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세종대학교/학부)] [include(틀:세종대학교)] [include(틀:세종대학교 단과대학)] [목차] == 개요 == [include(틀:ABEEK 인증대학)] [include(틀:세종대학교 학부/인공지능융합대학)] == 학과 == === 전자정보통신공학과 === ||<(>[[세종대학교|[[파일:세종대학교 교표 흰색.svg|width=25¢er]]]] {{{#ffffff {{{+1 '''전자정보통신공학과'''}}}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학위명: 공학사)][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공학교육인증)][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FM: 무한정통)]||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연혁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2><:>{{{#000,#1f2023 '''연혁'''}}}|| ||<:>{{{#000,#1f2023 연도}}}||<:>{{{#000,#1f2023 학과}}}|| ||<-2><:>{{{#!wiki style="margin: -5px -10px" [[세종대학교/역사#세종대학교|{{{#000,#1f2023 {{{-2 세종대학교 (4년제: 1987~현재)}}}}}}]]}}}|| ||<:>1987||<(>정보처리학과^^{{{-2 신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711220023910800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7-11-22&officeId=00023&pageNo=8&printNo=20503&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88학년도 신입생모집(전기)]]]|| ||<:>1995||<(>전산·정보·응용통계학부 (정보처리전공)[*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512290023913901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5-12-29&officeId=00023&pageNo=39&printNo=23242&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96학년도 신입생모집]]]|| ||<:>1996||<(>공학부 (전자공학전공^^{{{-2 신설}}}^^, 정보통신공학전공[* 정보처리전공을 정보통신공학전공으로 전공명 변경])[*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6121600239125010&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6-12-16&officeId=00023&pageNo=25&printNo=23571&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97학년도 신입생 모집(“다”군)]]]|| ||<:>1997||<(>전자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7122900239103006&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7-12-29&officeId=00023&pageNo=3&printNo=23925&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98학년도 신입생모집(정시“라”군)]]]|| ||<:>1999||<(>전자·정보통신·컴퓨터공학부 (전자공학전공, 정보통신공학전공)[*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9122700239106002&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9-12-27&officeId=00023&pageNo=6&printNo=24563&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2000학년도 신입생 모집(정시“나”군)]]]|| ||<:>2001||<(>전자·정보통신공학부 (전자공학전공, 정보통신공학전공, 광공학전공^^{{{-2 신설}}}^^)|| ||<:>2004||<(>전자정보통신공학부 (전자공학전공, 정보통신공학전공, 광전자공학전공)|| ||<:>2009||<(>전자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광전자공학과|| ||<:>2015||<(>전자정보통신공학과|| ||<-2>||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소개영상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000,#1f2023 '''소개영상'''}}}||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FMrrUMWG4, width=100%, height=250)]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웹사이트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000,#1f2023 '''홈페이지 · SNS'''}}}|| ||<:>{{{#000,#1f2023 [[https://home.sejong.ac.kr/~electrodp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 [[전기전자공학과|전자]][[정보통신공학과|정보통신]]공학과는 [[전자공학]]과 [[정보통신공학]]을 배우는 학과다. 배우는 과목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멀티미디어 신호처리, 통신 및 네트워크, 광전자 및 광소자 네 가지 분야로 나뉜다. ||<:>{{{#000,#1f2023 분야}}}||<:>{{{#000,#1f2023 설명}}}||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재료, 공정, 소자의 특성과 관련된 반도체의 물성을 배운 후 이를 바탕으로 집적회로(IC)에 대해 배운다.|| ||<:>멀티미디어 신호처리||<(>신호처리 및 정보이론을 바탕으로 음성처리, 영상처리, 멀티미디어 통신시스템, 인공지능, 패턴인식 등 응용 기술을 배운다.|| ||<:>통신 및 네트워크||<(>유·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통신 신호 기술, 네트워크 기술과 관련된 이론과 시스템 개발 방법 등을 배운다.|| ||<:>광전자 및 광소자||<(>LED와 같은 고효율 광원 개발을 위해 광 반도체 기술, 광전송시스템, 네트워크 기술 등 광전자공학 관련 기술들을 배우고 연구한다.|| 2007년부터 공학인증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전자정보통신공학과에 입학하는 모든 학생들은 공학인증 프로그램을 이수해야 한다. 전자정보통신공학과 졸업자는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등 반도체 분야, 영상 및 음성 통신 등 정보 통신 분야, 디지털 가전 분야 등 여러 분야에서 기술 마케팅 담당자나 엔지니어로 근무하고 있다. 세종대 대학원 및 국내외 우수 대학원으로의 진학도 활발한 편이며, 관련 분야의 공무원 및 국가 연구소의 연구원 등으로도 근무하고 있다. === 반도체시스템공학과 === ||<(>[[세종대학교|[[파일:세종대학교 교표 흰색.svg|width=25¢er]]]] {{{#ffffff {{{+1 '''반도체시스템공학과'''}}} ^^Dept. of Semiconductor Systems Engineering^^}}}|| ||<(>[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학위명: 공학사)][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FM: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연혁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2><:>{{{#000,#1f2023 '''연혁'''}}}|| ||<:>{{{#000,#1f2023 연도}}}||<:>{{{#000,#1f2023 학과}}}|| ||<-2><:>{{{#!wiki style="margin: -5px -10px" [[세종대학교/역사#세종대학교|{{{#000,#1f2023 {{{-2 세종대학교 (4년제: 1987~현재)}}}}}}]]}}}|| ||<:>2023||<(>반도체시스템공학과^^{{{-2 신설}}}^^|| ||<-2>||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웹사이트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000,#1f2023 '''홈페이지 · SNS'''}}}|| ||<:>{{{#000,#1f2023 [[https://home.sejong.ac.kr/~sse/|[[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 2023년 신설된 반도체시스템공학과는 10년 이내 국내 최고수준의 반도체 학과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세종대학교는 반도체시스템공학과 교수진을 세종대학교에 재직중인 반도체 분야 최우수 교수들로 구성하였으며, 학교 차원에서 본 학과를 전폭적으로 지원한다. 또한 고용연계형 계약학과 추진, 산업체 연계 인턴십 도입, 반도체 고급인력 양성을 위한 학·석사 연계과정 확대, 우수 산학협력기업 확대 등의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반도체시스템공학과에서는 학부연구생제도를 통해 학부생이지만 대학원 연구에 참여하여 고급반도체기술을 익힐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또한 '반도체특화연구 및 실험 1,2'와 같은 과정을 통해 대학원 연구실의 인턴으로 근무하면서 연구 및 실무를 익힐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https://ipsi.sejong.ac.kr/sub_page/sub1/0101.asp?tab1=1|2023학년도 세종대학교 수시 모집요강]]] === [[세종대학교/학부/인공지능융합대학/컴퓨터공학과|컴퓨터공학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세종대학교/학부/인공지능융합대학/컴퓨터공학과)] ||<(>[[세종대학교|[[파일:세종대학교 교표 흰색.svg|width=25¢er]]]] {{{#ffffff {{{+1 '''컴퓨터공학과'''}}} ^^Dept.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학위명: 공학사)][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공학교육인증)][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FM: 미래창조 컴퓨터공학과)]||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연혁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2><:>{{{#000,#1f2023 '''연혁'''}}}|| ||<:>{{{#000,#1f2023 연도}}}||<:>{{{#000,#1f2023 학과}}}|| ||<-2><:>{{{#!wiki style="margin: -5px -10px" [[세종대학교/역사#세종대학교|{{{#000,#1f2023 {{{-2 세종대학교 (4년제: 1987~현재)}}}}}}]]}}}|| ||<:>1987||<(>전산과학과^^{{{-2 신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711220023910800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7-11-22&officeId=00023&pageNo=8&printNo=20503&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88학년도 신입생모집(전기)]]]|| ||<:>1995||<(>전산·정보·응용통계학부 (전산과학전공)[*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512290023913901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5-12-29&officeId=00023&pageNo=39&printNo=23242&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96학년도 신입생모집]]]|| ||<:>1996||<(>공학부 (컴퓨터공학전공[* 전산과학전공을 컴퓨터공학전공으로 전공명 변경])[*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6121600239125010&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6-12-16&officeId=00023&pageNo=25&printNo=23571&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97학년도 신입생 모집(“다”군)]]]|| ||<:>1997||<(>컴퓨터공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7122900239103006&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7-12-29&officeId=00023&pageNo=3&printNo=23925&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98학년도 신입생모집(정시“라”군)]]]|| ||<:>1999||<(>전자·정보통신·컴퓨터공학부 (컴퓨터공학전공, 소프트웨어공학전공^^{{{-2 신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9122700239106002&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9-12-27&officeId=00023&pageNo=6&printNo=24563&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2000학년도 신입생 모집(정시“나”군)]]]|| ||<:>2001||<(>컴퓨터공학부 (컴퓨터공학전공, 소프트웨어공학전공), 인터넷학과^^{{{-2 신설}}}^^|| ||<:>2002||<(>컴퓨터공학부 (컴퓨터공학전공, 소프트웨어공학전공, 인터넷학전공)|| ||<:>2004||<(>컴퓨터공학부 (컴퓨터공학전공, 컴퓨터소프트웨어학전공, 인터넷공학전공)|| ||<:>2006||<(>컴퓨터공학부 (컴퓨터공학전공[* 컴퓨터공학전공, 컴퓨터소프트웨어학전공, 인터넷공학전공이 컴퓨터공학전공으로 통합])|| ||<:>2010||<(>컴퓨터공학과|| ||<-2>||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소개영상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000,#1f2023 '''소개영상'''}}}||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nJhYbLuCWA, width=100%, height=250)] [youtube(vQHZvZ7_un0, width=100%, height=250)]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웹사이트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000,#1f2023 '''홈페이지 · SNS'''}}}|| ||<:>[[https://home.sejong.ac.kr/~cedp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 === [[세종대학교/학부/인공지능융합대학/정보보호학과|정보보호학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세종대학교/학부/인공지능융합대학/정보보호학과)] ||<(>[[세종대학교|[[파일:세종대학교 교표 흰색.svg|width=25¢er]]]] {{{#ffffff {{{+1 '''정보보호학과'''}}} ^^Dept. of Computer and Information Security^^}}}|| ||<(>[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학위명: 공학사)][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공학교육인증)][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FM: 철통보안 정보보호)]|| ||<:>[[파일:세종대학교정보보호학과로고.png|width=100%&align=center]]||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연혁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2><:>{{{#000,#1f2023 '''연혁'''}}}|| ||<:>{{{#000,#1f2023 연도}}}||<:>{{{#000,#1f2023 학과}}}|| ||<-2><:>{{{#!wiki style="margin: -5px -10px" [[세종대학교/역사#세종대학교|{{{#000,#1f2023 {{{-2 세종대학교 (4년제: 1987~현재)}}}}}}]]}}}|| ||<:>2012||<(>정보보호학과^^{{{-2 신설}}}^^|| ||<-2>||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소개영상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000,#1f2023 '''소개영상'''}}}||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QJikcNckCY, width=100%, height=250)]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웹사이트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000,#1f2023 '''홈페이지 · SNS'''}}}|| ||<:>{{{#000,#1f2023 [[https://home.sejong.ac.kr/~isdp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sejong_infosec_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people/%EC%84%B8%EC%A2%85%EB%8C%80%ED%95%99%EA%B5%90-%EC%A0%95%EB%B3%B4%EB%B3%B4%ED%98%B8%ED%95%99%EA%B3%BC/100046421876065/|[[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 === [[세종대학교/학부/인공지능융합대학/소프트웨어학과|소프트웨어학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세종대학교/학부/인공지능융합대학/소프트웨어학과)] ||<(>[[세종대학교|[[파일:세종대학교 교표 흰색.svg|width=25¢er]]]] {{{#ffffff {{{+1 '''소프트웨어학과'''}}} ^^Dept. of Software^^}}}|| ||<(>[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학위명: 공학사)][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공학교육인증)][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FM: 문화강국 소프트웨어학과)]|| ||<:>[[파일:세종대학교소프트웨어학과1.jpg|width=175&align=center]]||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연혁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2><:>{{{#000,#1f2023 '''연혁'''}}}|| ||<:>{{{#000,#1f2023 연도}}}||<:>{{{#000,#1f2023 학과}}}|| ||<-2><:>{{{#!wiki style="margin: -5px -10px" [[세종대학교/역사#세종대학교|{{{#000,#1f2023 {{{-2 세종대학교 (4년제: 1987~현재)}}}}}}]]}}}|| ||<:>2001||<(>컴퓨터공학부 (디지털콘텐츠전공^^{{{-2 신설}}}^^)|| ||<:>2010||<(>디지털콘텐츠학과|| ||<:>2017||<(>소프트웨어학과|| ||<-2>||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웹사이트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000,#1f2023 '''홈페이지 · SNS'''}}}|| ||<:>{{{#000,#1f2023 [[https://home.sejong.ac.kr/~digitdp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instagram.com/sejong_sw/|[[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ko-kr.facebook.com/sejongdcsw/|[[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 === 인공지능데이터사이언스학과 === ||<(>[[세종대학교|[[파일:세종대학교 교표 흰색.svg|width=25¢er]]]] {{{#ffffff {{{+1 '''인공지능데이터사이언스학과'''}}} ^^Dept. of AI and Data Science^^}}}|| ||<(>[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학위명: 공학사)][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공학교육인증)][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FM: 정보과학 최강데사)]|| ||<:>[[파일:세종대학교데이터사이언스학과로고.jpg|width=200&align=center]]||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연혁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2><:>{{{#000,#1f2023 '''연혁'''}}}|| ||<:>{{{#000,#1f2023 연도}}}||<:>{{{#000,#1f2023 학과}}}|| ||<-2><:>{{{#!wiki style="margin: -5px -10px" [[세종대학교/역사#세종대학교|{{{#000,#1f2023 {{{-2 세종대학교 (4년제: 1987~현재)}}}}}}]]}}}|| ||<:>2017||<(>데이터사이언스학과^^{{{-2 신설}}}^^|| ||<:>2021||<(>데이터사이언스학과, 인공지능학과^^{{{-2 신설}}}^^|| ||<:>2024||<(>인공지능데이터사이언스학과|| ||<-2>||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소개영상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000,#1f2023 '''소개영상'''}}}||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4BZpJmTyQc, width=100%, height=250)]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웹사이트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000,#1f2023 '''홈페이지 · SNS'''}}}|| ||<:>{{{#000,#1f2023 [[https://home.sejong.ac.kr/~dsdp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instagram.com/sejong_d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people/%EC%84%B8%EC%A2%85%EB%8C%80%ED%95%99%EA%B5%90-%EB%8D%B0%EC%9D%B4%ED%84%B0%EC%82%AC%EC%9D%B4%EC%96%B8%EC%8A%A4%ED%95%99%EA%B3%BC/100031641231587/|[[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 인공지능데이터사이언스학과는 [[인공지능]]과 [[데이터]]의 수집·저장·처리·분석에 대해 배우는 학과이다. 1학년 과정에서는 고급프로그래밍입문, 고급C프로그래밍, 공업수학, 전산개론 등의 과목을 통해 기초를 쌓는다. 2학년 과정에서는 자료구조 과목을 통해 데이터 저장에 대해 배우며, [[알고리즘]]과 데이터분석개론 과목을 통해 데이터를 알고리즘으로 처리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배운다. 또한 컴퓨터구조론 과목을 통해 컴퓨터의 하드웨어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http://www.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none|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2017년도 세종요람]]] 3·4학년 과정에서는 운영체제, 오픈소스SW개론, 컴퓨터네트워크, 기계학습 등의 과목을 통해 소프트웨어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또한 대용량데이터처리이론과 데이터문제해결 과목을 통해 데이터를 처리하고 통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된다. 그뿐만 아니라 데이터시각화, 컴퓨터그래픽스 등의 과목을 통해 분석된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데이터 수요자에게 적합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데이터사이언스학과 졸업자는 빅데이터 전문가, 금융 정보 데이터 전문가, 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전문가 등 데이터의 수집·저장·처리·분석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로 진출할 수 있다.[* [[http://www.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none|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2017년도 세종요람]]] 2024학년도부터 기존의 데이터사이언스학과와 인공지능학과가 통합되어 인공지능데이터사이언스학과로 변경되었다. === AI로봇학과 === ||<(>[[세종대학교|[[파일:세종대학교 교표 흰색.svg|width=25¢er]]]] {{{#ffffff {{{+1 '''AI로봇학과'''}}} ^^Dep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obotics^^}}}|| ||<(>[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학위명: 공학사)][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공학교육인증)][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FM: 최강지능 만능로봇)]||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연혁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2><:>{{{#000,#1f2023 '''연혁'''}}}|| ||<:>{{{#000,#1f2023 연도}}}||<:>{{{#000,#1f2023 학과}}}|| ||<-2><:>{{{#!wiki style="margin: -5px -10px" [[세종대학교/역사#세종대학교|{{{#000,#1f2023 {{{-2 세종대학교 (4년제: 1987~현재)}}}}}}]]}}}|| ||<:>2017||<(>지능기전공학부 (스마트기기공학전공^^{{{-2 신설}}}^^, 무인이동체공학전공^^{{{-2 신설}}}^^)|| ||<:>2023||<(>지능기전공학과|| ||<:>2024||<(>AI로봇학과|| ||<-2>||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소개영상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000,#1f2023 '''소개영상'''}}}||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63qdGbD-Fg,width=100%,height=250, start=890)] [youtube(ePSIy4Mk_n8,width=100%,height=250)] [youtube(K614DKXvFd4,width=100%,height=250)] [youtube(c482mn560Lk,width=100%,height=250)]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웹사이트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000,#1f2023 '''홈페이지 · SNS'''}}}|| ||<:>{{{#000,#1f2023 [[http://imc.sejong.ac.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airsejon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sejongIME/photo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 AI로봇학과는 기존의 지능기전(知能機電)[* '지능기전(知能機電) 공학'은 이름 그대로 [[인공지능]](知能)과 [[기계공학]](機), [[전자공학]](電)이 융합된 공학기술을 의미한다. 즉, 스마트카, 드론, 로봇, 가전, IoT, 반도체 등과 같은 기계 및 전자 시스템에 인공지능 기술을 융합해 첨단 지능형 시스템으로 진보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http://imc.sejong.ac.kr/page/sub1_2|지능기전공학부 학부소개]]] 공학과가 개편되어 설립된 학과이다. 1학년 과정에서는 공업수학, 일변수미적분학, 이산수학및프로그래밍, 고급C프로그래밍, 창의융합노마드 등의 과목을 통해 기초를 쌓는다. 2학년 과정부터 스마트기기공학과 무인이동체공학을 배운다.[* [[http://www.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none|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2017년도 세종요람]]] 스마트기기공학은 [[정보기술]], 전자공학, 기계공학을 바탕으로 [[인공지능]] 기술을 다양한 사물에 접목하는 공학이다. 2학년 과정에서는 동역학, 동적시스템모델링 등 기계공학 과목과 디지털시스템, 전기회로, 반도체소자 등 전자공학 과목을 통해 공학적 기초를 쌓는다. 3·4학년 과정에서는 컴퓨터네트워크, 컴퓨터구조및운영체제 등의 과목을 통해 컴퓨터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인공지능, [[딥러닝]]시스템 과목을 통해 인공지능에 대해 본격적으로 배운다. 이러한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로보틱스, AI로봇설계 과목을 이수하면 인공지능 기반 로봇을 설계하고 개발할 수 있다. 또한 [[사물인터넷]], 스마트홈설계 등의 과목을 통해 사물인터넷 기술을 배울 수 있다.[* [[http://www.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none|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2017년도 세종요람]]] 무인이동체공학은 정보기술, 전자·전기공학, 기계·항공공학 등 여러 분야의 [[공학]]과 인공지능 기술을 융합하여 [[자율주행 자동차]], [[드론]], 무인잠수정 등 자율 무인이동체를 개발하는 공학이다. 2학년 과정에서는 자율 무인이동체 개발을 위한 창의SW기초설계, 자료구조, 알고리즘 등 소프트웨어 과목과 유체공기역학, 동역학, 전기회로, 디지털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의 공학을 배운다. 3·4학년 과정에서는 인공지능 기술과 자율 무인이동체 개발을 위한 여러 분야의 공학을 배운다. 또한 자동제어, 무인비행체제어, 스마트카전자장치제어 등 여러 제어 이론을 배울 수 있다.[* [[http://www.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none|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2017년도 세종요람]]] AI로봇학과 졸업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스마트 홈(Smart Home) 등 사물인터넷 개발, 인공지능 시스템 개발, 로봇 개발, 자율주행 자동차, 드론, 무인 선박 및 잠수정과 같은 자율 무인이동체 개발 등 여러 분야로 진출할 수 있다.[* [[http://www.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none|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2017년도 세종요람]]] === 창의소프트학부 === ||<-2><(>[[세종대학교|[[파일:세종대학교 교표 흰색.svg|width=25¢er]]]] {{{#ffffff {{{+1 '''창의소프트학부'''}}} ^^School of Creative Studies[* [[http://www.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none|2017년도 세종요람]]에는 창의소프트학부의 영문명이 Faculty of Creative Studies로 표기되어 있다. 그러나 Faculty는 단과대학과 사실상 같은 개념이므로, 인공지능융합대학에 속해 있으며 두 전공으로 나뉘는 창의소프트학부는 Faculty가 아닌 School이다.]^^}}}|| ||<-2><(>[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학위명: 소프트웨어융합학사)][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FM: 절대감각 무적디노 · 무한창조 만화애니)]|| ||<-2><(>디자인이노베이션전공 ^^Design Innovation^^|| ||<-2><(>만화애니메이션텍전공 ^^Comic & Animation Technology^^|| ||<:>[[파일:세종대디자인이노베이션로고.png|width=125&align=center]]||<:>[[파일:세종대만화애니메이션로고.png|width=125&align=center]]|| ||<-2><:>{{{#!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연혁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2><:>{{{#000,#1f2023 '''연혁'''}}}|| ||<:>{{{#000,#1f2023 연도}}}||<:>{{{#000,#1f2023 학과}}}|| ||<-2><:>{{{#!wiki style="margin: -5px -10px" [[세종대학교/역사#4년제|{{{#000,#1f2023 {{{-2 수도여자사범대학 (4년제: 1961~1978)}}}}}}]]}}}|| ||<:>1964||<(>생활미술학과^^{{{-2 신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401240032920703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4-01-24&officeId=00032&pageNo=7&printNo=5617&publishType=00020|경향신문 - 수도여자사범대학 1964학년도 학생모집]]]|| ||<:>1969||<(>응용미술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8122800209208035&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8-12-28&officeId=00020&pageNo=8&printNo=14529&publishType=00020|동아일보 - 수도여자사범대학 1969학년도 학생모집]]]|| ||<-2><:>{{{#!wiki style="margin: -5px -10px" [[세종대학교/역사#세종대학|{{{#000,#1f2023 {{{-2 세종대학 (4년제: 1978~1987)}}}}}}]]}}}|| ||<:>1978||<(>산업미술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8120500239101002&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8-12-05&officeId=00023&pageNo=1&printNo=17741&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신입생모집 세종대학]]]|| ||<:>1982||<(>미술계열 (산업미술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201010023910802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2-01-01&officeId=00023&pageNo=8&printNo=18690&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1982학년도 신입생모집]]]|| ||<:>1983||<(>산업미술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3010600239105008&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3-01-06&officeId=00023&pageNo=5&printNo=19000&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1983학년도 신입생모집]]]|| ||<-2><:>{{{#!wiki style="margin: -5px -10px" [[세종대학교/역사#세종대학교|{{{#000,#1f2023 {{{-2 세종대학교 (4년제: 1987~현재)}}}}}}]]}}}|| ||<:>1987||<(>산업미술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711220023910800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7-11-22&officeId=00023&pageNo=8&printNo=20503&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88학년도 신입생모집(전기)]]]|| ||<:>1995||<(>회화·산업디자인학부 (산업디자인전공), 영상만화과^^{{{-2 신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512290023913901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5-12-29&officeId=00023&pageNo=39&printNo=23242&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96학년도 신입생모집]]]|| ||<:>1996||<(>조형학부 (산업디자인전공), 영상만화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6121600239125010&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6-12-16&officeId=00023&pageNo=25&printNo=23571&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97학년도 신입생 모집(“다”군)]]]|| ||<:>1997||<(>산업디자인과, 영상만화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7122900239103006&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7-12-29&officeId=00023&pageNo=3&printNo=23925&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98학년도 신입생모집(정시“라”군)]]]|| ||<:>1998||<(>디자인과, 영상만화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8121400209102018&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8-12-14&officeId=00020&pageNo=2&printNo=24065&publishType=00010|동아일보 - 창립 52주년 전통의 세종대학교가 지식혁명을 주도할 인재를 찾습니다]]]|| ||<:>1999||<(>디자인학과, 만화애니메이션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9122700239106002&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9-12-27&officeId=00023&pageNo=6&printNo=24563&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2000학년도 신입생 모집(정시“나”군)]]]|| ||<:>2004||<(>산업디자인학과, 만화애니메이션학과|| ||<:>2017||<(>창의소프트학부 (디자인이노베이션전공, 만화애니메이션텍전공)|| ||<-2>||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소개영상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000,#1f2023 '''소개영상'''}}}||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63qdGbD-Fg,width=100%,height=250, end=870)] [youtube(y6640iIlGL8, width=100%, height=250)] [youtube(KNZXLnigMLE, width=100%, height=250, start=595)]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웹사이트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000,#1f2023 '''홈페이지 · SNS'''}}}|| ||<:>{{{#000,#1f2023 ,,디자인이노베이션전공,, [[https://home.sejong.ac.kr/~design/|[[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instagram.com/sdi.student/|[[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000,#1f2023 ,,만화애니메이션텍전공,, [[https://home.sejong.ac.kr/~anitec/|[[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secansejongunivcomicsanima8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instagram.com/secan_counci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SejongCANI/|[[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 창의소프트학부는 [[디자인학과|디자인]]이노베이션전공과 [[만화애니메이션학과|만화애니메이션]]텍전공으로 구성된 학부이다. ==== 디자인이노베이션전공 ==== [[디자인학과|디자인]]이노베이션전공은 [[디지털]] 기술과 융합된 [[산업 디자인]], 공업 디자인, 시각 디자인을 배우는 전공이다. 2학년 때 산업(3D)디자인전공, 시각(2D)디자인전공 중 하나의 전공을 선택한다. 산업 디자인에 속하는 과목으로는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아이덴티티]] 디자인, 패키지 디자인, [[타이포그래피]] 디자인, 편집 디자인, 디지털미디어 디자인 등이 있다. 공업 디자인에 속하는 과목으로는 운송기기 디자인, [[UI]](User Interface) 디자인, [[UX]](User Experience) 제품 디자인이 있다.[* [[http://m.etnews.com/20160816000260?obj=Tzo4OiJzdGRDbGFzcyI6Mjp7czo3OiJyZWZlcmVyIjtOO3M6NzoiZm9yd2FyZCI7czoxMzoid2ViIHRvIG1vYmlsZSI7fQ%3D%3D#_enliple#csidx304de854680a0f18ff4969ff9e37b5b|전자신문 - 세종대, `창의소프트학부` 신설...예술과 기술 통합 인재 양성]]] 진관홀에 위치하고 있으며, 줄여서 디이노라고 부른다. 마스코트는 공룡이다. 성비는 여자7, 남자3 정도의 비율이지만, 17년도 이후로 점점 여자성비가 증가하고 있다. ==== [[세종대학교/학부/인공지능융합대학/만화애니메이션텍전공|만화애니메이션텍전공]]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세종대학교/학부/인공지능융합대학/만화애니메이션텍전공)] == 세계대학평가 == [include(틀:세종대학교 세계 대학 순위/인공지능융합대학)] == 국책사업 == [include(틀:세종대학교 국책사업)] == 업무협약 == [include(틀:세종대학교 업무협약)] == 이야깃거리 == === 트랙제도 === ||<:>{{{#000,#1f2023 트랙제도}}}|| ||<:>[[파일:세종대소융대트랙1.png|width=100%&align=center]]|| 인공지능융합대학(이하 인융대)은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2017학년도 2학기부터 '트랙제도'를 시행한다. 트랙제도란 인융대 소속 4개 학과(컴퓨터공학과, 정보보호학과, 소프트웨어학과, 인공지능데이터사이언스학과)의 전공 과목을 현재 산업계 수요가 높은 10개 SW 관련 분야로 세분화해 각 분야별 체계적 이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제도다. 10개의 트랙은 구체적으로 △시스템응용 △[[사물인터넷]] △[[멀티미디어]] △[[HCI]]&비주얼컴퓨팅 △지능형 인지 △[[가상현실]] △[[인공지능]] △[[응용소프트웨어]] △[[정보보호]] △데이터사이언스다. 인융대는 각 트랙마다 10개의 전공선택 과목을 개설한다. 트랙제도를 통해 전공필수 과목은 소속 학과 수업으로 듣고, 전공선택은 여러 학과의 수업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인융대는 학생들이 각 트랙에서 6개 이상의 교과를 이수했을 경우 해당 트랙의 인증서를 발급한다.[* [[http://sejongpr.ac.kr/sejongwebzinenewspaperview.do?pkid=%278513%27|세종대학교 홍보실 - 소프트웨어융합대학, 2학기부터 트랙제도 시행]]] === 해커톤 === 인공지능융합대학은 해마다 해커톤[* 해커톤은 [[해킹]]과 [[마라톤]]의 합성어이다.]을 주최하고 있다. 해커톤은 무박(無泊) 2일이라는 제한시간 내에 아이디어 기획부터 소프트웨어 개발까지의 전과정을 완수하는 대회다. 휴학중이 아닌 세종대학교 학부 재학생이라면 3~4인으로 구성된 팀 또는 개인으로 해커톤에 참가할 수 있다. 단, 개인 참가의 경우에는 기획자, 개발자, 디자이너 중 하나의 역할로서 해커톤에 지원해야 한다. 해커톤에서 기획자는 자신의 생각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프로그램 개발팀을 이끄는 역할이다. 개발자는 이용자나 고객이 [[콘텐츠]]를 더 편리하고 최적화된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하는 역할이다. 디자이너는 이용자와 구매자의 관심을 끌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디자인하는 역할이다. 제한시간 내에 우수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해낸 팀에게는 상금이 지급된다. 대상(1팀)은 100만원, 금상(2팀)은 80만원, 은상(3팀)은 60만원, 장려상(5팀 내외)은 20만원이다.[* [[https://www.facebook.com/sejong1sc/posts/1873195636336824|세종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대학 페이스북 - 제2회 SW해커톤 안내]]]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세종대학교/학부, version=494)]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세종대학교/학부/전자정보공학대학, version=98)] [[분류:세종대학교/학부]][[분류:정보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