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세종대학교)] [include(틀:세종대학교)] [목차] == 전공 == * '''[[전공]]''' * 학부로 입학한 학생은 1학년 2학기말 소정기간 내에 전공 신청을 하여야 한다. * 학부로 입학한 학생은 반드시 자신이 속한 학부 내에서 주전공을 신청하여야 한다. * 전공별 선발 기준 및 인원 등에 관한 세부사항은 학교측에서 따로 정한다. * '''[[부전공]]''' * 부전공은 학부 내 다른 전공 또는 타학과(부)의 전공과정을 21학점(건축학 전공은 51학점, 교직이수자는 30학점) 이상 이수한 경우 인정된다. * 부전공은 제 1학년 소정 기간에 신청함을 원칙으로 하되, 2, 3, 4학년에도 신청할 수 있다. * '''[[복수전공]]''' * 자기전공 이외의 다른 전공과정을 이수할 때 제2전공으로 인정된다. * 복수전공을 허용하는 범위와 선발기준 등에 관한 세부사항은 학교측에서 따로 정한다. * 복수전공은 제 1학년 소정 기간에 신청함을 원칙으로 하되 2, 3, 4학년도 신청할 수 있다. * 국방시스템공학과는 복수전공이수를 의무화하며, 세부사항은 따로 정한다. * '''[[연계전공]]''' * 연계전공은 두 개 이상의 학과 또는 전공이 연계된 것을 뜻한다. * 연계전공의 신청, 선발, 이수학점, 중도포기 및 학위 수여에 관한 사항은 복수전공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 '''제 2전공''' * 제 2전공은 졸업 요건을 구비한 학생이 졸업을 유보하고 다른 학과가 개설한 기본전공 또는 연계전공을 추가로 이수하는 것을 말하며, 세부 사항은 학교측에서 따로 정한다. * '''전과(부)''' * 전과(부)는 2학년의 입학 당시 모집단위 입학정원의 30% 범위 이내에서 허가된다. 다만, 학과(부) 또는 전공 폐지로 인한 경우는 범위를 초과 하여 허가될 수 없다. * 특성화 고교 졸업자 특별전형 입학자, 군장학생 특별전형 입학자, [[계약학과]] 입학자, 편입학생의 전과(부)는 허가되지 않으며, 주·야간 동일한 모집단위로의 전과(부)는 할 수 없다. * 전과(부)는 재학 중 1회에 한한다. * 전과(부)의 지원자격, 전형방법, 절차 등 세부사항은 총장이 이를 따로 정한다. == 교과과정 == ||<-4>
<:>{{{#FFFFFF '''교과과정 구성'''}}}[* [[http://www.sejong.ac.kr/sejong/download/22_catalog.pdf|2022년도 세종요람(72p)]]]|| ||<|4><:>'''교양과목'''||<|3><:>교양필수||<:>공통필수||<(>세종핵심역량 중심으로 편성, 지정 학년 및 학기에 반드시 이수|| ||<:>균형교양||<(>소속계열과 다른 2개 영역에서 6학점 선택 이수|| ||<:>학문기초교양||<(>대학, 학부, 전공별로 이수요건이 상이|| ||<-2><:>교양선택||<(>※ 해당 전공, 복수전공, 부전공, 교직이수에 해당하지 않는 학생이 다른 전공과목 또는 교직과목을 이수하는 경우 교양선택으로 분류됨|| ||<|2><:>'''전공과목'''||<-2><:>전공필수||<|2><(>복수전공 또는 부전공 과정을 선택한 자가 해당 전공(학과)의 전공과목을 이수한 경우 복수전공 또는 부전공 과목으로 분류됨|| ||<-2><:>전공선택|| ||<:>'''교직과목'''||<-3><(>교직과정이수자 이수|| * '''교과과정의 구성''' * 세종대학교의 교과과정에 포함된 교과목은 성격에 따라 [[교양과목]], 전공과목 그리고 전공과목에 준하는 교직과목으로 분류된다. 이를 세분화하면 위의 표와 같다. * '''교양필수과목 이수'''[* [[http://www.sejong.ac.kr/sejong/download/22_catalog.pdf|2022년도 세종요람(72-74p)]]] *교양필수(공통필수, 균형교양, 학문기초교양) 과목은 반드시 이수해야 한다. 교양필수 과목의 학점이 변경되어 종전 졸업 기준에서 요구한 학점에 미달되어도 해당 과목을 이수하면 교양 필수 이수 요건을 갖춘 것으로 인정한다 * 교양필수 과목의 이수구분이 변경된 경우 해당 학년도부터 변경된 이수구분에 따라 이수한다. * 교양필수 과목에서 해제된 경우 대체과목이 있으면 반드시 이수해야 하며, 대체과목이 없으면 이수하지 않아도 된다(입학년도별 교과과정 참조). * 교양필수 과목이 새로 추가된 경우 추가된 학년도에 입학한 학생들부터 이수하면 된다. * 교양필수에서 해제된 과목의 학점은 교양선택 학점으로 인정한다. 단, 교양필수에서 해제되어 교양선택이 아닌 다른 이수구분으로 변경된 경우는 해당 이수구분 학점으로 인정한다. * '''교양선택 과목 이수'''[* [[http://www.sejong.ac.kr/sejong/download/22_catalog.pdf|2022년도 세종요람(72-74p)]]] * 교양선택은 학생이 자율적으로 선택해서 수강할 수 있다. * 학과별 지정된 교양선택은 졸업 기준에 명시된 영역과 학점을 충족시켜 이수해야 한다. * 학교에서 지정한 교양선택은 반드시 이수해야 한다. 지정과목의 학점 또는 이수구분이 변경되어도 그 과목을 이수하면 지정과목 이수 요건을 갖춘 것으로 인정한다. * 학과별 지정된 교양선택에서 지정해제 된 경우 대체과목이 있으면 반드시 이수해야 하며, 대체과목이 없으면 이수하지 않아도 된다. * 교양선택에서 새로 지정이 추가된 경우 추가된 학년도에 입학한 학생들부터 이수하면 된다. * 해당 전공, 복수전공, 부전공, 교직과목이 아닌 다른 전공과목 또는 교직과목을 이수하는 경우 교양선택을 이수한 것으로 인정한다. * 교양과목의 영역이 변경된 경우 변경된 학년도부터 변경된 영역으로 적용한다. * 2015학년도 교과과정 개편에 따라 교양선택(1영역)(교선1) 과목의 변경이 있으며, 기존에 교선1 과목 이수시 교선1과목으로 인정되며, 신규로 교선1과목 이수시에도 교선1로 인정된다. * 2007학년도 이전 입학자는 “미적분학및연습3”을 이수 면제한다. 단, 자연과학대학 학생은 동일과목으로 지정되어 있는 “고등미적분학2”나 “다변수미적분학”을 이수하여야 한다. * "미적분학및연습1, 미적분학및연습2“는 2018학년도부터 교과목 명칭이 각각 "기초미적분학, 일변수미적분학”으로 변경되었으니 이수하지 못한 학생은 해당과목을 이수하면 된다. * 2015학년도 입학자는 교양선택(1영역)과목인 “프로그래밍입문”을 “고급프로그래밍입문-C”로 대체 이수할 수 있다. 또한 2016학년도, 2017학년도 인문과학, 사회과학, 경영, 호텔관광, 법학전공 입학자는 교양선택(1영역)과목인 “소프트웨어기초코딩” 과목을 2018학년도부터 개설된 “컴퓨팅사고기반기초코딩”으로 대체 이수할 수 있다. * 경과조치는 연도별 입학자 교과과정의 '교양 학점 및 이수시기'를 참조한다. * '''전공필수과목, 졸업작품(시험) 이수'''[* [[http://www.sejong.ac.kr/sejong/download/22_catalog.pdf|2022년도 세종요람(72-74p)]]] * 전공필수 과목은 반드시 이수해야 하며 졸업 기준에 명시된 학점을 충족시켜야 한다. * 재학중 학기에 개설된 전공필수 과목을 이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교과과정 개편, 학적 변동 등으로 학점을 충족시킬 수 없는 경우 변경 전 교과과정에서 전공필수였던 과목을 이수하여도 전공필수 학점으로 인정한다. * 교과과정 개편으로 전공필수 학점을 현행 졸업 기준보다 초과하여 취득한 경우 초과된 전공필수 과목의 학점을 전공선택 학점으로 인정할 수 있다. * 주전공과 복수전공의 교과과정상 전공필수 과목이 중복되는 경우 복수전공 학과(부)장과 상담하여 전공선택 과목 중에서 대체과목을 지정받아 이수한다. * 4학년(건축학 전공은 5학년)에 주전공과 복수전공의 전공필수 과목이 강의시간표상 시간이 중복될 경우 복수전공학과(부)장과 상담하여 전공선택과목중에서 대체과목을 지정받아 이수한다. * 한 전공(학과)에 둘 이상의 세부전공이 있고 세부전공별로 전공필수과목이 구분되어 있을 경우 반드시 자신이 전공할 과목을 이수해야 전공필수 학점으로 인정한다. 다른 세부전공의 전공필수 과목을 이수하면 전공선택 학점으로 인정된다. * 공인어학능력시험 점수 취득이 필요한 학과는 학과가 정한 기준에 따라 이수해야 한다. (일어일문학전공 : 일본어능력시험, 중국통상학전공 : 중국어능력시험) * 공과대학 건축학전공(5년)은 전공필수 지정과목인 졸업작품, 동양건축사(2022년 2월 졸업자부터 적용)를 반드시 이수해야 한다. * 공과대학건축학과(5년)은 전공필수 지정과목인 졸업작품, 한국건축사를 반드시 이수해야 한다. * 창의소프트학부 디자인이노베이션전공, 만화애니메이션텍전공은 전공필수로 졸업작품(2022학년도 입학자부터 적용)을 반드시 이수해야 한다. * 예체능대학은 졸업작품(시험)을 전공필수로 반드시 이수해야 한다. * 예체능대학 학과를 복수전공할 때에는 전공필수를 15학점 이수하고 졸업작품(시험)을 추가로 이수해야 한다. 단, 예체능대학 전공자가 예체능대학 학과를 복수전공할 때에는 복수전공학과 에서 지정한 3학점의 전공선택 과목 이수로 졸업작품(시험)을 대체할 수 있다. * '''전공선택과목 이수'''[* [[http://www.sejong.ac.kr/sejong/download/22_catalog.pdf|2022년도 세종요람(72-74p)]]] * 전공선택은 전공(학과)별 교과과정에 따라 수강할 과목을 직접 선정해서 이수하며 졸업 기준에 명시된 학점을 충족시켜야 한다. * 한 전공(학과)에 세부전공별 전공선택 과목이 구분되어 있을 경우 자신이 전공하는 과목을 우선 이수해야 한다. 단, 다른 세부전공의 전공선택 과목을 이수해도 전공선택 학점으로 인정할 수 있다. * 교과과정 개편으로 전공선택 과목이 다른 이수구분으로 변경된 경우 교과과정 개편 전에 입학한 학생에 한해서 전공선택 학점으로 인정할 수 있다. * 생명과학대학 내의 학과에 개설된 전공과목(필수, 선택)을 대학 내의 타 전공 학생이 수강하는 경우 이를 모두 전공선택으로 인정한다. * 컴퓨터공학과·디지털콘텐츠학과·정보보호학과·소프트웨어학과·데이터사이언스학과·인공지능학과에 개설된 전공과목 (필수, 선택)을 컴퓨터공학과·디지털콘텐츠학과·정보보호학과·소프트웨어학과·데이터사이언스학과·인공지능학과 내의 타 전공 학생이 수강하는 경우 이를 모두 전공선택으로 인정한다. * 학과에서 지정한 타 학과 전공과목을 이수한 경우 소속학과의 전공선택 과목으로 인정한다. * 학과에서 인정한 대학원 석사과정의 동일전공 교과목을 수강한 경우 전공선택 학점으로 인정한다(학기별 6학점이내 총 12학점까지 이수). * '''폐지 또는 학제변경 학과(전공)의 교과과정 이수'''[* [[http://www.sejong.ac.kr/sejong/download/22_catalog.pdf|2022년도 세종요람(72-74p)]]] * 중국학 전공자는 중국통상학 과목도 전공학점으로 인정한다. * 지구정보공학 전공자는 공간정보공학 과목도 전공학점으로 인정한다. * 나노신소재공학부 신소재공학, 나노공학 전공자는 나노신소재공학과 과목도 전공학점으로 인정한다. * 2013학년도 이전 식품공학, 생명공학 전공자는 바이오융합공학과 과목도 전공학점으로 인정한다. * 호텔경영, 관광경영 전공자는 호텔관광경영학 과목도 전공학점으로 인정한다. * 물리학, 천문우주학 전공자는 물리천문학과 과목도 전공학점으로 인정한다. * 생명공학 전공자는 바이오융합공학전공도 전공학점으로 인정한다. * 바이오융합공학과 전공자는 바이오융합공학전공과 생명시스템학부의 식품공학전공, 식품생명공학전공 과목도 전공학점으로 인정한다. * 분자생물학과 전공자는 바이오융합공학전공과 바이오산업자원공학전공 과목도 전공학점으로 인정한다. * 바이오자원공학 전공자는 바이오산업자원공학전공 과목도 전공학점으로 인정한다. * 전자공학, 정보통신공학, 광전자공학 전공자는 전자정보통신공학과 과목도 전공학점으로 인정한다. * 공간정보공학 전공자는 환경에너지공간융합학과 과목도 전공학점으로 인정한다. * 지구정보공학 전공자는 환경에너지공간융합학과 과목도 전공학점으로 인정한다. * 디지털콘텐츠학과 전공자는 소프트웨어학과 과목도 전공학점으로 인정한다. * 식품공학 전공자는 식품생명공학전공 과목도 전공학점으로 인정한다. * 산업디자인학과 전공자는 디자인이노베이션전공 과목도 전공학점으로 인정한다. * 만화애니메이션학과 전공자는 만화애니메이션텍전공 과목도 전공학점으로 인정한다. * 경제통상학과 전공자는 경제학과 과목도 전공학점으로 인정한다. * 에너지자원공학과 전공자는 지구자원시스템공학과 과목도 전공학점으로 인정한다. * 원자력공학과 전공자는 양자원자력공학과 과목도 전공학점으로 인정한다. * 수학통계학부 수학, 응용통계학 전공자는 수학통계학과 과목도 전공학점으로 인정한다. * 건축공학부 건축공학 전공자는 건축공학과 과목도 전공학점으로 인정한다. * 건축공학부 건축학 전공자는 건축학과 과목도 전공학점으로 인정한다. * '''학과(전공)별 전공 교과목 인정 경과조치'''[* [[http://www.sejong.ac.kr/sejong/download/22_catalog.pdf|2022년도 세종요람(72-74p)]]] * 2014학년도 이전에 입학한(2014년 포함) 정보통신공학 전공자는 공업수학1, 공업수학2를 전공필수 학점으로 인정한다. * 2012~2013학년도 자유전공학부 입학자는 1학년 때 전공으로 수강한 영문법의이해(영어영문), 교육학의탐구(교육), 경제원론1(경제통상), 행정학원론(행정), 미디어의이해(신문방송), 경영학원론(경영)을 전공필수학점으로, 한국문학의이해(국어국문), 전공일본어기초1(일어일문), 역사와우리민족(역사), 현대중국의이해(중국통상), Hospitality산업의이해(호텔관광), 외식식품산업의이해(호텔관광), 법학입문(자유전공)을 전공선택학점으로 인정한다. * 호텔외식관광프랜차이즈경영학과, 호텔외식비즈니스학과, 글로벌조리학과 입학생들이 위 3개 학과 내의 타 학과 전공과목(필수, 선택) 이수 시 이를 전공선택으로 인정한다. [[파일:sjuc2.png|align=center]] * '''학과별 교과과정'''[br]학과별 교과과정은 [[http://www.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세종대학교 요람]] 참고. 세종대학교 요람에는 학과별로 이수해야 할 학점, 향후 진로에 따른 이수 추천과목 등 학과별 교과과정이 정리되어 있다. 상기 이미지는 세종대 호텔관광경영학과의 교과과정으로서, 향후 진로에 따른 이수 추천과목과 관련 자격증 등이 정리되어 있다. * '''입학년도별 교과과정''' * 입학년도별 교과과정은 세종대학교 홈페이지>대학생활>학사안내>[[http://www.sejong.ac.kr/unilife/subject_01.html?menu_id=1.2|교과과정]] 참고. * 본인이 입학한 년도의 교과과정을 따르면 된다. 예를 들어 2012년에 입학했다면 2016년부터 교과과정이 바뀌더라도 2012년도 입학자 대상 교과과정을 따르면 된다. == 수강신청 == * '''수강신청 절차''' * 1. [[http://www.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세종요람]](세종대학교 연도별 요람)에서 학과별 교과과정을 확인한다. * 2. 세종대학교 홈페이지의 [[http://www.sejong.ac.kr/unilife/study_02.html|수강신청 설명]]을 숙지한 후, [[https://board.sejong.ac.kr/boardlist.do?bbsConfigFK=335|학사공지]] 또는 [[http://www.sejong.ac.kr/#none|세종대학교 홈페이지]] 좌측 상단(10시 방향)의 '학생 카테고리>수강편람'에서 '수강편람 및 강의시간표'를 확인한다. * 3. [[https://portal.sejong.ac.kr/jsp/login/uisloginSSL.jsp|세종대학교 학사정보시스템]]에서 관심과목 담기 기간에 관심과목을 담는다. * 4. [[https://portal.sejong.ac.kr/jsp/login/uisloginSSL.jsp|세종대학교 학사정보시스템]]에서 해당학년의 수강신청 기간에 수강신청을 한다. * '''수강신청 학점''' * 수강신청은 매 학기 6학점(최종학기 3학점) 이상 18학점까지 할 수 있다. * 다만, 2017학년도 이후에 입학한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컴퓨터공학과, 정보보호학과(2016학년도 이후 입학자), 소프트웨어학과, 데이터사이언스학과, 창의소프트학부 학생은 20학점까지 신청할 수 있다. * 직전학기에 16학점 이상 취득하고 성적이 B+(3.5) 이상이면 21학점까지 신청할 수 있다. * 1학년은 매 학기 16학점 이상 취득여부와 1년 통산 성적 평균에 근거해 2학년 1학기부터 21학점까지 신청할 수 있다. * '''초과학점''' * 채플, 창업과기업가정신, 대학생활과진로설계, 졸업연구및진로, 무관후보생교육 과목은 학점 제한 없이 수강신청 이 가능하다. * '''최소 수강학점''' * 수업연한 초과자도 매 학기 6학점 이상 18학점까지 수강해야 하나, 학위 취득 학기에 한해 6학점 미만 수강신청이 가능하다. * '''수강대상''' * 수강대상이 1~4학년인 경우 보통 재수강반이라고 보면 된다. * 1학년, 2학년 등 특정 학년이 수강대상이라고 적혀 있으면 그 학년에 여석이 많이 열린다. 예를 들어 2학년 전공 강의인 경우 1, 3, 4학년에게는 전체 여석의 10퍼센트만 열린다고 보면 된다. 교양강의도 마찬가지다. * 수강대상이 없으면 25퍼센트씩 균등하게 열린다. * '''신입생 수강신청''' * 15~18학점이 자동으로 짜여져서 나오기 때문에 신입생들은 수강신청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 * '''수강신청 시 유의사항'''[br][[파일:sjucaution1.png|width=500&align=center]] * '''기타 수강신청 관련 사항''' * 복수전공하고 있는 학과의 강의는 자신의 학년이 수강신청하는 날에 수강신청하면 된다. * 타학과(자신과 무관한 학과)의 강의는 전 학년이 신청하는 날에 신청하면 된다. * 다른 학년의 강의도 본인 과, 특정학과를 대상으로 하는 강의가 아니라면 본인이 수강신청 하는 날에 수강신청이 가능하다. == 등록금 == ||<-7>
<:>{{{#FFFFFF '''등록금'''}}}[* [[https://academyinfo.go.kr/pubinfo/pubinfo0020/list.do?schlId=0000138&svyYr=2021&pageIdx=all&filePath=05&fileName=05&saveName=05|대학알리미 - 세종대학교 공시정보(대학재정/교육비 - 8-차. 등록금 현황)]]]|| ||<:>'''2010년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연도'''||<:>'''기간'''||<:>'''인문사회'''||<:>'''자연과학'''||<:>'''예체능'''||<:>'''공학'''||<:>'''전체'''|| ||<|2><:>2013||<:>반년||<:>3,110,000원||<:>3,702,000원||<:>4,222,000원||<:>4,274,000원||<:>3,827,000원|| ||<:>1년||<:>6,220,000원||<:>7,404,000원||<:>8,444,000원||<:>8,548,000원||<:>7,654,000원|| ||<|2><:>2014||<:>반년||<|2><-5>동결|| ||<:>1년|| ||<|2><:>2015||<:>반년||<|2><-5>동결|| ||<:>1년|| ||<|2><:>2016||<:>반년||<|2><-5>동결|| ||<:>1년|| ||<|2><:>2017||<:>반년||<|2><-5>동결|| ||<:>1년|| ||<|2><:>2018||<:>반년||<|2><-5>동결|| ||<:>1년|| ||<|2><:>2019||<:>반년||<|2><-5>동결|| ||<:>1년|| }}}}}}}}}|| ||<:>'''2020년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연도'''||<:>'''기간'''||<:>'''인문사회'''||<:>'''자연과학'''||<:>'''예체능'''||<:>'''공학'''||<:>'''전체'''|| ||<|2><:>2020||<:>반년||<:>3,110,000원||<:>3,702,000원||<:>4,214,419원[* 2013년 대비 7,581원 인하]||<:>4,274,000원||<:>3,825,104원[* 2013년 대비 1,896원 인하]|| ||<:>1년||<:>6,220,000원||<:>7,404,000원||<:>8,428,838원[* 2013년 대비 15,152원 인하]||<:>8,548,000원||<:>7,650,210원[* 2013년 대비 3,790원 인하]|| ||<|2><:>2021||<:>반년||<|2><-5>동결|| ||<:>1년|| ||<|2><:>2022||<:>반년||<|2><-5>동결|| ||<:>1년|| }}}}}}}}}|| 세종대학교의 등록금은 위와 같으며, 입학금[* 입학금은 입학하거나 재입학할 때만 등록금과 함께 납부하는 금액이다. 예를 들어 2021년 인문사회계열 학과에 입학한 경우 1학년 1학기에만 등록금 3,110,000원+입학금 354,000원(총 3,464,000원)을 학교에 납부하고, 나머지 학기는 입학금을 제외한 등록금 3,110,000원만 학교에 납부하면 된다.]은 2021년 기준 354,000원이다. 2013년부터 2021년 현재까지 등록금이 소폭 인하된 예체능계열 학과를 제외하고 모든 학과의 등록금이 동결되었다. 2021년 기준 세종대학교의 한 학기 평균 등록금은 3,825,104원, 연평균 등록금은 7,650,210원이다. [[대학알리미]]상의 2021년 세종대학교 연평균 등록금은 7,885,633원이지만, 4년 전액 장학금을 받는 군 [[계약학과]]인 국방시스템, 항공시스템공학과의 연 등록금이 9,134,000원으로 산정되어 통계에 포함되어 있어 통계적 오류가 있다. 군 계약학과를 제외한 실제 세종대학교의 계열별 연평균 등록금은 7,885,632원보다 낮은 7,650,210원이다. 이는 전국 사립대학 연평균 등록금 7,485,895원, (국공립대를 포함한) 서울 소재 대학 연평균 등록금 7,617,882원보다 근소하게 높은 가격이다. == 성적평가 == ||
<:>{{{#FFFFFF '''등급'''}}}||<:>{{{#FFFFFF '''평점'''}}}||<:>{{{#FFFFFF '''평가기준'''}}}|| ||<:>A+||<:>4.5||<|3><(>중간고사 : 20 ~ 30%[br]기말고사 : 20 ~ 40%[br]수시평가 및 과제 : 20% ~ 50%[br]출석 : 10 ~ 15%|| ||<:>A0||<:>4.0|| ||<:>B+||<:>3.5|| ||<:>B0||<:>3.0||<|6><(>- 성적평가의 방법은 상대평가를 원칙으로 하며 A등급을 35%이내, B등급 이상을 전체 수강인원의 75% 이내로 한다.[br]- 수강인원 15명 이하의 교과목, 교직과목, 영어강의(중핵필수 영어과목은 제외) 등 상대평가 예외과목도 A등급을 전체 수강인원의 45% 이내로 한다.[br]- PBL(Problem Based Learning) 과목은 A등급을 전체 수강인원의 50% 이내로 한다.[br]- 정원외외국인입학자, 대학원수강생, 타학과전공선택인정과목수강생, 해외교환교류학생 및 외국인전용강의, 무관후보과목은 상대평가 대상에서 제외한다.[br]- 국방시스템공학과 일부 과목은 총장의 승인에 한하여 A등급을 전체 수강인원의 70% 이내로 할 수 있다.|| ||<:>C+||<:>2.5|| ||<:>C0||<:>2.0|| ||<:>D+||<:>1.5|| ||<:>D0||<:>1.0|| ||<:>F||<:>0.0|| 상대평가와 P/NP[* 패스(Pass)/논패스(None Pass), 속칭 패논패]방식으로 성적을 평가하며, 절대평가는 없다. 평점은 4.5점 만점에 A+(4.5), A0(4.0), B+(3.5), B0(3.0), C+(2.5), C0(2.0), D+(1.5), D0(1.0), F(0), FA(0, 출결 미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종대는 전국에서 가장 까다롭게 성적을 주는 편에 속했다. 2020년 1학기까지 어떤 수업이든간에 수강생 중 상위 25%까지 A0, 상위 70%까지만 A+~B0를 받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타 대학교에 비해 굉장히 짠 편이었다. 물론 15명 이하 수강과목이거나 원어민이 아닌 한국인 교수가 영어로 수업을 진행할 때에 한해 A0를 35%까지, B+이하는 자유롭게 주긴 했다. 그러나 수강생이 15명 이하라면 A0 이상 받는 사람은 많아봐야 4명도 안 됐다. 이 때문에 (수강생이 적은 과목을 들을 수밖에 없는) 학생 수가 적은 단과대[* 인문대의 과별 정원은 20~30명 정도고, 사회과학대의 경우에도 40~60명 정도 밖에 안된다.]학생일수록 높은 성적을 받기가 매우 어려웠다. 수강신청한 과목에서 모두 F, FA[* 수업일수의 1/4이상 결석하면 받는 것], NP, I 등을 받으면 바로 제적된다. 2020년 2학기부터 A비율 35%, B비율 75%, 영어강의 A비율 45%로 다소 완화되었다. 15학번부터 1학년은 문과, 이과 상관없이 전산개론, 프로그래밍 입문을 의무로 들어야 하는데, 고등학교 기술가정 시간과 정보 시간에 수면 보충하거나 다른 과목 공부하다 대학 온 신입생들이 원래 컴공과 애들이나 배우는 이 과목을 제대로 소화할 리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점은 6학점이나 잡아먹어 18학점 밖에 못 듣는 1학년들의 학점 브레이커 역할을 훌륭히 해내고 있다. == 장학제도 == === 신입생 대상 === * '''대양인재 프로그램'''[br][[수능]] 전 과목 1등급 대상 장학제도. '약 2억원+본교 대학/대학원 등록금 전액 지급+해외명문대학원 진학시 1억 5천만원 지급+본교 교수직 또는 전문직 선발 고려'라는 파격적인 혜택을 제공한다. 덕분에 디시인사이드의 행정고시 갤러리 등에서 유명세를 탔다. 대양인재 프로그램의 자세한 조건과 혜택은 아래의 항목들을 참고. * 조건 * 인문/예체능 계열: 수능의 국어, 수학(나), 영어, 사회탐구(2개 과목) 영역이 각각 1등급인 자(단, 탐구영역은 2개 과목 모두 1등급이어야 함) * 자연 계열: 수능의 국어, 수학(가), 영어, 과학탐구(2개 과목) 영역이 각각 1등급인 자(단, 탐구영역은 2개 과목 모두 1등급이어야 함) * 혜택 * 입학단계에서부터 졸업 후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을 밀착 지원함 * 장학금을 중심으로 한 재정적 지원 및 특별 지원의 결합을 통해, 글로벌 인재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모든 사항을 집중 지원함 * 1:1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학사·석사·박사 3+3 프로그램(학사 3년, 석·박사 3년) 이수 가능 * 4년간 등록금 전액 지급(건축학 전공인 경우는 5년간) * 기숙사 무료 배정 * 4년간 매년 학업장려금 4,800만원 지원(건축학 전공인 경우는 5년간) * 개인별 지도교수 배정 - 지도교수의 1:1 집중지도를 통한 학업지원, 전공설계 및 진로지도 * 자격요건 충족 시 교환학생 우선 선발 및 총 2,000만원 한도 내에서 교환학생 학업장려금(기숙사비+항공료) 지원 (최초 1회한정) * 졸업 후 본교 일반 대학원 진학 시 등록금 전액 지급(수업연한내) * 졸업 후 해외명문대학, 대학원 진학 시 학업장려금 1억5천만원 지급 * 졸업 후 해외명문대학에서 석/박사 학위취득 후 요건 충족 시 교수직 또는 전문직으로 선발 고려 * '''글로벌인재 프로그램'''[br]수능 세 과목 1등급 대상 장학제도. 대양인재 프로그램의 마이너 버전이다. '약 1억 2천만원+본교 대학/대학원 등록금 전액 지급+해외 명문대학원 진학시 1억원 지급+본교 교수직 또는 전문직 선발 고려'라는 파격적인 혜택을 제공한다. 대양인재 프로그램에 비해 인터넷 상에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글로벌인재 프로그램의 자세한 조건과 혜택은 아래의 항목들을 참고. * 조건 * 인문/예체능 계열: 수능의 국어, 수학(나), 영어 영역이 각각 1등급이거나 국어, 수학(나), 영어, 사회탐구 영역의 등급 합이 5 이내인 자(단, 탐구영역은 2개 과목의 등급 평균을 적용함) * 자연계열: 수능의 수학(가), 영어, 과학탐구(2개 과목) 영역이 각각 1등급인 자(단, 탐구영역은 2개 과목 모두 1등급이어야 함) * 혜택 * 입학단계에서부터 졸업 후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을 밀착 지원함 * 장학금을 중심으로 한 재정적 지원 및 특별 지원의 결합을 통해, 글로벌 인재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모든 사항을 집중 지원함 * 1:1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학사·석사·박사 3+3 프로그램(학사 3년, 석·박사 3년) 이수 가능 * 입학 단계의 혜택 * 4년간 등록금 전액 지급(건축학 전공인 경우는 5년간) * 기숙사 무료 배정 * 4년간 매년 학업장려금 3,000만원 지원(건축학 전공인 경우는 5년간) * 개인별 지도교수 배정 * 지도교수의 1:1 집중지도를 통한 학업지원, 전공설계 및 진로지도 * 자격요건 충족 시 교환학생 우선 선발 및 총 1,500만원 한도 내에서 교환학생 학업장려금(기숙사비+항공료) 지원(최초 1회한) * 졸업 후 본교 일반 대학원 진학 시 등록금 전액 지급 (수업연한내) * 졸업 후 해외명문대학, 대학원 진학 시 학업장려금 1억원 지급 * 졸업 후 해외명문대학에서 석/박사 학위취득 후 요건 충족 시 교수직 또는 전문직으로 선발 고려 * '''최우수인재 프로그램''' * 조건 * 인문/예체능 계열:수능의 국어, 수학(나), 영어, 사회탐구 영역의 등급 합이 6 이내인 자(단, 탐구영역은 2개 과목의 등급 평균을 적용함) * 자연계열: 수능의 수학(가), 영어, 과학탐구 영역의 등급 합이 4 이내인 자(단, 탐구영역은 2개 과목의 등급 평균을 적용함) * 혜택: 4년간 등록금 전액 지급(건축학 전공인 경우 5년간), 본교 일반대학원 진학시 등록금 전액 지급(수업연한내) * '''우수인재 장학금''' * 조건 * 인문/예체능 계열: 수능의 국어, 수학(나), 영어 영역의 등급 합이 5 이내인 자 * 자연계열: 수능의 수학(가), 영어, 과학탐구 영역의 등급 합이 6 이내인 자(단, 탐구영역은 2개 과목의 등급 평균을 적용함) * 혜택: 4년간 등록금의 50% 지급(건축학 전공인 경우는 5년간), 본교 일반대학원 진학시 등록금 50% 지급(수업연한내) * '''학과(학부)별 장학금''' * [[세종대학교/학부/법학부|법학부]] 특별 장학금 * 조건: 수능의 국어, 수학(나), 영어, 사회탐구 영역의 등급 합이 6 이내이거나 국어, 영어, 사회탐구 영역의 등급 합이 3.5 이내인 자(단, 탐구영역은 2개 과목의 등급 평균을 적용함) * 혜택: 4년간 등록금 전액 지급, 본교 일반대학원 진학시 등록금 전액 지급 (수업연한내) * [[세종대학교/학부/공과대학#국방시스템공학과|국방시스템공학과]] 장학금: 국방시스템공학과 신입생 전원에게 4년간 등록금 전액 지급 * [[세종대학교/학부/공과대학#우주항공시스템공학부|우주항공시스템공학부 항공시스템공학 전공]] 장학금: 항공시스템공학 전공 신입생 전원에게 4년간 등록금 전액 지급 * [[세종대학교/학부/호텔관광대학#호텔외식관광프랜차이즈경영학과|호텔외식관광프랜차이즈경영학과]] 장학금: 호텔외식관광프랜차이즈경영학과 신입생 전원에게 1년(1학년)간 등록금의 30% 지급 * 단과대 수석 * 조건: 정시의 산출방법에 따른 수능반영점수(1000점 만점으로 환산)의 각 단과대별 최고득점자 * 혜택: 입학학기(1학기)등록금 전액 지급, 본교 일반대학원 진학시 입학학기(1학기)등록금 전액 지급 * '''재학생 장학제도, 신입생 장학제도에 대한 유의사항 등 장학제도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 http://sejong.ac.kr/unilife/newscholarship.html?menu_id=4.1|세종대학교 홈페이지]]를 참조하십시오.''' == 졸업 == ||<-2>
<:>{{{#FFFFFF '''졸업요건'''}}}|| ||<:>등록학기||<(>8학기(건축학 전공. 복수전공은 10학기) 이상 등록.[* 단, 조기졸업자는 능력에 따라 단축 할 수 있다.]|| ||<:>취득학점||<(>130학점(건축학 전공 168학점, 국방시스템공학과 140학점) 이상 취득하고, 예체능대학은 졸업작품(졸업시험)을 이수하여야 한다.[* 단, 학·석사 연계과정생은 학·석사 공동과목 6학점을 추가로 취득하여야 하나 졸업작품(또는 졸업시험) 이수를 면제할 수 있다.]|| ||<:>성적||<(>전학년 성적 평점평균 1.75이상|| ||<:>교과과정 이수조건||<(>졸업에 필요한 교과과정 영역별 이수는 교육과정위원회 심의와 총장 결재를 거쳐 정하며, 수강편람 등을 통하여 이를 공지한다.|| ||<:>영어졸업인증||<(>TOEIC 700점, IBT 80점, CBT 213점, TEPS 556점(영어영문학과는 TOEIC 800점, IBT 91점, CBT 233점, TEPS 637점) 이상 취득하여야 한다.[* 단, 2011학년도 이전 입학자는 TOEIC 600점, CBT 173점, TEPS 500점, 교내TOEFL 500점(2006~2011학년도 입학자 중 영어영문학 전공은 TOEIC 700점, CBT 203점, 교내TOEFL 520점) 이상 취득하여야 한다.]|| ||<:>한국어졸업인증||<(>한국어 자격을 기준으로 입학한 외국인 학생의 경우, 전항의 영어졸업인증을 면제하고, 한국어 능력시험(TOPIK) 4급 이상 취득으로 대체한다.[* 단, 무용과와 음악과는 한국어 능력시험(TOPIK) 3급 이상 취득으로 대체한다.]|| ||<:>[[http://abeek.sejong.ac.kr/index.do|공학교육인증]]||<(>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학과 또는 전공 소속의 모든 학생은 각 학과 또는 전공이 정한 인증 기준을 충족 하여야 한다. 이에 관한 세부사항은 따로 정한다.|| ||<:>[[http://classic.sejong.ac.kr/|고전독서인증]]||<(>[[파일:sjuclassic1.jpg|width=80%&align=center]][br]2012학년도부터 입학하는 모든 학생은 고전독서 인증 기준을 충족하여야 하며, 이에 관한 세부 사항은 따로 정한다.[* 단, 호텔외식비즈니스학과, 호텔외식관광프랜차이즈경영학과, 향장뷰티산업학과는 인증을 면제하기로 한다.]|| == 관련 웹사이트 == * [[https://blackboard.sejong.ac.kr/|세종대학교 온라인 강의실]][* 2015년 2학기부터 세종대 자체 온라인 강의실에서 '블랙보드'라는 플랫폼을 사용하는 온라인 강의실로 바뀌었다.] * [[https://portal.sejong.ac.kr/jsp/login/uisloginSSL.jsp|세종대학교 학사정보시스템]] * [[http://board.sejong.ac.kr/boardlist.do?searchField=ALL&searchValue=¤tPage=1&searchLowItem=ALL&bbsConfigFK=335&siteGubun=19&menuGubun=1|세종대학교 학사공지]] * [[http://www.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세종대학교 요람]][* 학과별 커리큘럼, 수강신청, 재수강 등 학사제도는 세종대학교 요람 참고. 특히 신입생이라면 반드시 요람을 읽어 볼 것.] * [[http://board.sejong.ac.kr/boardview.do?pkid=95524¤tPage=1&searchField=ALL&siteGubun=19&menuGubun=1&bbsConfigFK=335&searchLowItem=ALL&searchValue=|세종대학교 수강편람]] * [[http://abeek.sejong.ac.kr/index.do|세종대학교 공학교육인증]] * [[http://classic.sejong.ac.kr/|세종대학교 대양휴머니티칼리지(고전독서인증)]] [[분류:세종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