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파라오]][[분류:기원전 1186년 사망]] [include(틀:역대 이집트 파라오)]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DB76B 0%, #DECD87 20%, #DECD87 80%, #BDB76B)" {{{#A0522D '''고대 이집트 제20왕조 초대 파라오[br]{{{+1 세트나크테}}}[br]Setnakhte'''}}}}}}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etnakhte.webp|width=100%]]}}} || ||<-2> '''이름''' ||세트나크테(Setnakhte) || ||<-2> '''출생''' ||미상 || ||<-2> '''사망''' ||기원전 1186년 || ||<-2><|2> '''재위 기간''' ||이집트 파라오 || ||기원전 1189년 ~ 기원전 1186년[br]'''(약 3년)''' || ||<-2> '''전임자''' ||[[투스레트]]|| ||<-2> '''후임자''' ||[[람세스 3세]] || ||<-2> '''자녀''' ||[[람세스 3세]] || ||<-2> '''무덤''' ||[[왕가의 계곡]] KV14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집트 신왕국]] 제20왕조의 초대 [[파라오]]. 이집트 최전성기였던 제19왕조를 끝내고 신왕국의 쇠락기인 제20왕조를 시작한 파라오였다. 이집트 최후의 위대한 파라오였던 [[람세스 3세]]의 친아버지이기도 하다. == 생애 == 세트나크테는 전임 왕조인 제19왕조의 일원이 아니었다. 세트나크테의 전임자인 [[투스레트]]와는 당연히 혈연적 관계가 없었고, 세트나크테가 제19왕조의 마지막 '합법' 파라오라고 인정해준 [[세티 2세]]와도 전혀 친족 관계가 없었다. 완전 다른 가문의 쌩판 남이었던 것이다. 그래서 학자들은 세트나크테가 아마 제19왕조의 머나먼 방계 왕족이거나 대귀족 출신의 찬탈자였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그나마 [[메르넵타]]의 딸이던 티이-메리네세와 결혼해 제19왕조로부터의 혈통적 정당성을 이어받으려 시도하긴 했다고 한다. 세트나크테는 왕위에 오르고 난 이후 기껏해야 최소 2년 - 3년 정도 밖에 재위하지 못했다.[* 아들인 람세스 3세가 즉위 당시 31세였던 점으로 보아, 즉위 당시 세트나크테는 최소 40대 후반 - 50대 초반이었을 것이다. 당시 수명을 생각하면 이미 나이가 많은 편이었다.] 일부 비석에는 4년[* 세트나크테 시기에 아문 대제사장인 바켄콘수의 비문의 기록. 2007년에 발견되었다.]까지도 집권했다는 기록이 있지만 사실이라 보기는 어렵고 유효한 통치 기간은 3년 정도[* 시나이 산에서 발견된 271비문을 근거로 함.]가 정설이다.[* 엘레판티네 비문에서 세트나크테가 재위 2년에 모든 반역자들을 차단했다고 기록한 점을 근거로 4년 간 재위했다고 하더라도 [[투스레트]]나 다른 경쟁자들과 난립했을 것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세트나크테의 재위 기간은 짧았지만, 그 아들 [[람세스 3세]]가 탄탄한 왕권을 펼칠 수 있을 정도로 단단한 기반을 쌓아주는 데에는 성공했다고 평가받는다. 먼저 [[세티 2세]]부터 [[십타]], [[투스레트]] 시기까지 가나안에서 할가하면서 이집트 신왕국을 약탈했던 군벌 [[이르수]]를 토벌했고, [[아문]]의 [[카르나크 신전]]을 복구하는 한편 왕조 교체기에 도굴당한 제19왕조 파라오들의 무덤을 다시 재봉인하는 등 여러 민심 안정 정책을 펼쳤기 때문. 세트나크테가 죽기 전 이러한 민심 안정 정책, 왕권 강화정책을 미리 펼쳐두고 간 덕에 후임 파라오 람세스 3세가 이집트 신왕국의 최후의 전성기를 마음껏 누릴 수 있었다는 평이 많다. == 무덤 == 세트나크테는 기원전 1186년에 사망했고, 원래 전임 파라오 [[투스레트]]가 쓰기 위해 마련되었던 KV 14번 무덤에 안장되었다. 일종의 도둑 매장이었던 셈. 하지만 KV14 무덤은 얼마 지나지 않아 도굴당했고 그의 미라 역시 사라졌다. 그나마 [[아멘호테프 2세]]의 KV35 무덤에서 발굴된 미라가 세트나크테의 것이 아닌가 추정되지만[* 고대 이집트에서는 파라오의 무덤이 한 번 도굴당하면 따로 미라만 챙겨서 다른 파라오의 무덤에 한꺼번에 다시 묻는 경우가 많았다. 아멘호테프 2세의 무덤은 그나마 마지막에 털렸기에 많은 파라오들의 미라가 함께 묻혀 있었다.] 이 역시 확실하진 않다. 결과적으로 세트나크테의 미라는 완전히 사라진 상태다. == 기타 == * [[토탈 워: 파라오]]가 [[메르넵타]] 사후 이집트의 혼란기다보니 세트나크테가 등장할 가능성은 높았으나 플레이어블 팩션 군주가 아닌 논플레이어블 팩션의 일반 군주로 등장한다. 대신 아들 [[람세스 3세]]가 주인공으로 나오며, [[이르수]]를 처치한 행적을 반영했는지 람세스 3세는 가나안 인근에 배치되어 이르수와 대립한는 걸로 묘사된다.인게임 데이터로 [[https://m.dcinside.com/board/ttwar/1685787?headid=&recommend=&s_type=subject_m&serval=%EC%84%B8%ED%8A%B8%EB%82%98%ED%81%AC%ED%85%8C|세트나크테와 메르넵타 간 상호대사]], [[https://reddit.com/r/totalwar/s/uXC5WTcqix|세트나크테 아트워크 일러스트]]가 확인되면서 DLC 추가군주로 나올 가능성이 높은 상태. 메르넵타와의 대사로 볼 때 고대 리비아 부족인 리부(Libu)와 대립할 것으로 보인다. * [[신화 속 양치기 노예가 되었다]]에서도 등장한다. 여기선 파리스가 기술자들을 데리고 피람세스를 탈출함으로서 발생한 투스레트와 그녀의 반대파간의 내전을 틈타 어부지리로 손쉽게 파라오에 오른다. 파리스 덕에 손쉽게 파라오에 오르고 신관세력이 날아가 강력한 왕권을 쥘 수 있어서 파리스에 우호적인 태도를 보이며 여기에 파리스가 생산한 다량의 강철에 관심을 가져 에디오피아의 [[멤논]]을 활용하여 친교를 맺고자 한다.[* 이때 세트나크테가 선물한 수호의 반지 덕분에 파리스가 히타이트의 저주에서 무사할 수 있었다.] 특히 파라오의 힘을 제대로 보여주기도 했는데 아카이아인들이 피람세스를 약탈하러 오자 손수 나서서 자신의 몸에 태양신 아문-라를 현신시켜 아카이아 군을 쓸어버리는 장면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때 힘이 얼마나 강했는지 아킬레우스가 나서서야 간신히 아카이아 인들이 탈출할 수 있었고 이후 파리스발 [[대해적시대|대영웅시대]]가 끝나는데 영향을 준다.