난처럼 서로에게 미루는 일도 꽤나 많다고. [[호시]]는 "인원이 많을 때 가장 좋은 점은 그거지. 내가 움직이지 않아도 다른 누군가는 움직인다." 라는 농담 식의 명언을 남긴 바 있다. 2019년, 〈[[전지적 참견 시점]]〉에 출연하게 되면서 다인원이라는 특징이 다시금 주목받기도 했다. 음악 방송 활동 기간에 13명이라는 대인원을 관리하기 위해 이보다 몇 배나 되는 수의 스태프가 등장하는 것은 물론, 해외 공연이라도 가게 되면 [[캐리어]]가 '''기본 40개'''라 캐리어만 따로 나르는 트럭을 대절해야 할 정도라고 한다. 이것도 경력이 있는 매니저들의 경우에는 [[테트리스]]처럼 차곡차곡 끼워 넣는 법을 저절로 터득하게 되어서 보통의 경우보다 두 개는 더 끼워 넣는 요령을 발휘한다고. 소속사 사정이 열악하던 데뷔 초에는 차 한 대에 멤버들이 몰아 탄 뒤, 나머지 멤버는 스태프의 차에 탑승하는 다소 어려운 방법으로 스케줄 이동을 했었다. 그러나 차가 2대로 늘어난 [[2017년]]을 기점으로 점차 발전하여, 현재는 '''차 6대'''를 이용해 비교적 원활한 이동을 하고 있다. 또, 연습생 시절부터 오랫동안 13명이 한 숙소에 모여 생활했으나 [[2018년]] 〈[[SVT클럽]]〉에서 팀을 나누어 집 2채로 생활하는 모습이 비치더니[* [[https://pann.nate.com/b342023920|데뷔 전~2018년]] [[https://youtu.be/qTX6_ycmt88|숙소 변화]]], 이 또한 [[2020년]]부터는 '''집 3채'''로 늘어나면서 멤버들이 꿈에 그리던 독방을 쓸 수 있게 되기도 했다.[* 6층 : 준, 도겸, 버논, 디노 / 7층 : 에스쿱스, 조슈아, 원우, 민규, 디에잇 / 8층 : 정한, 호시, 우지, 승관. ][* 특히 [[준(세븐틴)|준]], [[승관]], [[디노(세븐틴)|디노]]는 숙소를 2채로 나누었음에도 '''3인실'''을 사용했던 탓에 팬들 사이에서도 잘 됐다는 반응이 주를 이뤘다. [[민규(세븐틴)|민규]]와 [[원우(세븐틴)|원우]]가 룸메이트이며, 나머지는 전부 독방을 쓴다.] 2020년 이후로는 공식적으로 숙소 정보를 밝히지 않고 있다.[* 멤버들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구체적인 정보는 공개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2023년]] 기준, 다양한 매체를 통해 하단의 멤버들의 숙소생활 여부는 공개되었다.[* 몇몇 멤버들이 '나영석의 와글와글'등에서 오랜만이라고 인사하는 것에서 같은 숙소인지, 아닌지를 추측해볼 수 있는 정도이다.] * [[에스쿱스]]: 강형욱의 개스트쇼에서 반려견 꾸마를 키우기 위해 서울로 온 형과 둘이 살고 있다고 밝혔다. * [[정한]], [[승관]]: 라이브를 통해 둘이 함께 숙소 생활을 하고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 정한의 경우, 숙소의 방과 주방 식탁에서 자주 식사 라이브를 했는데 승관이 출연하는 경우가 꽤 잦았다.] 다만 이 둘만 사는 것인지 아니면 다른 멤버도 함께 숙소 생활을 하는지 숙소 인원에 대해선 알려지지 않았는데, 23년 4월 17일 위버스 라이브에서 숙소에 걸어둔, 둘만 찍은 사진들을 공개해, 정한과 승관 둘이서 숙소를 공유하고 있음이 확정되었다.[* 사실 22년 고잉세븐틴 MBTI 편에서 이미 밝혀진 것이나 다름없었다. 승관이 정한의 검사를 도맡아 하면서 정한과 거의 부부처럼 살고 있다고 이야기했기 때문이다.] * [[원우(세븐틴)|원우]], [[민규(세븐틴)|민규]] : 브이로그와 팬싸인회를 통해 같은 숙소에서 생활하고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 숙소 생활 이야기를 풀 때 항상 서로만 언급할 뿐, 다른 멤버는 나오지 않는 것을 보아 정한, 승관처럼 둘만 사용하는 것으로 추측했으며 팬싸인회 등을 통해 사실임이 확인되었다. 2023년 8월 11일 민규의 숙소 개인 라이브에서 이사를 했다는 정보와 동시에 여전히 숙소 생활을 둘이서 이어가고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 이사를 간 뒤에는 숙소에서 함께 라이브를 진행한 적도 있다. * [[도겸(세븐틴)|도겸]], [[버논(세븐틴)|버논]], [[디노(세븐틴)|디노]]: 각자가 진행한 숙소 라이브에서 등장한 거실 배경이 똑같다. 도겸의 라이브에 귀가한 버논과 디노가 등장하는 경우도, 버논과 디노가 함께 숙소에서 라이브를 킨 적도 있다. 위의 멤버들과는 다르게 직접적으로 숙소 생활을 이야기한 적은 없으나 도겸이 버논에게 숙소에 있는 신발 박스[* 버논은 운동화를 모으는 것을 좋아해 이전부터 멤버들이 운동화 박스를 치우라는 이야기를 꾸준히 해온 바가 있었다.]를 언제 치울 것인지 묻는 등[* 현재 버논과 숙소가 다른 멤버들도 버논과 숙소 생활을 함께 한 경험이 있을 테니, 버논이 신발 박스를 잘 안 치우는 버릇을 이야기할 수는 있으나 버논이 그때도 박스를 치웠는지 안 치웠는지 알고 있고, 불만을 표출할 사람은 그 시점에서 버논과 같은 숙소인 사람밖에 없을 테니 일단 도겸과 버논은 같은 숙소를 쓰는 셈이다.] 같은 숙소라는 것을 알 만한 간접적인 멘트는 워낙 많았기 때문에 팬들도 이 셋이 숙소 메이트라는 것을 거의 확실시 여긴다.[* 준도 이들과 같은 숙소가 아닐까 생각한 팬들도 꽤 있었으나, 보통 멤버들이 2명씩 숙소 생활을 하는 것을 보아 아마 준은 적어도 이 숙소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사실 정한이 도겸과 셋의 숙소에서 라이브를 했던 적은 있어도, 준은 이 숙소 거실에서 라이브를 킨 적도, 셋의 숙소 라이브에도 등장한 적이 없다.] 2023년 도겸이 위버스에 올려준 거울셀카의 배경이 숙소로 추정되는데 도겸의 뒷편에 잔뜩 쌓인, 운동화 박스로 보이는 상자들이 쌓여있어 최소 도겸과 버논은 여전히 숙소 메이트일 것이라고 보고 있다. === 퍼포먼스 === 무대 위의 출중한 퍼포먼스로 실력을 입증받아 퍼포먼스형 아이돌 그룹의 계보를 이어가고 있는 팀. 그동안 단점으로만 여겨져 왔던 다인원의 한계를 극복하고, 오히려 다인원만이 가능한 무대로 군무 면에서 매번 강한 인상을 남기고 있다. 이러한 평가가 따르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가장 첫 번째로는 안무 연출이 신선하다는 점을 꼽을 수 있겠다. 열세 명이 단순히 열을 맞춰 춤을 추는 것에 그치지 않고 멤버를 무대 장치처럼 활용해 한 편의 연극을 보는 듯한 느낌을 주는 것. 이는 노래에 담겨 있는 정서와 메시지를 보다 가시적으로 드러내며 듣는 재미를 함께 주는 역할을 한다. 가령 학교를 테마로 잡은 '만세'에서는 멤버들이 농구 경기를 하는 안무 연출로 남고생들의 에너지와 활기를 십분 드러냈다. '울고 싶지 않아'의 안무에는 이별 후 혼란스러운 마음을 은유하기 위해 가로등이 비추는 골목이 등장하며, 'My My'에서는 배를 탄 모습을 만들기 위해 배와 파도를 형상화한 안무가 등장하고, 간질간질한 짝사랑 노래 '어쩌나'에서는 [[테트리스]] 같은 짜임새의 오프닝 동작이 주목을 받았다. [[호시]]가 연습생 시절 단독으로 제작한 'Shining Diamond', '빠른 걸음' 안무에도 다인원을 잘 활용하기 위한 고민의 흔적이 발견된다. 특히 '빠른 걸음' 안무 중 [[정한]]이 나머지 열두 명의 멤버들과 대칭이 되어 [[https://www.instiz.net/name_enter/40711840|1:12 대열로 군무를 추는 부분]]은, 양적으로는 극도로 대비되어 불안정하지만 시각적으로 되려 강한 안정감을 느끼게 해 안무의 하이라이트 장면으로 꼽히고 있다. 홈런 안무에도 자칫 심심할 수 있는 부분을 다인원을 장점으로 활용해 뮤지컬 같은 느낌의 무대를 완성했다.[[https://youtu.be/IAuTjzenUMg|홈런 안무 영상]][[https://youtu.be/ppde4d_9mpQ|홈런 안무 분석 영상]] 모든 멤버가 무대 위 표정 연기에 대단히 능숙하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다. 자신이 샷을 받는 부분이 아니더라도 무대 연기를 멈추지 않는데, 이것은 극적인 안무와 시너지 효과를 내 무대에 에너지와 생동감을 불어 넣었다. 그중에서도 초기의 '아낀다', '만세'는 거의 콩트나 다름없는 연기 덕에 아이돌 팬들 사이에서 세븐틴을 무대를 잘하는 신인으로 입소문 타게 만든 일등공신이다. 또, '예쁘다'처럼 스토리성이 강조되는 곡은 멤버들이 스스로 자신만의 캐릭터를 고안해 안무를 소화하기도 한다. 이 곡에서 [[원우(세븐틴)|원우]]는 쑥스러움을 타는 안경잡이 소년, [[에스쿱스]]는 장난기 많은 소년으로 캐릭터를 잡아 곡의 스토리를 한층 더 입체적으로 만들었다. 이는 멤버들이 안무 연습만큼이나 표정 연습에도 공을 들인 노력이 빛을 본 결과물이다. 데뷔 리얼리티 <세븐틴 프로젝트 - 데뷔 대작전>에는 단체로 거울 앞에 쪼르르 앉아 열심히 표정 연습을 하는 장면도 수록되어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세븐틴칼군무.gif|width=100%]]}}} || 흠잡을 데 없는 [[칼군무]]도 세븐틴 퍼포먼스가 가진 큰 볼거리이자 가장 강력한 무기이다. 군무를 맞추기 다소 까다로운 조건[* 열셋이라는 대인원, 최단신 멤버와 최장신 멤버의 신장 차 약 23cm]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팔다리 각도가 기가 막히게 맞아 들어가는 군무는 흡사 장관에 가까우며, 점프 높이, 양 발의 간격까지 한 치의 오차도 없는 모습을 보고 있노라면 감탄을 넘어 극강의 카타르시스까지 느껴질 정도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PbwBwLEqKU)]}}}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aZxRyw27JI)]}}} || 2019년 1월에는 '아주 NICE'로 [[아이돌룸]]의 일렬 댄스 코너에 도전, 남자 아이돌로서는 최초로 성공 기록을 남겼다.[* 제작진도 세븐틴의 도전을 몹시도 기다렸는지 "섭외되기만을 기다렸다."는 자막을 달았다.] 너무 손쉬운 성공에 아쉬움이 남은 MC가 신곡 'Home'으로도 도전을 제안했고, 이마저도 단번에 성공하며 장르와 박자를 가리지 않는 칼군무 실력을 입증했다. 한 일본 매체와의 인터뷰에서는 칼군무의 비결을 묻는 기자의 질문에 "손이나 다리의 높이를 맞추는 것 이상으로 멈추는 타이밍을 의식해서 맞춘다."라며 어마어마한 연습량이 보이는 답변을 주었다. 이런 고난도 퍼포먼스는 기본적으로 모든 멤버들이 출중한 댄스 역량을 갖추고 있기에 가능한 것이다. 특히 안무 습득력이 대단히 빠른데, 신곡 안무 연습에 돌입하면 안무를 터득하는 데에 소비하는 시간은 단 하루이고[* 물론 여기서 언급한 하루는 일반적인 의미의 하루가 아니다. 24시간 내내 온전히 안무 연습에 몰입한다고 설명을 덧붙였다.] 이튿날부터는 디테일을 맞추는 것에 집중한다고 한다. 안무 숙달이 제일 느린 멤버로 스스로를 지목한 [[정한]]이 뒤처지는 시간은 고작해야 15분. 댄서 포지션이 아닌 [[민규(세븐틴)|민규]]와 [[승관]]이 [[/퍼포먼스팀|퍼포먼스팀]] 멤버 [[준(세븐틴)|준]], [[디에잇]]의 'MY I' 안무를 한번 보고 바로 따라 출 정도이다. 실제로 세븐틴의 여러 안무를 제작한 안무가 [[최영준(안무가)|최영준]][* 안무 연출이 완벽하게 나올 수 있는 것 역시 모든 멤버가 춤을 잘 추기 때문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만약 춤을 못 추는 멤버가 있으면 해당 멤버를 뒤로 수납하고 잘 하는 멤버를 계속 앞으로 빼야 해서 동선이 꼬이기 마련인데, 세븐틴의 안무를 담당할 때면 그럴 걱정 없이 생각한 그대로 동선을 짤 수 있다고 한다.]과 안무팀 룩은 세븐틴에 대해 "멤버에 따라 실력의 고저가 있을 수는 있겠으나 춤을 못 추는 멤버는 단 한 명도 없다. 모든 멤버가 춤 실력이 수준급."이라는 공통적인 감상을 남긴 바 있다. 총괄리더 [[에스쿱스]] 역시 여러 번 "세븐틴은 춤 구멍 없는 그룹"이라는 발언으로 자부심을 드러냈는데, 무대에서 [[/퍼포먼스팀|퍼포먼스팀]]이 아닌 멤버들이 군무를 리드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사실을 생각해 보면 이 말은 결코 허세가 아닌 셈. 일례로 2017년 월드 투어 에서는 '울고 싶지 않아'의 인트로 댄스를 [[/보컬팀|보컬팀]]인 [[정한]]과 [[도겸(세븐틴)|도겸]]이[* 해당 인트로 댄스의 안무가는 퍼포먼스팀의 호시와 디노], 2019년 서울가요대상 시상식에서는 [[https://www.instagram.com/p/BsqXh9GndZ_/|댄스 브레이크 팀]]에 래퍼인 [[원우(세븐틴)|원우]]와 [[버논(세븐틴)|버논]], 메인 보컬인 [[승관]]을 포함시켜 구성했다. 2021 TMA 시상식에서는 [[/퍼포먼스팀|퍼포먼스팀]] 리더 [[호시]]와 함께 [[/힙합팀|힙합팀]]의 [[버논]], [[/보컬팀|보컬팀]]의 리더 [[우지(세븐틴)|우지]]가 댄스 브레이크에 참여했다. === 유닛 === [include(틀:세븐틴/힙합팀)] [include(틀:세븐틴/보컬팀)] [include(틀:세븐틴/퍼포먼스팀)] 세븐틴은 '''13명의 멤버 + 3개의 유닛 + 1개의 팀/팬덤 = SEVENTEEN'''이라는 팀 컨셉과 기획 의도에 맞춰 세 가지 유닛을 200%로 활용하는 그룹이다. 앨범에 유닛곡을 반드시 수록하는 것은 물론, 각종 행사도 유닛별로 스페셜 데이를 만들어 다양하게 기획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세 유닛과는 별개로 멤버를 무작위로 섞어 믹스 유닛을 내놓기도 하는데, 이렇게 탄생한 믹스 유닛의 수만 해도 2021년 8월 기준으로 자그마치 20가지. 데뷔 리얼리티인 <세븐틴 프로젝트>에서도 믹스 유닛을 만들어 경연하라는 미션이 등장하며, [[/퍼포먼스팀|퍼포먼스팀]]이나 [[/힙합팀|힙합팀]]의 곡에 다른 유닛 멤버가 피처링 형식으로 참여하여 구성이 새로워진 곡까지 합치면 믹스 유닛의 개수는 23개까지 늘어난다. 그리고 이 기획은 세븐틴을 단체곡보다 유닛곡의 수가 더 많은 그룹으로 만들어 버렸다. ==== LEADERS ==== [include(틀:세븐틴/리더즈)] 세븐틴을 이끄는 리더들로 이루어진 유닛으로, 멤버는 세븐틴의 총괄리더이자 [[/힙합팀|힙합팀]] 리더인 [[에스쿱스]], 세븐틴의 앨범 프로듀서이자 [[/보컬팀|보컬팀]] 보스인 [[우지(세븐틴)|우지]], 세븐틴의 안무 창작자이자 [[/퍼포먼스팀|퍼포먼스팀]] 수장인 [[호시]]이다. [[https://youtu.be/MnBGnneo5m8|리더즈의 관계성]] 초기에는 단순히 리더가 '''3명'''이라는 세븐틴의 특징을 이용해 만든 팬들의, 팬들에 의한, 팬들을 위한 조합이었다. [[2017년]] [[9월 25일]] <2017 SEVENTEEN PROJECT> Chapter 2에 해당하는 유닛곡 'Change up'이 공개되면서 세븐틴 리더즈가 공식 믹스 유닛으로 출격했다. [[https://youtu.be/6iCn6Qpy36k|Change up 뮤비]] 이후 한동안 소식이 없어 팬들의 컴백 요구가 빗발쳤고, 그러다 [[2022년]] [[7월 18일]] 세븐틴의 역대 두 번째 리패키지 앨범인 [[SECTOR 17]]에서 리더즈 유닛곡 'CHEERS'가 공개되며 약 5년 만에 컴백했다. [[https://youtu.be/RnO0HhILXi4|CHEERS 뮤비]][* 뮤비는 7월 6일에 선공개되었다.] * 한 그룹에 리더가 3명이라는 것이 [[한국 아이돌]] 그룹 중에선 처음 있는 사례이다 보니, 공식 유닛이 되기 전에도 셋을 따로 모아 놓고 인터뷰를 한다든가 하는 일은 당연히 있었다. 데뷔 앨범의 수록곡인 'Shining Diamond'을 시작으로 이 세 명의 리더를 필두로 세운 안무가 종종 등장하고 있다. * [[2016년]] [[10월 12일]] 어느 대만 방송에서 [[플레잉 카드]]를 이용해 총 세 번의 왕게임을 진행했는데, 리더즈 세 명이 왕카드를 나눠 뽑는 신기한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팬 (캐럿)들이 리더즈를 부르는 애칭 * [[에스쿱스]] - 최총리 (최승철 총괄리더의 줄임말, 그냥 총리라고 부르기도 한다.)[br][[우지(세븐틴)|우지]] - 보보 (보컬팀 보스. 주로 줄여서 보보로 불린다. 창시자는 [[정한]]. 팬들은 보보에서 더 줄여 뾰라고 칭하기도 한다.) 또한 정한이 보컬팀 리더를 줄여서 보리라는 애칭도 만들었다.[br][[호시]] - 권수장 (권순영 안무 수장을 뜻하는 말로, 팬들이 줄여서 권수장이라 칭한다.) ==== 부석순 ==== [include(틀:부석순)] [[승관]], [[도겸(세븐틴)|도겸]], [[호시]]로 이루어진 팀 내 개그 유닛이다. 즉, 예능 담당 멤버들. 유닛명인 [[부석순]]은 세 멤버의 본명인 [[승관|'''부'''승관]], [[도겸(세븐틴)|이'''석'''민]], [[호시|권'''순'''영]]에서 한 글자씩 따와 조합한 것으로, [[2013년]] [[세븐틴TV]]에서 [[도겸(세븐틴)|도겸]]과 [[호시]]가 본인들의 조합을 '''석순톡'''이라고 부르기 시작하고 여기에 [[승관]]의 이름까지 합쳐지면서 최종적으로 '''부석순'''이라는 이름이 탄생하게 되었다. 처음엔 캐럿들과 장난삼아 시작했던 것이 실제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2018년]] [[3월 13일]] '''이 믹스 유닛의 정식 [[데뷔]]가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735810&lfrom=twitter|확정되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부석순)] ===# 팀워크 #=== 많은 인원에도 불구하고 멤버들의 사이가 돈독하고 팀워크가 좋기로 늘 손꼽히는 팀이기도 하다. 실제로 여러 동료 가수들이 "너무 친해서 항상 재밌어 보인다.", "딱 봐도 서로 굉장히 끈끈해 보여서 부럽다, 그런 점을 닮고 싶다."라며 세븐틴을 언급하곤 하는데, 이는 어린 나이에 고된 연습생 생활을 시작하며 [[https://youtu.be/_nNSnAsGYEs|결속력을 단단하게 다져왔기 때문]]이다. 그중 가장 연습 기간이 긴 [[에스쿱스]]와 [[우지]]는 서로를 알고 지낸 기간만 해도 10년이 넘어 서로를 친형제와 다름없는 존재라고 칭하고 있다.[* 에스쿱스는 벌써 8~9년정도 같이 있어서 진짜 동생같아요. 핸드폰에 번호 저장할 때 우지 이외의 멤버는 전부 브라더○○(이름) 이라고 저장하는데 우지는 그냥 '동생'이라고 저장되어 있어요. 그래도 평소에 그렇게 얘기를 많이 하진 않아요. 그게 또 진짜 형제같죠. 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2024년을 기점으로 멤버들 중 입사 시기가 가장 늦은 [[디에잇]]이 [[세븐틴TV]]에 합류한 지도 10년이 되었다.] 외에도 연습생 시절 한국어가 서툴렀던 [[준(세븐틴)|준]]이 "우정이 무슨 뜻이야?"라는 질문을 하자 [[호시]]가 "'우리가 지금 느끼는 이거."라고 답했다는 일화도 유명하며, 총괄리더 [[에스쿱스]]는 언론을 통해 내용 전문이 공개되는 인터뷰임에도 불구하고 "내 학창 시절은 모두 세븐틴에 있다. 나는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회사]]보다 멤버들이 더 중요하다."라며 냉정한 발언을 해 멤버들에 대한 애정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 때문인지 형, 동생들 간의 관계가 매우 유연하다. 자세한 것은 여담 문단 참고] 또한 숙소가 여러 개로 나뉜 후 예전처럼 자주 만나지 못하게 되자, 한 달에 한 번씩 정기 모임을 갖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런 시간이 있어야 서로를 당당하게 가족이라고 말할 수 있다는 것이 그 이유이다. 멤버들이 연차가 쌓여도 현재에 안주하지 않고, 팀워크를 지키기 위해 계속 노력하고 있음이 드러나는 대목이다.[* 이 정기 모임에는 3시간 지각해도 와야 하고, 아파도 얼굴은 꼭 한번 비추고 가야 한다고 서로 장난처럼 말했다고 한다.][* 이 정기모임 역시도 [[세븐틴]]답게(?) 그냥 넘어가는 법이 없는데, 불참 시 벌금은 천만 원이며 멤버들이 돌아가며 한 명씩 주최자를 맡는다. 여기서 주최자에게는 드레스코드를 정하고 본인 취향의 맛집을 모임 장소로 선정할 수 있는 권한도 있는 듯하다. 2회 모임의 주최자였던 [[디에잇]]은 스케줄로 인해 중국과 한국을 오가던 중, 정기 모임을 준비하기 위해 중국 술을 직접 공수해 오기도 했다.] [[2023년]] [[4월]] 첫 모임을 시작으로 매달 진행 중이며, [[7월]]에 있었던 4회 모임의 주최자는 [[디노]]였고, 사우나에 갔다고 한다. '세븐틴을 한 단어로 표현한다면?' 이라는 질문에 [[버논(세븐틴)|버논]]을 제외한 모든 멤버들이 '''가족들'''이라고 대답했다. 심지어는 부모님들까지 친하며, 부모님들끼리 만남을 갖거나 회식을 하기도 한다고. 세븐틴의 부모님들은 세븐틴 멤버들을 모두 아들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 [[https://youtu.be/5z-1mVx8Gsk|가족틴 모음집]] 13인이라는 대인원으로 데뷔하게 되면서 이와 관련해 은근히 무시를 받으며 결코 녹록지 않은 신인 시절을 보내기도 했다. 이들이 갓 데뷔한 [[2015년]] 당시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는 지금과는 달리 전혀 보잘것없는 작은 기획사에 불과했고, 그전까지 중소 기획사에서 내놓은 9명 이상의 그룹들은 성공한 선례가 아예 전무하기 때문. 세븐틴이 직접 밝힌 바에 의하면 "뭔데 떼로 나오냐, 멤버마다 5초는 부르겠냐, 밥값은 나오겠냐."와 같은 말들을 실제로 많이 들었고, 멤버들은 이러한 혹언에 서러움을 느끼면서도 "여기에 기죽으면 안 된다. 반드시 뭔가 보여주자."라며 서로를 다독였다고 한다.[* [[2017년]] 월드 투어 에서 멤버 [[호시]]가 첫 공개한 미공개곡에 이와 관련한 가사가 적혀 있다. "이 트랙 가족같은 [[우지(세븐틴)|내 형제]]가 줬어. [[한성수|우리 보스]] [[호시|호랑이 새끼]]를 잘 키웠어. 다 씹어먹고 다닐게요 13명이서. 밥값 걱정 이제 니들이 해."][* [[한성수]] 대표 역시 "밥값 걱정할 거였으면 시작도 안 했다." 며 세븐틴 관련 프로젝트에 자신감을 내보인 바 있으며, 결국 이 굳건한 믿음이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다 무너져가던 회사]]를 일으킬 힘이 된 셈이다.] 이러한 팀워크를 바탕으로, 이들은 보란 듯이 성공해 뒤이어 데뷔할 대규모 그룹들의 소속사가 빼놓지 않고 참고하는 좋은 본보기로 성장했다. [[http://www.edaily.co.kr/news/read?newsId=01128326615794440&mediaCodeNo=258|관련 기사]] ===# 세븐틴 반지 #=== '''멤버 전원이 오른손 새끼손가락'''에 세븐틴 반지라고 불리는 '''팀 반지'''를 착용하고 있다. 데뷔 직전인 [[2015년]] 1월, 더 이상 연습생이 아니라 정식 데뷔를 눈앞에 둔 '''한 팀'''이라는 의미를 담아 한성수 대표가 직접 수여[* 리더 세명은 리더 임명장까지 같이 받았다.]한 것. 그날 멤버들의 감상이 담긴 [[http://www.pledis.co.kr/html/artist/seventeen/KOR/from_artist?&PageNumber=2&view=1&idx=3803|일기]]가 아직 공식 홈페이지에 남아 있으며, 훗날 "반지를 받았을 때의 감정을 말로 설명할 수 없다. 정말 가족이 된 기분이었다."라고 당시의 기분을 회고하기도 했다. 데뷔 리얼리티인 <세븐틴 프로젝트>는 아예 한성수 대표에게 압수당한 반지를 되찾기 위해 주어진 미션을 수행해 나가는 내용으로 기획되었을 정도로 '''세븐틴을 상징하는 가장 대표적인 물건'''이기도 하다. 세븐틴에겐 가족 증명서 같은 반지이며, 무슨 일이 있어도 절대 빼지 않기로 약속했기 때문에 잘 때에도 빼지 않는다. 가끔 반지를 빼야 할 상황이 오면 반지 자국이 진하게 남아 있는 새끼손가락을 볼 수 있다. 세 번째 정규 앨범 발매 직전인 2019년 9월 15일 새로운 팀 반지를 나눠 끼는 영상이 깜짝 공개되었는데, 365일 반지를 끼고 있느라 왼쪽에 비해 현저하게 홀쭉해진 오른쪽 새끼손가락을 보고 멤버들도 스스로 놀라워하는 장면이 담겨 있다. * 바로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무슨 일이 있어도 절대 빼지 않기로 한 약속 때문에 생긴 소소한 일화들이 있다. * 뮤지컬 [[엑스칼리버(뮤지컬)|엑스칼리버]] 재연 캐스팅이 알려지기 전에 얼굴 없이 손만 촬영된 '아더'의 티저가 공개되었는데, 새끼손가락에 끼워진 팀 반지 덕분에 [[도겸(세븐틴)|도겸]]의 합류가 반쯤 [[기정사실]]화되었다.[* 도겸은 이미 초연에서 아더 역을 맡아 열연하였기 때문에 재연에도 합류할 것인지 궁금해하는 팬들이 많았는데, 해당 티저가 공개되자마자 모두가 확신을 얻게 된 것.] * [[도겸(세븐틴)|도겸]]은 [[엑스칼리버(뮤지컬)|엑스칼리버]] 출연 당시, 팀 반지 때문에 상대 배우가 다칠까 우려하여 반지 위에 테이핑을 감은 채로 무대에 올랐다. * [[준(세븐틴)|준]]은 팀 반지를 착용한 채로 중국 게임 '일몽강호' 의 홍보용 뮤직비디오를 촬영했다. 촬영 당시 스태프는 준이 반지 빼는 걸 깜빡한 줄 알고 물어봤는데, 이미 촬영 계약 전에 반지를 빼지 않겠다고 말해 뒀기 때문에 그대로 촬영을 진행했다고 한다. * 정규 앨범이 새로 나올 때마다 반지의 소재와 디자인이 업그레이드되고 있다. 이 반지들을 모아 두었다가 나중에 팬들을 위한 전시를 하고 싶다고. 그리고 그 일이 실제로 일어났다! * [[2018년]] [[5월 26일]], 세븐틴 데뷔 3주년을 기념해 진행된 전시회 <17S CUT - 세븐틴과 캐럿이 함께한 3년, 그 빛나는 순간들>에서 첫 번째, 두 번째 반지가 [[https://youtu.be/dndfata_l-s?t=14m24s|실제로 전시되었다.]] 세 리더즈의 반지 안쪽에는 특별히 [[https://twitter.com/ohsol_svt/status/1000218942416211968?s=19|★표시]]도 되어 있는데, 세븐틴의 총괄리더이자 [[/힙합팀|힙합팀]]의 리더도 겸하고 있는 [[에스쿱스]]의 반지에는 두 개의 별이 새겨져 있다. 피치 못할 때를 제외하면 멤버들과 24시간을 함께했던 반지들이라 26개 모두 모서리가 닳고 흠집투성이인 채로 팬들 앞에 모습을 드러내게 되었다. 멤버들이 그동안 반지를 얼마나 제 몸같이 여겨 왔는지 고스란히 느낄 수 있는 부분. * 매년 팬미팅 에서 팀 반지 모양을 본뜬 팔찌를 팬들에게 깜짝 선물하고 있다. 본인들이 반지를 받았을 때의 감정을 팬 여러분들도 느끼게 해드리고 싶다는 생각에서 몰래 준비했다고. ||'''▼ 첫 번째 팀 반지'''[br] {{{-2 데뷔 전 2015년 1월 ~}}} ||'''▼ 두 번째 팀 반지'''[br]  {{{-2 2016년 첫 번째 정규 앨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ST_SVT_RINGS.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ND_SVT_RINGS.jpg|width=100%]]}}}|| ||<^|1>은 소재의 볼드 링 디자인인 첫 번째 반지. 밑면에 팀명이 영문으로 표기되어 있다. ||은 소재의 시그넷 링 디자인인 두 번째 반지. 평평한 전면을 사면으로 나누어 맨 윗부분엔 세븐틴 로고와 함께 작은 다이아가, 나머지 세 부분엔 세븐틴의 축약명인 S, V, T가 표기되어 있다. 이 반지는 네 번째 미니 앨범 <[[Al1]]>의 표지를 장식하기도 했다. || ||'''▼ 세 번째 팀 반지'''[br]  {{{-2 2017년 두 번째 정규 앨범 ~}}} ||'''▼ 네 번째 팀 반지'''[br]  {{{-2 2019년 세 번째 정규 앨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RD_SVT_RINGS.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4TH_SVT_RINGS.jpg|width=100%]]}}}|| ||<^|1>화이트 골드로 소재가 업그레이드되었다. 13면의 반지는 13명의 멤버를, 전면의 다이아는 팬덤인 캐럿을 상징한다.||세븐틴을 의미하는 숫자 "13+3+1=17"이 로마자로 세공된 네 번째 반지. 서로가 서로에게 새 반지를 수여하는 스페셜 영상이 세 번째 앨범 발매 직전에 공개되었다.[* 멤버들은 이 반지를 '로션 바르면 끼는 거'라고 지칭하기도 했다. 반지를 착용한 채로 로션을 바르면 숫자 사이사이로 로션 덩어리가 끼기 때문이라고.] [[https://youtu.be/KdXUcGdGTVw|#SEVENTEEN_NEW_RINGS_CEREMONY]] || ||'''▼ 다섯 번째 팀 반지'''[br]  {{{-2 2022년 네 번째 정규 앨범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5th_rings.jpg|width=100%]]}}}|| ||<^|1>새끼손가락처럼 엮인 형태 사이에 다이아가 박힌 다섯 번째 반지. 네 번째 앨범 발매 전에 그간의 이야기와 새 반지를 소개하는 스페셜 영상이 공개되었다. [[https://youtu.be/4bG8svC9nVQ|#]] || ||'''▼ 첫 번째 팬미팅 팔찌'''[br]  {{{-2 2017 SEVENTEEN in CARAT LAND}}} ||'''▼ 두 번째 팬미팅 팔찌'''[br]  {{{-2 2018 SEVENTEEN in CARAT LAND}}}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rat1stbracelet.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rat2ndbracelet.jpg|width=100%]]}}}|| ||<^|1>코인 디자인의 첫 번째 팬미팅 팔찌. 두 번째 팀 반지 전면의 음각을 그대로 새겨 넣었다. ||세 번째 팀 반지의 13면을 평면화 해 아이디 팔찌로 디자인한 두 번째 팬미팅 팔찌. 팬미팅 직후 발매된 스페셜 앨범의 타이틀곡이자 팬송인 '고맙다' 활동 내내 멤버 전원이 이 팔찌를 끼고 등장했다. || ||'''▼ 세 번째 팬미팅 팔찌'''[br]  {{{-2 2019 SEVENTEEN in CARAT LAN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사진 추가 예정}}}|| || ||세븐틴의 데뷔일인 526, 캐럿의 생일인 214가 한 면에 하나씩 새겨진 세 번째 팬미팅 팔찌. 끈 길이를 조절해 목걸이, 팔찌 등 여러 가지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https://twitter.com/essayslove1230/status/1104083455116075008?s=21|팔찌 형태로 착용하고 팬미팅 무대에 오른 멤버들의 모습]] [[https://twitter.com/theinnocence_j/status/1105480989982175232?s=21|2]] [[https://twitter.com/pentagram615/status/1105774903347707904?s=21|3]] [[https://twitter.com/bebe_990211/status/1105075526169899016?s=21|4]] || || == [[/음반 목록|음반]] == [include(틀:세븐틴/음반 목록)]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세븐틴/음반 목록)] ===# 뮤직비디오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7CAC9, #92A8D1)" {{{#fff '''한국 뮤직비디오 및 조회수''' {{{-2 2024년 1월 18일 15시 기준 (KST)}}}}}}}}}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2A8D1, #F7CAC9)" {{{-1 '''[[https://www.kpop-radar.com/SEVENTEEN|{{{#fff 세븐틴(SEVENTEEN) 한국 뮤직비디오 전체 랭킹 및 실시간 조회수 추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순위''' || '''곡 명''' || '''조회수 / 게시일''' || || '''1''' || [[https://youtu.be/zEkg4GBQumc|{{{#000,#fff '''울고 싶지 않아'''}}}]] || '''{{{#cd1039 267,868,518}}}''' [br]{{{-2 2017년 5월 22일}}} || || '''2''' || [[https://www.youtube.com/watch?v=-GQg25oP0S4|{{{#000,#fff '''손오공'''}}}]] || '''{{{#f7cac9 171,386,680}}}''' [br]{{{-2 2023년 4월 24일}}} || || '''3''' || [[https://youtu.be/gRnuFC4Ualw|{{{#000,#fff '''HOT'''}}}]] || '''{{{#f7cac9 154,491,312}}}''' [br]{{{-2 2022년 5월 27일}}} || || '''4''' || [[https://youtu.be/J-wFp43XOrA|{{{#000,#fff '''아주 NICE'''}}}]] || '''{{{#f7cac9 127,606,531}}}''' [br]{{{-2 2016년 7월 3일}}} || || '''5''' || [[https://youtu.be/CyzEtbG-sxY|{{{#000,#fff '''박수'''}}}]] || '''{{{#f7cac9 123,800,586}}}''' [br]{{{-2 2017년 11월 6일 }}} || || '''6''' || [[https://youtu.be/HdZdxocqzq4|{{{#000,#fff '''Left & Right'''}}}]] || '''{{{#f7cac9 118,970,589}}}''' [br]{{{-2 2020년 6월 22일}}} || || '''7''' || [[https://youtu.be/WpuatuzSDK4|{{{#000,#fff '''Rock with you'''}}}]] || '''{{{#f7cac9 111,552,842}}}''' [br]{{{-2 2021년 10월 22일}}} || || '''8''' || [[https://youtu.be/F9CrRG6j2SM|{{{#000,#fff '''HIT '''}}}]] || '''{{{#f7cac9 86,458,013}}}''' [br]{{{-2 2019년 8월 5일}}} || || '''9''' || [[https://youtu.be/VCDWg0ljbFQ|{{{#000,#fff '''_WORLD'''}}}]] || '''{{{#f7cac9 80,083,627}}}''' [br]{{{-2 2022년 7월 18일}}} || || '''10''' || [[https://youtu.be/R9VDPMk5ls0|{{{#000,#fff '''Home'''}}}]] || '''{{{#f7cac9 78,290,432}}}''' [br]{{{-2 2019년 1월 21일}}} || || '''11''' || [[https://youtu.be/UB4FzllQCyc|{{{#000,#fff '''HOME;RUN'''}}}]] || '''{{{#92a8d1 74,115,287}}}''' [br]{{{-2 2020년 10월 19일}}} || || '''12''' || [[https://youtu.be/gZItyr1SNjU|{{{#000,#fff '''고맙다'''}}}]] || '''{{{#92a8d1 73,577,198}}}''' [br]{{{-2 2018년 2월 5일}}} || || '''13''' || [[https://youtu.be/_5PELxP8Udg|{{{#000,#fff '''어쩌나'''}}}]] || '''{{{#92a8d1 72,792,577}}}''' [br]{{{-2 2018년 7월 16일}}} || || '''14''' || [[https://youtu.be/yCvSR4lSqTg|{{{#000,#fff '''Ready to love'''}}}]] || '''{{{#92a8d1 66,031,832}}}''' [br]{{{-2 2021년 6월 18일}}} || || '''15''' || [[https://youtu.be/9M7k9ZV67c0|{{{#000,#fff '''만세''' }}}]] || '''{{{#92a8d1 65,588,315}}}''' [br]{{{-2 2015년 9월 10일}}} || || '''16''' || [[https://youtu.be/RnO0HhILXi4|{{{#000,#fff '''CHEERS'''}}}]] || '''{{{#92a8d1 65,298,925}}}''' [br]{{{-2 2022년 7월 6일}}} || || '''17''' || [[https://youtu.be/ap14O5-G7UA|{{{#000,#fff '''독 : Fear'''}}}]] || '''{{{#92a8d1 58,443,916}}}''' [br]{{{-2 2019년 9월 16일}}} || || '''18''' || [[https://www.youtube.com/watch?v=zSQ48zyWZrY|{{{#000,#fff '''음악의 신'''}}}]] || '''{{{#92a8d1 55,796,943}}}''' [br]{{{-2 2023년 10월 23일}}} || || '''19''' || [[https://youtu.be/CNEeAaH3bFc|{{{#000,#fff '''붐붐'''}}}]] || '''{{{#92a8d1 53,963,816}}}''' [br]{{{-2 2016년 12월 4일}}} || || '''20''' || [[https://youtu.be/bTtNV6hgDno|{{{#000,#fff '''Darl+ing'''}}}]] || '''{{{#92a8d1 48,296,847}}}''' [br]{{{-2 2022년 4월 15일}}} || || '''21''' || [[https://youtu.be/9rUFQJrCT7M|{{{#000,#fff '''아낀다'''}}}]] || '''{{{#92a8d1 42,629,732}}}''' [br]{{{-2 2015년 5월 29일}}} || || '''22''' || [[https://www.youtube.com/watch?v=9kpuOoIh3wU|{{{#000,#fff '''F*ck My Life'''}}}]] || '''{{{#92a8d1 30,604,577}}}''' [br]{{{-2 2023년 5월 7일}}} || || '''23''' || [[https://youtu.be/j59LLNMEOZk|{{{#000,#fff '''예쁘다'''}}}]] || '''{{{#92a8d1 24,641,722}}}''' [br]{{{-2 2016년 4월 24일}}} ||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7CAC9, #92A8D1)" {{{#fff '''일본 뮤직비디오 및 조회수''' {{{-2 2024년 1월 18일 15시 기준 (KST)}}}}}}}}}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2A8D1, #F7CAC9)" {{{-1 '''[[https://www.kpop-radar.com/SEVENTEEN|{{{#fff 세븐틴(SEVENTEEN) 일본 뮤직비디오 전체 랭킹 및 실시간 조회수 추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순위''' || '''곡 명''' || '''조회수 / 게시일''' || || '''1''' || [[https://youtu.be/u4iDL3c0T1c|{{{#000,#fff 舞い落ちる花びら (Fallin' Flower)}}}]] || '''{{{#cd1039 48,266,215}}}''' [br]{{{-2 2020 년 3월 24일}}} || || '''2''' || [[https://youtu.be/BgR_HJ7aGDY|{{{#000,#fff '''CALL CALL CALL!'''}}}]] || '''{{{#f7cac9 41,788,881}}}''' [br]{{{-2 2018년 5월 16일 }}} || || '''3''' || [[https://youtu.be/MmI-vsaOoUE|{{{#000,#fff '''24H'''}}}]] || '''{{{#f7cac9 26,722,052}}}''' [br]{{{-2 2020년 8월 24일}}} || || '''4''' || [[https://youtu.be/cA1b99JSQq0|{{{#000,#fff '''Happy Ending'''}}}]] || '''{{{#f7cac9 25,508,569}}}''' [br]{{{-2 2019년 5월 17일}}} || || '''5''' || [[https://youtu.be/0n8su37VyZQ|{{{#000,#fff '''ひとりじゃない'''}}}]] || '''{{{#92a8d1 17,830,525}}}''' [br]{{{-2 2021년 4월 18일}}} || || '''6''' || [[https://youtu.be/6H8QHeC_VPs|{{{#000,#fff '''DREAM'''}}}]] || '''{{{#92a8d1 13,864,701}}}''' [br]{{{-2 2022년 11월 8일}}} || || '''7''' || [[https://youtu.be/vvN4FgqNXwE?si=C0857kXs3Rcd4cji|{{{#000,#fff 今 -明日 世界が終わっても- (Ima -Even if the world ends tomorrow-)}}}]] || '''{{{#92a8d1 14,245,893}}}''' [br]{{{-2 2023년 8월 22일}}} || || '''8''' || [[https://youtu.be/E0Z9_pz9Wd8|{{{#000,#fff あいのちから (아이노치카라_사랑의 힘)}}}]] || '''{{{#92a8d1 7,126,578}}}''' [br]{{{-2 2021년 11월 30일}}} || }}}}}}}}} || === [[/믹스테이프|믹스테이프]] === 세븐틴이 [[데뷔]] 전에 발표했거나, 정식 앨범에 수록되지 않은 작업물들. [[사운드 클라우드]]에 개설된 [[https://soundcloud.com/pledis_seventeen|세븐틴 공식 계정]]에서 감상할 수 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세븐틴/믹스테이프)] == 빌보드 == ## 빌보드 공식 페이지의 select 박스에서 카테고리 선택 가능. [[https://www.billboard.com/artist/seventeen/chart-history/|'''세븐틴 빌보드 종합 기록''']] ===# 빌보드 200 #=== ## 차트인 기간은 차트아웃 시 작성. ||<-7>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7CAC9, #92A8D1)" [[파일:세븐틴 로고 화이트.svg|width=50]] [br]'''{{{#!html BILLBOARD 200 TOP RANKING }}}'''}}} || || # || '''연도''' || '''앨범명''' || '''최고 순위''' || '''차트인''' || '''비고''' || || 1 ||<|2> 2021 || 《[[Your Choice]]》 || '''15위''' || '''1주''' || [* 세븐틴의 '''[[빌보드 200]] 첫 데뷔 앨범'''이며, 처음으로 빌보드 집계 시작 기간인 금요일에 발매했다.] || || 2 || 《[[Attacca(세븐틴)|Attacca]]》 || 13위 || 2주 || || || 3 ||<|2> 2022 || 《[[Face the Sun]]》 || 7위 || 7주 || || || 4 || 《[[SECTOR 17]]》 || 4위 || 4주 || || || 5 ||<|2> 2023 || 《[[FML]]》 || 2위 || '''9주''' || [* 자체 최고기록 달성] || || 6 || 《[[SEVENTEENTH HEAVEN]]》 || '''2위''' || 5주 || || == 수상 경력 == ===# 시상식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7CAC9, #92A8D1)" [[파일:세븐틴 로고 화이트.svg|width=47]][br]{{{#fff '''세븐틴의 주요 수상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마마 어워즈|[[파일:마마 어워즈 로고.svg|width=20%]]]][br]'''{{{#000 MAMA 어워즈 대상 - 올해의 앨범상}}}''' || || {{{#000,#fff [[방탄소년단]][br]<[[Proof(방탄소년단)|Proof]]>[br]{{{#000,#fff (2022년)}}}}}} || {{{+1 →}}} || '''{{{#ff0000 '''{{{#!html 세븐틴}}}'''}}}[br]<[[FML]]>[br]{{{#000,#fff (2023년)}}}''' || {{{+1 →}}} || -[br]{{{#000,#fff (-)}}} || ---- ||<-5> [[골든디스크어워즈|[[파일:f_logo.png|width=20%]]]][br]'''{{{#000 골든디스크어워즈 대상 - 음반 부문}}}''' || || {{{#000,#fff [[방탄소년단]][br]<[[Proof(방탄소년단)|Proof]]>[br]{{{#000,#fff (2023년)}}}}}} || {{{+1 →}}} || '''{{{#ff0000 '''{{{#!html 세븐틴}}}'''}}}[br]<[[FML]]>[br]{{{#000,#fff (2024년)}}}''' || {{{+1 →}}} || -[br]{{{#000,#fff (-)}}} || ---- ||<-5>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파일:AAA 200 200.png|width=20%]]]][br]'''{{{#ff0000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AAA 대상 - 올해의 앨범상}}}''' || || {{{#000,#fff -[* 2019년도에 시상 시작.]}}} || {{{+1 →}}} || '''{{{#ff0000 '''{{{#!html 세븐틴}}}'''}}}[br]<[[An Ode]]>[br]{{{#000,#fff (2019년)}}}'''[* 최초 시상이다.] || {{{+1 →}}} || [[NCT]][br]<[[NCT RESONANCE Pt. 1]]>[br]{{{#000,#fff (2020년)}}} || ---- ||<-5>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파일:AAA 200 200.png|width=20%]]]][br]'''{{{#ff0000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AAA 대상 - 올해의 가수상}}}''' || || {{{#000,#fff 세븐틴[br]{{{#000,#fff (2021년)}}}}}} || {{{+1 →}}} || '''{{{#ff0000 '''{{{#!html 세븐틴}}}'''}}}[br]{{{#000,#fff (2022년)}}}''' || {{{+1 →}}} || -[br]{{{#000,#fff (-)}}} ||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7CAC9, #92A8D1)" '''{{{#fff 세븐틴 수상 경력}}}'''}}} || || 날짜 || 시상식 || 부문 || 비고 || ||<-4> '''2016년''' || || {{{-2 1월 14일}}} || 제25회 [[서울가요대상|하이원 서울가요대상]] || 신인상 || || || {{{-2 1월 21일}}} || 제30회 [[골든디스크 시상식]] || 음반 부문 JTBC2 신인상 || [[BOYS BE]] || || {{{-2 2월 17일}}} || 제5회 [[써클차트 뮤직 어워즈|가온 차트 K-POP 어워드]] || K-POP 월드루키상 || || || {{{-2 2월 24일}}} || 제11회 [[숨피어워즈]] || K팝 올해의 신인상 || || || {{{-2 5월 21일}}} || 제11회 아시아 모델 시상식 || 인기 가수상 || || || {{{-2 11월 16일}}} || 제1회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 가수 부문 베스트 스타상 || || || {{{-2 11월 19일}}} || 제12회 [[멜론 뮤직 어워드]] || MBC뮤직 스타상 || || || {{{-2 12월 2일}}} || 제12회 [[마마 어워즈]] || 월드 퍼포먼스상[* [[빌보드 차트|빌보드]]가 이 수상 소식을 언급하며 "그들은 그동안의 그룹들을 모아놓은 듯한 실력과 재능의 집합체이다"라고 극찬 했다.] || || ||<-4> '''2017년''' || || {{{-2 1월 14일}}} || 제31회 [[골든디스크 시상식]] || 음반 부문 본상 || [[FIRST 'LOVE&LETTER']] || || {{{-2 1월 19일}}} || 제26회 [[서울가요대상|하이원 서울가요대상]] || 본상 || || || {{{-2 2월 8일}}} || 제1회 [[V LIVE#s-3.2|2017 Global V LIVE Top 10]] || Global Artist Top 10 || || || {{{-2 2월 22일}}} || 제6회 [[써클차트 뮤직 어워즈|가온 차트 K-POP 어워드]] || 올해의 핫퍼포먼스상 || || || {{{-2 3월 2일}}} || 제12회 [[숨피어워즈]] || 베스트 스테이지 아웃핏상 || || || {{{-2 3월 10일}}} || 제11회 케이블TV 방송대상 || 퍼포먼스상 || || || {{{-2 11월 15일}}} || 제2회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 가수 부문 베스트 아티스트상 || || || {{{-2 11월 25일}}} ||<|2> 제13회 [[마마 어워즈]] || Worldwide Favorite Artist || || || {{{-2 11월 29일}}} || 베스트 댄스 퍼포먼스 남자 그룹 || [[Al1#s-2.1|울고 싶지 않아]] || ||<-4> '''2018년''' || || {{{-2 1월 11일}}} || 제32회 [[골든디스크 시상식]] || 음반 부문 본상 || [[TEEN, AGE]] || || {{{-2 1월 25일}}} || 제27회 [[서울가요대상|하이원 서울가요대상]] || 본상 || || || {{{-2 2월 6일}}} || 제2회 [[V LIVE#s-3.3|2018 Global V LIVE Top 10]] || Global Artist Top 10 || || || {{{-2 2월 14일}}} || 제7회 [[써클차트 뮤직 어워즈|가온차트 뮤직 어워드]] || 올해의 가수상 앨범 부문 2분기 || [[Al1]] || ||<|2> {{{-2 11월 28일}}} ||<|2> 제3회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 가수 부문 올해의 아티스트상 ||<|2> || || 가수 부문 베스트 아티스트상 || || {{{-2 12월 12일}}} ||<|3> 제14회 [[마마 어워즈]] || Worldwide Fans' Choice || || ||<|2> {{{-2 12월 14일}}} || 베스트 OST상 || [[A-TEEN Part.3|A-TEEN]] || || 베스트 댄스 퍼포먼스 남자 그룹 || [[YOU MAKE MY DAY#s-2.1|어쩌나]] || ||<-4> '''2019년''' || || {{{-2 1월 6일}}} || 제33회 [[골든디스크어워즈]] || 음반 부문 본상 || [[YOU MAKE MY DAY]] || || {{{-2 1월 15일}}} || 제28회 [[서울가요대상]] || 본상 || || ||<|2> {{{-2 1월 23일}}} ||<|2> 제8회 [[써클차트 뮤직 어워즈|가온차트 뮤직 어워드]] || 월드 한류스타상 ||<|2> || || 올해의 핫 퍼포먼스 상 || ||<|2> {{{-2 2월 26일}}} ||<|2> 제33회 [[일본 골드 디스크 대상]] || NEW ARTIST OF THE YEAR ||<|2> 아시아 부문 || || BEST 3 NEW ARTISTS || || {{{-2 3월 2일}}} || 제3회 [[V LIVE#s-3.4|2019 Global V LIVE Top 10]] || Global Artist Top 10 || || ||<|3> {{{-2 11월 26일}}} ||<|3> 제4회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 베스트 소셜 아티스트상 ||<|2> || || 베스트 아이콘상 || || '''올해의 앨범 부문 대상''' || [[An Ode]] || || {{{-2 11월 30일}}} || 제11회 [[멜론 뮤직 어워드]] || 올해의 무대상 || [[세븐틴/공연#s-3.7| IN SEOUL]] || ||<|2> {{{-2 12월 4일}}} ||<|2> 제15회 [[마마 어워즈]] || Breakthrough Achievement ||<|2> || || Worldwide Fans' Choice || || {{{-2 12월 9일}}} || 제14회 《A-AWARDS》 || 패션 부문 || || ||<-4> '''2020년''' || || {{{-2 1월 5일}}} || 제34회 [[골든디스크어워즈]] || 음반 부문 본상 || [[An Ode]] || ||<|2> {{{-2 1월 8일}}} ||<|2> 제9회 [[써클차트 뮤직 어워즈|가온차트 뮤직 어워드]] || 올해의 가수상 - 피지컬 앨범 부문 1분기 || [[YOU MADE MY DAWN]] || || 올해의 가수상 - 피지컬 앨범 부문 3분기 || [[An Ode]] || || {{{-2 4월 29일}}} || 2020 브랜드고객충성도 대상 || 남자 아이돌 부문 || || || {{{-2 10월 28일}}} || 제11회 [[대중문화예술상|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 국무총리 표창 || || ||<|4> {{{-2 12월 6일}}} ||<|3> 제16회 [[마마 어워즈]] || Worldwide Fans' Choice ||<|3> || || Notable Achivement Artist || || 글로벌 페이보릿 퍼포머 || || QQ Music Boom Boom Award || Asian Pioneer Idol Group of The Year || || ||<|2> {{{-2 12월 12일}}} ||<|2> 제3회 [[더팩트 뮤직 어워즈]] || 월드와이드 아이콘 ||<|2> || || 올해의 아티스트 || ||<-4> '''2021년''' || || {{{-2 1월 10일}}} || 제35회 [[골든디스크어워즈]] || 음반 부문 본상 ||<|2> [[헹가래(세븐틴)|헹가래]] || || {{{-2 1월 13일}}} || 제10회 [[써클차트 뮤직 어워즈|가온차트 뮤직 어워드]] || 올해의 가수상 - 피지컬 앨범 부문 3분기 || ||<|2> {{{-2 1월 24일}}} ||<|2> 제1회 [[APAN 뮤직 어워즈]] || 아이돌 챔프 Global's 픽 그룹 ||<|2> || || TOP10 || || {{{-2 1월 31일}}} || 제30회 [[서울가요대상]] || 본상 || || || {{{-2 3월 15일}}} || 제35회 [[일본 골드 디스크 대상]] || 아시아 부문 BEST 3 ALBUMS || [[24H]] || ||<|2> {{{-2 10월 2일}}} ||<|2> 제4회 [[더팩트 뮤직 어워즈]] || 올해의 아티스트 ||<|2> || || 월드 베스트 퍼포머 || ||<|2> {{{-2 12월 2일}}} ||<|2> 제6회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 페뷸러스 ||<|2> || || '''올해의 가수 부문 대상''' || || {{{-2 12월 11일}}} || 제17회 [[마마 어워즈]] || Worldwide Fans' Choice || || || {{{-2 12월 20일}}} || 2021 [[한터뮤직어워즈]] || 초동기록상 || || ||<-4> '''2022년''' || ||<|2> {{{-2 1월 8일}}} ||<|2> 제36회 [[골든디스크어워즈]] || 코스모폴리탄 아티스트상 || || || 음반 부문 본상 || [[Attacca(세븐틴)|Attacca]] || || {{{-2 1월 23일}}} || 제31회 [[서울가요대상]] || 본상 || || || {{{-2 11월 26일}}} || 제14회 [[멜론 뮤직 어워드]] || TOP 10 || || || {{{-2 11월 29일}}} ||<|2> 제18회 [[마마 어워즈]] || Worldwide Fans' Choice || || || {{{-2 11월 30일}}} || 베스트 댄스 퍼포먼스 남자 그룹 || [[Face the Sun#s-3.2|HOT]] || ||<|3> {{{-2 12월 13일}}} ||<|3> 제7회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 핫트렌드상 ||<|3> || || 페뷸러스 || || '''올해의 가수 부문 대상''' || ||<-4> '''2023년''' || ||<|3> {{{-2 1월 7일}}} ||<|3> 제37회 [[골든디스크어워즈]] || THAI K-POP ARTIST ||<|2> || || 베스트 퍼포먼스 || || 음반 부문 본상 || [[Face the Sun]] || || {{{-2 1월 19일}}} || 제32회 [[서울가요대상]] || 본상 || || || {{{-2 2월 10일}}} || 30주년 [[한터뮤직어워즈]] 2022 || 본상 || || ||<|2> {{{-2 2월 18일}}} ||<|2> [[써클차트 뮤직 어워즈]] 2022 || 올해의 남자 그룹상 || [[HOT]] || || 올해의 가수상 앨범 부문 2분기 || [[Face the Sun]] || || {{{-2 8월 10일}}} || 2023 K글로벌 [[하트 드림 어워즈]] || 본상 || || ||<|2> {{{-2 10월 10일}}} ||<|2> 제6회 [[더팩트 뮤직 어워즈]] || 올해의 아티스트 ||<|2> || || '''대상''' || || {{{-2 11월 28일}}} ||<|5> 제19회 [[마마 어워즈]] || Worldwide Fans' Choice || || ||<|4> {{{-2 11월 29일}}} || 비비고 Culture & Style || || || 베스트 댄스 퍼포먼스 남자 그룹 || [[FML#s-2.2|손오공]] || || 남자 그룹상 || || || '''Album of the Year''' || [[FML]] || ||<|3> {{{-2 12월 2일}}} ||<|3> 제15회 [[멜론 뮤직 어워드]] || TOP 10 ||<|3> || || 밀리언스 TOP10 || || 베스트 퍼포먼스 남자 || || {{{-2 12월 14일}}} || 제 8회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 '''올해의 앨범 부문 대상''' || [[FML]] || ||<-4> '''2024년''' || ||<|2> {{{-2 1월 3일}}} ||<|2> 제33회 [[서울가요대상]] || 본상 || || || 최고앨범상 || [[FML]] || ||<|3> {{{-3 1월 6일}}} ||<|3> 제38회 [[골든디스크어워즈]] || 디지털 음원 부문 본상 || [[FML#s-2.2|손오공]] || || 음반 부문 본상 ||<|3> [[FML]] || || '''음반 부문 대상''' || ||<|3> {{{-3 1월 10일}}} ||<|3> [[써클차트 뮤직 어워즈]] 2023 || 올해의 리테일 앨범상 || || 올해의 키트 앨범상 || || || 올해의 가수상 - 앨범 부문 || [[SEVENTEENTH HEAVEN]] || ||<|2> {{{-2 2월 18일}}} ||<|2> [[한터뮤직어워즈]] || '''베스트 앨범 부문 대상''' || [[FML]] || || 올해의 아티스트 본상 || || ===# 음악방송 1위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7CAC9, #92A8D1)" '''{{{#fff 세븐틴 음악방송 1위 내역}}}'''}}} || || '''날짜''' || '''수상곡''' || '''수상방송''' || '''비고''' || ||<-4> '''2016년''' || || 5월 4일 ||<|2> '''예쁘다[br](2관왕)''' ||<|2> [[쇼챔피언|[[파일:쇼 챔피언 2019 로고.png|width=60]]]] || '''첫 1위'''[br]첫 케이블 1위 || || 5월 11일 || 2주 연속 || || 12월 15일 ||<|3> '''붐붐[br](3관왕)''' || [[엠 카운트다운|[[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21.svg|width=60]]]] || || || 12월 16일 || [[뮤직뱅크|[[파일:뮤직뱅크 로고 2019.png|width=60&theme=light]][[파일:뮤직뱅크 로고 화이트 2019.png|width=60&theme=dark]]]] || '''첫 지상파 1위''' || || 12월 21일 || [[쇼챔피언|[[파일:쇼 챔피언 2019 로고.png|width=60]]]] || || ||<-4> '''2017년''' || || 5월 30일 ||<|6> '''{{{#FFFFFF 울고 싶지 않아[br](6관왕)}}}''' || [[더 쇼|[[파일:더 쇼 로고(2018-2023).svg|width=60]]]] || || || 6월 2일 || [[뮤직뱅크|[[파일:뮤직뱅크 로고 2019.png|width=60&theme=light]][[파일:뮤직뱅크 로고 화이트 2019.png|width=60&theme=dark]]]] || || || 6월 7일 || [[쇼챔피언|[[파일:쇼 챔피언 2019 로고.png|width=60]]]] || || || 6월 13일 || [[더 쇼|[[파일:더 쇼 로고(2018-2023).svg|width=60]]]] || 2주 연속 || || 6월 14일 || [[쇼챔피언|[[파일:쇼 챔피언 2019 로고.png|width=60]]]] || 2주 연속 || || 6월 15일 || [[엠 카운트다운|[[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21.svg|width=60]]]] || || || 11월 15일 ||<|2> '''{{{#edd9cd 박수[br](2관왕)}}}''' || [[쇼챔피언|[[파일:쇼 챔피언 2019 로고.png|width=60]]]] || [*결방] || || 11월 17일 || [[뮤직뱅크|[[파일:뮤직뱅크 로고 2019.png|width=60&theme=light]][[파일:뮤직뱅크 로고 화이트 2019.png|width=60&theme=dark]]]] || || ||<-4> '''2018년''' || || 2월 14일 ||<|2> '''{{{#FFFFFF 고맙다[br](2관왕)}}}''' || [[쇼챔피언|[[파일:쇼 챔피언 2019 로고.png|width=60]]]] || || || 2월 16일 || [[뮤직뱅크|[[파일:뮤직뱅크 로고 2019.png|width=60&theme=light]][[파일:뮤직뱅크 로고 화이트 2019.png|width=60&theme=dark]]]] || [*결방 [[2018 평창 동계올림픽]]] || || 7월 25일 ||<|3> '''{{{#FFFFFF 어쩌나[br](3관왕)}}}''' || [[쇼챔피언|[[파일:쇼 챔피언 2019 로고.png|width=60]]]] || || || 7월 26일 || [[엠 카운트다운|[[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21.svg|width=60]]]] || || || 7월 27일 || [[뮤직뱅크|[[파일:뮤직뱅크 로고 2019.png|width=60&theme=light]][[파일:뮤직뱅크 로고 화이트 2019.png|width=60&theme=dark]]]] || || ||<-4> '''2019년''' || || 1월 30일 ||<|10> '''{{{#FFFFFF Home[br](10관왕)}}}''' || [[쇼챔피언|[[파일:쇼 챔피언 2019 로고.png|width=60]]]] || || || 1월 31일 || [[엠 카운트다운|[[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21.svg|width=60]]]] || || || 2월 1일 || [[뮤직뱅크|[[파일:뮤직뱅크 로고 2019.png|width=60&theme=light]][[파일:뮤직뱅크 로고 화이트 2019.png|width=60&theme=dark]]]] || || || 2월 2일 || [[쇼! 음악중심|[[파일:쇼! 음악중심 로고(2019).svg|width=60]]]] ||<|2> '''첫 1위''' || || 2월 3일 || [[SBS 인기가요|[[파일:SBS 인기가요 로고 2018.png|width=60]]]] || || 2월 7일 || [[엠 카운트다운|[[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21.svg|width=60]]]] || 2주 연속 || || 2월 8일 || [[뮤직뱅크|[[파일:뮤직뱅크 로고 2019.png|width=60&theme=light]][[파일:뮤직뱅크 로고 화이트 2019.png|width=60&theme=dark]]]] || 2주 연속 || || 2월 13일 || [[쇼챔피언|[[파일:쇼 챔피언 2019 로고.png|width=60]]]] || || || 2월 14일 || [[엠 카운트다운|[[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21.svg|width=60]]]] || 첫 트리플 크라운 || || 2월 15일 || [[뮤직뱅크|[[파일:뮤직뱅크 로고 2019.png|width=60&theme=light]][[파일:뮤직뱅크 로고 화이트 2019.png|width=60&theme=dark]]]] || 첫 트리플 크라운 || || 9월 26일 ||<|2> '''독 : Fear[br](2관왕)''' || [[엠 카운트다운|[[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21.svg|width=60]]]] || || || 9월 27일 || [[뮤직뱅크|[[파일:뮤직뱅크 로고 2019.png|width=60&theme=light]][[파일:뮤직뱅크 로고 화이트 2019.png|width=60&theme=dark]]]] || || ||<-4> '''2020년''' || || 7월 1일 ||<|4> '''Left & Right[br](4관왕)''' || [[쇼챔피언|[[파일:쇼 챔피언 2019 로고.png|width=60]]]] || || || 7월 2일 || [[엠 카운트다운|[[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21.svg|width=60]]]] || || || 7월 3일 || [[뮤직뱅크|[[파일:뮤직뱅크 로고 2019.png|width=60&theme=light]][[파일:뮤직뱅크 로고 화이트 2019.png|width=60&theme=dark]]]] || || || 7월 4일 || [[쇼! 음악중심|[[파일:쇼! 음악중심 로고(2019).svg|width=60]]]] || || || 10월 28일 ||<|4> '''{{{#FFFFFF HOME;RUN[br](4관왕)}}}''' || [[쇼챔피언|[[파일:쇼 챔피언 2019 로고.png|width=60]]]] || || || 10월 29일 || [[엠 카운트다운|[[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21.svg|width=60]]]] || || || 10월 30일 || [[뮤직뱅크|[[파일:뮤직뱅크 로고 2019.png|width=60&theme=light]][[파일:뮤직뱅크 로고 화이트 2019.png|width=60&theme=dark]]]] || || || 11월 1일 || [[SBS 인기가요|[[파일:SBS 인기가요 로고 2018.png|width=60]]]] || [*결방 [[KBO 와일드카드 결정전/2020년|2020 프로야구 포스트시즌 와일드카드 결정전]] 1차전 중계방송] || ||<-4> '''2021년''' || || 6월 25일 ||<|4> '''{{{#ca8dbb R}}}{{{#f4843c ea}}}{{{#57b642 dy}}} {{{#f4ec2a to l}}}{{{#ca8dbb ove}}}[br]{{{#FFFFFF (4관왕)}}}''' || [[뮤직뱅크|[[파일:뮤직뱅크 로고 2019.png|width=60&theme=light]][[파일:뮤직뱅크 로고 화이트 2019.png|width=60&theme=dark]]]] || || || 6월 30일 || [[쇼챔피언|[[파일:쇼 챔피언 2019 로고.png|width=60]]]] || || || 7월 1일 || [[엠 카운트다운|[[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21.svg|width=60]]]] || || || 7월 2일 || [[뮤직뱅크|[[파일:뮤직뱅크 로고 2019.png|width=60&theme=light]][[파일:뮤직뱅크 로고 화이트 2019.png|width=60&theme=dark]]]] || 2주 연속 || || 10월 28일 ||<|4> '''{{{#afafaf Rock With You[br](4관왕)}}}''' || [[엠 카운트다운|[[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21.svg|width=60]]]] || || || 10월 29일 || [[뮤직뱅크|[[파일:뮤직뱅크 로고 2019.png|width=60&theme=light]][[파일:뮤직뱅크 로고 화이트 2019.png|width=60&theme=dark]]]] || || || 11월 3일 || [[쇼챔피언|[[파일:쇼 챔피언 2019 로고.png|width=60]]]] || || || 11월 5일 || [[뮤직뱅크|[[파일:뮤직뱅크 로고 2019.png|width=60&theme=light]][[파일:뮤직뱅크 로고 화이트 2019.png|width=60&theme=dark]]]] || 2주 연속 || ||<-4> '''2022년''' || || 6월 2일 ||<|2> '''Hot[br](2관왕)''' || [[엠 카운트다운|[[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21.svg|width=60]]]] || || || 6월 3일 || [[뮤직뱅크|[[파일:뮤직뱅크 로고 2019.png|width=60&theme=light]][[파일:뮤직뱅크 로고 화이트 2019.png|width=60&theme=dark]]]] || || || 7월 27일 ||<|5> '''{{{#41AD48 _WORLD[br](5관왕)}}}''' || [[쇼챔피언|[[파일:쇼 챔피언 2019 로고.png|width=60]]]] || || || 7월 28일 || [[엠 카운트다운|[[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21.svg|width=60]]]] || || || 7월 29일 || [[뮤직뱅크|[[파일:뮤직뱅크 로고 2019.png|width=60&theme=light]][[파일:뮤직뱅크 로고 화이트 2019.png|width=60&theme=dark]]]] || || || 7월 31일 || [[SBS 인기가요|[[파일:SBS 인기가요 로고 2022.png|width=60]]]] || || || 8월 4일 || [[엠 카운트다운|[[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21.svg|width=60]]]] || 2주 연속 || ||<-4> '''2023년''' || || 5월 3일 ||<|5> '''손오공[br](5관왕)''' || [[쇼챔피언|[[파일:쇼 챔피언 2019 로고.png|width=60]]]] || || || 5월 4일 || [[엠 카운트다운|[[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21.svg|width=60]]]] || || || 5월 5일 || [[뮤직뱅크|[[파일:뮤직뱅크 로고 2019.png|width=60&theme=light]][[파일:뮤직뱅크 로고 화이트 2019.png|width=60&theme=dark]]]] || || || 5월 6일 || [[쇼! 음악중심|[[파일:쇼! 음악중심 로고(2019).svg|width=60]]]] || || || 5월 7일 || [[SBS 인기가요|[[파일:SBS 인기가요 로고 2022.png|width=60]]]] || || || 11월 1일 ||<|5> '''{{{#e60012 음악의 신[br](5관왕)}}}''' || [[쇼챔피언|[[파일:쇼 챔피언 2019 로고.png|width=60]]]] || || || 11월 2일 || [[엠 카운트다운|[[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21.svg|width=60]]]] || || || 11월 3일 || [[뮤직뱅크|[[파일:뮤직뱅크 로고 2023.png|width=60&theme=light]][[파일:뮤직뱅크 로고 화이트 2019.png|width=60&theme=dark]]]] || || || 11월 4일 || [[쇼! 음악중심|[[파일:쇼! 음악중심 로고(2019).svg|width=60]]]] || || || 11월 5일 || [[SBS 인기가요|[[파일:SBS 인기가요 로고 2022.png|width=60]]]] || || ||<-4> '''2024년''' || || 5월 8일 ||<|4> '''{{{#fff MAESTRO[br](4관왕)}}}''' || [[쇼챔피언|[[파일:쇼 챔피언 (2024) 로고.png|width=50]]]] || || || 5월 9일 || [[엠 카운트다운|[[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24.png|width=60]]]] || || || 5월 10일 || [[뮤직뱅크|[[파일:뮤직뱅크 로고 2023.png|width=60&theme=light]][[파일:뮤직뱅크 로고 화이트 2019.png|width=60&theme=dark]]]] || || || 5월 11일 || [[쇼! 음악중심|[[파일:쇼! 음악중심 로고(2019).svg|width=60]]]]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7CAC9, #92A8D1)" '''{{{#fff 세븐틴 음악 방송별 1위 내역}}}'''}}} || || '''프로그램''' || '''1위 횟수''' || '''트리플 크라운 횟수''' || || [[더 쇼]] || 2회 || - || || [[쇼챔피언]] || 18회 || - || || [[엠 카운트다운]] || 17회 || 1회 || || [[뮤직뱅크]] || 20회 || 1회 || || [[쇼! 음악중심]] || 5회 || - || || [[SBS 인기가요]] || 5회 || - || || '''합계''' || 67회 || 2회 || == [[/콘텐츠|콘텐츠]] == [include(틀:세븐틴/콘텐츠)] == [[/V LIVE|V LIVE]]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세븐틴/V LIVE)] == [[/Weverse|Weverse]]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세븐틴/Weverse)] == [[/활동|활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세븐틴/활동)] === [[/음악 방송|음악 방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세븐틴/음악 방송)] ==== [[/음악 방송 직캠|음악 방송 직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세븐틴/음악 방송 직캠)] == [[CARAT|팬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CARAT)] === [[/응원법|응원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세븐틴/응원법)] ==# [[/공연|공연]] #== 세븐틴은 그룹 내 세 가지 고정 유닛이 존재한다는 특징을 이용해 회차별로 스페셜 유닛 데이를 기획하며 다른 아이돌 그룹의 공연과는 차별화된 전략을 꾀하고 있다. '''매번 다른 세트리스트와 다른 내용'''으로 무대를 다채롭게 꾸미는 것이 가장 큰 강점이며, 이 방식을 팬미팅과 팬사인회에도 그대로 적용해 진행한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세븐틴/공연)] ===# 국내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7CAC9, #92A8D1)" '''{{{#fff SEVENTEEN DOMESTIC CONCERT LIST}}}'''}}} || || 포스터 || 공연명 || 일자 || 장소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공연#s-3.1|[[파일:SVT_2015CONCERT_1.jpg|width=100%]]]]}}}|| '''[[/공연#s-3.1|{{{#000,#fff 2015[br]}}}]]''' || 2015.12.24[br]~ 2015.12.26 || [[서울]][br]용산아트홀 대극장미르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공연#s-3.2|[[파일:SVT_2016CONCERT_1.jpg|width=100%]]]]}}}|| '''[[/공연#s-3.2|{{{#000,#fff 2016[br][br]ENCORE CONCERT}}}]]''' || 2016.02.13[br]~ 2016.02.14 || [[서울]][br][[SK핸드볼경기장|SK올림픽핸드볼경기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공연#s-3.3|[[파일:SVT_2016CONCERT_2.jpg|width=100%]]]]}}}|| '''[[/공연#s-3.3|{{{#000,#fff 2016[br]}}}]]''' || 2016.07.30[br]~ 2016.07.31 || [[서울]][br][[잠실실내체육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공연#s-3.4|[[파일:SVT_2017CONCERT_2.jpg|width=100%]]]]}}}|| '''[[/공연#s-3.4|{{{#000,#fff 2017 SEVENTEEN 1ST WORLD TOUR[br] IN SEOUL}}}]]''' || 2017.07.14[br]~ 2017.07.16 || [[서울]][br]잠실종합운동장 내[br]보조경기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공연#s-3.5|[[파일:SVT_2018CONCERT_2.jpg|width=100%]]]]}}}|| '''[[/공연#s-3.5|{{{#000,#fff 2018 SEVENTEEN CONCERT[br] IN SEOUL}}}]]''' || 2018.06.28[br]~ 2018.07.01 || [[서울]][br][[잠실실내체육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공연#s-3.6|[[파일:SVT_2018CONCERT_4.jpg|width=100%]]]]}}}|| '''[[/공연#s-3.6|{{{#000,#fff 2018 SEVENTEEN CONCERT[br] IN SEOUL}}}]]''' || 2018.11.03[br]~ 2018.11.04 ||<|2> [[서울]][br][[올림픽체조경기장#s-2.5]]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공연#s-3.7|[[파일:SVT_2019CONCERT_2.jpg|width=100%]]]]}}}|| '''[[/공연#s-3.7|{{{#000,#fff 2019 SEVENTEEN 2ND WORLD TOUR[br] IN SEOUL}}}]]''' || 2019.08.30[br]~ 2019.09.01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공연#s-6.1|[[파일:in-complete.jpg|width=100%]]]]}}}|| '''[[/공연#s-6.1|{{{#000,#fff 2021 SEVENTEEN ONLINE CONCERT <IN-COMPLETE>}}}]]''' || 2021.01.23 ||<|2> 온라인 콘서트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공연#s-6.2|[[파일:세븐틴 POWER OF LOVE 포스터.jpg|width=100%]]]]}}}|| '''[[/공연#s-6.2|{{{#000,#fff 2021 SEVENTEEN ONLINE CONCERT <POWER OF LOVE>}}}]]''' || 2021.11.14~2021.11.21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공연#s-6.3|[[파일:bethesun0625.jpg|width=100%]]]]}}}|| '''[[/공연#s-6.3|{{{#000,#fff 2022 SEVENTEEN CONCERT[br]< BE THE SUN> IN SEOUL}}}]]''' || 2022.06.25[br]~ 2022.06.26 || [[서울]][br][[고척 스카이돔]]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공연#s-6.4|[[파일:SEVENTEEN TOUR FOLLOW TO SEOUL.jpg|width=100%]]]]}}}|| '''[[/공연#s-6.3|{{{#000,#fff 2023 SEVENTEEN CONCERT[br]< FOLLOW> TO SEOUL}}}]]''' || 2023.07.21[br]~ 2023.07.22 || [[서울]][br][[고척 스카이돔]] || ===# 일본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7CAC9, #92A8D1)" '''{{{#fff SEVENTEEN JAPAN CONCERT LIST}}}'''}}} || || 포스터 || 분류 || 공연명 || 일자 || 장소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공연#s-4.1|[[파일:SVT_2016CONCERT_3.jpg|width=100%]]]]}}}|| 일본 콘서트 || '''[[/공연#s-4.1|{{{#000,#fff 2016[br][br]in Japan}}}]]''' || 2016.08.05[br]~ 2016.08.09 || [[일본]][br][[오사카]], [[도쿄]]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공연#s-4.2|[[파일:SVT_2017CONCERT_1.jpg|width=100%]]]]}}}|| 일본 콘서트 || '''[[/공연#s-4.2|{{{#000,#fff 2017 SEVENTEEN JAPAN CONCERT[br]}}}]]''' || 2017.02.15[br]~ 2017.02.22 || [[일본]][br][[고베]], [[요코하마]]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공연#s-4.3|[[파일:SVT_2018CONCERT_1.jpg|width=100%]]]]}}}|| 일본[br]아레나 투어 || '''[[/공연#s-4.3|{{{#000,#fff 2018 SEVENTEEN JAPAN ARENA TOUR[br]「SVT」}}}]]''' || 2018.02.21[br]~ 2018.03.07 || [[일본]][br][[요코하마]], [[오사카]], [[나고야]]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공연#s-4.4|[[파일:SVT_2019CONCERT_1.jpg|width=100%]]]]}}}|| 일본[br]전국 투어 || '''[[/공연#s-4.4|{{{#000,#fff 2019 SEVENTEEN JAPAN TOUR[br]「HARU」}}}]]''' || 2019.04.02[br]~ 2019.04.27 || [[일본]][br][[후쿠오카]] 등 5개 지역 || ===# 해외 투어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7CAC9, #92A8D1)" '''{{{#fff SEVENTEEN TOUR LIST}}}'''}}} || || 포스터 || 분류 || 공연명 || 일자 || 장소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공연#s-5.1|[[파일:SVT_2016CONCERT_4.jpg|width=100%]]]]}}}|| 아시아 투어 || '''[[/공연#s-5.1|{{{#000,#fff 2016 SEVENTEEN 1ST ASIA TOUR[br]}}}]]''' || 2016.08.13[br]~ 2016.09.11 || [[싱가포르]] 등[br]8개국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공연#s-5.2|[[파일:SVT_2017CONCERT_3.jpg|width=100%]]]]}}}|| 월드 투어 || '''[[/공연#s-5.2|{{{#000,#fff 2017 SEVENTEEN 1ST WORLD TOUR[br]}}}]]''' || 2017.07.26[br]~ 2017.10.06 || [[일본]] 등[br]11개국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공연#s-5.3|[[파일:SVT_2018CONCERT_3.jpg|width=100%]]]]}}}|| 아시아 투어 || '''[[/공연#s-5.3|{{{#000,#fff 2018 SEVENTEEN 2ND ASIA TOUR[br]}}}]]''' || 2018.08.31[br]~ 2018.10.07 || [[홍콩]] 등[br]6개국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공연#s-5.4|[[파일:SVT_2019CONCERT_3.jpg|width=100%]]]]}}}|| 월드 투어 || '''[[/공연#s-5.4|{{{#000,#fff 2019 SEVENTEEN 2ND WORLD TOUR[br]}}}]]''' || 2019.10.08 [br]~ 2020.02.08 || [[일본]] 등[br] 10개국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공연#s-5.5|[[파일:BE THE SUN.jpg|width=100%]]]]}}}|| 월드 투어 || '''[[/공연#s-5.5|{{{#000,#fff 2022 SEVENTEEN WORLD TOUR[br]}}}]]''' || 2022.06.25 [br]~ 2022.12.30 || [[미국]] 등[br] || ===# 팬미팅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7CAC9, #92A8D1)" '''{{{#fff SEVENTEEN FAN MEETING LIST}}}'''}}} || || 포스터 || 분류 || 공연명 || 일자 || 장소 || ||{{{#!wiki style="margin: -5px -10px" [[/공연#s-7.1|[[파일:SVT_1STFANMEET.jpg|width=100%]]]]}}}|| 국내 팬미팅 || '''[[/공연#s-6.1|{{{#000,#fff 2017 SEVENTEEN 1ST FAN MEETING[br]}}}]]''' || 2017.02.10[br]~ 2017.02.12 || [[서울]][br][[잠실실내체육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공연#s-7.2|[[파일:SVT_2NDFANMEET.jpg|width=100%]]]]}}}|| 국내 팬미팅 || '''[[/공연#s-6.2|{{{#000,#fff 2018 SEVENTEEN 2ND FAN MEETING[br]}}}]]''' || 2018.02.02[br]~ 2018.02.03 || [[서울]][br][[잠실실내체육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공연#s-7.3|[[파일:SVT_3RDFANMEET.jpg|width=100%]]]]}}}|| 국내 팬미팅 || '''[[/공연#s-6.3|{{{#000,#fff 2019 SEVENTEEN 3RD FAN MEETING[br]}}}]]''' || 2019.03.08[br]~2019.03.10 || [[서울]][br][[잠실실내체육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공연#s-7.4|[[파일:SVT_4THFANMEET.jpg|width=100%]]]]}}}|| 온라인 팬미팅 || '''[[/공연#s-6.4|{{{#000,#fff 2020 SEVENTEEN 4TH FAN MEETING[br]}}}]]''' || 2020.08.30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공연#s-7.5|[[파일:SVT_5THFANMEET .jpg|width=100%]]]]}}}|| 온라인 팬미팅 || '''[[/공연#s-6.5|{{{#000,#fff 2021 SEVENTEEN 5TH FAN MEETING[br]}}}]]''' || 2021.08.08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공연#s-7.6|[[파일:2022 SVT 6TH FAN MEETING SEVENTEEN in CARAT LAND.jpg|width=100%]]]]}}}|| 국내 & 온라인 팬미팅 || '''[[/공연#s-6.6|{{{#000,#fff 2022 SEVENTEEN 6TH FAN MEETING[br]}}}]]''' || 2022.03.25[br]~2022.03.27 || [[서울종합운동장 보조경기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공연#s-7.7|[[파일:2023+SVT+CARAT+LAND_84E1A684E1B586E19185E18985E19085%A5_.jpg|width=100%]]]]}}}|| 국내 & 온라인 팬미팅 || '''[[/공연#s-6.7|{{{#000,#fff 2023 SEVENTEEN 7TH FAN MEETING[br]}}}]]''' || 2023.03.10[br]~2023.03.12 || [[KSPO DOME]] || == [[/광고|광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세븐틴/광고)] == 여담 == ## 나무위키:편집지침/일반 문서 > 금지 및 제한되는 서술 - 인물 문서에서 근거가 확인되지 않는 프로필 및 '여담' 서술 (본관, 신체, 출생, 종교, 취미, MBTI, 롤모델 등) * 중소 기획사에서 9명 이상의 다인원 그룹을 성공시킨 것은 세븐틴이 이례적인 사례이다. * 멤버들의 플레디스 입사 순서는 에스쿱스(2009.11) → 우지(2011.04) → 호시(2011.09) → 민규(2011.10) → 원우(2011.11) → 버논(2012.02) → 승관(2012.03) → 디노(2012.03) → 준(2012.10) → 도겸(2012.11) → 조슈아(2013.02) → 정한(2013.03) → 디에잇(2013.12) 순이다. * 13명 중 10명[* [[에스쿱스]], [[정한]], [[조슈아(세븐틴)|조슈아]], [[준(세븐틴)|준]], [[호시]], [[디에잇]], [[민규(세븐틴)|민규]], [[승관]], [[버논(세븐틴)|버논]], [[디노(세븐틴)|디노]]]이 길거리 캐스팅으로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에 입사했으며 멤버 전원이 첫 회사에서 [[데뷔]]에 성공했다. [[원우(세븐틴)|원우]], [[우지(세븐틴)|우지]], [[도겸(세븐틴)|도겸]]은 오디션으로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에 입사했다. * 나이 서열을 철저하게 출생연도로 계산한다. 아무래도 인원이 많아서 그런지라 [[빠른 생일]]을 당연히 인정하지 않으며 학번은 물론 [[입춘]], [[음력]], 심지어는 빠른 생일도 아닌 본 나이에 [[조기입학]] 또는 [[입학유예]]한 것 등도 인정을 안 한다. 멤버 중 [[도겸(세븐틴)|도겸]], [[승관]], [[버논(세븐틴)|버논]], [[디노(세븐틴)|디노]]가 각각 97년, 98년, 99년 1~2월생이지만, 족보 꼬임을 방지하기 위해서 96년, 97년, 98년생 멤버들과 [[형]], [[친구]], [[동생]] 사이로 지내고 있다. 다만, 승관과 디노는 빠른 생일에 만 6세에 97년, 98년생들과 함께 초등학교에 입학하고 고등학교도 한 학년 일찍 졸업한 반면[* 그래서 같은 고등학교에 다녔던 승관과 민규는 형동생 사이지만 같은 학년이었다.], 도겸과 버논은 빠른을 안 치고 [[입학유예]]를 해서 만 7세에 동년 3월 이후생들과 함께 본 나이대로 입학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kBUmyVd412A|족보정리]][* 비슷한 사례로 [[우주소녀]] 멤버들이 있다. [[우주소녀#s-9|문서]] 참고.] 2023년 6월 28일부로 시행되는 만 나이 폐지로 족보가 꼬이는 것에 대해 우려하는 의견이 있으나, 전혀 해당되지 않는다. 애초에 출생연도로 합의되었고 서로 형, 동생, 친구 사이가 너무나 명확하기 때문. * 그러나 형, 동생 호칭이 생략되는 일이 많다. 일단 멤버가 3명 이상 모여 있으면 기본 호칭이 "얘들아"이며 동생 멤버가 형 멤버를 "야"라고 부르는 경우도 자주 있기 때문에 멤버들의 나이를 정확히 인식하지 않고 리얼리티 방송 등을 보면 혼동을 느끼게 된다. 심지어 형라인 멤버들이 반말이나 호칭 생략에 개의치 않는 성격들이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특히 [[원우(세븐틴)|원우]]는 [[에스쿱스|9]][[정한|5]] [[조슈아(세븐틴)|형]]들의 이름을 호칭 생략하고 '쿱스' '정한이' '슈아' 등으로 부르기 일쑤이며, 부루살이라는 별명까지 있는 [[승관]] 역시 형들을 이름이나 '야'라고 부를 때가 잦다. 이외에도 [[민규(세븐틴)|민규]]와 [[준(세븐틴)|준]]은 동생들에게 이름으로 불릴 때랑 형으로 불릴 때가 비슷비슷한 수준이며, [[디노(세븐틴)|디노]]는 대체로 모든 형에게 호칭을 꼬박꼬박 붙이는 편이지만 입사 시기도 비슷하고 아웅다웅하는 사이인 승관에게는 예외이다.[* 게다가 97-98-99에는 빠른 생일 라인이 껴있기 때문에 특히나 서로에게 형동생 개념이 희박하다. 그나마 예외가 [[디에잇]].] 오죽하면 반말틴으로 불릴 정도다. * 신장이 비슷한 멤버들이 많지만[* 178 후반~180 초반에 많이 분포된 편이다.] 막상 나란히 평지에 서있을 때 꽤 신장의 차이가 나는 편이라 일부 멤버를 제외한 나머지 멤버들의 키를 혼동하는 경우가 잦다. 그래도 멤버들이 직접 밝힌 신장과 아이돌룸 일렬댄스, 시상식 내 2줄 배열[* 골든디스크 백스테이지 인터뷰 참고. 앞줄이 상대적으로 키가 작은 멤버, 뒷줄이 상대적으로 키가 큰 멤버들이 뒤에 섰다. 앞줄: 에스쿱스, 정한, 호시, 우지, 승관, 디노/ 뒷줄: 조슈아, 준, 원우, 디에잇, 도겸, 민규, 버논 ]등을 고려한다면 키 순 자체는 우지-디노-승관-호시-정한-에스쿱스-조슈아[* 나무위키 프로필상으로는 정한, 에스쿱스보다 작은 177cm이지만 키 순서대로 설 때마다 조슈아가 둘보다 뒤에 서있다. ]-도겸[* 키에 관해 팬들이 혼돈을 자주 겪는 멤버이다. 현재 알려진 키는 178cm로 에스쿱스, 정한 그리고 버논과 동일한 신장이지만 나란히 설 때면 키카 더 커 팬들은 도겸이 그 전에 이야기했던 180cm가 실제 신장일 것이라고 추측한다. ]-버논[* 세븐틴 멤버들 중 가장 많이 성장한 멤버이다. 도겸과 비슷한 케이스로 본인은 현재 신장이 178이라고 하지만 178cm인 멤버와 신장의 차이가 꽤 나기 때문에 팬들이 잘 믿지 않는다. ]-디에잇-원우-준[* 영통팬싸에서 한 원우의 말에 따르면 준과 원우는 비슷하거나 준이 더 크다고 한다. ]-민규 로 추리한다. * 세븐틴 데뷔 직후인 [[2015년]] [[7월]], 야외에서 미니 팬미팅을 진행했을 때 약 600명이라는 예상치 못한 수의 팬들이 모인 것을 보고 스탭이 울었다고 한다. 그리고 약 4개월 후인 [[11월 8일]]엔 광운대학교 동해문화예술관 대극장의 2000석을 모두 채우며 두 번째 미니 팬미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 [[2015년]] [[데뷔]] 리얼리티 <세븐틴 프로젝트>, [[2016년]] 생존 리얼리티 <세븐틴의 어느 멋진 날 : 13소년 표류기>, [[2017년]] 여행 리얼리티 <세븐틴의 어느 멋진날 in JAPAN>, [[2018년]] 관찰 리얼리티 을 방송하며 4년 연속으로 리얼리티를 촬영한 기록이 있다.[* [[2019년]]부터는 자체 컨텐츠인 GOING SEVENTEEN의 포맷이 정착되면서 방송국 리얼리티에는 출연하지 않고 있다.] * [[2016년]] 말 세 번째 미니 앨범 [[타이틀곡]] '붐붐'부터는 응원법도 본인들이 직접 만들고 있다. 13명의 이름을 총알처럼 수 초 안에 내뱉어야 하는 구간이 반드시 들어가는데, 곡이 새로 나올 때마다 속도가 빨라져 팬들을 래퍼로 만들 셈이냐는 우스갯소리도 나올 정도. 어째서인지 연차를 거듭할수록 이 응원법을 어렵게 만들어야 한다는 일종의 사명감(?)까지 느끼는 듯싶은데, 이름 역순 응원법에 이어 멜로디를 넣어서 이름 부르기, 페이드아웃으로 이름 부르기 등등.. 심지어 [[2022년]] 캐럿랜드 게임 코너에서는 '숨이 차'에 등장하는 이름순-이름역순 응원법을 정확히 재현하는 문제가 나왔는데 힌트를 받고도 아무도 성공하지 못했다. 특히 [[HIT(세븐틴)|HIT]] 응원법과 [[숨이차]] 응원법이 레전드로 손꼽힌다. [[https://youtu.be/-JLeQLoEYKA|직접 보자]], [[https://youtube.com/shorts/49fk0tmrqe8?feature=share3|직접 보자2]]. 덧붙이자면 세븐틴보다 캐럿들의 파트가 더 많다고(...) * 한 방송에서 고향에 갈 때 이용하는 교통편으로 새롭게 유닛을 나눠 본 적이 있는데, ||수도권 멤버 → 지하철 - [[정한]], [[호시]], [[도겸(세븐틴)|도겸]], [[민규(세븐틴)|민규]] 지방 멤버 → 버스 및 기차 - [[에스쿱스]], [[원우(세븐틴)|원우]], [[우지(세븐틴)|우지]], [[디노(세븐틴)|디노]] 해외 및 제주도 → 비행기 - [[조슈아(세븐틴)|조슈아]], [[준(세븐틴)|준]], [[디에잇]], [[승관]], [[버논(세븐틴)|버논]] || 각각 멤버가 힙합팀 1명, 보컬팀 2명, 퍼포먼스팀 1명 / 힙합팀 2명, 보컬팀 1명, 퍼포먼스팀 1명 / 힙합팀 1명, 보컬팀 2명, 퍼포먼스팀 2명으로 구성되어 또 다른 의외의 밸런스를 자랑하기도 했다. * 심지어 형제자매의 구성으로도 팀이 나뉜다(...) 유일하게 형이 있는 [[에스쿱스]]를 제외하면 '''여동생''' 있는 멤버 3명[* [[정한]], [[민규(세븐틴)|민규]], [[버논(세븐틴)|버논]]] / '''남동생''' 있는 멤버 3명[* [[준(세븐틴)|준]], [[원우(세븐틴)|원우]], [[디노(세븐틴)|디노]]] / '''누나''' 있는 멤버 3명[* [[호시]], [[도겸(세븐틴)|도겸]], [[승관]]. 놀랍게도 [[부석순]]이다.] / '''외동'''인 멤버 3명[* [[조슈아(세븐틴)|조슈아]], [[우지(세븐틴)|우지]], [[디에잇]]]으로 절묘한 밸런스가 있다. * 여기에 한 술 더 떠 '''예명을 사용하는 멤버'''[* [[에스쿱스]], [[준(세븐틴)|준]], [[호시]], [[우지(세븐틴)|우지]], [[디에잇]], [[도겸(세븐틴)|도겸]], [[디노(세븐틴)|디노]]]와 '''예명을 사용하지 않는 멤버'''[* [[정한]], [[조슈아(세븐틴)|조슈아]], [[원우(세븐틴)|원우]], [[민규(세븐틴)|민규]], [[승관]], [[버논(세븐틴)|버논]]. 조슈아와 버논은 각각 홍지수, 최한솔이라는 한국명이 존재하지만 둘 다 미국 국적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조슈아와 버논이 본명이다. 단 버논의 경우 한/미 복수국적이라 최한솔도 본명이긴 하다.]로도 팀이 나뉜다. * 2020년까지 해외 일정이 있을 때마다 2인 1객실로 지냈다. 멤버들 중 정한-도겸, 조슈아-호시, 우지-버논은 단골 룸메이트 라인이었다.[* 정한과 도겸은 자타 공인 고정 수준이었으며 조슈아-호시, 우지-버논도 반고정 수준이었다.] 그러나 2022년 BE THE SUN 투어를 기점으로 1인 1객실을 사용하고 있다.[* 다만 짧게 공개되는 영상이나 멤버들의 언급으로 알 수 있듯이, 혼자 방을 쓰니 심심해서 서로의 객실을 제 방마냥 드나들며 함께 노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그냥 잠만 따로 자는 수준이다.] * 공연 등 행사가 있는 날과 비 소식이 자주 겹치는 이유 모를 [[징크스]]가 있다. 하도 비를 몰고 다닌다고 해서 ''''비븐틴''''이라는 별명이 생길 정도. 본인들도 이를 잘 알고 있어서 [[에스쿱스]]는 "하늘이 우리가 만나는 걸 질투해서 그런 거예요." 라고 말하기도 했다. 결국 이러한 상황에 팬들도 체념하다시피 하고 멤버들도 점차 익숙해하던 와중, [[https://www.instiz.net/name_enter?no=61304276|유달리 미끄러웠던 어느 무대]][* 다만 이때는 무대가 미끄러웠을 뿐 비는 오지 않았다고 한다.]에서는 적응하다 못해 즐기는 모습까지 보이며 웃음을 자아냈다. 심지어 코로나바이러스-19 상황 이후 약 2년 만의 대면 행사[* 21년 말일 진행한 위버스 콘서트도 대면이었지만, 당시에는 다른 그룹도 함께 출연했기 때문에 오로지 세븐틴만의 대면 행사는 거의 2년 만이다.]였던 캐럿랜드 첫날마저도 비가 왔다. 이날은 멤버들이 캐럿들이 비를 맞고 있는 것을 보고 비도 함께 맞아야 한다며 뒤쪽에 비를 맞지 않는 자리에 의자를 마련해 주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러 의자를 앞으로 끌어와 앉아 감동을 주기도 했다. [[https://youtu.be/ben9DERocok?si=tkUJRMSYUH9lBzjR|#]] * 데뷔 초, 멤버들 사이에서 일명 "엉뺨"이라고 불리는 세븐틴만의 벌칙 동작이 있었다. 게임에 진 멤버의 머리를 고정시키고 [[https://youtu.be/pk_HzHllVrg|뺨을 엉덩이로 날려버리는 것]]으로, 원래 안무 연습을 할 때 틀린 사람에게 선사하기 위해 만들어진 벌칙이라고 한다. 당해본 당사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아프진 않지만 매우 굴욕적인 기분이 들어 무조건 안 틀린다는 결심을 하게 된다고. 이 동작의 창시자는 [[정한]]이다. * 멤버 모두 별도의 개인 SNS 없이 공용 SNS 계정을 사용했지만 [[2018년]]부터 멤버들의 개인 [[인스타그램]] 계정이 하나 둘 생성되고 있다. 2019년 시점에서 개인 계정을 보유했던 멤버는 [[디에잇]], [[민규(세븐틴)|민규]], [[승관]], [[조슈아(세븐틴)|조슈아]], [[버논(세븐틴)|버논]], [[우지(세븐틴)|우지]], [[에스쿱스]]. 다만 [[2019년]]경 본 활동에 집중하기 위해 멤버들의 동의 후 운영을 중지했다가 [[2020년]] 들어 [[디에잇]]과 [[승관]]이 개인 계정으로 세븐틴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의 게시글에 댓글을 남기는 게 종종 포착되더니, [[2021년]] 4월부터는 [[승관]]을 시작으로 다른 멤버들의 SNS 활동이 다시 시작되었다. 그리고 [[2021년]] 7월 기존에 개인 인스타그램 계정이 없었던 [[도겸(세븐틴)|도겸]], [[정한]], [[원우]], [[호시]]가, 8월에는 [[준(세븐틴)|준]]이 인스타그램 계정을 개설했고, [[2022년]] 4월에 [[디노(세븐틴)|디노]]가 인스타그램 계정을 개설하면서 모든 멤버의 개인 SNS가 개설되었다. * 그룹의 이름을 활용해 '○○틴'의 형태로 만들어진 별명들이 꽤 있다. ○○ 안에 세븐틴의 캐릭터성이 들어가는 방식으로 게임틴, 예능틴, 몰입틴[* 자체 콘텐츠 GOING SEVENTEEN 에피소드 내의 컨셉이나, 각자 캐릭터 컨셉(예를 들면 [[호시]]의 호랑이 등)에 유난히 몰입하는 모습을 보고 지어진 별명이다.] 등이 있다. 특히 게임틴은 유명한데, 하루 종일 게임을 해서 벌칙자를 뽑아놓고는 그 벌칙자들 중 몰아주기를 위해 또 게임을 하는 식이다. 심지어 2021년까지도 연습실 청소 멤버 2명을 뽑기 위해 게임을 하는 걸 INSIDE SEVENTEEN에서도 빈번하게 찾아볼 수 있다.[* 컨텐츠에서는 다양한 게임에 도전하는 것과 달리 청소당번 정하기 게임의 포맷은 눈치게임 후 가위바위보로 포맷이 반고정되어 있다. 가끔 세븐틴 시그니처 던지기 게임 등으로 바리에이션을 주기는 한다.] 게임틴적 면모가 돋보이는 컨텐츠로는 [[https://youtu.be/XbNcsgEX2jc|GOING SEVENTEEN 2019 놀이터편]], [[https://youtu.be/8xZqsdb3hso|GOING SEVEENTEEN 2020 마우스버스터즈 마지막 편]]등이 있다. [[마피아(게임)|마피아 게임]]을 100번 넘게 해봤다[* 실제로 고잉세븐틴을 비롯해 마피아 게임을 하는 영상을 굉장히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여담으로 자체로 진행하는 경우 [[정한]]이 사회자를 맡는 것이 국룰(?)인데, 어떤 생각을 하는지 도저히 알 수 없기--쟤는 마피아여도 아닌 척하고 마피아 아니어도 마피아인 척을 해요-- 때문이라고 한다.]고 얘기하기도 했고, 2020년 기준으로는 새롭게 홍삼게임에 몰입하고 있는 듯하다.[* 이 게임을 해본 적 있는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사람이 13명 정도 되면 세븐틴 수준으로 오래 이어지는 게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홍삼게임은 호시가 무척 좋아한다. * 리더 [[에스쿱스]]를 빼고 모두 형이 없는데 이 말인즉슨, 12명이 장남이라는 말이다.[* 멤버 중 [[호시]], [[도겸(세븐틴)|도겸]], [[승관]]은 누나가 있고, 나머지는 외동이거나 맏이이다.] * 웃기는 것에 진심인 그룹이다. 본인이 한 건 해내지 못했다는 생각이 들면 내내 침울해있을 정도이다. 참신하고 기발한 개그를 한 멤버에게 "좋았다, 좋았다" 감탄을 아끼지 않는 편. 자체 컨텐츠 [[GOING SEVENTEEN]]의 재미있으면 반칙이나 편법을 허용한다는 룰부터 컨텐츠 하나하나에 멤버들이 얼마나 진심인지 확인할 수가 있다. 유난히 이 부분에 진심인 [[조슈아(세븐틴)|조슈아]]는 관련 질문을 받자 '멤버들이 '''다 받아주니까''' 자신감이 생겨서 더 그러는 것 같다' 라고 답변한 바 있다.[* 이를 본 팬들은 '개그 온실 속의 화초들 같다' 라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 선배 가수에 대한 팬심이 대단하다. 멤버들 대다수가 2세대 아이돌들이 활약하던 황금기에 학창 시절을 보낸 탓에, 스케줄이 겹치는 일이 생기면 동료 가수끼리의 만남보다는 팬미팅 현장을 연상케 한다.[[하이라이트(아이돌)|하이라이트]]나 [[블락비]], [[FT아일랜드]] 등등 선배 아이돌이 DJ를 맡고 있는 [[라디오]]에 출연할 때마다 그 그룹의 노래를 불러주거나, 번호를 따고 싶다고 적극적으로 [[대시]]하는 모습을 보면 [[덕심]]의 깊이를 바로 알 수 있을 정도. 그 덕에 해당 DJ의 [[팬덤]]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게 되는 경우도 많다. 콘서트를 보러 가거나 화환을 보내주고 개인적인 만남과 연락도 서슴지 않는 편. 그 밖에도 [[호시]]는 샤이니, [[승관]]은 원더걸스, [[디노(세븐틴)|디노]]는 에이핑크의 팬이라고 밝힌 바 있다. * 데뷔 동기인 [[몬스타엑스]]와는 팬들끼리도 사이가 좋을 정도로 [* 팬들 사이에선 이 둘을 합쳐 몬븐틴이라고 부른다]데뷔 때부터 특별한 친분을 과시해 왔는데, 각종 방송에서 서로의 이름을 언급하고 몬스타엑스는 브이앱에서 HIT 뮤비 리액션을 하거나 세븐틴은 몬스타엑스의 노래를 자주 부르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 특히 [[호시]]가 [[주헌]]의 랩을, [[승관]]이 [[아이엠]]의 랩을 도맡아 부르는 모습을 자주 보여주었다.] * [[구기]]를 매우 좋아한다. 고잉 세븐틴부터 각종 비하인드 영상까지 정말 쉴 새 없이 공을 갖고 노는 것을 볼 수 있다. 물론 모든 멤버가 좋아하는 것은 아니고, 좋아하지 않는 멤버[* 조슈아, 준, 호시, 원우. 이 넷은 구기와 성향 자체가 잘 맞지 않는 멤버들이다. 멤버들에 맞춰 단체 경기는 참여하지만, 일반적인 휴식시간에는 사실상 아예 참여하지 않는다. 그나마 조슈아가 비하인드 영상에서 승관과 농구하는 모습이 나오거나, 월드컵을 보고 Weverse에 소감을 올리는 등 나름 즐기는 모습을 보인다.]부터, 구기 종목에 따라 참가하는 멤버[* 디에잇, 버논. 현재(2023.01.26)를 기준으로 디에잇은 농구에 자주 참여하며, 족구에도 종종 참여하는 모습을 보인다. 반대로 버논은 농구에선 아예 모습을 보이지 않았으나 테니스, 풋살 등 다른 구기 스포츠에는 모습을 보인다. ], 구기를 할 때 안 보이면 허전할 수준의 멤버[* 에스쿱스, 정한, 우지, 도겸, 민규, 승관, 디노. 이 중에서도 정한, 도겸, 민규, 승관은 단골 멤버이다.]들까지 나뉘어 있다. 그래도 이들 전체가 참여하는 것만 헤아려도 충분히 많을 정도로 자주 한다. 지금까지 하는 것을 보여주거나, 인증샷이 올라온 구기 종목은 축구, '''풋살''', '''족구'''[* 사실상 고잉 세븐틴의 메인 스포츠. ], 발야구, 탁구, '''농구''', 테니스, 피구, 배드민턴, 볼링, 골프 등이 있다. * 3개 유닛별로 커스텀 마이크가 있는데, 유닛별 특징이 그대로 드러나 소소한 재미를 주고 있다. 단합이 잘 되고 늘 쪼르르 몰려다니는 [[/보컬팀|보컬팀]]은 5명이 다 같이 {{{#d8d8d8 '''하얀색(+글리터)'''}}} 핸드마이크[* 변천사는 {{{#bdbdbd '''은색'''}}} -> {{{#0100ff '''파란색'''}}} -> {{{#f361dc '''분홍색(+글리터)'''}}} -> {{{#d8d8d8 '''하얀색(+글리터)'''}}}, 우지는 {{{#ff0000 '''빨간색(+글리터)'''}}} 마이크를 함께 쓰고 있다.]를 들고, 개개인의 뚜렷한 개성을 존중하는 자유로운 분위기의 [[/힙합팀|힙합팀]]은 각자가 원하는 색으로 {{{#99CCFF '''4'''}}}{{{#99CC66 '''인'''}}}{{{#606060 '''4'''}}}{{{#000000 '''색'''}}}[* 에스쿱스는 {{{#ff0000 '''빨간색'''}}} -> {{{#d8d8d8 '''흰색'''}}} -> 다시 {{{#ff0000 '''빨간색'''}}} -> {{{#99CCFF '''하늘색(+글리터)'''}}} / 원우는 {{{#6e2fc7 '''보라색'''}}} -> {{{#ffbb00 '''주황색'''}}} -> {{{#99CC66 '''금녹색'''}}} / 민규는 {{{#edd200 '''금색'''}}} -> {{{#606060 '''회색(+글리터)'''}}} / 버논은 {{{#2f9d27 '''녹색'''}}} -> {{{#5cd1e5 '''민트색'''}}} -> {{{#000000 '''검은색'''}}}.] 핸드마이크를 만들었다. 댄스에 중점을 두고 있는 [[/퍼포먼스팀|퍼포먼스팀]]은 {{{#ffff00 '''노란색'''}}} 인이어 마이크[* [[승관]]은 이를 보고 [[바나나우유]]에 빨대 꽂아 마시는 모습 같다는 평을 남겼다.][* 변천사는 {{{#d8d8d8 '''흰색'''}}} -> {{{#ffff00 '''노란색'''}}}.]를 맞췄는데, 이 역시도 타 유닛에 비하면 핸드마이크를 쓸 일이 별로 없는 퍼포팀만의 개성이 살아 있다. 그러다가 [[2021년]] [[https://youtu.be/oUM8kQ6j4Qk|Entertainment Tonight 메들리 무대]]에서 최초로 퍼포먼스팀이 기본 검정색에 바디가 {{{#c0c0c0 '''은색(+글리터)'''}}} 핸드마이크를 단체로 맞춘 것이 포착되면서 '''13명 모두에게 개인 핸드마이크'''가 생겼으며, 일본 팬미팅 'HARE'를 앞두고 13개의 마이크를 모아놓은 사진을 [[에스쿱스]]와 [[호시]]가 위버스에 업로드하기도 했다. 모든 핸드마이크 하단에는 마이크 번호와 영어 활동명/이니셜[* 보통 영어 활동명이지만, 이름이 긴(7글자 이상) 멤버들은 이니셜로 표기했다. 정한-> JH, 승관-> SK, 민규-> MG. 도겸의 경우는 원래 공식 영문 활동명이 DK다.]이 흰색 글씨로 표시되어 있다. [* 마이크에 표기된 번호 순서^^(보통 리허설 때 마이크 피드백 시 음향감독과의 소통을 위해 번호를 사용한다. 유닛별로 번호가 묶여있는 것을 보아 해당 용도를 위해 표시한 것으로 추측됨.)^^는 도겸-> 조슈아-> 우지-> 정한-> 승관-> 민규-> 에스쿱스-> 버논-> 원우-> 호시-> 디노-> 준-> 디에잇 순.] [[파일:D0fJ7MeUcAAkHX4.jpg]] 첫 번째 커스텀 마이크 기준, 고유번호 순서대로 놓인 핸드마이크. * 2023년 5월 기준 공식 유튜브 채널의 구독자 수가[[https://socialblade.com/youtube/top/country/kr/mostsubscribed|한국 유튜브 채널 중 30위]]에 올라가 있다. * 중국인 멤버가 2명([[준(세븐틴)|준]], [[디에잇]]) 있는 그룹이지만, 이들은 그룹 내에서 예명을 사용하며, 본명의 한자 발음 또한 한국인들 사이에서도 흔한 이름이고[* 준의 본명은 원쥔훼이(文俊辉), 디에잇의 본명은 쉬밍하오(徐明浩)인데, 한자 발음을 그대로 옮기면 각각 '''문준휘''', '''서명호'''가 된다. 게다가 성인 [[문(성씨)|문(文)씨]]와 [[서(성씨)|서(徐)씨]], 이름인 준휘와 명호 또한 한국 남성들의 이름으로 흔히 쓰이는 이름이며, 데뷔 전 [[세븐틴TV]]에 출연할 때도 준휘와 명호로 불렸던 것을 생각하면 헷갈려도 이상할 건 없다. 심지어 준이라는 예명도 한국에서는 남성의 [[외자]] 이름으로 자주 쓰인다.] 한국계 미국인 멤버인 [[조슈아(세븐틴)|조슈아]]도 홍지수라는 한국식 이름[* 본명은 조슈아 지수 홍. 홍지수의 '''지수'''가 [[미들네임]]으로 들어가 있다.]을 따로 갖고 있기 때문에 멤버들의 이름을 한국식으로 나열하면 전원 한국인으로 구성된 그룹으로 착각하기 쉽다.[* [[버논(세븐틴)|버논]]의 경우에는 한국 국적이 있기 때문에 최한솔도 본명이다.] 실제로 응원법에서 주로 이렇게 쓰며, 3글자를 맞추기 위해서인지 본명을 한국식 발음(교포인 조슈아는 성+미들네임 형식의 한국명)으로 나열한다. 곡에 따라서는 성을 빼고 이름만 2글자씩 부르기도 하며, 이런 경우 이름이 외자인 [[디노(세븐틴)|디노]]는 이름 한 글자(찬)만 불린다. [[https://www.youtube.com/watch?v=k3DcdgI3gRc|실제 응원 영상]][* 대체로 생년월일 순서대로 호명하지만 예외로 97라인은 생일이 가장 늦은 [[디에잇]]을 제일 먼저 호명하는데, 이는 디에잇의 에잇이 숫자 8(eight)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름과 응원 구호의 통일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실제 나이순으로 8번째 차례인 도겸과 합의하에 디에잇을 8번째에 호명하도록 조정한 것이다. 그래서 97라인은 유일하게 이름과 생년월일의 순서가 반대다. 디에잇이 여덟 번째로 불리는 것이 공식화가 된 것 같다. ] * 가요계 대표적인 다인원그룹이지만 인구의 약 60%를 차지한다는, 한국에서 가장 많은 인구의 성씨인 '김'씨가 세븐틴 중에서 [[민규(세븐틴)|민규]]밖에 없다. * 데뷔 당시 멤버들 중 절반이 미성년자였지만, 현재는 우지를 제외한 모든 멤버가 운전면허를 딴 상태이다. [[예쁘다(세븐틴)|예쁘다]] 뮤직비디오를 촬영하기 위해 [[민규(세븐틴)|민규]]가 제일 먼저 면허를 취득했고 같은 해에 [[정한]]도 면허를 취득했으며, [[에스쿱스]], [[디에잇]]은 [[https://youtu.be/_7fR4fXp_dM|2018년 TTT]]에서 운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디노(세븐틴)|디노]] 역시 직접 운전하는 모습을 보인 적은 없지만 위 TTT 당시 에스쿱스가 디노에게 운전면허가 있다는 사실을 언급했다. [[호시]], [[원우(세븐틴)|원우]], [[조슈아(세븐틴)|조슈아]], [[도겸(세븐틴)|도겸]][* 이쪽은 운전에 능숙한 편인 민규가 조수석에 앉아 돕는 모습이나, 실수로 기어를 P에 넣은 채 출발하려다 공회전을 하는 것을 보아 촬영 당시 기준으로 초보운전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역시 [[https://youtu.be/Go4K8zfGmdw|2020년 TTT]]에서 운전자로 나섰다. [[승관]]은 [[https://www.vlive.tv/video/251231|개인 브이앱]]에서 운전면허가 있음을 밝혔다. [[준(세븐틴)|준]]은 [[2021년]] [[8월 28일]] [[https://twitter.com/mylittlesvt/status/1431798316325433344?s=20|팬사인회]]를 통해 운전면허가 있다고 언급했다. 우지도 고잉세븐틴 불면제로2 편에서 민규에 의해 운전면허가 없음이 밝혀졌다. 또한 [[버논(세븐틴)|버논]]이 세븐틴 뮤직비디오에서 택시를 운전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세븐틴 모두의 운전면허 여부가 밝혀졌다. * 2018년부터 유닛과 일본 컴백을 포함하여 꾸준히 1년에 4번씩 컴백하고 있다. * 2018년: [[DIRECTOR'S CUT|고맙다]], [[거침없이]], [[WE MAKE YOU|Call Call Call!]], [[YOU MAKE MY DAY|어쩌나]] * 2019년: [[YOU MADE MY DAWN|Home]], [[Happy Ending(세븐틴)|Happy Ending]], [[HIT(세븐틴)|HIT]], [[An Ode|독 : Fear]] * 2020년: [[Fallin' Flower]], [[헹가래(세븐틴)|Left & Right]], [[24H]], [[Semicolon|HOME;RUN]] * 2021년: [[Not Alone(세븐틴)|ひとりじゃない (Not Alone)]], [[Your Choice|Ready to love]], [[Attacca(세븐틴)|Rock with You]], [[Power of Love(세븐틴)|あいのちから (Power of Love)]] * 2022년: [[Darl+ing]], [[Face the Sun|HOT]], [[SECTOR 17|_WORLD]], [[DREAM(세븐틴)|DREAM]] * 2023년: [[SECOND WIND|파이팅해야지]], [[FML|손오공]]&[[FML|F*ck My Life]], [[ALWAYS YOURS(세븐틴)|今 -明日世界が終わっても-]], [[SEVENTEENTH HEAVEN|음악의 신]] * [[IFPI|국제 음반 산업 협회(IFPI)]]가 발표한 '''2021년 전 세계 아티스트 매출 TOP 10에서 9위'''를 차지했다![* IFPI 글로벌 아티스트 차트 = 앨범 판매 + 다운로드 + 스트리밍. 1위 [[방탄소년단]], 2위 [[테일러 스위프트]], 3위 [[Adele|아델]], 4위 [[드레이크]], 5위 [[에드 시런]], 6위 [[위켄드]], 7위 [[빌리 아일리시]], 8위 [[저스틴 비버]], '''9위 세븐틴''', 10위 [[올리비아 로드리고]].] 2022년에는 '''6위'''를 차지하며 2년 연속 순위에 올라감과 동시에 자체 기록을 경신했다. * [[음악 방송]]에서 제목이 '해야'인 노래를 만나면 반드시 승리하는 징크스가 있다. 2019년 1월에는 《[[YOU MADE MY DAWN#s-2.2|Home]]》이 모든 음악 방송에서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의 《[[해야 (Sunrise)]]》를 누르고 1위를 하였으며, 2024년 5월에는 모든 음악 방송에서 《[[17 IS RIGHT HERE#s-3.1|MAESTRO]]》가 [[IVE]]의 《[[IVE SWITCH#s-4.1|해야 (HEYA)]]》보다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 [[/논란 및 사건 사고|논란 및 사건 사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세븐틴/논란 및 사건 사고)] [[분류:세븐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