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름이 비슷한 부산의 버스 회사, rd1=세진여객)] [include(틀: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 회사)] ||<-2> {{{#ffffff '''{{{+1 세진교통 주식회사}}}'''[br]世進交通}}} || || '''{{{#ffffff 업종명}}}''' ||운수업 || || '''{{{#ffffff 설립일}}}''' ||1979년 8월 10일 || || '''{{{#ffffff 대표}}}''' ||김명섭 || || '''{{{#ffffff 위치}}}''' ||경상북도 경산시 경안로87길 25-4 (대평동) || || '''{{{#ffffff 전화번호}}}''' ||053-812-2812 || || '''{{{#ffffff 차량번호}}}''' ||대구 70 자 20xx ~ 21xx || || '''{{{#ffffff 면허대수}}}''' ||정규 110대, 예비 6대[* 단일 회사 기준 대구 최대 규모의 시내버스 업체로, 계열사가 있는 회사까지 포함하면 [[경북교통]] - [[동명교통]] 계열, [[성보교통]] - [[경상버스]] 계열, [[해피투게더 현대교통|현대교통]] - [[해피투게더 세한여객|세한여객]] 계열, --[[한일운수(대구)|한일운수]] - [[한일고속]]-- 계열이 더 크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구광역시]]의 [[버스 회사]]로, [[경상북도]] [[경산시]] 경안로87길 25-4(舊 대평동 47) 대평주공아파트 북쪽의 대평동LPG충전소 인근 골목 안쪽에 차고지가 있다.[* 면허지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2699(만촌2동 794-1) 소재의 [[대일버스]] 차고지로 되어 있다.] 더불어 대구광역시에서 제일 큰 규모의 버스 회사이다. == 상세 == 1979년 8월 10일[*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연합회]]의 홈페이지에는 1997년으로 잘못 표기되어 있다.] [[시내버스]] 운송 면허를 취득하여 영진버스자동차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고 원래는 [[동구(대구광역시)|동구]] 입석동의 동촌동주민센터 뒷쪽에 차고지가 있었다. 1997년 세진교통으로 사명을 변경했으며, 2002년 10월에는 같은 계열의 시내버스 회사였던 [[우일교통]][* 우일교통은 본래 [[가창면]] 용계리의 가창교 옆에 차고지가 있었으나, 구 [[대현교통]]이 2001년 6월에 폐업하자 대현교통이 쓰던 범물1동 차고지로 이전해서 사용 중이었다. 전화번호도 대현교통의 것을 그대로 썼다. 당시 대현교통의 폐업 때 [[우일교통]]과 [[동광버스]]는 각각 대현교통 차량 10대씩 인수했다.]과 합병하고 차고지를 [[경상북도]] [[경산시]] 대평동으로 이전했다.[* 이 때 구 우일교통의 범물1동 차고지는 당시 가창교 옆의 파동차고지 자리에 화성파크뷰가 조성되면서 갈 곳을 잃은 [[해피투게더 현대교통|현대교통]]이 들어와서 2017년 3월까지 사용했다.] 현재 [[우창여객]]과 같이 쓰고 있다. 2004년에는 같은 계열의 시내버스 회사인 [[동광버스]][* 본래 [[우성교통|극동버스]]와 함께 [[동구(대구광역시)|동구]] 용계동에 차고지가 있었으나, 세진교통이 [[우일교통]]을 합병하면서 [[경산시]] 대평동으로 옮길 때 같이 옮겼다. 참고로 동광버스가 대평동으로 이전하고 나서 1년 후 극동버스도 [[동호공영차고지]]로 이전했다.][* 이 때 세진교통의 차량 10여 대를 [[대명교통]]에서 인수했다. [[동광버스]] 차량의 일부는 사월동에서 대평동차고지로 옮겨 온 [[우창여객]]으로 이관됐다.]와 합병하여 예전까지 제일 규모가 컸었던 [[경북교통]]을 밀어내고 [[대구광역시]] 최대의 시내버스 회사가 됐다. [[대구스타디움]]으로 가는 시내버스 노선을 대부분 독점하고 있다. 저상버스는 [[대구 버스 403|403번]], [[대구 버스 564|564번]], [[대구 버스 618|618번]], [[대구 버스 724|724번]], [[대구, 경산 버스 814|814번]], [[대구, 경산 버스 939|939번]], [[대구 버스 수성3, 수성3-1|수성3-1번]]에 투입하고 있다. 이전에는 403번, 724번에만 [[저상버스]]를 투입하다가 2014년 4월부터는 618번에도 투입하고 있고, 814번의 경우 한동안 투입하지 않다가, 2017년 1월 중순부터 [[현대 블루시티|블루시티]] 저상을 투입 중이다.[* [[대구, 경산 버스 814|814번]]에 [[공동 배차]] 중인 [[경북교통]]은 8대, [[대화교통(경산)|대화교통]]은 2대 투입하고 있다.] [[성보교통]], [[경북교통]], [[신진자동차(대구)|신진자동차]]와 더불어 간선버스, 지선버스, 순환버스, 급행버스를 모두 운행하는 회사 중 하나다. == 차량 == 현재는 현대 원메이크로 운용 중이지만 과거에는 대우 차량이 주력이었고, 2008년에서 2010년 사이에는 현대 차량의 도입이 아예 없었다. 2010년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도색 변경을 앞두고 [[서울특별시|서울]] [[행당역]]에서 [[서울 버스 241|241B번]] [[자일대우버스 BS|BS106]] 차량의 가스폭발 사고가 발생하자, 이 회사에서는 해당 연식의 차량을 교체했을 때 올 청색 도색의 재고차량[* 주문했다가 취소한 차량을 이렇게 부른다. 따라서 그 지역 고유의 옵션이 아닌 다른 옵션이 있다면 재고차량일 확률이 높다.](서울, 대전 주취소분)을 구매했고, 이후 이 도색이 뒷부분 상단의 색동띠 및 아랫쪽의 회색띠가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의 신도색으로 추가 확정되어 다른 회사들에도 확대되기 시작했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회사들 중 2000년의 도색을 적용하여 마지막으로 구매한 회사는 [[달구벌버스]]이며, 2010년 10월에 출고한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가 달린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저상버스]] 2대가 마지막이다. 각 1대씩 [[대구 버스 300|300번]]과 [[대구 버스 북구3|북구3번]]에 투입 중이다.] 그리고 이 사고가 계기가 되어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버스]]로 대거 갈아타기 시작했다. 2016년 말에는 급행 정규차량들이 모두 현대차량으로 물갈이되면서 대우 좌석차량들은 빼도박도 못하고 예비차로 전락했다. 계열사였던 [[동광버스]]는 [[대구광역시]]에서 가장 먼저 무냉방 차량을 전면 교체시켰던 회사로도 유명했다. 세진교통은 동광버스 다음으로 2번째로 무냉방 차량을 전멸시킨 회사. 세진교통 계열 최후의 무냉방 차량은 [[자일대우버스 BS|BS106]]으로 2002년에 BS106 [[천연가스버스]]로 교체되었으며, [[현대 에어로시티]] 무냉방 차량은 2001년까지 전면 교체시켰다. 마지막까지 중도색 차량을 운용한 회사이며,[*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최후의 에어로시티 540이기도 하다. 대차 후 BS110CN을 세진교통에서 마지막까지 굴리다가 현재는 [[저상버스]]를 제외한 개선형 중에서는 대구 최초 회색봉 적용 뉴 슈퍼 에어로시티다.] 대구에서 딱 2대밖에 없었던 중도색 무인터 슈퍼 에어로시티[* 1대는 2000년 당시 세진교통에서 자체 구매했으며, 2009년 [[자일대우버스 BS|BS106]] F/L로 교체되어 [[대구 버스 403|403번]]에 운행 중. 다른 1대는 구.[[우일교통]]에서 넘어온 차량으로, 2009년 [[자일대우버스 BS|BS106]] F/L로 대차하여 [[대구 버스 604|604번]]에 운행 중이었으나 2014년 3월 견인하던 도중 화재가 발생해 차량이 모두 불에 탔다. 결국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뉴 슈퍼 에어로시티]] 유로6 테스트카 출신차량으로 대차했다. 개편 후에는 [[대구, 경산 버스 814|814번]]에 투입 중.]와 [[자일대우버스 BS|BS106]] 1996~1997년식 갈색창틀 전중비형 [[좌석버스]][* 구.동광버스 출신 차량으로, 1대는 교체될 때까지 1995년 도입된 중도색을 유지하였으며, 다른 1대는 2000년 도입된 도색으로 재도색한 적이 있다. 세진교통 자체 구매 및 구.[[우일교통]] 출신 차량을 포함해, 대구에서 굴린 나머지 하이파워 전중비형 좌석버스는 죄다 은색 쇠창틀 아니면 로얄시티와 같은 검은 창틀인 짝퉁로얄이였다.]를 굴린 회사이기도 하다. 또한 중도색 차량(하이파워 냉방형, 무인터쿨러 로얄시티, 에어로시티 540 냉방형 등)에다가 2000년 도색으로 재도색한 차량이 있었다. 대구광역시 최초로 [[ZF]]의 에코맷 5단 [[자동변속기]]가 달린 [[자일대우버스 BS|BS120CN]] [[저상버스]]를 2005년 3월에 구매하여 운행한 회사인데, 대구에서 처음이자 마지막이었던 롱저상이었다. 이 전장 12m의 골리앗 저상버스는 [[대구 버스 724|724번]]에 투입되었으며, 측면 창문에 '''최고급 대우 초저상버스'''라고 적혀 있는 것이 특징이고, 2006년 개편 전 구매 초기(2005년)에는 앞면 행선판 자리에도 적혀 있었다. 내구 연한을 앞두고 잦은 고장으로 인해 2014년 1월 말에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저상]]으로 교체했으며, 2023년 7월에 개선형저상으로 다시 교체했다. 이후 대구에서 롱저상 버스 도입 계획이 없는 걸로 보아 평생 롱저상 버스 보유 업체로 남을 듯 하다. 또한 수평식 와이퍼가 달린 2007년식 BS110CN F/L도 한 대 보유했던 회사이기도 하다. 예전에는 대구에서 [[기아 AM버스|AM937E]]도 굴려 보았던 회사 중 하나였다. 물론 세진교통에는 2001년에 도산한 [[대현교통]]에서 인수했던 차량들만 있었고, 그것도 직접 인수받은 것이 아니라 [[우일교통]]이 인수받은 다음 2002년에 합병하여 해당 차량들이 이 회사로 들어왔다. 대현교통에서 인수한 우일교통 출신의 AM937E들은 세진교통에 들어온 지 1~2달 만에 다음해를 넘기지 못하고 모두 [[자일대우버스 BS|BS106]] [[천연가스버스]]로 대차했다.. 대구 최초로 [[저상버스]]에 이어 CNG [[하이브리드 자동차|하이브리드]] 저상 시내버스인 [[현대 블루시티|블루시티]]도 도입했다. 2016년 7월 말에 대구 블루시티 1호차를 출고해 [[대구 버스 564|564번]]에 투입했으며, 2016년 11월 중순과 12월 초, 2017년 1월 중순에도 추가 출고해 2/4호차는 [[대구 버스 724|724번]]에, 3호차는 [[대구, 경산 버스 939|939번]], 5호차는 [[대구, 경산 버스 814|814번]]에 투입했다. 그러나 블루시티로 배차를 맞추기가 어려웠는지 기사들 사이에서 악평이 늘어났고, 결국 724번의 블루시티가 모두 [[대구 버스 수성3, 수성3-1|수성3-1번]]으로 이동되었다. 2018년 2월에는 564번, 2020년 7월에는 939번[* 동시에 939번에 입석형 신차가 투입되면서 2010년에 출고한 재고차가 전멸했다.], 동년 10월 17일에는 814번의 블루시티도 수성3-1번으로 모두 이동하고, 2021년 7월 31일에는 [[신흥버스]]의 503번 블루시티마저 달서1번으로 이동하여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간선|간선 노선]]의 블루시티는 [[대명교통]]의 [[대구 버스 650|650번]]만 남았다. 차량 이동은 잘 안 하는 듯. 특정 노선에 신차를 몰아주기보다 모든 노선에 신차를 골고루 투입하고 투입된 신차는 교체되거나 예비로 격하되기 전까지 한 노선에만 운행하는 경향이 있는 듯하다. 물론 노선별로 인가대수의 변동이 있는 경우와 [[대구 버스 급행1|급행1번]], [[대구 버스 급행5|급행5번]], [[대구 버스 수성3, 수성3-1|수성3-1번]]은 예외다. 좌석버스 신차는 무조건 급행1번에 먼저 넣었다가 기존에 있던 급행1번 정규차량을 급행5번으로 이동시키는 [[차돌리기]]를 하고 있다. 급행버스 외에는 특수한 이유로 [[현대 블루시티|블루시티]]를 트레이드한 것 말고 차량 이동이 적었으나, 2018년 들어 [[대구 버스 수성3, 수성3-1|수성3-1번]]이 점점 무덤 노선화되고 있는 모습이 보이고 있다. 2017년 9월에는 2016년 초 [[달구벌버스]] 이후 오랜만에 입석차량을 출고했다. 2008년식 BS106 팬더형의 대차분이고 해당 차량의 심한 고장으로 차령 연장에 실패해 대차한 건데, 저상화에 맛들였던 대구시청의 [[저상버스]] 보조금이 바닥났기 때문.[* 그런데 [[하이브리드 자동차|하이브리드]]의 보조금은 꽤 받아 놨다고 한다. 문제는 회사들이 ISG 때문에 번거롭고 힘이 딸린다는 이유로 [[현대 블루시티|블루시티]]를 안 사 가는 데다가, CNG 하이브리드 버스가 없는 [[자일대우버스]] 원메이크로 운용 중인 회사에는 이 보조금이 나오지 않는 거나 다름없어서 형평성에 대한 비판이 있다. 그러나 대구 업체들의 대다수가 현대 원메이크로 전향하게 한 [[행당역]] [[자일대우버스 BS|BS106]] 가스폭발 사고에 비해, [[송파 버스사고]]는 [[영진교통]]을 제외하면 대구 업체들에게 없는 수준이라서...] 2018년 6월에는 대구 최초로 개선형 뉴 슈퍼 에어로시티 좌석형을 도입해 [[대구 버스 급행1|급행1번]]에 투입했다. 2019년 7월에는 대구에서 [[세운버스]]에 이어 2번째로 후방감지센서가 달린 차량을 구매함과 동시에 대구에서 [[대덕교통]], [[동명교통]]에 이어 3번째로 메론도색이 전멸되었다. 얼마 뒤에는 재도색한 대우 좌석버스도 전멸. 12월에는 마지막 1대 남은 BS106 F/L이 대차되면서 현대 원메이크가 되었으며, 해당 차량은 939번이 [[관음공영차고지]]로 연장된 뒤 첫 신차다. == 면허 체계 == * 대구 5 자 20XX - '''대구 70 자 20XX/21XX''' 본래 21XX는 구 [[대현교통]]에서 사용하던 면허다. 다만 면허 자체를 직접 인수한 것은 아니며, 대현교통의 폐업 후 잠시 결번이었다가 세진교통이 우일교통의 면허를 모두 말소한 후 차량 대수가 100대를 넘기게 되자 21XX 면허를 다시 발급받아서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동광버스]]의 면허도 모두 말소하면서 21XX 번호판이 조금 늘어났다. 참고로 동광버스에는 대현교통이 폐업하면서 들여온 차량이 몇 대 있었는데 이 차량들은 21XX에서 동광버스 면허인 30XX를 거쳐 다시 21XX 면허가 되어서 운행하기도 했다. * 대구 5 자 35XX - 대구 70 자 35XX([[우일교통]]), 대구 5 자 30XX - 대구 70 자 30XX([[동광버스]]) 합병 후 모두 말소됐다. == 운행 노선 == 2015년 8월 개편으로 급행, 순환, 간선, 지선 노선을 모두 운행하는 업체가 됐다. 그리고 버스 번호로 0부터 9까지 '''모두 보유'''한다. 그만큼 세진교통의 전노선은 모두 수요가 많고 탄탄한 노선들로 구성되어 있다. || 노선 번호 || 인가대수 || 저상버스 || 공동배차하는 회사 || || '''[[대구 버스 급행1|급행1번]]''' || 12대 ||<|2> - || [[우진교통(대구)|우진교통]] || || [[대구 버스 급행5|급행5번]] || 9대 || [[경북교통]][br][[신흥버스]] || || '''[[대구 버스 순환3, 순환3-1|순환3-1번]]''' || 8대 || 1대 || [[신진자동차(대구)|신진자동차]] || || '''[[대구 버스 403|403번]]''' || 16대 || 12대 || - || || '''[[대구 버스 564|564번]]''' || 9대 || 3대 || 우진교통 || || '''[[대구 버스 618|618번]]''' || 6대 || 3대 || [[세운버스]][br][[우창여객]] || || '''[[대구 버스 724|724번]]''' || 14대 || 10대 || [[동명교통]] || || '''[[대구, 경산 버스 814|814번]]''' || 12대 || 3대 || 경북교통[br][[대화교통(경산)|대화교통]] || || '''[[대구, 경산 버스 939|939번]]''' || 16대 || 4대 || [[경산버스]] || || [[대구 버스 수성3, 수성3-1|수성3-1번]] || 8대 || 5대 || 경북교통[*수성3번] || || [[대구 버스 8140|8140번]] || 1대 || - || [[광남자동차]][br][[달구벌버스]][br][[성보교통]][br][[세왕교통]] || ||<-2> 정규 차량 ||<-2> 110대 || ||<-2> 예비 차량 ||<-2> 6대[* 맞춤버스 차량 1대 포함] || ||<-2> 총 ||<-2> 116대 || [[분류:버스 회사]][[분류: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 회사]][[분류:1979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