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공개, this=문서는, 대상=플레이어블 캐릭터, 주제=베타 버전의 정보, 회사=miHoYo 및 HoYoverse)] [include(틀:원신 플레이어블 캐릭터)] ||<-2>
{{{#ffffff,#dddddd '''{{{+1 지혜의 척도 세토스}}}'''[br]Sethos: Wisdom's Measur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원신 세토스.jpg|width=100%]]}}} || ||<-2> {{{#ffffff,#dddddd {{{-3 비밀을 짊어지고 사막에서 온, 침묵의 신전의 계승자}}}}}} || || '''본명''' ||세토스 || || '''성별''' ||남성 || || '''생일''' ||미공개 || || '''소속''' ||[include(틀:수메르 소속)] [[원신/설정/수메르#침묵의 신전|{{{#373a3c,#dddddd 침묵의 신전}}}]] || || '''신의 눈''' ||[include(틀:신의 눈 번개)] 번개 || || '''무기''' ||[include(틀:원신 활)] 활 || || '''운명의 자리''' ||카르투슈[* 고대 이집트에서 사용하던 상형문자 기호 중 하나로, 파라오의 이름을 둘러싸는 곡선.]자리 || || '''비고''' ||[[https://cafe.naver.com/genshin/5616691|모래벌판의 사자]] || ||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Sethos[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赛索斯, ruby=Sàisuǒsī)][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セトス || || '''성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김동현(CJ E&M 성우)|김동현]][* 셰이크 주바이르와 중복][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치바 쇼야]][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리란링[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지노 로빈슨]]|| [목차] [clearfix] == 개요 == >'''「공식 홈페이지 캐릭터 대사」''' >---- >《[[원신]]》 공식 홈페이지 캐릭터 대사 온라인 게임 《[[원신]]》에 등장하는 침묵의 신전 소속 번개 원소의 활 캐릭터. == 설정 == >'''공식 홈페이지 캐릭터 소개''' >@공식 홈페이지 캐릭터 설명@ >---- >'''인게임 캐릭터 정보''' >@인게임 캐릭터 정보 설명@ === 공식 미디어 === ## 해당하는 영상 링크에 관해서는 각국의 공식 유튜브를 참조해 첨부해주세요. ## 한국어 - https://youtube.com/c/%EC%9B%90%EC%8B%A0Official ## 일본어 - https://youtube.com/channel/UCAVR6Q0YgYa8xwz8rdg9Mrg ## 중국어 - https://youtube.com/c/%E5%8E%9F%E7%A5%9EGenshinImpact ## 영어 - https://youtube.com/c/GenshinImpact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캐릭터 플레이 영상 링크를 공식 유튜브에서 찾아 첨부해주세요.)]}}} || || '''{{{-1 신규 캐릭터 플레이 - 「세토스: 」}}}''' || || {{{#!wiki style="margin:0 -10px" {{{-1 {{{#!folding 기타 언어 버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일본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캐릭터 플레이 영상 링크를 공식 유튜브에서 찾아 첨부해주세요.)]}}} ||}}}}}}}}}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중국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캐릭터 플레이 영상 링크를 공식 유튜브에서 찾아 첨부해주세요.)]}}} ||}}}}}}}}}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영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캐릭터 플레이 영상 링크를 공식 유튜브에서 찾아 첨부해주세요.)]}}}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캐릭터 데인 여담 영상 링크를 공식 유튜브에서 찾아 첨부해주세요.)]}}} || || '''{{{-1 데인 여담 - 「세토스: 」}}}''' || || {{{#!wiki style="margin:0 -10px" {{{-1 {{{#!folding 기타 언어 버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일본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캐릭터 데인 여담 영상 링크를 공식 유튜브에서 찾아 첨부해주세요.)]}}} ||}}}}}}}}}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중국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캐릭터 데인 여담 영상 링크를 공식 유튜브에서 찾아 첨부해주세요.)]}}} ||}}}}}}}}}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영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캐릭터 데인 여담 영상 링크를 공식 유튜브에서 찾아 첨부해주세요.)]}}} ||}}}}}}}}}}}}}}}}}}}}} || == 속성 == === 기초 속성 === ||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HP[*기준1 기본 무기, 성유물 미착용] || 기초 공격력[*기준2 무기 공격력을 제외하고 계산] || 기초 방어력[*기준1] || 원소 마스터리[*기준1] || 특성 해금 || ||<|2> 0 || 1 || 821 || 19 || 47 ||<|4> 0 ||<|2> - || ||<|2> 20 || 2108 || 49 || 121 || ||<|2> 1 || 2721 || 63 || 156 ||<|2> 솔개의 비밀 가르침 || ||<|2> 40 || 4076 || 95 || 233 || ||<|2> 2 || 4512 || 105 || 258 ||<|2> 24 ||<|2> - || ||<|2> 50 || 5189 || 121 || 297 || ||<|2> 3 || 5770 || 134 || 330 ||<|4> 48 ||<|2> - || ||<|2> 60 || 6448 || 150 || 369 || ||<|2> 4 || 6884 || 160 || 394 ||<|2> 모래왕의 선물 || ||<|2> 70 || 7561 || 176 || 432 || ||<|2> 5 || 7996 || 186 || 457 ||<|2> 72 ||<|2> - || ||<|2> 80 || 8674 || 201 || 496 || ||<|2> 6 || 9110 || 212 || 521 ||<|2> 96 ||<|2> - || || 90 || 9787 || 227 || 560 || ==== 돌파 재료 ==== ##자세한 사용법은 [[틀:원신/돌파 재료]] 하단의 설명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번개 원소 플레이어블 캐릭터 [include(틀:원신/돌파 재료, 보석1이름=승리의 자수정 가루, 보석2이름=승리의 자수정 조각, 보석3이름=승리의 자수정 덩이, 보석4이름=승리의 자수정, 정예이름=구름 비늘, 특산물이름=만상석, 일반1이름=빛바랜 붉은 비단, 일반2이름=장식된 붉은 비단, 일반3이름=금자수 붉은 비단)] 이 캐릭터가 먹는 특산물인 만상석은 3.6 버전에 추가되었던 특산물이지만, 4.6 버전까지 '''무려 1년 넘게 사용처가 아예 없었다'''가 4.7 버전에서 신캐인 세토스가 육성 재료로써 사용함으로써 처음으로 활용도가 생겼다는 특징이 있다. === 특성 === ##XX를 [자유/투쟁/시문/번영/근면/황금/부세/풍아/천광/간언/창의/실천]으로 바꿔주세요. ##[[여행자(원신)]] 문서에서의 사용법 등은 [[틀:원신/특성 레벨업 재료]] 하단 설명 문서 참조. [include(틀:원신/특성 레벨업 재료, A책1이름=「실천」의 가르침, A책2이름=「실천」의 인도, A책3이름=「실천」의 철학, 일반1이름=빛바랜 붉은 비단, 일반2이름=장식된 붉은 비단, 일반3이름=금자수 붉은 비단, 주간이름=공행의 방울)] ==== 일반 공격 · 왕가의 갈대 궁술 ==== || [[파일:원신_활 아이콘.png|width=80]] ||{{{#fd7 '''일반 공격'''}}}[br]활로 최대 3번 공격한다.[br] {{{#fd7 '''강공격'''}}}[br]더 강력하고 정확한 {{{#fd7 '''조준 사격'''}}}을 한다.[br]조준 시 뇌정의 힘이 화살촉에 계속 모이고 공격과 동시에 발사된다. 차지 시간에 따라 다른 효과가 발동된다: 1단 차지: 번개 원소가 부착된 화살을 발사해 {{{#f5affa '''번개 원소 피해'''}}}를 준다. 2단 차지: 적을 관통하는 {{{#fd7 '''그림자 관통 화살'''}}}을 발사해 경로상의 적에게 {{{#f5affa '''번개 원소 피해'''}}}를 준다. 그림자 관통 화살 차지 완료 후 세토스는 움직일 수 없다.[br] {{{#fd7 '''낙하 공격'''}}}[br]공중에서 화살비를 쏜 후 빠른 속도로 땅에 착지한다. 착지 시 범위 피해를 준다. || || {{{#ece6cc 특성 레벨}}} || 1단 / 2단 / 3단 공격 피해 || 조준 사격 || 1단 차지 조준 사격 || 그림자 관통 화살 피해 || 낙하 기간 피해 || 저공/고공 추락 충격 피해 || || 1 || || || || || || || || 2 || || || || || || || || 3 || || || || || || || || 4 || || || || || || || || 5 || || || || || || || || 6 || || || || || || || || 7 || || || || || || || || 8 || || || || || || || || 9 || || || || || || || || 10 || 104% / 47%+52.6% / 146.3% || 86.7% || 223.2% || 공격력의 252%+원소 마스터리의 242% || 112.3% || 224.6% / 280.6% || || 11 || || || || || || || || 12 || || || || || || || || 13 || || || || || || || || 14 || || || || || || || || 15 || || ||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세토스_일반 공격.gif|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세토스_강공격.gif|width=100%]]}}} || || 일반 공격 || 강공격 || ==== 고대 의식·울리는 천둥과 모래 ==== || [[파일:세토스_원소전투스킬.png|width=80]] ||우레를 모아 전방의 적에게 {{{#f5affa '''번개 원소 범위 피해'''}}}를 주고 빠르게 후퇴한다. 만약 이번 공격이 적에게 감전, 초전도, 과부하, 활성, 촉진, 만개, 또는 번개 원소 확산 반응을 발동시키면, 세토스는 일정 원소 에너지를 회복한다.[br] ''「신령이 빙의한 제사장, 샘을 뚫는 술사, 모래바다의 가수 사이에서는 그들의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어. 하지만 그 이야기는 단순한 전설이 아니야, 그들이 바로 내 선배거든」'' || || {{{#ece6cc 특성 레벨}}} || 스킬 피해 || 원소 에너지 회복 || 재사용 대기시간 || || 1 || 115.6% ||<|15> 12pt ||<|15> 8.0초 || || 2 || 124.3% || || 3 || 132.9% || || 4 || 144.5% || || 5 || 153.2% || || 6 || 161.8% || || 7 || 173.4% || || 8 || 185% || || 9 || 196.5% || || 10 || 208.1% || || 11 || 219.6% || || 12 || 231.2% || || 13 || 245.7% || || 14 || 260.1% || || 15 || 274.5%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세토스_고대 의식 천둥과 모래.gif|width=100%]]}}} || || 고대 의식· 울리는 천둥과 모래 || ==== 비밀 의식·그림자를 꿰뚫는 황혼 ==== || [[파일:세토스_원소폭발.png|width=80]] ||비밀스러운 의식을 발동해 「황혼의 명상」 상태에 진입한다. 해당 기간 동안 세토스의 일반 공격이 적을 관통하는 {{{#fd7 '''황혼 화살'''}}} 발사로 전환된다: 경로상의 적에게 {{{#f5affa '''번개 원소 피해'''}}}를 주고 세토스의 원소 마스터리에 기반해 주는 피해가 증가한다. 황혼 화살이 주는 피해는 강공격 피해로 간주한다. 효과는 세토스 퇴장 시 사라진다.[br] ''침묵의 신전 장서실에는 적왕 시대의 아흐타몬이 남긴 책들이 많이 보관되어 있다. 거기에는 수많은 강력하고 비밀스러운 의식이 기록되어 있는데, 침묵의 신전에서도 그 힘을 다룰 수 있는 자는 극소수다'' || || {{{#ece6cc 특성 레벨}}} || 황혼 화살 피해 증가 || 황혼의 명상 지속 시간 || 재사용 대기시간 || 원소 에너지 || || 1 || 원소 마스터리의 170.6% ||<|15> 8.0초 ||<|15> 15.0초 ||<|15> 60pt || || 2 || 원소 마스터리의 183.4% || || 3 || 원소 마스터리의 196.1% || || 4 || 원소 마스터리의 213.2% || || 5 || 원소 마스터리의 226% || || 6 || 원소 마스터리의 238.8% || || 7 || 원소 마스터리의 255.8% || || 8 || 원소 마스터리의 272.9% || || 9 || 원소 마스터리의 290% || || 10 || 원소 마스터리의 307% || || 11 || 원소 마스터리의 324.1% || || 12 || 원소 마스터리의 341.1% || || 13 || 원소 마스터리의 362.4% || || 14 || 원소 마스터리의 383.8% || || 15 || 원소 마스터리의 405.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세토스_비밀 의식 그림자를 꿰뚫는 명계의 빛.gif|width=100%]]}}} || || 비밀 의식·그림자를 꿰뚫는 황혼 || ==== 솔개의 가르침 ==== || [[파일:세토스_고유특성1.png|width=80]] ||조준 사격 시, 20pt 미만인 세토스의 현재 원소 에너지를 기반으로 원소 에너지 1pt당 차지 시간이 0.285초 감소한다. 해당 방식으로 차지 시간이 최대 0.3초까지 감소한다. 발동 시 {{{#fd7 '''그림자 관통 화살'''}}}을 발사하면 상응하는 원소 에너지를 소모하고, 1단 차지 화살을 발사하면 상응하는 원소 에너지의 50%를 소모한다 || || 해금 조건 || 캐릭터 Lv.1 돌파 || ==== 모래왕의 선물 ==== || [[파일:세토스_고유특성2.png|width=80]] ||세토스가 15초마다 「모래 그림자」 효과를 획득해 {{{#fd7 '''그림자 관통 화살'''}}}이 주는 피해가 증가한다. 증가량은 세토스의 원소 마스터리의 600%에 해당한다. 모래 그림자 효과는 그림자 관통 화살 4개가 적에게 명중 후 제거된다. 최대 지속 시간: 5초. 이번 모래 그림자 효과를 받는 첫 번째 그림자 관통 화살이 적에게 명중 시, 모래 그림자 효과의 획득 시간을 다시 계산한다 || || 해금 조건 || 캐릭터 Lv.4 돌파 || ==== 떠오른 토트의 달 ==== || [[파일:세토스_고유특성3.png|width=80]] ||미니맵에 주위의 {{{#fd7 '''수메르 지역 특산물'''}}} 위치가 나타난다 || === 운명의 자리 === ##원소별 효과 색상 ##{{{#fa9b9b '''불 원소'''}}} {{{#7dbefa '''물 원소'''}}} {{{#7fffd4 '''바람 원소'''}}} ##{{{#f5affa '''번개 원소'''}}} {{{#9bfafa '''얼음 원소'''}}} {{{#ffe6a0 '''바위 원소'''}}} ||<|2> 1[br][[파일:세토스_운명의 자리 1.png|width=50]] ||'''감실의 진혼가''' || ||{{{#fd7 '''그림자 관통 화살'''}}}의 치명타 확률이 15% 증가한다 || ||<|2> 2[br][[파일:세토스_운명의 자리 2.png|width=50]] ||'''침묵의 파피루스 경전''' || ||아래 조건 발동 시, 세토스가 {{{#f5affa '''번개 원소 피해 보너스'''}}}를 15% 획득한다. 지속 시간: 10초, 최대 중첩수: 2스택. 스택마다 지속 시간은 독립적으로 계산된다: ·{{{#fd7 '''고대 의식· 울리는 천둥과 모래'''}}}로 원소 에너지 회복. ·{{{#fd7 '''비밀 의식·그림자를 꿰뚫는 황혼'''}}} 발동. 고유 특성 「솔개의 가르침」의 효과로 원소 에너지 회복. 해당 조건은 고유 특성 「솔개의 가르침」을 해금해야 한다 || ||<|2> 3[br][[파일:세토스_운명의 자리 3.png|width=50]] ||'''달오름의 현자 찬송가''' || ||{{{#fd7 '''일반 공격·왕가의 갈대 궁술'''}}}의 스킬 레벨+3[br]최대 Lv.15까지 상승 || ||<|2> 4[br][[파일:세토스_운명의 자리 4.png|width=50]] ||'''자비의 타조깃 묶음''' || ||{{{#fd7 '''그림자 관통 화살'''}}}과 {{{#fd7 '''황혼 화살'''}}}이 2기 이상의 적에게 명중 시, 주변에 있는 파티 내 모든 캐릭터의 원소 마스터리가 80pt 증가한다. 지속 시간: 10초 || ||<|2> 5[br][[파일:세토스_운명의 자리 5.png|width=50]] ||'''황야신의 열사록''' || ||{{{#fd7 '''비밀 의식·그림자를 꿰뚫는 황혼'''}}}의 스킬 레벨+3[br]최대 Lv.15까지 상승 || ||<|2> 6[br][[파일:세토스_운명의 자리 6.png|width=50]] ||'''떠오르는 태양의 파일론''' || ||{{{#fd7 '''그림자 관통 화살'''}}}이 적에게 명중 후, 고유 특성 「솔개의 가르침」으로 소모한 원소 에너지를 반환한다. 해당 효과는 15초마다 최대 1회 발동한다. 고유 특성 「솔개의 가르침」을 해금해야 한다 || === 특제 요리 === ||<-2>
'''{{{#ffffff,#dddddd {{{+1 바비큐 향기 좋은 롤업}}}}}}''' || ||<-2>'''[[원신/음식#샤와르마|{{{#ffffff,#dddddd 샤와르마}}}]]''' 제작 시 일정 확률로 '''바비큐 향기 좋은 롤업'''이 출현합니다.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enshinicon_특제음식_바비큐 향기 좋은 롤업.png|width=100%]]}}} ||''세토스의 특제 요리, 밀전병은 쫄깃해서 씹히는 맛이 좋고 향신료를 듬뿍 친 바비큐는 천하의 별미다. 어디서도 쉽게 맛볼 수 없는 맛이 미각을 사로잡는다. 아직 더 많은 것을 원한다는 사실을 알아차린 듯한 청년이 윙크하며 말한다. 「비법 레시피에요. 다른 곳에서는 맛볼 수 없죠.」'' || ||· 특제 요리 효과 || == 운용 == === 무기 === * '''5성''' * '''[[원신/무기/활#사냥꾼의 길|사냥꾼의 길]]''' 높은 치명타 확률과 원소 마스터리 기반 강공격 강화 무기 스킬로 [[타이나리]]와 마찬가지로 공격력보다는 원소 마스터리에 신경 쓰는 강공격 딜러인 세토스에 최적화된 무기. 성능 외로 상시 캐릭터용 한정 무기인 만큼 추후 묶음 기원에서 재등장하기 전에는 얻을 방법이 없다는 것이 흠이다. * '''[[원신/무기/활#약수|약수]]''' 아주 높은 치명타 피해 보너스와 근거리 전투 시 피해 증가가 붙은 [[야란]] 전용 무기이다. 상대적으로 낮은 기초 공격력도 세토스에게는 문제되지 않는다. 5성 무기 중 두 번째로 세토스에게 강하다고 평가 받는다. 다만 탄궁 5재련이라는 매우 강력한 경쟁자가 있어서 채용 우선 순위가 밀리는 편이다. * '''[[원신/무기/활#최초의 대마술|최초의 대마술]]''' 치명타 피해 보너스와 강공격 피해 증가를 보고 쓰는 한정 무기이다. 세토스에게 공격력 증가는 원소 마스터리보다 효율이 안 좋지만 격화 딜러로서 채용 가치가 있다. 무기 스킬을 최대로 받는 번개 3 풀 1 격화 조합에서 최대 성능을 낸다. * '''[[원신/무기/활#종말 탄식의 노래|종말 탄식의 노래]]''' 오프필드 서포터용 무기지만 원소 마스터리와 원소 충전 효율을 보고 세토스에 들려줄만한 무기이다. 골고루 활성 반응을 활용하는 격화 조합에서 세토스에게 서포팅 성능을 다소 부여할 수 있다. * '''[[원신/무기/활#천공의 날개|천공의 날개]]''' 기초 공격력과 물리 무기 스킬 피해에 치중된 무기지만 상시 5성 무기라 접근성이 높고 치명타 요구 사항을 맞추기 쉬워져서 세토스에게 적당히 들려줄만 하다. * '''4성''' * '''[[원신/무기/활#뜨거운 태양의 후손|뜨거운 태양의 후손]]''' 세토스 공식 일러스트레이션에서 들고 나온 무기. 설정 상으로도 가장 어울리는 무기이다. 무기 능력치로 봐도 치명타 확률과 단일 적 한정 강공격 피해 증가 최대 56%로 세토스와 상당히 잘 어울리는 무기이다. 다만 기행을 다섯 번 거쳐야 하는데 다른 기행 무기에 비해서 우선 순위가 밀린다는 것이 흠이다. * '''[[원신/무기/활#꿰뚫는 따오기 부리|꿰뚫는 따오기 부리]]''' 이벤트 획득 4성 무기이다. 강공격 2회로 원소 마스터리를 최대 160pt 얻을 수 있어 이벤트로 이미 5성 90레벨로 만들어 놓은 경우 세토스에게 가성비 무기로 들려봄직하다. 이벤트 이후 얻을 방법이 없다는 것이 흠이다. 덤으로 외관도 흑금백 조합으로 세토스에 나름 어울리는 편이다. * '''3성''' * '''[[원신/무기/활#탄궁|탄궁]]''' 타이나리와 마찬가지로 기원 3성 무기 주제에 31.2%에 달하는 치명타 확률 보너스와 조건 만족 시 강공격 피해 증가 60%라는 어마어마한 보너스가 붙어있다. 실질적으로 세토스가 쓸 수 있는 '''두 번째로 강한 무기'''이다. ~354밖에 안 되는 낮은 기초 공격력도 격화 반응으로 추가 공격력을 당겨올 수 있고 원소 마스터리 비중도 매우 높은 세토스에게 큰 페널티가 아니다. 원소 에너지를 대가로 강공격을 차지 시간 없이 쏘거나 원소 폭발로 아예 일반 공격을 강공격 판정으로 바꿔 근거리 난사가 가능한 세토스에게 0.3초 내 착탄이라는 무기 스킬 조건은 만족하기 쉬운 편이다. 테스트 서버 기준으로 사냥꾼의 길 1재련과 탄궁 5재련의 DPS 차이가 1% 수준이라는 계산 결과도 있을 정도이다.[[https://youtu.be/t4EJMXSxjkU?t=622|#]] === 성유물 === ||<-3>
'''{{{#ffffff,#dddddd 권장 성유물 옵션}}}''' || || [[파일:원신_Icon_Sands_of_Eon.png|width=25]]'''시간의 모래''' || [[파일:Icon_Goblet_of_Eonothem.png|width=25]]'''공간의 성배''' || [[파일:Icon_Circlet_of_Logos.png|width=25]]'''이성의 왕관''' || || {{{-1 원소 충전 효율 %[br]원소 마스터리[br]공격력 %}}} || {{{-1 번개 원소 피해 보너스 %[br]공격력 %}}} || {{{-1 치명타 확률 %[br]치명타 피해 %}}} || ||<-3> {{{#ffffff,#dddddd 부 옵션}}} || ||<-3> {{{-1 치명타 확률 % / 치명타 피해 % / 원소 충전 효율 % / 공격력 %}}} || * '''[[원신/성유물#이름|이름]] 4세트''' 설명 * '''[[원신/성유물#이름|이름]] 4세트''' or '''[[원신/성유물#이름|이름]] 2세트 + [[원신/성유물#이름|이름]] 2세트''' 설명 * '''[[원신/성유물#이름|이름]] 2세트 + [[원신/성유물#이름|이름]] 2세트''' 설명 캐릭터에 어울리는 성유물을 제시. === 추천 조합 캐릭터 === 어울리는 조합이나 캐릭터를 제시. === 멀티 플레이 === 멀티 플레이에서의 운용법, 특징, 성능 등을 서술. == 평가 == 캐릭터의 성능 평가를 서술. 단, 장점과 단점은 필요시 서술. ---- '''{{{+1 장점 }}}''' * '''장점 소제목''' 장점 부분을 기술. ---- '''{{{+1 단점 }}}''' * '''단점 소제목''' 단점 부분을 기술. ---- '''{{{+1 총평}}}''' == 대사 == ||
'''{{{#ffffff,#dddddd {{{+1 대사집}}}}}}'''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2px" {{{#!folding 자료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첫 만남... || || || 잡담 · 잡담명 || || || (날씨) 때... || || || (날씨) 때 · 캐릭터별 문자 || || || (날씨) 후... || || || (날씨) 후 · 캐릭터별 문자 || || || 아침 인사... || || || 점심 인사... || || || 저녁 인사... || || || 굿나잇... || || || 세토스 자신에 대해... || || || 세토스 자신에 대해 · 캐릭터별 문자 || || || 우리에 대해 · 캐릭터별 문자 || || || 「신의 눈」에 대해... || || || 「신의 눈」에 대해 · 캐릭터별 문자 || || || 하고 싶은 이야기... || || || 흥미있는 일... || || || XX에 대해...[* 캐릭터 별로 숫자가 다름. 캐릭터에 맞게 조성할 것)] || || || XX에 대해 · 캐릭터별 문자 || || || 세토스에 대해 알기 · 첫 번째 || || || 세토스에 대해 알기 · 두 번째 || || || 세토스에 대해 알기 · 세 번째 || || || 세토스에 대해 알기 · 네 번째 || || || 세토스에 대해 알기 · 다섯 번째 || || || 세토스의 취미... || || || 세토스의 고민... || || || 좋아하는 음식... || || || 싫어하는 음식... || || || 생일... || || || 생일 · 캐릭터별 문자 || || || 돌파의 느낌 · 기 || || || 돌파의 느낌 · 승 || || || 돌파의 느낌 · 전 || || || 돌파의 느낌 · 결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2px" {{{#!folding 필드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기 시 || || || 편성 시 || || || 대쉬 시 || || || 원소 전투 스킬 사용 시 || || || 원소 폭발 사용 시 || || || 사망 시 || || }}}}}}}}} || == 스토리 == ||
'''{{{#ffffff,#dddddd {{{+1 스토리 모음집}}}}}}''' || || {{{#!folding [ 캐릭터 스토리 1 ] }}} || || {{{#!folding [ 캐릭터 스토리 2 ] }}} || || {{{#!folding [ 캐릭터 스토리 3 ] }}} || || {{{#!folding [ 캐릭터 스토리 4 ] }}} || || {{{#!folding [ 캐릭터 스토리 5 ] }}} || || {{{#!folding [ 고유 스토리 ] }}} || || {{{#!folding [ 신의 눈 ] }}} || == 생일 편지 == == [[세토스/작중 행적|작중 행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세토스/작중 행적)] == 캐릭터 코스튬 == === 금빛 모래 행자 === ||<-2>
'''{{{#ffffff,#dddddd {{{+1 금빛 모래 행자}}}}}}'''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세토스 코스튬.png|width=100%]]}}} || || 스토리 || - || || 입수 방법 || 기본 코스튬 || == 인간관계 == * [[사이노]] 어릴 적 똑같이 헤르마누비스의 그릇이었으며 의형제에 가깝기도 했다. 다만 세월이 지난 후에 재회했을 때 다소 차갑게 대했는데 이는 키루스가 사이노에게 헤르마누비스의 힘이 이식되던 중 그를 데리고 도주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키루스를 인질 삼는 것도 서슴지 않았으나 결투 의례 직전 밝힌 바론 실은 수메르성이 예전과 많이 달라졌으며 침묵의 신전 또한 다시 교류를 이어나가고 싶고 헤르마누비스의 그릇이라는 정체성에 얽매이고 싶지 않다는 것이 그의 본의였다. 그래서 결투 의례 때 패배하자 깔끔히 받아들였고 사이노에게 나머지 힘을 양보하였다. * 바문 침묵의 신전의 수장이자 세토스에게는 양할아버지가 되는 인물이다. == 언어별 표기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한국어 || 세토스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영어 || Sethos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출력= )] 중국어 || 赛索斯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일본어 || セトス ||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출력= )] 독일어 || ||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출력= )] 프랑스어 || || ||[include(틀:국기, 국명=포르투갈, 출력= )] 포르투갈어 || || ||[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 출력= )] 스페인어 ||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출력= )] 러시아어 || || ||[include(틀:국기, 국명=인도네시아, 출력= )] 인도네시아어 || || ||[include(틀:국기, 국명=태국, 출력= )] 태국어 || || ||[include(틀:국기, 국명=베트남, 출력= )] 베트남어 || || == [[세토스/여담|여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세토스/여담)] == 관련 문서 == * [[원신/등장인물/수메르]] * [[사이노]] * [[헤르마누비스]] == 둘러보기 == [include(틀:원신)] {{{-2 {{{#!wiki style="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1px;" ||<-5>
[[원신|[[파일:원신 로고.svg|width=35]]]] || ||<-5> [[원신/업데이트|{{{#004e6a,#white '''업데이트 버전별'''}}}]] '''신규 캐릭터''' || ||<^|1> [[원신/업데이트#4.6|{{{#white {{{-1 4.6}}}[br]두 세계로 번진 불과 사그라드는 붉은 밤}}}]]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원신 화살표 왼쪽.png|width=40%]]}}} ||<^|1> [[원신/업데이트#4.7|{{{#white {{{-1 4.7}}}[br]???}}}]]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원신 화살표 오른쪽.png|width=40%]]}}} ||<^|1> [[원신/업데이트#4.8|{{{#white {{{-1 4.8}}}[br]???}}}]] || || [[원신/업데이트#4.5 버전 - 「비단을 가르는 칼끝」|{{{#!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원신 4-6 PV.jpg|width=100%]]}}}]] || [[원신/업데이트#4.6 버전 - 「두 세계로 번진 불과 사그라드는 붉은 밤」|{{{#!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원신 4-7 PV.jpg|width=100%]]}}}]] || [[원신/업데이트#4.7 버전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원신 4-8 PV.jpg|width=100%]]}}}]] || ||<^|1> {{{#!wiki style="margin: -5px -10px;" ## 이전 버전 신규 캐릭터 시작 ▼ [[아를레키노(원신)|{{{#!wiki style="width: 100%;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wiki style="margin: -10px 0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신_불원소.svg|width=24]]}}} || {{{#!wiki style="margin: -5px -10px" 아를레키노}}} ||}}}}}}]] ## 이전 버전 신규 캐릭터 끝 ▲ }}} ||<^|1> {{{#!wiki style="margin: -5px -10px" ## 기준 버전 신규 캐릭터 시작 ▼ [[클로린드|{{{#!wiki style="width: 100%;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wiki style="margin: -10px 0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신_번개원소.svg|width=24]]}}} || {{{#!wiki style="margin: -5px -10px" 클로린드}}} ||}}}}}}]] [[시그윈|{{{#!wiki style="width: 100%;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wiki style="margin: -10px 0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신_물원소.svg|width=24]]}}} || {{{#!wiki style="margin: -5px -10px" 시그윈}}} ||}}}}}}]] [[세토스|{{{#!wiki style="width: 100%;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wiki style="margin: -10px 0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신_번개원소.svg|width=24]]}}} || {{{#!wiki style="margin: -5px -10px" 세토스}}} ||}}}}}}]] ## 기준 버전 신규 캐릭터 끝 ▲ }}} ||<^|1> {{{#!wiki style="margin: -5px -10px" ## 다음 버전 신규 캐릭터 시작 ▼ ## 다음 버전 신규 캐릭터 끝 ▲ }}} ||}}}}}} [[분류:원신/등장인물/수메르]][[분류:신의 눈/번개]][[분류:원신/플레이어블 캐릭터/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