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종특별자치시의 시내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세종 340번 카운티.webp|width=100%]]}}}||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width=25]] {{{#ffffff 세종특별자치시 간선버스 340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세종 버스 340 노선도 (2).svg|width=100%]]}}} || ||<-2> 기점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상리(조치원공영버스터미널) ||<-2> 종점 || 세종특별자치시 대평동(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 ||<|2> 종점행 || 첫차 || 05:30 ||<|2> 기점행 || 첫차 || 05:30 || || 막차 || 22:30 || 막차 || 22:30 || ||<-2> 배차간격 ||<-4> 60분(1일 18회) || ||<-2> 운수사명 || [[세종교통]] ||<-2> 운행대수 || 2대 || ||<-2> 노선 ||<-4> [[조치원공영버스터미널]] - 예양리 - 내판리 - 명학산업단지 - 산학연클러스터 - 국책연구단지북측 - 세종시청.교육청.시의회 -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 == 개요 ==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의 간선버스 노선. [[세종교통]]에서 운영한다. 왕복 운행거리는 46km. 세종시의 주요버스터미널[*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조치원공영버스터미널]]] 두 곳을 동시에 이어주는 유일한 노선이기도 하다. == 역사 == * 시청,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등 금강 이남과 연계가 없었던 [[연동면]] 및 명학산업단지의 교통 편의를 위해 2016년 9월 22일에 신설되었다. [[http://www.sejong.go.kr/cop/bbs/BBSMSTR_000000000080/selectBoardArticle.do?nttId=55339|세종시 공지사항]] * 반곡동 입주가 시작 되고 난 후, BIS상에 반곡동 정류장이 추가되었다. * 2019년 12월부터 내판역~연동중학교 정류장 사이에서 연동면 복합커뮤니티센터 정류장을 추가 정차한다. 연동면 커뮤니티센터가 새로 완공되어 기존 경로에 새로 생긴 정류장이다. * 2020년 3월 1일부터 2교대제 시행 덕분에 운행시간이 양방향 출발시간 기준 05:30~22:30으로 연장되고, 배차간격도 60분으로 줄어들어 1일 7.5회에서 18회로 증회 운행된다. 변동 이후 세종터미널과 조치원터미널 모두 매시 30분에 출발한다. * 2021년 3월 6일부터 집현리와 산학연클러스터에 공식 추가 정차한다. 기존 경로 상 통과하던 정류장에 추가 정차하는 것으로 별도의 변경 사항은 없다. * 2023년 5월 11일 노선 개편 설명회에서 소담동~반곡동 구간은 한누리대로를 따라가는 것으로 조정하는 안이 나왔다. == 특징 == * 조치원과 금강 이남 지역을 이어주는 노선 중 가장 굴곡없는 선형을 보여주는 노선이다. 세종시청을 기준으로 보면, [[대평동(세종)|대평동]], [[금남면(세종)|금남면]], [[한솔동]] 쪽으로 돌아가는 선형인 601번과는 대조된다. 덕분에 조치원을 기준으로 '''급행''' 991번을 타면 조치원역-[[세종국책연구단지|국책연구단지]]가 무려 50분이 소요되지만 본 노선으로는 조치원터미널-국책연구단지를 30분만에 주파할 수 있다. 이는 승용차와 비교해봐도 거의 차이가 없는 수준이다.[* 하지만 조치원역에서 국책연구단지행 출퇴근버스가 있기 때문에 정작 본 노선을 이용하는 국책연구단지 출퇴근 수요는 거의 전무에 가깝다.--이러니까 승용차와 비교해도 차이가 없는거다--] 조치원터미널-세종터미널은 40분 정도가 소요된다.[* 야간의 경우 승객이 없어 거의 논스톱으로 달리다시피하여 '''전 구간 35분 내 주파가 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로 보람동, 소담동, 반곡동, 집현동 등 3, 4생활권에서는 조치원으로 이동시 601번, 991번보다 엄청나게 빨리 갈 수 있다.[* 601번은 완행이라 반곡동, 소담동에서는 한 시간이 넘게 걸린다. 급행인 991번도 40분 가량 소요된다.] 조치원터미널-산학연클러스터 구간은 25분 정도 소요. * [[세종 버스 B0|B0번(구 900번)]], [[세종 버스 B5|B5번]], [[세종 버스 67|마을버스 67번]] 외의 버스가 집현동에는 정차하지 않았으나, 2021년 3월 6일부터 집현동에 본 노선이 첫 일반 시내버스 노선으로써 정차한다.[* 그 다음은 2021년 12월 10일에 연장된 [[세종 버스 222|222번]], 3월 1일에 연장된 [[세종 버스 601|601]],[[대전 버스 1002|1002번]] ] * 왕복2차로를 많이 경유해 그런 구간에서는 '''매우 시원하게''' 밟는다. 그와 더불어 레드존도 상당히 많이 울리는 편.--이쯤되면 자차 타고 가는것보다 더 빠를 것 같다-- * [[세종교통]]도 이 노선의 미래를 긍정적으로 보는지, [[2017년 세종교통 버스 운행 중단 위기 사태]] 당시 [[세종교통]]이 반납하지 않은 12개의 노선들에 포함되었다. 이후 이 노선에는 카운티가 거의 고정 투입된다. 2019년까지도 2시간에 한 대 꼴로 배차되었으나 현재는 시간당 1대씩 배차되는 것만 봐도 엄청난 변화다.[* 반대급부로 세종TR-조치원 간 시외버스 수요는 제로까지 떨어진 상태.] * 기존 읍면지역 노선이 세종도시교통공사로 인수되어 마을버스로 전환된 후, [[세종교통]]의 유일한 조치원공영터미널 기점 노선이 되었다. * 평시에는 빈차 내지 매우 적은 수의 승객이 보이지만, [[http://www.daejeonpress.co.kr/news/view.php?idx=33248|이 기사]]를 보면 출근 시간에는 그래도 어느 정도 이용하는 편으로 보인다. * 조치원행 버스의 경우 [[세종 버스 12|12번 버스]]와의 연계성이 상당히 좋다.[* 인생 2회차를 각오하고 밟는다 해도 11번과는 연계가 안 된다.] 21:30 세종터미널발이 연계의 마지노선이다. * 차량은 430번 [[현대 카운티|소형 차량들]]을 같이 돌아가면서 쓴다. 각자 일 2대씩 사용한다. 1대는 휴차다. 간혹 [[현대 그린시티|중형 차량]]이 운행나오거나 광역 1000번에서 뛰던 에어로시티 차량을 투입할 때가 있지만 요즘 중형차량 1대가 1주일에 1 ~ 2번 430번에서 운행한 차량으로 430번과 번갈아가며 운행하는 차량이 생겼다. * 운행 경로를 보면 합강동은 아직 승하차가 불가능하지만, 진웅엠피아, 재진가로등은 승하차할 때도 있다. === 일평균 승차량 === * 환승량은 포함하되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으며,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한다. * 출처: [[http://tdata.sejong.go.kr/ingecep/launcher/dashboard/|세종특별자치시 교통정보시스템 빅데이터]] ||<-3> {{{#ffffff 세종특별자치시 간선버스 340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명) || 전년대비 변동폭 || ||2016년|| 70.96 || || ||2017년|| 83.02 || {{{#red △ 12.06}}} || ||2018년|| 66.42 || {{{#blue ▽ 16.6}}} || ||2019년|| 70.32 || {{{#red △ 3.90}}} || ||2020년[* 시스템 문제로 누락일이 발생하여 364일간의 자료만 포함.][* 누락일: 3월 19일, 10월 3일]|| 99.93 || {{{#red △ 29.61}}} || ||2021년|| 120.19 || {{{#red △ 20.26}}} || ||2022년|| 121.05 || {{{#red △ 0.86}}} || === 시간표 === ||<-4> {{{#ffffff 세종 버스 340번 운행시간표}}}[br]{{{#ffffff 2020년 07월 30일 기준 / [[https://bis.sejong.go.kr/web/main/main.view|{{{#fff 출처}}}]]}}} || ||<-2> 조치원공영버스터미널 ||<-2>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 ||<-2>첫차 05:30 / 막차 22:30 / 편도 18회 ||<-2>첫차 05:30 / 막차 22:30 / 편도 18회 || ||5시||30||<|3>5시~22시||<|3>30|| ||6~21시||20|| ||22시||30|| === 노선 === ||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width=25]] {{{#ffffff 세종특별자치시 간선버스 340번 }}}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6>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br]51053 · 51052''' || || 대평동(해들마을)[br]51124 || || || || || 대평동(해들마을)[br]51123 || || 보람동(해들마을)[br]51108 || {{{#ffffff ↓}}} || || || {{{#ffffff ↑}}} || 보람동(호려울마을)[br]51109 || || 세종시청,교육청,시의회,세무서[br]51096 || || || || || 세종시청,교육청,시의회,세무서[br]51097 || || 세종우체국(남부서,보람초,보람청소년자유공간)[br]51100 || {{{#ffffff ↓}}} || || || {{{#ffffff ↑}}} || 세종우체국(남부서,보람초,보람청소년자유공간)[br]51101 || || 새샘마을 7,8단지(세종경찰청)[br] 64038 || || || || || 새샘마을 7,8단지(세종경찰청)[br] 64039 || || 소담동(새샘마을)[br]51116 || {{{#ffffff ↓}}} || || || {{{#ffffff ↑}}} || 소담동(새샘마을)[br]51118 || || 글벗중학교(새샘마을9단지)[br]51114 || || || || || 글벗중학교(새샘마을9단지)[br]51113 || || 한국조세재정연구원[br]51033 || {{{#ffffff ↓}}} || || || {{{#ffffff ↑}}} || 한국조세재정연구원[br]51032 || || 국책연구단지북측[br]51094 || || || || || 국책연구단지북측[br]51095 || || 반곡동(수루배마을)[br]59030 || {{{#ffffff ↓}}} || || || {{{#ffffff ↑}}} || 반곡동(수루배마을)[br]59031 || || 집현동[br]57033 || || || || || 집현동[br]57034 || || 산학연클러스터[br]57031 || {{{#ffffff ↓}}} || || || {{{#ffffff ↑}}} || 산학연클러스터[br]57032 || || 삼성전기[br]32087 || || || || || 삼성전기[br]32088 || || 리봄화장품[br]32089 || {{{#ffffff ↓}}} || || || {{{#ffffff ↑}}} || 리봄화장품[br]32090 || || 명학산업단지입구[br]32091 || || || || || 명학산업단지입구[br]32092 || || 내판2리[br]32006 || {{{#ffffff ↓}}} || || || {{{#ffffff ↑}}} || 내판2리[br]32005 || || 연동중학교[br]32035 || || || || || 연동중학교[br]32034 || || 연동면 복합커뮤니티센터[br]32124 || {{{#ffffff ↓}}} || || || {{{#ffffff ↑}}} || 연동면 복합커뮤니티센터[br]32123 || || 내판역[br]32010 || || || || || 내판역[br]32009 || || 송용리[br]32027 || {{{#ffffff ↓}}} || || || {{{#ffffff ↑}}} || 송용리[br]32028 || || 동면농협예양지소[br]64041 || || || || || 동면농협예양지소[br]64041 || || 예양리[br]32040 || {{{#ffffff ↓}}} || || || {{{#ffffff ↑}}} || 예양리[br]32037 || || 예양1리[br]32043 || || || || || 예양1리[br]32042 || || 양세오충각[br]32033 || {{{#ffffff ↓}}} || || || {{{#ffffff ↑}}} || 양세오충각[br]32041 || || 예양2리[br]32084 || || || || || 예양2리[br]32039 || || 동평3리[br]13002 || {{{#ffffff ↓}}} || || || {{{#ffffff ↑}}} || 동평3리[br]13001 || || 서평1리[br]13007 || || || || || - || || 서평리[br]13008 || {{{#ffffff ↓}}} || || || {{{#ffffff ↑}}} || 서평리[br]13009 || || 중봉리[br]13013 || || || || || 중봉리[br]13010 || ||<-6> '''조치원버스터미널'''[br]'''11072'''[* 실질적으로는 11107 · 11106] || }}}}}}}}} || || || == 연계 철도역 ==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60]] 일반 철도역 : [[조치원역]](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내판역]](여객업무 미실시) == 둘러보기 == [include(틀:세종-청주간 버스)] [[분류:세종특별자치시의 시내버스]][[분류:청주시 경유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분류:2016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